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018B1 -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018B1
KR101382018B1 KR1020130031353A KR20130031353A KR101382018B1 KR 101382018 B1 KR101382018 B1 KR 101382018B1 KR 1020130031353 A KR1020130031353 A KR 1020130031353A KR 20130031353 A KR20130031353 A KR 20130031353A KR 101382018 B1 KR101382018 B1 KR 10138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ushroom
shiitake
mushrooms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인
김유성
임철호
김정숙
Original Assignee
수풀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풀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수풀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3003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이 발생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표고버섯 배지의 밑부분에 부착포를 설치하여 아랫부분에서는 버섯이 발생 되지 않고 상면으로만 발생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배지 수명의 연장과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Medium manufacturing method shiitake mushrooms that occur o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은 표고버섯이 발생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표고버섯이 아랫부분에는 발생 되지 않고 상면으로만 발생하는 배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표고에 대한 연구는 1922년 임업시험장에서 "표고 인공재배 시험"을 시작하였고, 1923~1929년간 버섯이 나고 있는 골목을 쪼개어 원목에 타입하는 종목감입법이 효과적임을 밝혀 표고재배기술을 농가에 확산시킬 수 있었다. 그 후 1955년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표고의 종균배양에 성공하면서 표고버섯 원목재배는 크게 발전하였다,
또한, 표고버섯 톱밥재배는 1993년 임업연구원에서 표고톱밥재배기술에 성공하였는데, 톱밥재배는 원목재배에 비하여 나무의 자원을 100% 활용할 수 있고 재배기간이 단축되어 톱밥재배기술은 빠르게 보급되었다. 그리고, 품질 및 생산성 향상 연구도 계속되어, 현재는 원통형, 사각형, 직사각형의 톱밥 배지에서 원목재배와 같은 고품질의 표고버섯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지에서 모든 버섯이 고품질로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톱밥 배지의 아랫부분이나,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곳 등, 버섯이 바르게 자랄 수 없는 곳에서도 발생하여, 버섯 대가 휘어지고 버섯 갓이 찌그러져 품질이 떨어지는 버섯이 생산된다.
특히, 사각 배지의 경우 표면적의 1/6을 차지하는 아랫부분은 상당히 많은 버섯이 발생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속기작업을 하여 아랫부분에서 발생 된 버섯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처럼, 아랫부분에서 발생 된 버섯은 크기 전에 제거하여야 하는 노동력이 들어가고, 방치하면 구부러지게 자라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배지의 아랫부분에서 버섯이 발생 되면, 양성굴광성(빛으로 휘는 성질)과 음성굴지성(중력에 반대로 휘는 성질)으로 자라나 버섯의 모양이 굴곡 되어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아래쪽에서 버섯이 발생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아랫면에서의 버섯 발생을 차단하고 상면으로만 발생 되게 유도하여, 버섯의 모양이 같고 일정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는 것이다.
배양이 완료된 배지에서, 표고버섯이 발생 되는 환경은 온도와 배지 수분, 공기의 상대습도, 광 조건으로 이루어지는데,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200룩스의 밝기와, 상대습도 90%이상과 7~17℃에서 최고와 최저의 온도(일교)차가 8-10℃ 정도인 변온에서 버섯 발생이 잘 된다(표고버섯의 생리생태 및 톱밥재배, 농업과학기술원, 유창현).
그러나, 이러한 환경 중 한 가지만 맞지 않아도 버섯발생을 지연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데, 빛과 수분 그리고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면 목적하는 버섯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버섯발생을 불필요로 하는 배지 아랫부분의 빛과 수분,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것인데, 더 자세하게는 표고버섯 배지의 아랫부분에 수분과 빛이 통과하지 않는 부착포를 깔고 그 위에 배지를 부착 배양하여, 아래쪽으로는 부착포의 막힘으로 인한 버섯발생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문제점이 해결되어 진다.
본 발명인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배지는, 표고버섯이 상면부에서만 발생 되어 버섯의 모양이 직립 되고 품질이 일정한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아랫부분으로 수분손실이 없어 보습력을 높이고 병해충도 차단되어 배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상면발생 표고버섯 배지 정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먼저 ㉮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가 있어야 하고, 부착포와 1차 배지를 분쇄한 후 적당한 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 틀이나 성형 상자가 필요하다. 이것은 표고버섯 균사의 배양이 완료된 병배지나 봉지배지를 분쇄하여 버섯을 생육하기 위한 배지로 성형함에 있어서, 아래쪽에 부착포를 설치하여 버섯균사가 포위에서 착생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버섯이 발생 되는 조건인 빛과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아래쪽은 버섯발생을 방지하고, 옆면과 상면에서만 버섯이 발생 될 수 있도록 성형하는 것으로 ㉮,㉯,㉰의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인다.
㉮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라 함은 표고버섯 톱밥재배의 병재배 또는 봉지재배의 표고버섯 균사가 배양된 배지를 말하는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중량부로 75~85%)에 밀기울, 미강과 같은 영양제(중량부로 15~25%)를 배합하여 수분을 첨가하고 살균하여 식힌 후,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한 것으로, 종균배양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백색의 표고버섯 균사가 만연된 배지를 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라고 한다.
부착포라 함은 일반 직물, 니트지, 부직포 등을 바탕지로 여기에 빛과 수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바탕지의 한쪽 면에 염화비닐, 나일론, 우레탄의 용액을 칠한 합성피혁(synthetic leather) 또는,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비닐계 합성섬유(vinyl 系 合成纖維)로 제조된 것이다.
한 면, 즉, 배지가 부착되는 면은 돌기 상이거나 인모, 인편이 있거나 또는 직물의 섬유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균사가 용이하게 부착하여 착생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표고버섯 균사는 수많은 뿌리와 같은 모양으로 균사가 자라나, 융합(fusion, 融合)과정에서 직물의 섬유와 결합하여 부착포에 배지가 달라붙어서 단단히 착생 되고, 외부와 단절된 막음 역할로 습기와 빛을 차단하여 이 부분에서는 버섯이 발생 되지 않는다.
㉯-1 부착포의 역할과 사용목적
부착포의 중요한 역할은 표고버섯 배지에 있어서, 부착포가 붙어있는 아래쪽으로는 버섯발생을 방지하는 것이고, 상면 부로만 버섯 발생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아래쪽으로는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배지의 수분 보유력을 높이고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성형 틀이나 성형 상자라 함은 표고버섯을 생육하기 적당한 크기로, 노동력, 경제력, 회수량, 수확기간을 감안하여 무게와 크기를 결정한 후, 배지를 성형하여 모양을 만드는 것으로, 사각이거나 직사각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배지의 크기는 정하여진 것이 아니고 재배자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크기는 2.5~10kg의 배지이다. 또한, 7~14cm의 높이로 만드는 것이 적당하다.
버섯재배 전용 배양 상자(435mm x 435mm x 110mm)일 경우, 바닥 면적에 맞게 부착포를 400mm x 400mm로 재단하여 바닥에 깔고, 분쇄한 배지를 상자 높이 까지 채워서 0.15~0.65g/cm2의 압력으로 눌러 성형한 후, 그대로 상자 안에서 2차 배양을 실시한다.
배양 상자 없이 성형틀을 사용할 경우, 틀 안에 비닐을 깔고 아랫면에 부착포를 넣고 배지를 담아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0.15~0.65g/cm2으로 눌러 성형한 후 비닐을 감싸서 꺼내어 균상위에서 배양을 실시한다.
성형한 배지는 초기에 결합력이 약해서 깨지기 쉬우므로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표고버섯 균사는 호기성 균이므로 배지를 감싸는 비닐은 작은 타공 구멍이 다수 있어서, 배지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3%를 넘지않게 하여야 하고 신선한 공기가 들어가 균사가 호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하여 20~25℃에서 1~2개월 더 배양을 실시하는 것을 2차 배양이라고 한다. 그리하면, 균사가 서로 융합되어 뭉쳐지고 단단히 부착포에 착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를 제조하는 것인데, 다음의 실시예를 순서대로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a)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를 분쇄하는 단계,
(b)분쇄된 배지를 2.5~10kg으로 성형하는데 있어서, 바닥에 부착포를 깔고 그 위에 배지를 충진 해서 부착포에 부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c) 성형한 배지를 2차 배양을 진행하고 부착포에 착생시켜서 갈변하여 표고버섯 상면 발생 배지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으로,
(d)상기 (b), (c)의 부착포는 일반 직물, 니트지, 부직포 등을 바탕지로 한쪽 면에 빛과 수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염화비닐, 나일론, 우레탄의 용액을 칠한 합성피혁(synthetic leather), 또는,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비닐계 합성섬유(vinyl 系 合成纖維) 중 어느 한가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을 각 부호별로 더 상세하게 설명을 덧붙인다.
(a)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를 분쇄하는 단계에서, 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는 병재배 또는, 봉지재배에서 백색의 표고버섯 균사가 만연된 것으로, 갈변이 되기 직전의 배지를 일컫는 것이고, 이 배지를 분쇄하는 것은,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탈병기 또는, 탈봉기를 사용하여 단단히 배양된 배지를 처음과 다른 크기와 무게인 2.5~10kg의 크기로 재 성형하는 것을 목적으로, 병, 봉지 배지로부터 분쇄하여 분리해 내는 것이다.
(b)분쇄된 배지를 2.5~10 kg 으로 성형하는데 있어서, 바닥에 부착포를 깔고 그 위에 배지를 충진 해서 부착포에 부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배지를 성형하는 것은 배지의 크기가 정하여진 것이 아니어서, 버섯 재배자가 임의로 크기와 중량을 결정하여 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무게는 2.5~10kg이다. 더욱 바람직한 크기는 40cm x 40cm로 무게는 5~7kg이다. 또한, 7~14cm의 높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에 부착포를 까는 것은 배지를 부착포에 붙여서 착생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포가 붙어있는 아래쪽으로는 버섯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면 부로만 버섯 발생을 유도하여 고품질의 표고버섯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아래쪽으로는 수분증발을 방지하여 배지의 수분 보유력을 높이고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c) 성형한 배지를 2차 배양을 진행하고 부착포에 착생시켜서 갈변하여 표고버섯 상면 발생 배지를 완성하는 단계에서, 2차 배양은 성형한 배지를 배양실에서 1~2개월 더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배양실의 조건은 50~200luxe의 조명과, 20~25℃의 온도, 실내 이산화탄소 1000~2000ppm의 농도, 상대습도 65~75%의 범위 내에서 관리한다.
이렇게 하면, 균사가 융합되기 시작하여 배양일 수 20일경부터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고, 1 내지 2개월이 지나면 갈변이 완료되고 부착포에 배지가 단단히 착생하게 된다.
또한. 갈변이라고 하는 것은 표고버섯 균사가 배지에 증식, 만연된 후 백색의 균사가 갈색으로 변색하고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갈변은 수분 증발을 방지하며, 병원균의 침입을 차단하는 보호막 역할을 하고, 표고버섯을 발생시키는 중요한 시점 요건으로 갈변 진행 상태를 보고 재배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배지의 갈변은 버섯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시적 신호등과 같다.
이상과 같이, 부착포에 배지가 단단히 착생하고 갈변까지 진행되어 버섯을 상면 부로만 발생시킬 수 있는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가 완성되는 것이다.
(d) 상기 (b), (c)에 있어서, 부착포는 일반 직물, 니트지, 부직포 등을 바탕지로 한쪽 면에 빛과 수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염화비닐, 나일론, 우레탄의 용액을 칠한 합성피혁( synthetic leather )이거나, 합성고무( synthetic rubber ), 비닐계 합성섬유( vinyl 系 合成纖維)인 으로, 한쪽 면, 즉, 균사가 부착되는 면에는 직물의 섬유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거나 융기, 돌기, 인모, 인편 등으로 하여금 표면적이 넓게 제조된 것이어야 한다. 이는, 한정된 단위 면적에 펼쳐진 표면적이 커야 표고버섯 균사가 용이하게 부착하여 착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버섯이 발생 되는 조건인 빛과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0.1~1cm의 두께인 것으로 배지 크기의 밑면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한다.
부착포는 반드시 살균처리를 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각종 병해충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부착포를 재사용할 경우도 반드시 세탁 후 살균하여야 한다. 살균하는 방법은, 버섯 배지를 살균할 때 부착포를 살균 솥에 넣어 병행할 수 있고, 별도로 할 경우는 스팀을 이용하여 살균 온도 98℃에서 4~5시간, 또는 1.2기압으로 121℃에서 90분간으로 한다.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부착포.
2: 부착포에 착생된 표고버섯 배지.
3: 표고버섯.

Claims (2)

  1. (a)1차 배양된 표고버섯 배지를 분쇄하는 단계;
    (b)분쇄된 배지를 2.5~10kg으로 성형하는데 있어서, 바닥에 부착포를 깔고 그 위에 배지를 충진 해서 부착포에 부착하여 성형하는 단계;
    (c) 성형한 배지를 2차 배양을 진행하고 부착포에 착생시켜서 갈변하여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착포는 일반 직물, 니트지, 부직포를 바탕지로 한쪽 면에 빛과 수분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염화비닐, 나일론, 우레탄의 용액을 칠한 합성피혁이든지 또는, 합성고무, 비닐계 합성섬유 중 어느 한가지로 제조된 것으로 두께 0.1~1cm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KR1020130031353A 2013-03-25 2013-03-25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KR10138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53A KR101382018B1 (ko) 2013-03-25 2013-03-25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53A KR101382018B1 (ko) 2013-03-25 2013-03-25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018B1 true KR101382018B1 (ko) 2014-04-04

Family

ID=5065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53A KR101382018B1 (ko) 2013-03-25 2013-03-25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93B1 (ko) 2015-07-10 2016-06-21 김태형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870566B1 (ko) 2017-03-31 2018-06-22 강현성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10A (ko) * 2002-01-30 2003-08-09 차상열 버섯균사보호막을 이용한 버섯재배방법
KR100540790B1 (ko) 2002-11-26 2006-01-10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표고버섯 및 식용버섯의 단기, 다수확 인공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10A (ko) * 2002-01-30 2003-08-09 차상열 버섯균사보호막을 이용한 버섯재배방법
KR100540790B1 (ko) 2002-11-26 2006-01-10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표고버섯 및 식용버섯의 단기, 다수확 인공재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393B1 (ko) 2015-07-10 2016-06-21 김태형 표고버섯 재배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870566B1 (ko) 2017-03-31 2018-06-22 강현성 측,하면 버섯발생이 억제된 표고버섯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8412B (zh) 一种兰花栽培方法
CN104823702A (zh) 一种猴头菇栽培方法
CN106489735B (zh) 冰菜种子和茎段组织培养的方法
CN104221704A (zh) 一种木耳挂袋栽培的方法
WO2015003548A1 (zh) 一种在室内培殖虫草的方法
KR101382018B1 (ko) 표고버섯의 상면발생 배지 제조방법
CN206078287U (zh) 一种藤蔓类植物拱形支架
AU2005211282A1 (en) Method of producing young moss seedlings, method of producing moss mat and young moss seedlings
CN102960249B (zh) 一种利用朝鲜崖柏嫩茎段试管内生根和生长同步的高效育苗方法
CN106747817A (zh) 剑麻漂浮育苗用营养液及剑麻漂浮育苗方法
KR102505187B1 (ko) 이끼 생장 장치
Kitta et al. Photosynthetic acclimation of sweet pepper plants to screenhouse conditions
KR20160040531A (ko) 인공 식물들을 위한 제조 방법 및 인공 식물들
KR20120000865A (ko) 개량된 송이 감염묘법
KR101667853B1 (ko) 표고 버섯 재배 방법
CN104488473B (zh) 野生石崖茶人工驯化栽培方法
CN110024575A (zh) 一种优美大树冠乔木丝绵木的快速成形培育方法
CN108293583A (zh) 野生牛樟芝的人工培育方法及设备
CN204518681U (zh) 一种植物种植的培育设备
CN104106454B (zh) 一种利用8孔水泥砖作为载体种植铁皮石斛的方法
CN203735121U (zh) 一种树桩、弓棚、平菇复合体
CN105684827A (zh) 一种林木治霾的营林方法
CN205511020U (zh) 一种室外菌菇种植架
CN103858672A (zh) 一种树桩、弓棚、平菇复合体
ES2435458B1 (es) Método para fabricar productos conformados a partir de subproductos del cultivo de hongos y material obtenible por dicho meto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