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194B1 -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194B1
KR101382194B1 KR20120116647A KR20120116647A KR101382194B1 KR 101382194 B1 KR101382194 B1 KR 101382194B1 KR 20120116647 A KR20120116647 A KR 20120116647A KR 20120116647 A KR20120116647 A KR 20120116647A KR 101382194 B1 KR101382194 B1 KR 10138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cyclone
carbon
collect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성환
Original Assignee
성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성환 filed Critical 성성환
Priority to KR2012011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1Centrifugating,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 B29B2017/0241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density difference in gas, e.g.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로부터 양질의 카본블랙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로부터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하여 분쇄수단과 리턴 배출기 및 싸이클론과 포집수단을 흡입수단과 순차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으로부터 회수된 카본블랙은 별도의 회수탱크로 운반되게 하되, 리턴 배출기와 분쇄수단 및 싸이클론과 회수탱크는 별도의 이송수단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상기 포집수단은 전기한 이송수단과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폐타이어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카본 추출물에 대한 분쇄과정에서 분쇄된 카본블랙의 입자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을 이용하여 회수하고자 하는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카본블랙에 대한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입자 크기의 카본블랙을 대량으로 양산 및 회수할 수 있는 것이고, 폐타이어의 처리과정에서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황이나 아연 및 스틸 와이어 등을 분류하여 제거할 수 있어 양질의 카본블랙만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어 이를 타이어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의 원재료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Carbon black reclaim system}
본 발명은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로부터 양질의 카본블랙을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본 추출물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불순물 및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면서도 타이어 원료 및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분말화가 이루어진 양질의 카본블랙을 대량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보급으로 연간 생산되는 것이 약 9,800만 개로 추정되며 연간 폐타이어 발생 량은 연 4,000만 개 정도가 발생 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연간 2억 7천만 개 정도의 폐타이어가 발생할 정도로 대단히 많은 수의 폐타이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폐타이어의 처리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폐타이어의 재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재생타이어 및 고무 분말과 밧줄 등으로 활용하는 가공에 의한 재활용법이 있고, 시멘트 킬른이나 건류 소각 등에 의한 열 이용법이 있으며, 수출 혹은 토목공사나 매립장 공사용 자재 등을 사용하는 원형 이용법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폐타이어의 처리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폐타이어의 소각열을 이용하는 시멘트 킬른 방법이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멘트 킬른의 소각 방식에는 폐타이어의 구성상 Styrene 과 Butadien을 포함한 합성 고무에서 납, 아연, 비소, 크롬 등 17종 이상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기에 이러한 타이어를 연소시켰을 때 복합적 유해 성분 배출로 유독한 합성물이 생길 뿐 아니라 염화물에 의한 다이옥신, 벤젠계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퓨란, PCB (Polychlorinated Biphenals), PHA (Polyaronatic Hydrocarbon)을 배출하게 되어 대기 환경오염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러한 시멘트 킬른의 위험성의 원인은 2차 연소실을 갖고 있는 폐기물 소각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완전한 연소 체계를 이루고 있기에 시멘트 킬른의 구조적 통제불능 시간 즉, 킬른의 고장 정전에 의한 불완전 연소가 되는 경우는 더욱 많은 위험 물질이 발생되어 대기오염의 환경 파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보다 합리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폐타이어의 재처리를 통해 카본블랙과 같은 재생원료를 추출 및 회수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폐타이어의 열분해 과정에서 경유 혹은 중유와 같은 유류 에너지를 추출하거나 스틸 와이어를 분리 회수하여 금속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열분해를 이용한 자원 및 에너지의 추출 및 회수 방법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99292호에 의한 '폐타이어 자동 연속식 유화 및 카본블랙 그리고 와이어 코어 재생장치'에 의해 제안된 바 있고, 등록특허 제10-1150512호에 의해서는 '열분해 카본블랙 배출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등록특허 제10-0214916호에 의해서는 '폐타이어로부터의 카본블랙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카본블랙의 회수 및 재생장치와 방법들은 타이어의 주요한 원료로 사용되는 양질의 카본블랙을 생산하지 못하고 카본블랙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의 카본 생성물만을 얻을 수 있어 이를 즉시 재생원료로 사용하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타이어의 주요한 성분을 살펴보면 합성고무가 30중량%를 차지하고 천연고무가 15중량%를 차지하며, 카본블랙이 25중량%, 스틸 와이어가 15중량%, 텍스타일 5중량%, 기타 혼합물이 10중량%를 차지하게 된다. 이때, 타이어 전체 중량의 1/4을 차지하는 카본블랙은 타이어의 주요한 원료에 속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의 원료에 해당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카본블랙은 타이어의 물리적 강화제로 사용되면서도 건조 피막의 은폐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타이어에 대한 내마멸성과 내연마성을 크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카본블랙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폐타이어를 불완전 연소시켜 합성고무와 천연고무는 열분해를 통해 제거하는 동시에 카본블랙은 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스틸 와이어 등은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 회수하는 방식을 통해, 탄화된 카본블랙은 재생 원료로서 사용되게 하는 것이고 스틸 와이어는 용해를 통해 다양한 금속 제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폐타이어 처리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카본블랙은 타이어의 제조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의 품질을 갖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폐타이어에 대한 절단 및 탄화과정에서 타이어 혼합물인 아연이나 황 또는 스틸 와이어 등은 열분해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로 카본블랙과 함께 덩어리의 형태로 추출되므로, 폐타이어 처리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카본 추출물은 다량의 카본블랙에 황이나 아연 및 스틸 와이어 등의 이물질이 혼합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카본 추출물은 폐타이어의 혼합 원료로 직접 사용될 수 없거나 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품질이 떨어지는(황이나 아연 등의 포함으로 인해 타이어 원재료의 혼합비가 일정하지 못하므로) 타이어가 생산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시와 같은 카본 추출물은 금속과 같이 별도의 정련과정을 거쳐 양질의 카본블랙만을 회수하여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폐타이어로부터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하여 분쇄수단과 리턴 배출기 및 싸이클론과 포집수단을 흡입수단과 순차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으로부터 회수된 카본블랙은 별도의 회수탱크로 운반되게 하되, 리턴 배출기와 분쇄수단 및 싸이클론과 회수탱크는 별도의 이송수단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상기 포집수단은 전기한 이송수단과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분쇄수단을 통해 미립자 상태로 잘게 부수어진 카본 추출물은 비중 차에 따라 기타 카본물질과 이물질을 제외한 카본블랙만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크기가 큰 카본블랙 입자는 리턴 경로를 통해 재분쇄되어 일정 크기를 갖는 양질의 카본블랙만이 회수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의 분쇄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로부터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하여 분쇄수단과 리턴 배출기 및 싸이클론과 포집수단 및 흡입 배기수단을 순차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의 배출부는 별도의 회수탱크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의 분쇄수단은 투입된 카본 추출물이 미립자화 되게 파쇄하고, 상기 리턴 배출기는 미립자 상태의 카본블랙을 분쇄수단으로부터 제공받아 흡입 배기수단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력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는 상부로 배출되고 흡입력보다 비중이 큰 입자는 하부로 배출되어 분쇄수단으로 재공급되게 하며, 싸이클론은 리턴 배출기로부터 제공받은 카본블랙을 응집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하고 내부에서 부유하는 카본블랙의 입자는 흡입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게 하며, 포집수단은 싸이클론으로부터 유입되는 카본블랙 입자를 수거하여 배출되게 하고, 흡입 배기수단은 분쇄수단 및 리턴 배출기와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 내부에 흡입력에 의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포집수단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며, 회수탱크는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본블랙을 제공받아 내부에 회수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정량배출기를 결합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카본 추출물에 대한 분쇄과정에서 분쇄된 카본블랙의 입자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을 이용하여 회수하고자 하는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카본블랙에 대한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입자 크기의 카본블랙을 대량으로 양산 및 회수할 수 있는 것이고, 폐타이어의 처리과정에서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황이나 아연 및 스틸 와이어 등을 분류하여 제거할 수 있어 양질의 카본블랙만을 빠르게 회수할 수 있어 이를 타이어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의 원재료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에서의 분쇄부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에서의 리턴 배출브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에서의 싸이클론 연결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에서의 회수부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에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수부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카본블랙 회수장치는 폐타이어 처리장치를 통해 얻어진 카본 추출물을 재처리하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의 카본 추출물은 폐타이어 처리장치에서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합성고무나 천연고무 등이 분해 및 제거된 상태에서의 카본 덩어리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카본 추출물은 분쇄수단(10)에 투입하여 잘게 파쇄되게 하고, 파쇄된 카본블랙은 리턴 배출기(20)로 이동되게 하여 리턴 배출기(20)에 의해 허용된 크기의 카본블랙 입자는 싸이클론(30)으로 이동되게 하는 반면 허용된 크기 이상의 카본블랙 입자는 분쇄수단(10)으로 공급되어 재파쇄 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싸이클론(30)에서는 제공받은 카본블랙 입자를 응집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 중에 부유하는 카본블랙 입자를 포집수단(40)으로 제공하여 상기의 포집수단(40)을 통해 미립자 형태의 카본블랙을 재차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포집수단(40)은 흡입 배기수단(50)과 연결되어 있어 흡입 배기수단(50)의 작동에 의한 내부의 압력 차에 따라 카본블랙 입자가 걸러진 상태의 순수한 공기만이 흡입 배기수단(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분쇄수단(10)과 리턴 배출기(20) 및 싸이클론(30) 그리고 포집수단(40) 및 흡입 배기수단(50)은 모두 연결관(70)(70')에 의해 연속적인 결합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의 흡입 배기수단(50)이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의 연결관(70)(70') 내부 전체에는 흡입 압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압력으로 인해 분쇄수단(10)에 마련된 흡기구(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연결관(70)(7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파쇄된 카본블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카본블랙이 회수 및 포집되고 난 이후의 공기는 흡입 배기수단(50)(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수단(10)의 투입호퍼(11)와 리턴 배출기(20)의 하부 배출구는 스크류축(8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싸이클론(30)과 포집수단(40)의 하부 배출구는 또 다른 스크류축(80')에 의해 회수탱크(60)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스크류축(80')이 회전작용을 수행하면 싸이클론(20) 및 포집수단(40)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본블랙이 상기 회수탱크(60)의 내부로 수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분쇄수단(10)은 상부 일측에 투입호퍼(11)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투입호퍼(11)를 통해 폐타이어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덩어리 상태)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한, 상기의 분쇄수단(10)은 상부에 배기구(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흡기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분쇄날(14)이 외부의 회전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흡입 배기수단(50)이 작동되고 상기 분쇄날(14)이 회전을 하게 되면 하측의 흡기구(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분쇄수단(10)으로 유입되어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고, 분쇄수단(10)의 내부로 투입된 카본 추출물은 분쇄날(14)에 의해 잘게 부서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쇄날(14)에 의해 잘게 부서지는 카본 추출물은 분말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흡입 배기수단(50)에 의한 배기구(13) 내부의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빨려 올라가게 되는 것인데, 상기 흡입 배기수단(50)에 의한 흡입력보다 비중인 큰 카본블랙의 입자는 빨려 올라가지 못하므로 계속적인 파쇄가 진행될 것이고, 상기의 흡입력보다 비중이 작게 파쇄된 카본블랙은 공기와 함께 배기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카본 추출물에는 아연이나 황 또는 스틸 와이어와 같은 이물질 및 절단물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인데, 상기와 같은 아연 및 황이나 스틸 와이어는 카본블랙의 비중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비중을 갖고 있을 것이므로, 이들 이물질은 분쇄수단(10)에 의한 카본 추출물의 분쇄과정에서 공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빨려 올라가지 못하고 분쇄수단(10)의 내부에 잔류하거나 분쇄수단(10)의 내면과 분쇄날(14)의 끝단 사이 공간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여 별도로 수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흡입 배기수단(50)에 의한 흡입력의 가감을 통해 분쇄되어 흡입되는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를 다양하게 조정하여 회수함에 따라 카본블랙의 사용 목적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입자 크기를 갖는 카본블랙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의 분쇄수단(10)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카본블랙은 도 3의 도시와 같은 리턴 배출기(2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데, 리턴 배출기(20)는 도시와 같이 분쇄수단(10)의 배기구(13)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배기구(13)에 작용하는 흡입 배기수단(50)의 흡입력을 통해 배기구(13) 내부의 공기 및 카본블랙은 리턴 배출기(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리턴 배출기(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카본블랙은 리턴 배출기(20)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관(70)(70')을 통해 역시 공기와 카본블랙이 흡입 배기수단(50)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분쇄수단(10) 내부에서의 불규칙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불필요하게 큰 입자 크기를 갖고 유입된 카본블랙은 리턴 배출기(20)의 상부로 공기와 함께 빨려 올라가지 못하고 리턴 배출기(20)의 하부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리턴 배출기(20)의 하부로 낙하하는 카본블랙은 리턴 배출기(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 스크류축(80)에 의해 분쇄수단(10)의 투입호퍼(11)로 재공급되는 것이며, 분쇄수단(10) 내부의 분쇄날(14)에 의해 재차 파쇄과정을 거쳐 원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카본블랙으로 파쇄되어 다시 리턴 배출기(20)로 공기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리턴 배출기(20)를 통해 일정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고 이동하는 카본블랙은 도 4의 도시와 같은 싸이클론(30)의 내부로 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것인데, 상기의 싸이클론(30)은 일반적인 원심 분리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고압의 공기가 싸이클론(30) 내부의 나선부를 스크류 형태로 회전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카본블랙은 응집되면서 하부로 배출되는 것이고, 공기는 상부의 연결관(70)(70')을 통해 포집수단(40)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싸이클론(30)의 내부로 투입된 공기와 카본블랙은 원심력에 의해 카본블랙이 응집되면서 하부로 배출되는 것이고, 공기는 미세한 카본블랙 분말을 포함한 상태로 연결관(70)(70')을 따라 포집수단(40)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싸이클론(30)의 하부 배출구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축(80')에 의해 응집 상태로 싸이클론(30)의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분말 형태의 카본블랙은 회수탱크(60)를 향하여 운반되는 것이고, 미세한 분말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는 포집수단(40)으로 이동하여 포집수단(40) 내부의 집진필터(41)(41')에 의해 미립자 상태인 카본블랙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집진필터(41)(41')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펄스발생기(42)를 작동시켜 주기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집진필터(41)(41')의 표면에 응집되어 있는 카본블랙을 포집수단(40)의 하부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고, 낙하되는 카본블랙은 포집수단(40) 하부의 배출구를 통해 회수탱크(60)를 향하고 있는 스크류축(80')으로 유입되어 전기한 싸이클론(30)에서 수거한 카본블랙과 함께 회수탱크(60) 내부로 운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쇄수단(10) 및 리턴 배출기(20)와 싸이클론(30), 포집수단(40)의 내부와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관(70)(7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흡입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흡입 배기수단(50)은 상기와 같은 포집수단(4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장된 흡입팬(52)의 작동을 통해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흡입팬(52)의 작동은 별도의 구동모터(53)의 회전력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싸이클론(30) 및 포집수단(40)을 통해 완벽하게 카본블랙이 회수 및 제거된 상태의 공기는 흡입 배기수단(50)을 통해 외부 혹은 공장 내부로 배출될 것이고, 이와 같은 배출공기는 오염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대기를 오염시키거나 공장 내부 환경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싸이클론(30)과 포집수단(40)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본블랙은 스크류축(80')의 운반 작용을 통해 도 5의 도시와 같이 회수탱크(60)의 내부로 회수되는 것이고, 상기의 회수탱크(60) 하단에는 정량배출기(61)가 장착되어 있어 정량배출기(61)의 작동을 통해 일정량의 카본블랙 분말을 포장 및 출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정량배출기(61)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태핑 모터 방식에 의한 정량 계량 혹은 엑츄에이터에 의한 정량 계량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랙 회수장치는 기존의 폐타이어 처리장치에서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미세한 분말화 혹은 원하는 입자 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카본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던 황이나 아연 혹은 스틸 와이어 등의 이물질을 분쇄과정에서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카본블랙만을 대량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회수탱크(60)에 대하여 별도의 또 다른 포집수단(40')을 연결 형성하되, 상기의 포집수단(40')에는 회수탱크(60)의 정량배출기(61) 측부에 끝단이 위치하는 흡기관(51)을 형성하고, 포집수단(40')의 선단에는 또 다른 흡입 배기수단(50')을 장착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회수탱크(60) 내부의 카본블랙에 대한 정량 배출과정에서 배출압력으로 인해 카본블랙이 외부로 비산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때에는 상기와 같은 또 다른 흡입 배기수단(50')을 작동시켜 흡기관(51)의 내부에 흡입 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흡입 압력으로 인해 흡기관(51)의 끝단으로부터 정량배출기(61) 주변으로 비산되는 카본블랙과 공기를 함께 흡입하여 또 다른 포집수단(4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포집수단(40')의 내부에 형성된 집진필터 및 펄스발생기를 통해 집진 상태의 카본블랙을 다시 회수탱크(60)로 배출하여 상기의 카본블랙에 대한 손실 없이 전량 회수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본블랙에 대한 회수 과정에서 공장 내부에 대한 카본블랙의 미립자가 부유하거나 비산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쾌적한 작업 환경을 연출하는 것은 물론 카본블랙에 의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매우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분쇄수단 11 : 투입호퍼
12 : 흡기구 13 : 배기구
14 : 분쇄날
20 : 리턴 배출기
30 : 싸이클론
40,40' : 포집수단 41,41' : 집진필터
42 : 펄스발생기
50,50' : 흡입 배기수단 51 : 흡기관
52 : 흡입팬 53 : 구동모터
60 : 회수탱크 61 : 정량배출기
70,70' : 연결관
80,80' : 스크류축

Claims (2)

  1. 폐타이어로부터 열분해를 통해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하여 분쇄수단과 리턴 배출기 및 싸이클론과 포집수단 및 흡입 배기수단을 순차적으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의 배출부는 별도의 회수탱크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의 분쇄수단은 투입된 카본 추출물이 미립자화 되게 파쇄하고,
    상기 리턴 배출기는 분말화 된 카본블랙을 분쇄수단으로부터 제공받아 흡입 배기수단으로부터 작용하는 흡입력보다 비중이 작은 입자는 상부로 배출되고 흡입력보다 비중이 큰 입자는 하부로 배출되어 분쇄수단으로 재공급되게 하며,
    싸이클론은 리턴 배출기로부터 제공받은 카본블랙을 응집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하고 내부에서 부유하는 카본블랙의 입자는 흡입 배기수단의 흡입력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게 하며,
    포집수단은 흡입 배기수단에 의한 흡입력을 통해 싸이클론으로부터 유입되는 카본블랙 입자를 포집하여 배출되게 하고,
    흡입 배기수단은 분쇄수단 및 리턴 배출기와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 내부에 흡입력에 의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포집수단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게 하며,
    회수탱크는 싸이클론 및 포집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카본블랙을 제공받아 내부에 수거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정량배출기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한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탱크에는 또 다른 흡입 배기수단을 갖는 또 다른 포집수단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또 다른 포집수단에 형성된 흡기관의 끝단은 회수탱크의 정량배출기 측부에 위치되게 구성하여,
    상기 정량배출기를 통해 카본블랙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중으로 비산되는 카본블랙의 분말을 흡입하여 포집한 후 이를 회수탱크로 재공급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2. 삭제
KR20120116647A 2012-10-19 2012-10-19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KR10138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647A KR101382194B1 (ko) 2012-10-19 2012-10-19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6647A KR101382194B1 (ko) 2012-10-19 2012-10-19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194B1 true KR101382194B1 (ko) 2014-04-07

Family

ID=5065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6647A KR101382194B1 (ko) 2012-10-19 2012-10-19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72A (ko) 2021-05-12 2022-11-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타이어드레드
CN117324357A (zh) * 2023-11-15 2024-01-02 青岛龙源佰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废旧橡胶裂解炭黑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916B1 (ko) 1995-10-09 1999-08-02 마스다 노부유키 폐타이어로부터의 카본블랙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20039852A (ko) * 2000-11-22 2002-05-30 손재익 선회식연소방법에 의한 폐타이어로부터 카본블랙회수 씨스템
JP2002263613A (ja) 2001-03-13 2002-09-17 Nkk Corp プラスチック/無機物複合廃棄物処理装置
JP2003080297A (ja) 2001-09-12 2003-03-18 Kankyo Gijutsu Kaihatsu Kk 廃棄物からの有用粒状物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916B1 (ko) 1995-10-09 1999-08-02 마스다 노부유키 폐타이어로부터의 카본블랙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20039852A (ko) * 2000-11-22 2002-05-30 손재익 선회식연소방법에 의한 폐타이어로부터 카본블랙회수 씨스템
JP2002263613A (ja) 2001-03-13 2002-09-17 Nkk Corp プラスチック/無機物複合廃棄物処理装置
JP2003080297A (ja) 2001-09-12 2003-03-18 Kankyo Gijutsu Kaihatsu Kk 廃棄物からの有用粒状物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72A (ko) 2021-05-12 2022-11-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타이어드레드
CN117324357A (zh) * 2023-11-15 2024-01-02 青岛龙源佰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废旧橡胶裂解炭黑回收装置
CN117324357B (zh) * 2023-11-15 2024-03-22 青岛龙源佰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废旧橡胶裂解炭黑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1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JP6384846B1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からの金属分離並びに有機系可燃性残渣の燃料化と無機系残渣の有効利用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4438329B2 (ja) 有機物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785217B1 (ko)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연료화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CN103406329A (zh) 生活垃圾焚烧炉渣综合处理利用的方法
CN104056847B (zh) 一种废弃物处理装置
KR101825267B1 (ko) 자연 건조과정을 적용한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의 대량 연료화 선별시스템
CN107309253B (zh) 油漆废渣制备高分子树脂复合固体粉末生产工艺及生产线
JP2007131463A (ja) 炭素繊維を含む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CN107890937A (zh) 一种废旧锂电池回收撕碎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CN103803769A (zh) 一种立式分区间且带有粉碎和安全监控功能的污泥干化方法及其设备
KR101339554B1 (ko) 잉곳절삭용 재생슬러리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부산물 내의 유효성분을 재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191199B2 (ja) 廃棄物焼却灰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方法によって得た砂代替材並びに砕石代替材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KR101382194B1 (ko)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카본블랙 회수장치
TWI483918B (zh) 水泥製造方法
JP4948429B2 (ja) 金属類及び塩素を含有する可燃性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JP3856711B2 (ja) 窯業原料として再利用が可能な無機化学成分を含む無機系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及び再資源化装置
JP2016147437A (ja) 樹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樹脂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KR20140050342A (ko) 폐타이어로부터 얻어진 카본 추출물에 대한 분쇄장치
JP2014136714A (ja) 固体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製造方法
AU2021106969A4 (en) Remediation of Coal Ash
KR102292963B1 (ko) 폐카트리지로부터 토너를 회수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211246893U (zh) 一种金属辅料混合材料的分离提纯装置
RU249689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ртути из люминесцентных лам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