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370B1 -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 Google Patents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370B1
KR101382370B1 KR1020120080899A KR20120080899A KR101382370B1 KR 101382370 B1 KR101382370 B1 KR 101382370B1 KR 1020120080899 A KR1020120080899 A KR 1020120080899A KR 20120080899 A KR20120080899 A KR 20120080899A KR 101382370 B1 KR101382370 B1 KR 101382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oxysilane
stone
poss
pretreatmen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532A (ko
Inventor
원종옥
최지영
박성진
강용수
이명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3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88Organosilicium-organic copolymers, e.g. olefins with terminal sila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풍화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하여 박리ㆍ박락된 석조문화재를 보수하기 위한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면에 도포되고, 에폭시기를 갖는 기능성 충전제와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주성분인 알콕시실란에 반응성기인 에폭시기를 도입한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고, 강화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재에 반응성기를 갖고 있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로 처리한 후,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석재와의 기능성 강화제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부스러지기 쉬운 특성 및 기능성 강화제와 석재와의 상호작용이 미약하여 발생하는 석재의 2차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반응성이 있는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를 이용함으로써,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와 석재와의 상호작용이 낮기 때문에 강화부분이 소실될 경우 풍화된 석조 일부와 같이 소실되어서 석조문화재가 크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Alkoxysilane-based functional consolidants including pre-treatment for stone cultural heritage}
본 발명은 자연 풍화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하여 박리ㆍ박락된 석조문화재를 보수하기 위한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석재와 상호 긴밀한 결합 작용이 가능한 아민기와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고 석재를 구성하는 실리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에 도포되어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반응기와 반응되는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분야이다.
우리나라의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석조 문화재는 약 1470점이고, 특히 석탑은 모든 국보 중 약 53.8%, 보물 중 42.7%, 중요 문화재 중 38.9%로써 우리나라 문화재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화강암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 그 규모가 매우 크고, 옥외에 위치하고 있어 비바람-동결융해 등에 의한 물리적인 요인, 이끼-미생물 등과 같은 생물적인 요인, 산업발전과 더불어 산성비-환경오염 등의 화학적인 요인 등에 의해서 석조문화재 훼손이 심각할 정도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일한 석조문화재일지라도 적용하는 강화제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동일한 강화제도 석조문화재의 암석 종류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석조 문화재의 강화제는 암석의 종류와 그 보존 상태에 따라 적절한 처리제 및 처리기술을 선정해야 하고,강화제를 선정할 때에는 처리의 가역성뿐만 아니라 수지의 침투성과 처리제를 처리하는 작업 용이성 및 안정성 또한 중요한 인자이다. 게다가 강도는 물론이고 마무리 색조에 두드러진 변화가 없을 것, 수지의 내후성 등도 충분히 고려되어야한다.
아울러 유럽에서는 석회암(limestone), 대리암(marble), 방해석(calcite)를 함유하고 있는 탄소계 석조문화재가 대부분인 반면 우리나라의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훼손된 석조문화재의 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석재 보존용 강화제는 석조의 종류 및 풍화 정도에 따라 강화제의 소재, 촉매 등이 선정되어야하고, 동일한 강화제도 석조문화재의 암석 종류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데 유럽에서 주로 연구되어 개발된 유럽의 석조문화재에 대한 강화제 및 처리 기술을 검증 없이 우리나라에 도입한 결과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석조문화재를 더 훼손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강화제가 풍화된 석조문화재 내부까지 깊숙이 침투되어 강화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강화된 부분이 소실되고, 이때 강화제만 소실되는 것이 아니라 풍화된 석조 일부와 같이 소실되어서 문화재를 크게 손상시키기는 2차 손상이 일어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석조문화재가 자연 풍화 및 인위적 요인으로 절단되었거나 풍화되어서 박리, 박락된 부분을 강화제를 이용하여 보수하는 방법은 석조 문화재 보존처리 건수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풍화된 석재의 약화된 석재 조직의 응집력을 회복시켜 석질을 경화하고 물의 침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석재의 풍화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제로 다양한 종류의 단량체와 고분자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석재의 기질자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무기계 소재, 알콕시실란계, 유기계 고분자와 왁스 등이 사용되고 있고, 에폭시계,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의 고분자가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석재 강화제는 강화제와 석재 사이의 물리적 특성을 맞추고 석재 표면과의 점착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석조 문화재 처리제를 개발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석재 강화제나 표면 처리제들은 주로 낮은 점도의 단량체가 사용되어 함침시켜 표면 기공을 통해 석재 내부까지 침투하게 한 후 차후에 고분자가 되는 처리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1926년 석재 강화제로 A.P. Laurie가 특허를 취득한 알콕시실란(alkoxysilane) (A. P. Laurie, Preservation of Stone, U.S. Patent 1,607,726, 1926)을 들 수 있다. Cogan과 Setterstrom (H.D. Cogan, and C.A. Setterstrom, Ethyl Silicates, Industrial Engineering Chemistry, 39, 1364-1368, 1947; H.D. Cogan and C.A. Setterstrom, Chemical Engoneering News, 24, 2499-2501, 1946)들의 연구를 거쳐 1960년 독일에서 알콕시실란이 석재 강화에 사용되기 시작되었고, 1970년대부터는 석재에 전 세계적으로 석재 강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석재를 구성하고 있는 실리카와 같은 특성을 주면서 망상(network) 구조를 형성하여 석재를 강화시키기 위해 1970년경부터 알콕시실란에 기초한 석재 강화제가 사용되었고, 이를 기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석재 강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점도와 반응성을 고려해서 상온에서 석재에 도입할 수 있는 알콕시실란은 methyltrimethoxysilane (MTMOS), ethyltrimethoxysilane (ETMOS), tetramethoxysilane (TMOS), methyltrimethoxysolane (MTMOS), tetraethoxysilane (TEOS), methyl tetraethoxysilane (MTEOS), ethyl tetraethoxysilane (ETEOS)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TEOS, MTEOS, MTMOS등이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알콕시실란이 화학결합을 통해 3차원 망상 구조를 갖는 젤(gel)을 형성하는 반응은 가수분해(hydrolysis)와 축합(condensation) 반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반응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가수분해반응: Si-X + H2O ⇒ Si-OH + HX
축합반응: Si-OH + HO-Si ⇒ Si-O-Si + H2O
고분자 중합을 통해 알콕시 반응기가 반응이 일어나면서 고분자 중합이 일어나서, 알킬폴리실록산(alkylpolysiloxane)이나 실리카(silica)를 형성하게 된다. 알킬폴리실록산은 다른 종류의 알콕시실란으로 만들 수 있다.
가수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촉매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용매를 사용하여 전체 고형화 양을 줄여 사용하기도 한다. 촉매 선정이나 용매 사용을 통해 반응시간과 침투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독일산 Wacker OH는 ethyl silicate 또는 tetraethoxysilane에 기초한 강화제이다. 이는 25%정도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데, 용매가 없는 Conservare OH100과 H100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경화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촉매로는 주로 dibuthyltindilaurate가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 독일에서 Wacker OH와 H와 비슷한 Keim's Silex OH와 H가 개발되었는데 이 제품 또한 TEOS와 MTEOS를 기재로 하고 있다.
또한 T. Goldscmidt사의 제품인 Tegovakon V와 Tegovakon T는 tin계 촉매와 용매를 포함하고 있고, OH와 H 보다 fracture가 덜 일어나는 특성을 갖고 있다. Remmer사는 Funcosil OH, Funcosil 100, Funcosil 300, 그리고 Funcosil 510을, Interacryl사는 Motema20, 28, 29, 30을, Rhone-Poulenc (현 Rhodia)는 RC70, RC80, RC90, 그리고 일본 COLCOAT사의 SS-101등이 있다.
알콕시실란은 점도가 낮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빛이나 특히 UV에 안정하여 일단 처리되고 나면 변색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알콕시실란의 솔-젤 반응을 이용한 석재 강화제의 실제 강화 효과에 대해서는 석재의 종류, 점도, 반응에 사용한 촉매, 시간 등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비록 알콕시실란의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석재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소재, 촉매 선정 및 효과, 그리고 얻어지는 결과 등이 크게 다른 게 현실이다. 더욱 우리나라의 석재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화강암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 않고, 국외의 연구처리 결과를 기초로 강화제를 선정해서 사용하여 왔다.
TEOS에 기초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로부터 얻어진 젤은 매우 치밀하고, 건조시 부서지기 쉽고, 궁극적으로 크랙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젤이 건조되면서 구멍에서 발생하는 모세관힘에 의해 젤이 깨지게 되고, 궁극적으로 젤이 깨지면서 2차 훼손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기공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건조막의 크랙조각은 그 화학적 구조가 조밀하여 물의 투과성이 낮기 때문에 석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여 물의 응결로 인한 2차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석재에 강화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석재가 갖고 있는 광물 조성, 기공, 입자 크기 및 강화제를 처리했을 때의 최종 형상 효과들이 각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강화제 및 처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강화제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강화제는 석조문화재의 내부까지 깊숙이 침투되지 못하고 강화되어, 석조문화재의 풍화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한 박리ㆍ박락 시에, 강화제 처리부분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강화제 처리부분뿐만 아니라 석조문화재의 일부도 함께 손상되어 석조문화재의 2차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면에 도포되고, 에폭시기를 갖는 기능성 충전제와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는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제조하고, 강화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재에 반응성기를 갖고 있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로 처리한 후,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석재와의 기능성 강화제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부스러지기 쉬운 특성 및 기능성 강화제와 석재와의 상호작용이 미약하여 발생하는 석재의 2차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반응성이 있는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를 이용함으로써,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와 석재와의 상호작용이 낮기 때문에 강화부분이 소실될 경우 풍화된 석조 일부와 같이 소실되어서 석조문화재가 크게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의 실시 예 11 용액과 비교예에 전처리제를 부착하지 않은 순수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첨가하고 제조한 젤의 건조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의 전처리제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을 부착한 실리카 입자 7 wt% 첨가된 실시 예 11 용액과 비교예에서 얻어진 젤의 건조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의 (a) 내지 (c)는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전처리제 양에 따른 비교예의 표면 접착 실험 후를 나타내는 테이프 사진(숫자는 화강암 1cm2 표면적당 처리한 전처리제의 몰 수).
도 4의 (d) 내지 (f)는 본 발명에 의한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의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전처리제 양에 따른 실시 예 11 용액의 표면 접착 실험 후를 나타내는 테이프 사진(숫자는 화강암 1cm2 표면적당 처리한 전처리제의 몰 수).
본 발명은 자연 풍화 또는 인위적 원인에 의하여 박리ㆍ박락된 석조문화재를 보수하기 위한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면에 도포되고, 에폭시기를 갖는 기능성 충전제와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는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구성이고, 상기 반응기는 일차 아민 또는 이차 아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응기는 에폭시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하기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포함되는 에폭시기와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는 석조문화재를 구성하는 석재의 표면 히드록시(O-H기)와 상호결합작용이 우수한 아민기를 가진 단량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처리제의 알콕시기는 석조문화재의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전처리제의 아민기는 상온에서 하기의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함유되어 있는 에폭시기와 쉽게 반응하여, 석재표면과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와의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석재의 강화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는 아민기를 가진 에톡시실란 또는 메톡시 실란과 같은 알콕시실란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aminobutyltriethoxysilane, 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aminophenyltrimethoxysilane, aminophen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s(methoxyethoxyethoxy)silane, 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2-(4-pyridylethyl)triethoxysilane, 2-(trimethoxysilylethyl)pyridine, n-(3-trimethoxysilylpropyl)pyrrole, 3-(m-a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amin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6-amin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trimethoxysilane, 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phenylaminomethyl)methyl-dimethoxysilane, 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bis(2-hydroxy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dieth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n-di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n-di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triethoxysilylpropyl)amine, bis(trimethoxysilylpropyl)amine, 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bis[3-(triethoxysilyl)propyl]urea, bis(trimethoxysilylpropyl)urea, 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bis(methyldimethoxysilylpropyl)-n-methylamine, ureidopropyltriethoxysilane, 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2-(2-pyridylethyl)thiopropyltrimethoxysilane, 2-(4-pyridylethyl)thiopropyltrimethoxysilane, 3-(1,3-dimethylbutylidene)aminopropyltriethoxysilane, 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ureidopropyltrimethoxysilane, n,n-dioctyl-n"-triethoxysilylpropylure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가 갖는 반응기는 유기물질과 결합하는 유기관능기로써, 하기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포함된 기능성 충전제가 갖는 에폭시기와의 우수한 반응성을 확보하여, 석조문화재에 먼저 도포된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후에 도포되는 알콕시시란계 강화제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는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면에 도포되고, 에폭시기를 갖는 기능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알콕시실란계 수지와 기능성 충전제의 혼합물이다.
이때, 알콕시실란계 수지는 에폭시기를 가져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반응기와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2-(3,4-epoxycyclohexyl)ethyl triethoxysilane,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5,6-epoxyhex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methylethoxysil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는 알콕시실란계 수지 이외에, 기능성 충전제가 더 포함되는데, 이때, 기능성 충전제는 본 발명에 의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물리, 화학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주조성물인 알콕시실란계 수지 및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반응기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에폭시기를 갖는 일반적인 유기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기능성 충전제는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 이량체, 올리고머를 모두 이용가능하고,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60wt%의 중랑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능성 충전제의 조성비가 0.01wt% 미만이면,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포함되는 기능성 충전제의 조성이 미미하여 기능성 충전제에 의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물성 향상 효과가 미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60wt%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포함된 기능성 충전제에 의하여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와 다른 성분들과의 교반 혼합시 불균일한 계를 형성하거나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성 충전제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아민기와 0.01~2의 당량비의 에폭시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능성 충전제의 에폭시기가 0.01 당량비 미만이면, 아민기와의 반응에 의한 강화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의 반응성 아민기가 석재 중에 남아 2차 반응을 일으킬 문제가 발생하며, 2 당량비를 초과하면, 과량의 에폭시기가 석재 중에 남아 특히 외부에 놓여 있는 문화재의 경우, 드물지만 자외선에 의해 2차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당량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충전제는 분자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고, 나노 기공을 갖는 1~99㎚의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분자 표면에 구비된 에폭시기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반응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높은 물리, 화학 및 기계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실현하고, 상기 효과로 본 발명의 기능성 강화제에 의하여 강화된 부분의 석조 일부가 풍화 또는 기계적 강도 및 접착력의 불일치에 의하여 소실되는 2차 손상을 방지 등의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에폭시기는 나노클러스터 충전제 분자의 표면에 하나 이상 구비되기 때문에 알콕시실란계 수지의 유기계 고분자 수지인 에폭시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여,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를 알콕시실란계 수지에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나노 기공은 나노 기공을 통하여 물의 투과성을 높여주어 석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생기는 물의 응결로 인한 석조문화재의 2차 손상을 방지가능한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나노 기공 크기는 상기 범위 내의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것이면 어떠한 크기의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크기가 1㎚ 미만이면, 나노클러스터 충전제의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99㎚를 초과하면, 강화제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석재 내부로 침투가 어려워 강화효과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는 분자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고 나노 기공을 갖는 구성이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것을 이용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와 나노 기공을 갖고 있는 실리케이트 나노 구조체 또는 에폭시기를 표면에 하나 이상 갖고 있는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유도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가능하다.
즉, 에폭시기를 표면에 하나 이상 갖고 있는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유도체는 에폭시시클로핵실 POSS(EpoxyCyclohexyl POSS, (C8H13O2)n(SiO1.5)n, n=자연수), 글리시딜 POSS(Glycidyl POSS, (C6H11O2)n(SiO1.5)n, n=자연수), 글리시딜에틸 POSS(GlycidylEthyl POSS, C20H46O14Si8), 글리시딜이소부틸 POSS(Glycidylisobutyl POSS, C34H74O14Si8), 글리시딜페닐 POSS(GlycidylPhenyl POSS, C48H46O14Si8), 클로로프로필이소부틸 POSS(Chloropropylisobutyl POSS, C48H46ClO12Si8), 메타크릴이소부틸 POSS(Methacrylisobutyl POSS, C35H74O14Si8), 메타크릴 POSS(Methacryl POSS, (C7H11O2)n(SiO1.5)n, n=자연수), 아크릴로 POSS(Acrylo POSS, (C8H9O2)n(SiO1.5)n, n=자연수), 아크릴로이소부틸 POSS(Acryloisobutyl POSS, C34H72O14Si8), 트리실라놀이소부틸 POSS(TriSilanolisobutyl POSS, C28H66O12Si7), 트리실라놀이소크틸 POSS(TriSilanolisoctyl POSS, C56H122O12Si7), 트리실라놀페닐 POSS(TriSilanolPhenyl POSS, C42H38O12Si7), 테트라실라놀페닐 POSS(TetraSilanolPhenyl POSS, C48H44O14Si8)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강화제를 구성하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 또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는 전처리제 또는 강화제 각각의 가수분해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산 촉매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가능함은 자명할 것이고, 전처리제 또는 강화제의 점도 조절을 위하여 용매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고형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 역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고형화 양을 100wt%로 고정하고, 정해진 고형분 양에 따라 TEOS(T)를 기준으로 하여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PTMS)(G)를 2:1의 몰비로 섞은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액을 잘 혼합한 후 촉매인 dibutyltin dilaurate산 촉매를 고형화 양의 0.08%로 넣어주고 교반 혼합하여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만든다.
[실시예 2~1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화 양 및 TEOS:GPTMS 몰비에 따라 아래와 같은 강화제를 만든다.
구분 고형화 양
(%)
TEOS:GPTMS 몰비
실시예 2 100 1:1
실시예 3 100 1:2
실시예 4 75 2:1
실시예 5 75 1:1
실시예 6 75 1:2
실시예 7 50 2:1
실시예 8 50 1:1
실시예 9 50 1:2
실시예 10 35 2:1
실시예 11 35 1:1
실시예 12 35 1:2
[실시예 13]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고형화 양을 35wt%로 고정하고, 정해진 고형분 양에 따라 TEOS(T)를 기준으로 하여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PTMS)(G)를 2:1의 몰비로 섞은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액에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EP0408, Hybrid plastics co. Ltd.)을 5g 첨가하여 mechanic stirrer (600 rpm)으로 5 분 동안 저어주어 용액을 잘 혼합한 후, 촉매인 dibutyltin dilaurate산 촉매를 고형화 양의 0.08%넣어주고 잘 섞어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만든다.
[실시예 14]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고형화 양을 35wt%로 고정하고, 정해진 고형분 양에 따라 TEOS(T)를 기준으로 하여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 (GPTMS)(G)를 2:1의 몰비로 섞은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액에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EP0409, Hybrid plastics co. Ltd.)을 5g 첨가하여 mechanic stirrer (600 rpm)으로 5 분 동안 저어주어 용액을 잘 혼합한 후 촉매인 dibutyltin dilaurate산 촉매를 고형화 양의 0.08%넣어주고 잘 섞어서 강화제 용액을 만든다.
[비교예 1]
상업화된 강화제인 Wacker OH 100 용액을 준비한다.
[테스트]
상기의 실시 예와 비교 예를 이용하여 다음의 3가지 테스트를 수행한다.
1.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건조된 젤에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를 처리하였을 때, 크랙 형성 유무의 육안 분석한다.
2. 점착 실험
① 점착 실험 결과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실시 예에서 제조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붉은색 염료(현대 케미칼 dyered 336)를 첨가한다.
② 8.0 x 8.0 cm2의 석재 표면에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를 일정량 처리하고 1일 후에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표면에 도포하여 석재를 강화시킨다.
③ 기능성 강화제의 고형화 특성 시간을 기초로 상온에서 반응시킨다.
④ 시편의 서로 다른 3 위치에서 점착력을 측정하였고, ISO 2409 규격의 값으로 석재와 기능성 강화제의 상호작용을 판정하였다.
3. 석재 강도 측정
① 뚜껑이 있는 용기에 하기 표 2와 같은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표 2와 같은 시료(석재)의 바닥이 닿을 만큼 붓고(약 1cm 높이) 건조 풍화된 시료를 놓고, 뚜껑을 닫는다.
②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시간에 지남에 따라 알콕시실란계 강화제가 석재를 적시고, 알콕시실란계 강화제가 시료의 끝 표면까지 함침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방치한 후, 함침된 시료를 꺼내고, 상온에서 반응을 계속 진행시킨다.
③ 풍화된 시료의 강화효과는 초음파 탐상 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즉, 측정은 풍화된 석재 표면의 함침부분의 총 6곳을 선정하여 각각의 두께를 측정한 후, 탐침장비(ultrasonic nondestructive tester, Pundit. Co.)를 이용하여, 두 탐침자 사이에서 파장이 왕복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에 비례하는 초음파 속도로부터 추정압축강도를 구한다.
[결과]
1.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로 (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선정하고,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이하, '전처리제'라 칭함.)를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건조된 젤에 처리한 후, 젤의 크랙 형성 유무를 육안 분석한다.
즉, 전처리제와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실리카입자에 전처리제((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일차적으로 부착한다. 전처리제가 부착된 실리카 입자 7g을 93g의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이하, '강화제'라 칭함, (실시예 11))에 넣고 솔-젤 반응을 시킨 후, 건조된 젤의 크랙형성 유무에 따른 형태 안정성으로부터 전처리제와 강화제와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전처리제의 효과 확인을 위해 전처리제가 처리되지 않은 실리카 입자 7wt%를 함유한 강화제의 건조된 젤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면 1과 같이, 전처리제가 처리되지 않은 7wt%의 순수한 실리카 입자가 함유된 강화제인 실시 예 11용액과 비교예 Wacker OH 100 모두 건조된 젤에 크랙이 형성되었다.
상기에 반하여, (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처리한 화강암 모델인 실리카 입자인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건조된 젤의 형태가 깨어지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전처리제로 이용된 (3-Aminopropyl)triethoxysilane의 아민기가 실리카 입자와 강한 상호작용이 있어 강화효과를 증가시키고, 건조시 젤에 크랙이 형성되지 않아 풍화된 석재의 2차 훼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2. 점착 실험
실제 화강암에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양을 다르게 하여 전처리한 후 전처리제가 충분히 경화한 후, 실시예 11 용액이나 비교예 Wacker OH 100 용액을 2번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이후 cross cutting measurement (Elcometer. Co)를 사용하여 절단한 후 그 위에 접착용 테이프(반투명, 3M)를 접착시킨 뒤, 다시 떼어낸 테이프 사진을 각 시료에 따라 정리한다.
상기 테스트를 이용하면 강화제와 석재의 상호작용의 향상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석재 표면과 테이프를 이용하여 박리 정도를 결정하는데, 박리 정도는 0-5단계로 나눈다. 즉, 절단면이 온전하여 떨어진 것이 하나도 없으면 0으로 결정하고, 손상부분이 5%, 5-15%, 15-35%, 35-65%인 경우 각각 1, 2, 3, 4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는 5로 판정하여 점착 강도를 결정한다.
도면 3과 같이,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전처리한 Wacker OH 100의 경우 실시 예 11 용액에 비해 박리가 많이 일어났음을 볼 수 있다. 이는 Wacker OH 100에 비해 실시 예 11 용액이 전처리제인 (3-Aminopropyl)triethoxysilane와의 상호작용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11 용액의 경우 GPTMS의 도입으로 인하여 유연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전처리한 후, 실시 예 11 용액을 도포했을 때 전처리제와의 상호작용이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용화된 강화제인 Wacker OH 100은 부서지기 쉬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3-Aminopropyl)triethoxysilane를 전처리한 후 Wacker OH 100을 도포하였을 때 박리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Wacker OH 100의 경우 소량의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전처리를 한 경우, 상호작용이 증가하였으나, 2.1x10-5 mol/cm2 이상의 양을 처리하는 경우, 양이 증가할수록 박리현상이 일어남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처리제는 석재 1cm2 표면적당 7.0 x 10-6~7.0 x 10-3 몰로 처리가능하다.
3. 석재 강도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처리제를 처리한 후 강화제를 도포한 경우에 강화효과가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구분 전처리제 처리 농도
(몰/cm2)
추정압축강도 (kg/cm2) 점착 강도
처리하지 않은 석재 170 5
실시예 11 강화용액 처리 0 345 0
아민 전처리 후 실시예 11 강화제 처리 7.0x10-6 380 0
아민 전처리 후 실시예 11 강화제 처리 1.4x10-5 409 0
아민 전처리 후 실시예 11 강화제 처리 2.1x10-5 430 0
Wacker OH 강화제처리 0 350 4
Wacker OH 강화제처리 7.0x10-6 385 0
Wacker OH 강화제처리 1.4x10-5 412 0
Wacker OH 강화제처리 2.1x10-5 362 4
실시예 13 용액 처리 0 370
아민 전처리 후 실시예 13 강화제 처리 7.0x10-6 440 0
아민 전처리 후 실시예 13 강화제 처리 1.4x10-5 463 0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와;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상부면에 도포되고, 에폭시기를 갖는 충전제와 에폭시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 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알콕시실란계 강화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는,
    아민기를 갖는 알콕시실란계로써, (3-aminopropyl)triethoxysilane,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4-aminobutyltriethoxysilane, m-aminophenyltrimethoxysilane, p-aminophenyltrimethoxysilane, aminophen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tris(methoxyethoxyethoxy)silane, 11-aminoundecyltriethoxysilane, 2-(4-pyridylethyl)triethoxysilane, 2-(trimethoxysilylethyl)pyridine, n-(3-trimethoxysilylpropyl)pyrrole, 3-(m-aminophenoxy)propyltrimethoxysilane, 3-aminopropylmethyldiethoxysilane, 3-aminopropyldiisopropylethoxysilane, 3-aminopropyldimethyl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n-(6-amin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6-amin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11-aminoundecyltrimethoxysilane, (aminoethylaminomethyl)phenethyltrimethoxysilane, n-3-[(amino(polypropylenoxy)]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silanetriol, 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isobutylmethyldimethoxysilane, (aminoethylamino)-3-isobutyldimethylmethoxysilane, (3-trimethoxysilylpropyl)diethylenetriamine, n-but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ethylaminoisobutyltrimethoxysilane, n-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phen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all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cyclohex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cyclohex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n-ethylaminoisobutylmethyl-diethoxysilane, (phenylaminomethyl)methyl-dimethoxysilane, n-phen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m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bis(2-hydroxyethyl)-3-aminopropyltriethoxysilane, diethylaminomethyltriethoxysilane, (n,n-di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3-(n,n-dim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bis(triethoxysilylpropyl)amine, bis(trimethoxysilylpropyl)amine, 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bis[(3-trimethoxysilyl)propyl]-ethylenediamine, bis[3-(triethoxysilyl)propyl]urea, bis(trimethoxysilylpropyl)urea, bis(methyldiethoxysilylpropyl)amine, bis(methyldimethoxysilylpropyl)-n-methylamine, ureidopropyltriethoxysilane, acetamidopropyltrimethoxysilane, 2-(2-pyridylethyl)thiopropyltrimethoxysilane, 2-(4-pyridylethyl)thiopropyltrimethoxysilane, 3-(1,3-dimethylbutylidene)aminopropyltriethoxysilane, n-[5-(trimethoxysilyl)-2-aza-1-oxopentyl]caprolactam, ureidopropyltrimethoxysilane, n,n-dioctyl-n"-triethoxysilylpropylurea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알콕시실란계 전처리제의 아민기와 0.01~2의 당량비의 에폭시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란계 수지는,
    2-(3,4-epoxycyclohexyl)ethyl triethoxysilane,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5,6-epoxyhex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methylethoxysilane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분자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고, 나노 기공을 갖는 1~99㎚의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러스터 충전제는,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유도체이고,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60wt%의 중랑비로 알콕시실란계 강화제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유도체는,
    에폭시시클로핵실 POSS(EpoxyCyclohexyl POSS, (C8H13O2)n(SiO1.5)n, n=자연수), 글리시딜 POSS(Glycidyl POSS, (C6H11O2)n(SiO1.5)n, n=자연수), 글리시딜에틸 POSS(GlycidylEthyl POSS, C20H46O14Si8), 글리시딜이소부틸 POSS(Glycidylisobutyl POSS, C34H74O14Si8), 글리시딜페닐 POSS(GlycidylPhenyl POSS, C48H46O14Si8), 클로로프로필이소부틸 POSS(Chloropropylisobutyl POSS, C48H46ClO12Si8), 메타크릴이소부틸 POSS(Methacrylisobutyl POSS, C35H74O14Si8), 메타크릴 POSS(Methacryl POSS, (C7H11O2)n(SiO1.5)n, n=자연수), 아크릴로 POSS(Acrylo POSS, (C8H9O2)n(SiO1.5)n, n=자연수), 아크릴로이소부틸 POSS(Acryloisobutyl POSS, C34H72O14Si8), 트리실라놀이소부틸 POSS(TriSilanolisobutyl POSS, C28H66O12Si7), 트리실라놀이소크틸 POSS(TriSilanolisoctyl POSS, C56H122O12Si7), 트리실라놀페닐 POSS(TriSilanolPhenyl POSS, C42H38O12Si7), 테트라실라놀페닐 POSS(TetraSilanolPhenyl POSS, C48H44O14Si8)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KR1020120080899A 2012-07-25 2012-07-25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KR10138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99A KR101382370B1 (ko) 2012-07-25 2012-07-25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99A KR101382370B1 (ko) 2012-07-25 2012-07-25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32A KR20140013532A (ko) 2014-02-05
KR101382370B1 true KR101382370B1 (ko) 2014-04-10

Family

ID=5026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99A KR101382370B1 (ko) 2012-07-25 2012-07-25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573A1 (en) * 2014-11-12 2016-05-19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Weather-resistant, fungal-resistant, and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wood, masonry, or other porous materials
US10704191B2 (en) 2014-11-12 2020-07-07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Soil-resistant,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textile or other flexible materials
US11142867B2 (en) 2014-11-12 2021-10-12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Soil-resistant, stain-resistant fluorine-free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materi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128A (ko) * 2009-02-20 2010-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조 문화재용 실리케이트계 강화제의 처리방법
KR20100137057A (ko) * 2009-06-22 2010-12-30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나노 복합 에폭시 접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128A (ko) * 2009-02-20 2010-08-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조 문화재용 실리케이트계 강화제의 처리방법
KR20100137057A (ko) * 2009-06-22 2010-12-30 대한민국 (관리부서: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나노 복합 에폭시 접착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7573A1 (en) * 2014-11-12 2016-05-19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Weather-resistant, fungal-resistant, and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wood, masonry, or other porous materials
US10704191B2 (en) 2014-11-12 2020-07-07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Soil-resistant,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textile or other flexible materials
US11142867B2 (en) 2014-11-12 2021-10-12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Soil-resistant, stain-resistant fluorine-free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materials
US11345821B2 (en) 2014-11-12 2022-05-31 University Of Houston System Weather-resistant, fungal-resistant, and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wood, masonry, or other porous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32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tucki A silane primer: chemistry and applications of alkoxy silanes
CN111518456B (zh) 渗透型防水耐碱涂料及其制备方法
CN100485008C (zh) 可加热固化的聚硅氧烷弹性体的底漆
US20080107864A1 (en) Method of Making a Surface Hydrophobic
CN109627770A (zh) 脱醇缩合型双组分室温硫化硅橡胶及其制备方法
US20090139434A1 (en) Aqueous dispersions of organosilicon compounds
EP2135852B1 (en) A sealing composition, a method for preparing a sealing composition and the use of such a sealing composition
KR101582498B1 (ko)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의 수성 분산액
CN102276764B (zh) 一种聚合物粉末的化学改性方法
JP6789659B2 (ja) コアシェル粒子、コアシェル粒子を包含する組成物、及びその組成物を作る方法
KR101382370B1 (ko) 석조문화재 보존을 위한 전처리를 포함한 알콕시실란계 기능성 강화제
CN105366985B (zh) 一种泡沫混凝土纳米增强剂
KR100954450B1 (ko) 축중합 스마트 세라믹계 도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강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CN104193289A (zh) 一种疏水性防护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590501A (zh) 一种单组分环氧改性有机硅密封胶及其制备方法
CN108192469A (zh) 一种制备纳米渗透型防水涂料的方法
EP2977407A1 (en) Organic-inorganic hybrids polymerized in situ at room temperature
Briffa et al. The behaviour of as-applied and artificially weathered silica–epoxy consolidants on a typical Mediterranean porous limestone: a comparison with TEOS
JP2015525821A (ja) 改善された生強度を有する耐候性シリコーン混合物
Sena da Fonseca et al. Challenges of alkoxysilane-based consolidants for carbonate stones: from neat TEOS to multipurpose hybrid nanomaterials
JP2015525246A (ja) 撥水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材料
Soytürk et al. Preliminary evaluation of polydimethylsiloxane and hydrophobic silica nanoparticles to improve water repellency and boron leachability in wood
CN110156366A (zh) 一种制备纳米防污型水泥硬化剂的方法
KR20130106644A (ko) 하이브리드 변성 실리케이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503264B (zh) 一种泡沫混凝土纳米增强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