KR101382750B1 -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50B1
KR101382750B1 KR1020080082054A KR20080082054A KR101382750B1 KR 101382750 B1 KR101382750 B1 KR 101382750B1 KR 1020080082054 A KR1020080082054 A KR 1020080082054A KR 20080082054 A KR20080082054 A KR 20080082054A KR 101382750 B1 KR101382750 B1 KR 10138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shock absorber
spacer
vehic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347A (ko
Inventor
문윤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 B60G15/1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fluid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8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 쇽업소버상에 스페이서와 부싱을 설치하여 부싱의 회전에 의해 상부 쇽업소버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캡의 기울어짐 발생시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는 하부 쇽업소버상에 고정 결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시 단계별로 상승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일체를 이루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부싱의 상승시 함께 이동하여 쇽업소버 상단의 차량 캡 결착부를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SHOCK ABSORBER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 쇽업소버상에 스페이서와 부싱을 설치하여 부싱의 회전에 의해 쇽업소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차량 캡의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종래의 차량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과 같은 소정 상용차량에 있어서, 차량 전방에 위치한 캡(10)이 좌우측편의 무게 편차로 인하여 통상 운전석(좌편)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차량 캡(10)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종래 방법의 일 예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의 기울어진 측에 두께가 (1mm - 3mm) 되는 쉼(Shim)(40)을 추가하는 것이다. 상기 추가되는 쉼(40)의 두께가 예컨대, 1mm 일 경우에는 차량 캡(10)을 약 2.5mm 정도 상승시켜 차량 캡(10)의 좌우측간의 기울어 짐을 보상해 주게 된다. 따라서 약간의 두께를 가진 쉼(40)의 추가로 기울어진 캡(10)의 위치를 바로잡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캡(10)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쉼(40)의 추가는 기울어진 쪽의 쇽업소버(30)의 에어스프링(31)의 하단에 삽입된다.
그러나 최근 나오는 특정 상용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쉼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어 차량 캡의 일측 방향으로의 기울어짐 발생시 종래와 같이 쉼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3a 는 쉼의 추가가 불가한 종래 쇽업소버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c 는 상기 도 3b 의 B 부 확대도이다.
상기 예시된 종래 차량의 쇽업소버(50) 구조는 하부 쇽업소버(51)상에 용접에 의해 결착되는 부싱(60)과, 상기 부싱(60)의 외측에 결합된 시트부재(53)와, 상기 시트부재(53)의 상측에 위치한 스프링부재(55)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부재(55)의 상단에는 차량의 캡(10) 부위와 연결되는 캡 연결부(57)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연결부(57)에는 체결너트(59)가 결착되어 캡 연결부(57)에 쇽업소버(50)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체결너트(59)가 풀릴 경우 하부 쇽업소버(51)와 부싱(60) 및 시트부재(53)가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즉, 상측단의 체결너트(57)를 풀면 부싱(60)과 하부 쇽업소버(51)는 고정되고, 부싱(60)과 시트부재(53) 및 최 외측 스프링부재(55)는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 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부싱(60)은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하부 쇽업소버(51)와 용접으로 결착되며(W1), 부싱(60)의 외측에 위치한 시트부재(53)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고, 스프링부재(55)는 고무로 형성된다.
따라서 쇽업소버(50)의 상측에 위치한 캡 연결부(57)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부재(55)의 저부에 위치한 시트부재(53)가 상측으로 들려 올려져야 하는데, 시트부재(60)가 가운데로 통과하는 하부 쇽업소버(51)와 일체로 결착되어 있으므로 쇽업소버(50)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에서는, 차량 캡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쉼의 추가가 불가할 뿐만 아니라 용접결합에 의해 부싱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도 없으므로 캡의 좌우 측방향으로의 기울어짐 발생시 편심을 보상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쇽업소버상에 스페이서와 부싱을 설치하여 부싱의 회전에 의해 상부 쇽업소버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는 쇽업소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는 하부 쇽업소버상에 고정 결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시 단계별로 상승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일체를 이루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부싱의 상승시 함께 이동하여 쇽업소버 상단의 캡 결착부를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쇽업소버와 그 후단부에서 용접결합으로 결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부싱은 그 외측면상에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부면상에는 다수의 계단형 골이 형성되며, 이 계단형 골은 부싱의 회전시 부싱을 단계별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제1 단계에서 제 3단계까지 구분되도록 하고, 각 단계별로 부싱이 이동하는 일단계의 거리는 (1mm - 2mm)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측부상에 상기 부싱의 계단형 골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다수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부싱의 회전시 부싱이 단계별로 상승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에 의하면, 쇽업소버상에 설치된 스페이서와 그 상측의 부싱간 결합관계를 이용하여 부싱의 회전에 따라 쇽업소버를 단계별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 는 캡 연결부와 쇽업소버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 는 상기 도 4a 의 종단면도이며, 도 4c 는 도 4b 의 C 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에 사용되는 부싱(160) 및 스페이서(18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업소버(150)의 구조는 스페이서(180)와 하부 쇽업소버(151)간 용접결합이 이루어져(도 4c 의 W2) 하부 쇽업소버(151)와 스페이서(180)는 일체가 되어 하부 쇽업소버(15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180)의 상측에 위치한 부싱(160)은 그 저부의 스페이서(18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회전시 스페이서(180)와의 결합관계에 의 해 단계별로 부싱(160)이 상승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싱(160)은 그 외측의 시트부재(153)와 일체로 결합되고, 시트부재(153)의 상승시 그 외측의 스프링부재(155)가 상승하게 되어 결국, 쇽업소버(150) 상단의 캡 연결부(157)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하부 쇽업소버(151)에 용접으로 결착된 스페이서(180)를 기준으로 그 상측에 부싱(160)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착되고, 이 부싱(160)의 상승 여부에 따라 쇽업소버(150)의 상단의 캡 연결부(157)의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부싱(16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면에 오링 삽입홈(163)이 형성되고, 저부면상에는 계단형 골(1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단형 골(161)은 부싱(160)의 회전시 단계별로 상승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예를 들면, 초기단계,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초기단계는 부싱(160)이 회전하지 않은 초기상태이며, 제1 단계는 초기상태에서 소정각도 1차로 회전한 상태이고,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일정각도 더 회전한 상태이며, 제3 단계는 상기 제2 단계로부터 부싱(160)이 최종적으로 더 회전시킨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각 단계별로 부싱(160)의 회전하는 각도는 부싱(160)의 저부에 형성된 계단형 골(161)과 스페이서(180) 상부면상에 형성되는 돌출턱(181)의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그 각도는 예를 들어, 제1 단계에서의 부싱(160)의 회전각도를 90 도, 180도, 270도, 360도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단계별로 부싱(160)이 상승하는 이동거리는 (1mm - 2mm) 범위가 되 도록 한다.
부싱(160)의 저부에 위치한 스페이서(18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부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하부 쇽업소버(151)와 용접으로 결합되며, 그 상측면상에는 상측의 부싱(160)의 저부면에 형성된 계단형 골(161)과 대응 접촉하는 다수의 돌출턱(18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180)와 부싱(160)이 결합된 상태에서 부싱(160)의 회전에 의해 부싱(160)이 단계별로 상승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 7의 (a)는 부싱(160)이 회전하지 않은 초기상태로서, 부싱(160)의 계단형 골(161)과 이에 대응하는 스페이서(180)의 돌출턱(181)의 상호 대응면들이 모두 접촉해 있는 상태로서, 부싱(160)의 회전 및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 7의 (b)는 부싱(160)이 일차로 소정각도 회전함으로 일정 높이로 1차 상승한 제1 단계 상태로서, 부싱(160)과 스페이서(180)간의 접촉면이 3개 형성된 경우이다.
도 7의 (c)는 부싱(160)이 이차로 설정된 소정각도 회전하여 다시 일정높이 상승한 제2 단계 상태이며, 이 때 부싱(160)과 스페이서(180)간의 접촉면은 3개에서 한개가 줄어들어 2개가 형성된다.
도 7의 (d)는 부싱(160)이 삼차로 설정된 소정각도 회전하여 제2 단계의 높이에서 재차 상부로 상승한 제3 단계 상태이며. 이 경우 부싱(160)과 스페이서(180)간의 접촉면은 1개가 된다.
만일, 부싱(160)의 제1 단계 상승시 상승 높이를 1mm 로 하면, 제2 단계에서 부싱(160)이 상승되는 높이는 2mm 이고, 제3 단계 상승시에는 모두 3mm 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부싱(160)의 각 단계별 상승 높이는 1mm 이외 다른 크기의 다양한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 캡의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종래의 캡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는 쉼의 추가가 불가한 쇽업소버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의 쇽업소버 구조에 사용되는 부싱 및 스페이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와 부싱이 결합된 상태에서 부싱의 회전에 의해 부싱이 단계별로 상승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캡 30,50 : 쇽업소버
40 : 쉼(Shim) 51,151 : 하부 쇽업소버
53,153 : 시트부재 55,155 : 스프링부재
157 : 캡 연결부 59,159 : 체결너트
60,160 : 부싱 163 : 오-링 삽입홈
180 : 스페이서 185 : 오-링

Claims (5)

  1. 하부 쇽업소버상에 고정 결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상측에 위치하여 회전시 단계별로 상승하는 부싱과,
    상기 부싱과 일체를 이루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부싱의 상승시 함께 이동하여 쇽업소버 상단의 차량 캡 결착부를 이동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부싱 외측면에 오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부면상에 다수의 계단형골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쇽업소버의 후단부에서 용접결합으로 결착되는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 골은 상기 부싱의 회전시 부싱을 단계별로 상승시키는 것으로, 1단계 내지 3단계로 구분되고, 단계별 이동거리는 1mm 내지 2mm 로 한 차량의 쇽업소버 구조.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측부상에 상기 부싱의 계단형의 골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다수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쇽업소버 구조.
KR1020080082054A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KR10138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54A KR101382750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054A KR101382750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47A KR20100023347A (ko) 2010-03-04
KR101382750B1 true KR101382750B1 (ko) 2014-04-09

Family

ID=4217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054A KR101382750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0171B2 (en) 2007-10-30 2011-12-06 Klaus Wohlfarth Leveling shock absorber and stru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35A (ko)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쇽업소버 진동흡수장치
JP2003214473A (ja) * 2002-01-22 2003-07-30 Nikken:Kk 車両用懸架装置
KR20060042682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0803155B1 (ko) * 2006-09-11 2008-02-14 주식회사 만도 현가장치용 에어스프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35A (ko)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쇽업소버 진동흡수장치
JP2003214473A (ja) * 2002-01-22 2003-07-30 Nikken:Kk 車両用懸架装置
KR20060042682A (ko) *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KR100803155B1 (ko) * 2006-09-11 2008-02-14 주식회사 만도 현가장치용 에어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347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341B2 (en) Rear floor structure in vehicle body rear part
US7900983B2 (en) Underrun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US8522910B2 (en) Vehicle underbody structure
JP5435347B2 (ja) 車体後部の下部構造
US20080018136A1 (en) Under cover
US20170291551A1 (en) Articulating, vertically height adjustable tailgate step for a motor vehicle
JP2006213204A (ja) 車体下部構造
US20100244496A1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JP4781171B2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5348536B2 (ja) 車体後方の下部構造
JP5070010B2 (ja) 車両用のシャシフレーム構造
CN109952268B (zh) 车辆举升装置
JP5186138B2 (ja) 鉄道車両用の防振ゴムストッパ
KR101382750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구조
KR101786665B1 (ko) 자동차용 리어 플로어 보강 구조
US8308215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art
US20100090499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4341014B2 (ja) 自動車用のバンパー構造
KR101349014B1 (ko) 상용차의 리프 스프링
CN110366499A (zh) 车辆轮轴的悬架系统
CN110203177A (zh) 车辆下部构造及顶起方法
WO2015159636A1 (ja) 車両用ルーフリインフォース
EP2437951A1 (en) A support means, a device for attaching a first vehicle member to a second vehicle member and a 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
JP6671604B1 (ja) スロープ及びスロープセット
CN109649102A (zh) 用于后悬架的安装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