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674B1 -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674B1
KR101382674B1 KR1020110115483A KR20110115483A KR101382674B1 KR 101382674 B1 KR101382674 B1 KR 101382674B1 KR 1020110115483 A KR1020110115483 A KR 1020110115483A KR 20110115483 A KR20110115483 A KR 20110115483A KR 101382674 B1 KR101382674 B1 KR 101382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ember
container
deposit
drum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431A (ko
Inventor
김선덕
전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6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흡착탑과 같은 활성탄이 내장되는 용기내에 배치된 마이크로 루버 와 같은 다공부재의 부착물(협착물)을 제거 가능하게 한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는,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내부에 정제용 충진물을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집하는 다공부재에 구비된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에 제공되고 접촉을 통하여 다공부재에 형성된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은,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으로 구동수단을 매개로 수평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제공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력으로 상기 다공부재와 접촉하여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용기에 모터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스크류바아에 각각 체결된 수평 이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수평 이동블록 사이에 제2 모터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extraneous of perforated plate}
본 발명은 가스를 정제하는 흡착탑이나 집진용기 등의 용기 내에 배치된 마이크로 루버와 필터 스크린 등과 같은 다공부재(판)의 부착물(협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는 소결 배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가스)인 SOx 또는 NOx를 제거하는 흡착탑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탄(100)이 충진된 흡착탑(110)에 소결공정에서 발생되는 소결 배가스(G)를 공급하면, 가스에 함유된 유해성분(가스)인 SOx 또는 NOx는 활성탄을 통하여 포집되어 정제된다.
이때, 흡착탑(110)에서 유해성분인 SOx 또는 NOx를 제거하도록 사용된 활성탄은 순환 처리하는데, 예를 들어 450 ℃ 이상 가열시켜 활성탄에 함유된 SOx, NOx를 탈리시키는 재생탑(120)에 사용된 활성탄을 투입한다.
즉, 흡착탑(110)에서 사용되어 배출된 SOx 또는 NOx가 함유된 활성탄은 재생탑(120)으로 버켓 엘리베이터 등을 통하여 운반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재생탑(220)을 거친 재활용 활성탄은 스크린(130)을 거쳐 부착 더스트 등을 제거한 후, 흡착탑(110)으로 버켓 엘리베이터 등을 통하여 재활용 투입된다. 이때, 재생탑(120)에서 재활용 활성탄으로부터 탈리된 SOx 또는 NOx는 황산 제조설비에서 황산으로 제조된다.
한편, 도 2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흡착탑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흡착탑(110)으로 소결 배가스(G)를 도입하는 입구 덕트(112)와 정제된 소결 배가스(G')를 배출하는 배출덕트(114)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활성탄 층을 입,출구 측에서 포위하고 활성탄층을 통과하는 소결 배가스에 함유된 SOx 또는 NOx가 활성탄에 포집되어 제거되도록 하는 입구 및 출구측 다공판들(116)(118)(인네트 후버 및 마이크로 루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구 및 출구측 다공판들은 활성탄들을 포위하여 가스는 통과시키고 활성탄들이 입구 및 배출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이때 출구측 다공판은 마이크로 루버로서 구멍들이 입구측 다공판 보다 소립 활성탄의 배출도 차단토록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소결 배가스에 함유된 유해가스의 SOX와 NOX는 각각 300 ppm/㎥, 500 ppm/㎥가 함유되어 있고, 소결기가 기동되면 소결기에서 배출되는 소결 배가스는 블로어의 배풍에 의해, 흡착탑(110)의 입구덕트(112)를 경유 입구측 다공판(인네트 루버)(116)를 통해 흡착탑(110) 내로 도입되고, 도입된 소결 배가스는 대략 1 m/sec의 유속으로 약화되어 흡착탑 내에 밀집 충진된 활성탄(100)층을 통과하고, 약화된 유속으로 활성탄 층을 통과하는 동안 소결 배가스에 함유된 유해가스인 SOX와 NOX는 활성탄의 화학적 촉매작용 예를 들어, SOX는 H2SO4(황산)으로 반응하여 활성탄에 흡착되고 NOX는 NH4HSO4 (암모니아염)로 반응하여 활성탄에 흡착된다.
다음, 도 1과 같이, SOx와 NOx가 제거된 청정 가스(G)는 흡착탑의 출구측 다공판(118)(마이크로 루버)와 배출 덕트(114)를 통해 연돌로 배출되고, SOx와 NOx를 화학적 촉매작용으로 흡착한 활성탄은 흡착탑 하부에서 배출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탑으로 운반되어 SOx와 NOx가 탈리된 활성탄은 다시 흡착탑(110)으로 장입되어 순환 사용된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흡착탑에 투입된 활성탄은 재생탑으로 운송되어 재생되고 다시 흡착탑으로 운송되어 재활용되는 운송과 흡착탑 및 재생탑 투입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는 활성탄의 마모로 소립 활성탄(100a)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소립 활성탄(100a)은 출구측 다공판(118) 즉, 마이크로 루버에 협착(부착)되어 출구측 다공판을 거쳐 배출되는 청정 소결 배가스(G')의 통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소립화된 소립 활성탄(100a)은 출구측 다공판(118)의 미세 구멍들에 다량 협착됨에 따라, 배출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면, 흡착탑(110)내 압력은 부하를 받아 상승되고, 결국에는 흡착탑에서로 소결 배가스 공급이 어렵게 되면서 소결기(공정) 자체가 가동중단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흡착탑(110)의 다공판들 적어도 마이크로 루버인 출구측 다공판(118)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수단이 제안된 바 없고, 따라서 수작업으로 다공판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흡착탑의 내부 가동 온도가 160℃ 정도이므로, 냉각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유해성분(가스)인 SOx와 NOx의 제거하도록 환기시키는 데에도 시간이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소결기의 가동율 저하 및 흡착탑에서의 대기 오염원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7790호(2008년 11월 06일 공개)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배가스에 함유된 SOx 또는 NOx를 제거하는 흡착탑 내의 활성탄을 격리하는 마이크로 루버의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여, 흡착탑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를 통하여 환경오염도 예방 가능하게 한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내부에 정제용 충진물을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집하는 다공부재에 구비된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에 제공되고 접촉을 통하여 다공부재에 형성된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은,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으로 구동수단을 매개로 수평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제공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력으로 상기 다공부재와 접촉하여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용기에 모터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스크류바아에 각각 체결된 수평 이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수평 이동블록 사이에 제2 모터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정제용 충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집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정제 또는 집진 대상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덕트; 및, 정제 또는 집진 후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부재는, 정제용 충진물을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집하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다공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측 스크류바아는, 용기에 구비된 베어링블록 사이에 체결되고, 일단에는 용기에 장착된 상기 모터로서 구동되는 구동체인이 체결되는 구동 스프로켓들이 구비되어 모터 작동시 스크류바아들은 일체로 구동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물 제거부는 상기 드럼에 소정 패턴으로 제공된 힌지부재에 연계된 타격구를 포함하여 다공부재의 구멍들에 부착된 부착물이나 협착물들을 타격 접촉하여 제거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와 용기에 구비된 배출덕트 측에 제공되고 장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압력센서들을 포함하여 용기 및 배출측 압력차가 설정압력 이상이면 장치 제어부를 매개로 구동수단을 가동 제어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는 소결 배가스를 정제하는 흡착탑으로 제공되고, 상기 정제용 충진물은 소결 배가스에 포함된 SOx 또는 NOx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부재는, 활성탄을 격리하여 청정 소결 배가스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판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정제나 유체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되는 더스트 등의 포집물을 흡착탑이나 집진용기 내에서 격리나 포위하는 다공부재(판)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어, 가스나 유체 정제 효율 또는 집진효율을 적어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더하여, 압력차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다공부재의 막힘을 검지하고, 이를 토대로 신속하게 막힘을 제거하기 때문에, 가동성도 우수한 것이다.
특히, 소결 배가스에 함유된 SOx 또는 NOx를 포집하는 흡착탑 내의 활성탄을 포위하는 마이크로 루버의 협착물을 타격방식으로 원하는 시점에서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착탑 내의 압력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흡착탑 가동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환경오염을 예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흡착탑을 이용한 소결 배가스 처리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흡착탑의 배출측 마이크로 루버의 막힘을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흡착탑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흡착탑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1)가 적용된 실시예로서 흡착탑을 도시하고 있고,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 장치를 조립 및 분해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1)는, 일 실시예로서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물이 수용되는 용기(10)의 내부에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물을 격리토록 제공되는 다공부재(30) 및,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에 제공되고 접촉을 통하여 다공부재에 형성된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용기(10)의 내부에 가스 등을 통과시키어 정제하는 경우의 정제용 충진물을 포위하여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위 격리하여 포집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부재(30) 예컨대, 다공판을 용기 내부에 제공된 부착물 제거수단(50)을 매개로 용기 내부 압력과 배출측 압력 차이를 고려하여 가동시키어, 다공부재(30)의 구멍(32)에 형성된 부착물이나 협착물(이하, '부착물'로 일괄하여 설명함)를 신속하게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 설명에서는, 용기(10)를 도 1,2에서 설명한 소결 배가스(G)를 정제하는 흡착탑으로 설명하고, 정제용 충진물(2)은 소결 배가스(G)에 포함된 SOx 또는 NOx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설명하고, 이와 같은 활성탄(2)은 대립 활성탄(2a)과 소립 활성탄(2b)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공부재(30)의 다공판은 활성탄(2)을 격리하여 활성탄을 통과한 청정 소결 배가스(G')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루버로 설명하고, 이와 같은 마이크로 루버(30)에는 부착물에 의하여 막히는 구멍(30a)들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는 반드시 흡착탑(10)에 그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집진을 위한 집진용기나 기타 가스나 유체 정제를 위한 다른 용도의 탑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공부재도 흡착탑의 마이크로 루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집진용기인 경우 필터막(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착탑과 활성탄은 도 1,2에서 설명한바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간략한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탑내 마이크로 루버의 부착물 제거장치(1)에서 상기 흡착탑(10)은, 소결 배가스 정제용의 활성탄(2)이 투입 및 배출되는 투입구(12)와 불출구(14)를 포함하고, 흡착탑(10)의 측벽측으로 양측에는 정제 대상의 가스 즉, 소결 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6)와, 정제된 소결 배가스(G')가 배출되는 배출덕트(18)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유체의 정제나 집진시에는, 정제된 유체나, 집진후 공기가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흡착탑(10)의 내부로, 유입덕트와 배출덕트 측에는 각각 활성탄(2)이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형성하고 활성탄들이 유입 및 배출덕트에 쌓이지 않도록 하는 절개되거나 구멍(32a)(30a)들이 구비된 인네트 루버(32)와 마이크로 루버(30)(다공부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루버들은 다공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에서 부착물 제거수단(50)은 상기 배출측의 마이크로 루버(30)와 배출덕트(18) 사이의 공간(도 3의 A)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흡착탑(10)에 공급되는 소결 배가스(G)는 입구 덕트(16)와 인네트 루버(32)의 구멍(32a)들을 통하여 충진된 활성탄(2)을 통과하고, 활성탄에서 SOx,NOx 등이 흡착 제거된 청정 소결 배가스(G')는 배출덕트(18)를 통하여 배출된다.
물론, 다공판 형태인 마이크로 루버(30)의 구멍(30a)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립 활성탄(2b)의 배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 장치가 집진용기에 사용되는 경우, 다공부재는 필터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집진물이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소립 활성탄(2b)에 의한 부착물은 사실상 배출측의 마이크로 루버의 구멍을 막게 되므로, 본 발명 장치는 적어도 용기내에서 배출덕트 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인네트 루버(32)와 마이크로 루버(30)는 상,하측에 흡착탑(10)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부(32b)(30b)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실질적으로 마이크로 루버에 형성된 부착물을 제거 가능하게 하는 부착물 제거수단(50)은, 상기 마이크로 루버(30)의 일측으로 구동수단(70)을 매개로 수평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제공된 드럼(52)과, 상기 드럼(52)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력으로 상기 마이크로 루버(30)와 접촉하여 부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부(5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50)의 드럼(52)이 회전 작동되면서 상기 드럼에 제공된 부착물 제거부(54)는 마이크로 루버(30)를 표면을 배출덕트(18)측에서 접촉(타격)하여 부착물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거된 부착물은 흡착탑의 하부 배출라인을 통하여 외부 처리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드럼(52)은 구동수단을 매개로 회전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마이크로 루버(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고, 드럼의 길이는 적어도 마이크로 루버(30)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장되고, 상기 드럼의 수평 이동폭도 마이크로 루버의 크기에 대응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드럼(52)과 부착물 제거부(54)의 가동은, 흡착탑(10)의 내부 압력과 배출측 압력의 차이를 미리 설정된 압력과 비교하여 더 큰 경우 자동적으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탑 입구측에 제공된 제1 압력센서(P1)에서 검출된 흡착탑 내부 압력과 배출덕트(18)측에 제공된 제2 압력센서(P2)에서 검출된 압력값이 장치제어부(C)에서 비교되어, 그 압력차이가 미리 설정된 압력 보다 높으면, 적어도 배출측의 마이크로 루버(30)(즉, 다공판)의 구멍(30a)들이 부착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흡착탑의 입구덕트(16)에도 압력센서(P3)를 설치하여 장치 제어부(C)와 연계시키어 흡착탑 입구, 내부 및 배출 측에 각각 압력을 측정하여더 정밀하게 마이크로 루버가 부탁물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파악할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계된 장치 제어부(C)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드럼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70)의 구동모터(72) 및, 드럼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동모터(78)의 가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는 적어도 흡착탑 내부 압력을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 장치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고, 적정한 시점에서 장치를 가동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구동수단(70)은, 상기 흡착탑(10)의 외측에 수평 설치된 모터(7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스크류바아(74)에 각각 체결되는 수평 이동블록(76)을 포함한다.
동시에, 상기 드럼(52)의 축(미부호)은 상기 수평 이동블록(76) 사이에 수직하게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상부의 수평 이동블록(76)에 수직 설치된 제2 모터(78)와 커플링 연결된다.
따라서, 흡착탑 외곽에 제공된 제1의 구동모터(72) 및 흡착탑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모터(78)의 가동시, 수평 이동블록(76)은 마이크로 루버를 따라 이동하여, 일체로 드럼(5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드럼(5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상,하측에 제공된 스크류바아(74)가 는 용기(10)에 구비된 상하 및 좌우측의 베어링블록(80)들사이에 체결되고, 스크류 바아들의 일단에는 흡착탑에 장착된 상기 모터(72)로서 구동되는 구동체인(82)이 체결되는 구동 스프로켓(84)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모터 가동시 모터가 직접 연계되는 하측 스크류바아는 물론, 모터가 직접 연계되지 않은 상측 스크류바아는 구동체인이 구동력을 전달하여 스크류바아(76)들은 일체로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바아에 체결된 수평 이동블록(76)이 스크류바아를 따라서 수평 이동 즉, 다공부재인 마이크로 루버(3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리고, 수평 이동블록(76)중 상측의 블록에 수직하게 설치된 제2의 구동모터(78)가 작동되면, 연계된 드럼(52)은 회전 구동되고, 상기 수평 이동블록에는 당연히 드럼의 축이 조립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드럼 축은 제2 구동모터와 커플링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적어도 상측의 수평 이동블록(76)은 모터가 장착되는 브라켓트가 고정되고, 이를 위하여 크기를 미리 조정하는 것은 필요하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 이동블록들은 용기를 가로질러 배치된 가이드봉들이 통과하는 구멍들을 포함하여 그 수평 이동이 일정하게 유지 관리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들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C)와 연계되어 그 가동이 제어되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착탄 내부 압력과 배출측 압력의 차가 설정된 압력 보다 높으면, 마이크로 루버의 구멍들이 막혀서 흡착찹에 내부 부하가 심하다고 판단하고, 장치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제어 작동되는 모터(72)(78)들을 가동시킨다.
다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50)의 드럼에 소정 패턴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부착물을 제거 가능하게 하는 부착물 제거부(54)는, 구체적으로는 드럼(52)에 소정 패턴으로 제공된 힌지부재(56)에 연계된 구형의 타격구(58)를 포함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시 상기 부착물 제거부(54)의 타격구(58)는 힌지부재(56)가 드럼 회진시 펴지면서 마이크로 루버(30)를 접촉하거나 타격시키고, 이때 부착물은 제거된다.
그런데, 도 6에서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56)는 분할된 바아들이 힌지축(미부호)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일단은 드럼(52)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구형상의 상기 타격구(56)들이 구비되는 것이고, 가운데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와 같은 타격구는 나사 방식으로 바아에 조립될 수 있다.
즉, 타격구는 드럼의 회전에 따라 펴지는 힌지부재(56)에 의하여 드럼 회전력을 받아서 마이크로 루버(30)에 접촉(타격)되고, 이때 부착물이나 협착물들은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한편,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차에서 성기 스크류바아(74)를 따라 이동하는 수평 이동블록(76)의 이동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그 양측에 각각 센서수단(80)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나 근접센서를 배치하여 수평 이동블록의 근접시 또는 텃치시 작동되도록 하면, 수평 이동블록의 수평 이동폭이 제어되고, 이는 수평 이동블록과 용기 즉, 흡착탑의 파손을 예방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장치(1)는, 본 실시예 설명과 같이 유해가스를 정제하는 흡착탑 또는, 기타 유체를 정제하는 용기, 더스트 등을 집진하는 집진력이 인가되는 집진용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용기 내부에서 정재용 충진물이나, 기타 집진물이 외부 배출되지 않게 하는 마이크로 루버 또는 필터스크린과 같은 다공부재에 부착되거나 협착된 부착물의 제거를 신속하게 구현하고, 실제 온라인 상태에서도 가능하여, 최적의 가스나 유체 정제 또는, 집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10.... 용기 12.... 투입구
14.... 불출구 16.... 유입덕트
18.... 배출덕트 30.... 다공부재
32.... 구멍 50.... 부착물 제거수단
52.... 드럼 54.... 부착물 제거부
56.... 힌지부재 58.... 타격구
70.... 구동수단 72,78.... 모터
74.... 스크류바아 76.... 수평 이동블록
82.... 구동체인 84.... 구동 스프로켓
P.... 압력센서 S.... 센서

Claims (9)

  1. 정제용 충진물 또는 집진물이 수용되는 용기(10)의 내부에 정제용 충진물을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집하는 다공부재(30)에 구비된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부재의 일측에 제공되고 접촉을 통하여 다공부재에 형성된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50)은, 상기 다공부재(30)의 일측으로 구동수단(70)을 매개로 수평 이동 및 회전 가능토록 제공된 드럼(52)과, 상기 드럼(52)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력으로 상기 다공부재와 접촉하여 부착물이나 협착물을 제거토록 구성된 부착물 제거부(54)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70)은, 상기 용기에 모터(7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측 스크류바아(74)에 각각 체결된 수평 이동블록(76)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52)은 상기 수평 이동블록(76) 사이에 제2 모터(78)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정제용 충진물(2)이 투입되는 투입구(12)와 집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4)와,
    정제 또는 집진 대상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6) 및,
    정제 또는 집진 후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덕트(18),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부재(30)는, 정제용 충진물(2)을 격리하거나 집진물을 포집하는 구멍(30a)들을 포함하는 다공판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스크류바아(74)는, 용기에 구비된 베어링블록(80) 사이에 체결되고, 일단에는 용기에 장착된 상기 모터(72)로서 구동되는 구동체인(82)이 체결되는 구동 스프로켓(84)들이 구비되어 모터 작동시 스크류바아들은 일체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제거부(54)는 상기 드럼(52)에 소정 패턴으로 제공된 힌지부재(56)에 연계된 타격구(58)를 포함하여 다공부재의 부착물이나 협착물들을 제거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와 용기에 구비된 배출덕트(18)측에 각각 제공되고 장치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압력센서들을 포함하여 용기 및 배출측 압력차가 설정압력 이상이면 장치 제어부(C)를 매개로 상기 부착물 제거수단(50)를 작동토록 연계된 구동수단(70)을 가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소결 배가스를 정제하는 흡착탑으로 제공되고, 상기 정제용 충진물(2)은 소결 배가스(G)에 포함된 SOx 또는 NOx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부재(30)는, 활성탄을 격리하여 청정 소결 배가스(G)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다공판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20110115483A 2011-11-08 2011-11-08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138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83A KR101382674B1 (ko) 2011-11-08 2011-11-08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483A KR101382674B1 (ko) 2011-11-08 2011-11-08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31A KR20130050431A (ko) 2013-05-16
KR101382674B1 true KR101382674B1 (ko) 2014-04-17

Family

ID=4866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483A KR101382674B1 (ko) 2011-11-08 2011-11-08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4298B (zh) * 2023-07-20 2024-03-08 桐乡市鑫都皮草服饰有限公司 一种皮革浸灰废液除菌分离循环利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30A (ja) * 2000-03-15 2001-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家電機器
KR20030027406A (ko) * 2001-09-28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후처리시스템
KR20030028025A (ko) * 2001-09-27 2003-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펠릿을 이용한 매연여과장치
KR20080097790A (ko) * 2007-05-03 200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필터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30A (ja) * 2000-03-15 2001-09-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浄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家電機器
KR20030028025A (ko) * 2001-09-27 2003-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펠릿을 이용한 매연여과장치
KR20030027406A (ko) * 2001-09-28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후처리시스템
KR20080097790A (ko) * 2007-05-03 2008-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환기시스템의 필터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431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893B1 (ko) 지하철 객실용 공기정화장치
CN102350147B (zh) 一种一体化的吸附除尘装置
CN102091484B (zh) 一体化的除尘与气态污染物脱除装置
CN104645818B (zh) 一种医疗垃圾焚烧废气的净化方法
KR101184084B1 (ko) 터널 등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
CN106166426A (zh) 含有颗粒物、难溶性物质和气态污染物的废气的处理装置
KR20090087652A (ko) 다단 집진층을 갖는 습식 공기정화장치
CN208711287U (zh) 一种除尘滤网的净化装置
US83375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luted gases
KR101382674B1 (ko) 용기내 다공부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1259313B1 (ko) 집진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활성탄 회수장치
CN210814378U (zh) 一种去尘等离子有机废气处理装置
JP4764757B2 (ja) 集塵システム
JP2005314972A (ja) トンネル坑内空気浄化装置及び坑内空気換気方法
JP3077791U (ja) 空気浄化装置
KR200407411Y1 (ko) 흡착탑의 활성탄 회수장치
JP2004174360A (ja)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吸着剤充填層装置
KR101347880B1 (ko) 배출가스 중 유해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챔버를 구비하는 유해물질 처리 장치
KR20170060667A (ko) 스택 일체형 집진설비
JP6114438B1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518591B1 (ko)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소결가스 처리용 흡착장치
KR102119826B1 (ko) 우드 펠렛 제조용 집진장치
KR100748237B1 (ko) 흡착제 교체가 용이한 필터
KR100632245B1 (ko) 댐퍼부를 구비한 반건식 반응장치
CN112546842A (zh) 一种用于工业可挥发性有机污染物有害组分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