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433B1 -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433B1
KR101382433B1 KR1020070124583A KR20070124583A KR101382433B1 KR 101382433 B1 KR101382433 B1 KR 101382433B1 KR 1020070124583 A KR1020070124583 A KR 1020070124583A KR 20070124583 A KR20070124583 A KR 20070124583A KR 101382433 B1 KR101382433 B1 KR 10138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function module
common bus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7829A (ko
Inventor
손중수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433B1/ko
Priority to US12/042,887 priority patent/US7757008B2/en
Publication of KR2009005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첩, 지갑 또는 이동 중 컴퓨팅 기능과 같은 다양한 개인 서비스 컨텐츠를 기능 모듈화하여 공통 버스 기반의 슬롯에 복수개의 기능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초박형의 기능 모듈 및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초박형의 주처리 모듈에 적용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통 버스부, 상기 공통 버스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능 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기능 모듈과 상기 공통 버스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기능 모듈, PLD, 공통 버스

Description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OPERATING BY MODULE BASED ARCHITECTURE FOR HANDS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 사용자들은, 모바일 환경에서 업무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휴대폰을 항시 휴대하고, 각종 일정 관리를 위하여 다이어리, PDA, 컴퓨터 등을 사용하며, 회의 참석 시 업무 수첩, 노트북을 추가로 지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갑에는 복수개의 신용카드를 항상 지참하고 다니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기를 지참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기기의 휴대도 불편할 뿐 아니라, 각 기기의 사용법을 모두 숙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현재 통신 및 컴퓨팅 디바이스 간의 경계 허물기 현상은 개인 휴대용 단말 전반에 걸친 컨버전스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휴대 단말 요소 기술간 융합을 통해 하나의 단말에 다양한 콘텐츠를 넣은 기술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이러한 All in one 방식의 휴대 단말의 고도화는 단말 제조자 관점에서의 제품 모델을 일방적으로 만들어 냄으로써 차별화된 다양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에 직면해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은 디지털 기기의 휴대성 향상을 위한 단순화 및 슬림화를 원하고 있다. 이에 반해 소프트웨어나 디지털 기기가 더 많은 기능을 담을수록 일반 사용자들은 자기가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까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개인별 취향이나 목적에 불필요한 컨텐츠가 내장된 휴대 단말을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잠재적 추가 비용 부담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하나의 기기에 융합할 수 있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초박형의 기능 모듈 및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초박형의 주처리 모듈에 적용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통 버스부, 상기 공통 버스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능 모듈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기능 모듈과 상기 공통 버스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탈부착 가능한 초박형의 기능 모듈 및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초박형의 주처리 모듈에 적용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기능 모듈과의 유선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 기 기능 모듈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중 주처리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는 공통 버스부(110), 제1 인터페이스부(120), 제1 제어부(130), 제1 터치스크린부(140) 및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공통 버스부(110)는, 기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기능 모듈이 장착된 경우에, 기능 모듈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부(120)로 전달하며, 제1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능 모듈로 전달하는 역 할을 한다. 여기서, 공통 버스부(110)는, 동시에 기능 모듈을 복수 개 장착할 수 있는 폴더형 로타리 타입의 연결 데크(Connectivity deck)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공통 버스부(110)는, 기능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고, 기능 모듈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장착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장착 신호를 제1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120)는,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기능 모듈의 데이터를 제1 제어부(130)로 전달하며, 제1 제어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1 제어부(130)의 데이터를 공통 버스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 제어부(130)는,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장착 신호를 입력 받고, 장착 신호에 따라 기능 모듈과 공통 버스부(11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며, 기능 모듈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어 연결된 경우에는 제1 인터페이스부(120)를 활성화하고, 기능 모듈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활성화하며, 제1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30)는, 제1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고,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의 선택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활성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어부(130)는,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의 선택 등에 따라 제1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터치스크린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1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터치스크린부(140)는,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으며, 입력된 유무선 모드 선택신호를 제1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스크린부(140)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필기체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PLD(Paper Lik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무선 송수신부(150)는, 기능 모듈이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기능 모듈로부터 무선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능 모듈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1 제어부(130)로 출력하며, 제1 제어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제1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방식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중 기능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는 제1 버스 장착부(210), 제2 인터페이스부(220), 제2 제어부(230), 제2 터치스크린부(240) 및 제2 무선 송수신부(250)를 포함한다.
제1 버스 장착부(210)는,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 고,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된 경우에,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제2 인터페이스부(220)로 전달하며, 제2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공통 버스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버스 장착부(210)는, 폴더형 로타리 타입의 연결 데크(Connectivity deck)에 장착될 수 있는 핀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버스 장착부(210)는,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고,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장착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장착 신호를 제2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버스 장착부(210)로부터 공통 버스부(11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공통 버스부(110)로부터의 데이터를 제2 제어부(230)로 전달하며, 제2 제어부(2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2 제어부(230)의 데이터를 제1 버스 장착부(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2 제어부(230)는, 제1 버스 장착부(210)로부터 장착 신호를 입력 받고, 장착 신호에 따라 제1 버스 장착부(210)와 공통 버스부(11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며, 제1 버스 장착부(210)가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어 연결된 경우에는 제2 인터페이스부(220)를 활성화하고, 제1 버스 장착부(210)가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무선 송수신부(250)를 활성화하며, 제2 터치스크린부(24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30)는, 제2 터치스크린부(240)로부터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고,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의 선택에 따라 제2 인터페이스부(220) 또는 제2 무선 송수신부(250)를 활성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의 선택 등에 따라 제2 인터페이스부(220) 및 제2 무선 송수신부(250)를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터치스크린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2 제어부(23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터치스크린부(240)는,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으며, 입력된 유무선 모드 선택신호를 제2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터치스크린부(240)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필기체 인식 기능을 구비하는 PLD(Paper Like Display)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무선 송수신부(250)는, 제1 버스 장착부(210)가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제1 무선 송수신부(150)로부터 무선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무선 송수신부(1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2 제어부(230)로 출력하며, 제2 제어부(2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제2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방식을 통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무선 송수신부(250)는, 폴더형 로타리 타입의 연결 데크(Connectivity deck)에 장착될 수 있는 핀 구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중 전원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는 제2 버스 장착부(310) 및 전원부(320)를 포함한다.
제2 버스 장착부(310)는,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고,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된 경우에, 공통 버스부(110)를 통하여 전원부(320)의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버스 장착부(310)는, 폴더형 로타리 타입의 연결 데크(Connectivity deck)에 장착될 수 있는 핀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원부(320)는,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제2 버스 장착부(310)를 통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원부(320)는, 플렉시블 배터리 또는 평판 리튬 이온(Flat Li-ion)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 주처리 모듈(410)의 제1 터치스크린부(14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통화 모드를 선택한다. 통화 모드가 선택되면, 주처리 모듈(410)의 제1 터치스크린부(140)에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전화 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부분과 영상 통화를 위한 영상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제1 터치스크린부(140)의 버튼 부분을 접촉함으로써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전화 통화를 위하여, 주처리 모듈(410)의 제1 무선 송수신부(150)는 셀룰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의 진행을 원하는 경우에, 전자 펜(440)으로 메모가 가능한 기능 모듈(420)을 주처리 모듈(410)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시 사용되는 데크 구조는 플러그-앤-플레이(Plug-and-play)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기능 모듈(420)이 주처리 모듈(410)에 장착되면, 공통 버스부(110)는, 기능 모듈(420)의 장착을 감지하고, 기능 모듈(420)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장착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장착 신호를 제1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이후에, 제1 제어부(130)는,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장착 신호를 입력 받고, 장착 신호를 통하여 기능 모듈(420)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어 연결되었음을 감지하며, 기능 모듈(420)과의 유선 통신을 위하여 제1 인터페이스부(120)를 활성화한다. 이 때, 기능 모듈(420)의 제2 인터페이스부(220)도 유사한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이후에, 기능 모듈(420)의 제2 터치스크린부(240)에 회의 사항을 메모하면, 그 내용이 제2 제어부(230)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제2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2 인터페이스부(220) 및 제1 버스 장착부(210)를 통하여 주처리 모듈(41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기능 모듈(420) 내 저장부(미도시) 또는 주처리 모듈(410) 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주처리 모듈(410)의 제1 터치스크린부(140) 및 기능 모듈(420)의 제2 터치스크린부(240)가 연동되어 하나의 넓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 모듈(420)을 분리하여 회의하는 상대방에게 사용하게 하는 경우에는, 공통 버스부(110)는, 기능 모듈(420)의 분리를 감지하고,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활성화한다. 이 때, 기능 모듈(420)의 제2 무선 송수신부(250)도 유사한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이후에, 상대방이 기능 모듈(420)의 제2 터치스크린부(240)에 회의 사항을 메모하면, 그 내용이 제2 제어부(230)에 입력되어 처리된다. 제2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제2 무선 송수신부(250)를 통하여 주처리 모듈(410)의 제1 무선 송수신부(150)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기능 모듈(420) 내 저장부(미도시) 또는 주처리 모듈(410) 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기능 모듈(420)은, 지갑 기능(금융 결재), 수첩 기능(일정, 메모, 메신저, 정보 검색) 및 이동 중 컴퓨팅 기능(문서 작업, 웹 브라우징)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터치스크린부(240)는, 하단에 화면 저장 및 재생 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원 공급용 기능 모듈(430)은, 주처리 모듈(410)의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어 제2 버스 장착부(310)를 통하여 기능 모듈(420) 및 주처리 모듈(4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먼저, 기능 모듈(420)이 주처리 모듈(410)에 장착되기 전에는, 주처리 모듈(410) 단독의 구동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장착할 기능 모듈(420)을 선택할 수 있다.
주처리 모듈(410)의 제1 제어부(130)는, 공통 버스부(110)로부터 장착 신호를 입력 받고, 장착 신호에 따라 기능 모듈(420)과 공통 버스부(11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510).
만약, 기능 모듈(420)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어 연결된 경우에는 제1 인터페이스부(120)를 활성화하여 유선 모드를 설정하고(S520), 기능 모듈(420)이 공통 버스부(1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활성화하여 무선 모드를 설정한다(S530).
그 후, 주처리 모듈(410)의 제1 제어부(130)는, 공통 버스부(110) 또는 제1 무선 송수신부(150)를 통하여 기능 모듈(420)로부터 터치스크린 방식에 따른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한다(S540).
여기서, 주처리 모듈(410)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모듈(420)에 정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 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중 기능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중 전원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Claims (14)

  1. 모듈 기반 구동 장치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기능 모듈;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통 버스부;
    상기 공통 버스부를 경유하여 상기 기능 모듈과 연결되어 유선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능 모듈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기능 모듈의 상기 공통 버스부에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공통 버스부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버스 장착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1 버스 장착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1 버스 장착부와 상기 공통 버스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스크린부는,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스크린부는,
    화면을 표시하는 종이형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스크린부는,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유무선 모드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유무선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스크린부는,
    화면을 표시하는 종이형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버스부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버스 장착부; 및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버스 장착부를 통하여 생성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플렉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버스부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버스 장착부; 및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버스 장착부를 통하여 생성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평판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버스부는
    복수의 상기 기능 모듈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폴더형 로터리 구조를 가지는 연결 데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12. 탈부착 가능한 기능 모듈 및 상기 기능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주처리 모듈에 적용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기능 모듈과의 유선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모듈로부터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처리 모듈은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통 버스부;
    상기 공통 버스부를 경유하여 상기 기능 모듈과 연결되어 유선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기능 모듈과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공통 버스부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버스 장착부;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와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2 무선 송수신부;
    상기 제1 버스 장착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제1 버스 장착부와 상기 공통 버스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 받아 처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분리됨에 따라 상기 기능 모듈과의 무선 통신 모드를 설정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24583A 2007-12-03 2007-12-03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38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83A KR101382433B1 (ko) 2007-12-03 2007-12-03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US12/042,887 US7757008B2 (en) 2007-12-03 2008-03-05 Module-based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583A KR101382433B1 (ko) 2007-12-03 2007-12-03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829A KR20090057829A (ko) 2009-06-08
KR101382433B1 true KR101382433B1 (ko) 2014-04-08

Family

ID=4067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583A KR101382433B1 (ko) 2007-12-03 2007-12-03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57008B2 (ko)
KR (1) KR101382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6402A1 (en) * 2017-08-04 2022-11-17 Well Fargo Bank, N.A. Electronic document viewer to mobile wallet communication
KR102516019B1 (ko) * 2017-09-11 2023-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2634A1 (en) * 2005-11-08 2007-07-12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2440B1 (en) 1998-03-27 2002-03-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y interfaceable portable computing device
JP2001312250A (ja) 2000-02-25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ペーパおよび電子ペーパファイル
EP1487032A4 (en) * 2002-02-13 2008-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JP4131639B2 (ja) 2002-05-17 2008-08-13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携帯可能な媒体に搭載可能な表示装置および情報機器
US7245483B2 (en) 2003-07-18 2007-07-17 Satori Labs, Inc. Integrat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2005221723A (ja) 2004-02-05 2005-08-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ペーパ表示装置
US20060015368A1 (en) * 2004-07-13 2006-01-19 Sanford Hockey Portable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 medical record compilation and retrieval
US20060068760A1 (en) * 2004-08-31 2006-03-30 Hameed Muhammad F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dual mode wired/wireless devices
JP2006172230A (ja) 2004-12-16 2006-06-29 Ricoh Co Ltd 手書入力機能を有する手帳装置、及び電子手帳システム
US20070256029A1 (en) * 2006-05-01 2007-11-01 Rpo Pty L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A User With A Touch-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2634A1 (en) * 2005-11-08 2007-07-12 Kabushiki Kaisha Toshib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829A (ko) 2009-06-08
US7757008B2 (en) 2010-07-13
US20090144459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08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909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9100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39523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257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727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38420B1 (ko) 식별모듈 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20100082821A1 (en) Device-to-device workflows
US841620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21299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301297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725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850343A (zh) 启动单手操作模式的方法和装置
CN104966048A (zh) 一种指纹识别方法及系统
KR20120037638A (ko)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CN107395876A (zh) 一种屏幕显示内容自适应调整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KR101382433B1 (ko) 휴대기기를 위한 모듈 기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40054586A (ko) 이동 단말기 세트
CN105068724A (zh) 一种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KR2014004045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277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050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355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97364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9932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