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942B1 - 복합 배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복합 배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942B1
KR101381942B1 KR1020087027915A KR20087027915A KR101381942B1 KR 101381942 B1 KR101381942 B1 KR 101381942B1 KR 1020087027915 A KR1020087027915 A KR 1020087027915A KR 20087027915 A KR20087027915 A KR 20087027915A KR 101381942 B1 KR101381942 B1 KR 10138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diaphragm
flange
duct
inn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676A (ko
Inventor
빈센트 레로이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씨스뗌 데샤쁘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씨스뗌 데샤쁘망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씨스뗌 데샤쁘망
Publication of KR2009002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기 매니폴드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순환 포트를 갖는 외측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배기 매니폴드로서, 상기 외측 엔벨로프는, 외측 쉘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순환 포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및 상기 외측 엔벨로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순환 포트를 통하여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덕트(31);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덕트(31)는, 상기 내부 덕트의 길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스가 투과할 수 없고, 탄성적 방식으로 반경 및 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내부 덕트(31)와 상기 외측 엔벨로프(18) 사이에서 상기 내부 덕트(3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외측면에서 상기 외측 엔벨로프(18)와 상기 내부 덕트(20, 3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관형 가로막(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니폴드, 가로막, 세라믹, 덕트, 가스, 순환, 견고

Description

복합 배기 매니폴드{Composite exhaust manifold}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배기라인을 위한 배기 매너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순환 오리피스를 갖는 외측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배기 매니폴드이며, 상기 외측 엔벨로프는, 외측 쉘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순환 오리피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및 상기 외측 엔벨로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순환 오리피스를 통하여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덕트;를 포함하는 유형의 배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열기관을 구비한 차량들에는 촉매정화부재 및/또는 입자필터와 같은 오염제어 부재들을 포함하는 배기라인들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한 오염제어 부재들의 만족스러운 작동이 가능해지기 위해서 배기가스들에 의해 그것들이 고온에 도달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기라인에서 그리고 특히 열기관의 출구를 제1 오염제어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매너폴드에서 지나치게 큰 열손실을 피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여러 가지 해결책들이 고안되었다. 특히, 에어 스페이스(air space) 또는 절연 물질에 의해 내부 덕트들로부터 분리된 외측 쉘에서 유지되는 내부 덕트들을 포함하는 매너폴드들이 지나치게 큰 열손실을 피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 다.
그러한 매너폴드들은, 열기관의 실린더헤드에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를 포함하며, 그곳에서 한편으로는 상기 내부덕트들을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외측 쉘을 지지한다. 상기 외측 쉘에는 배출 플랜지가 또한 고정되며, 상기 배출 플랜지는 배기라인의 나머지 그리고 특히 터보압축기의 조립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형의 조립체의 견고성(tightness)은 상기 외측 쉘을 상기 실린더헤드 플랜지 및 배출 플랜지에 견고하게 용접함으로써 보장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으로 내부 덕트들과 플랜지들, 특히 배출 플랜지 사이에서 만족스러운 견고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와 같은 견고성은, 내부 덕트들과 외측 쉘 사이에 물질이 사용될 때 특히 세라믹 섬유들에 기초한 절연 물질들 또는 고정 부재들의 경우에 있어, 엔진 또는 배기라인 특히 터보 압축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물질의 전부 또는 일부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상기 내부 덕트들과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결합 및 견고성은 달성하기 까다로운데, 그 이유는 내부 덕트들과 외측 쉘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상이한 팽창들 특히 축 방향 팽창들 때문이다. 사실상 외측 쉘과 내부 덕트들을 실린더헤드 및 배출 플랜지들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덕트들과 배출 플랜지들 사이의 만족스러운 결합 및 만족스러운 견고성을 갖는 배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린더헤드 플랜지 영역에서의 견고성은 만족스러운 상황에 있으며 상기 플랜지와의 결합도 단단한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 덕트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단단한 결합에 관련함 없이 상기 배출 플랜지 상에서의 만족스러운 견고성을 달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 덕트들이 밀봉 방식으로 특히 하나의 배출 덕트로 함께 취급되는 배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여러 덕트들 사이에 실링 부재를 접촉 결합에 의해 추가함에 의해, 또는 예로써 개스킷(gasket)의 도움을 받으며, 덕트들을 상기 플랜지까지 분리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덕트가, 상기 내부 덕트의 길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를 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스가 투과할 수 없고, 탄성적 방식으로 반경 및 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내부 덕트와 상기 외측 엔벨로프 사이에서 상기 내부 덕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외측면에서 상기 외측 엔벨로프와 상기 내부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관형의 가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매니폴드에 관련된 것이다.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매니폴드는 다음과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 상기 외측 엔벨로프는, 외측 쉘; 및 상기 외측 쉘에 연결되며 상기 가스 순환 오리피스의 경계를 한정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 상기 가로막은 외측면에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내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 상기 가로막은 외측면에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내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 상기 가로막은, 한편으로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내부 덕트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위한 관형 영역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내부 덕트 중 다른 하나에 받쳐지기 위한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스커트를 포함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내부 덕트 중 상기 다른 하나에 대향하여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반경 방향의 압력 하에 고정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내부 덕트의 중심을 향하여 대향하는 작용력에 의해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둘러싸며 가압하는 탄성 링을 포함한다.
-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둘러싸면서, 상기 내부 덕트에 대향하여 상기 관형 프로파일에 중심을 향한 작용력을 가하며, 상기 작용력의 강도는 상기 내부 덕트와 상기 외측 쉘 사이의 공간의 배출 압력의 강도보다 작다.
- 상기 프로파일은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관형 채널을 형성한다.
- 상기 채널은, 상기 채널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하나의 개구의 경계를 한정하는 두 개의 수렴 엣지들을 갖는다.
- 상기 가로막은 벨로우즈로 형성된다.
- 상기 가로막은 대체적으로 테이퍼져 있다.
- 상기 가로막은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포함한다.
- 상기 가로막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 상기 외측 쉘과 상기 내부 덕트 사이에 한정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충전 물질을 포함한다.
- 상기 가로막은 외측면에서 상기 외측 엔벨로프와 결합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써 주어진 그리고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들로부터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배출 플랜지와 함께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매니폴드의 부분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배기 매니폴드와 배출 플랜지의 연결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매니폴드 및 배출 플랜지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배기 매니폴드(12)와 결합된 열기관(10)을 도시한다. 상기 열기관은 예를 들어 4개의 실린더들을 포함하며, 실린더들 각각은 상기 열기관의 실린더 헤드(15)를 통하도록 구비되는 배기 출구를 형성하는 밸브 덕트(14)를 갖는다.
상기 4개의 출구들(14)은 실린더 헤드의 동일 평면(16)에서 개방되며, 그 평면 상에 배기 매니폴드(12)의 입구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12)는 밀봉된 외측 엔벨로프(envelope)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엔벨로프 내에는 배기 가스들을 배출하기 위한 내부 덕트들을 형성하는 4개의 튜브들(20)이 수용된다. 각각의 튜브는 열기관(10)의 실린더의 하나의 배기 출구와 연결된다.
세라믹 섬유들로 이루어진 층에 의해 형성된 홀딩 물질 및/또는 단열 물질이 상기 엔벨로브(18)와 상기 튜브들(20) 사이에 형성된 공간(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운다.
상기 엔벨로프(18)는, 상기 튜브들(20)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외측 쉘(22), 상기 매니폴드를 상기 기관의 실린더 헤드(15)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24), 및 상기 매니폴드를 배기라인의 나머지 부분 특히 터보압축기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배출 플랜지(25)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쉘(22)은, 예를 들어, 중앙주변 용접(median peripheral weld)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금속성 반쪽 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쉘은 상기 플랜지(24)로부터 배출 플랜지(25)가 장착된 단부를 향하여 수렴하는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상기 플랜지(24)는 상기 기관의 배기 출구들(14)과 대향 배치된 4 개의 유입 오리피스들(24A: inlet orifice)을 갖는 단단한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것은 또한 매니폴드를 실린더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들의 통로가 되는 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튜브(20)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오리피스(24A)를 통하여 플 랜지(24)를 통과한다.
상기 배기 플랜지(25)는 특히 터보압축기에의 받쳐짐을 위한 표면(25A) 및 반대편의 내측 표면(25B)을 형성하는 주(main) 외측면을 가지며, 이들 두 표면(25A, 25B) 사이에는 관통 오리피스(27)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쉘(22)은 외측 용접(28)에 의해 상기 내측 표면(25B)에 고정된다.
상기 내부 튜브들(20)은, 예로써 특허출원 US-6,134,881, US-6,161,379, US-6,725,656 및 WO-2004/106705에 기술된, 세라믹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물질들은, 무기성 폴리머에 기초하며 세라믹 섬유들인 것이 바람직한 섬유들에 의해 강화된 복합 매트릭스(composite matrix)를 포함한다. 그러한 물질들은, 낮은 열적 관성(thermal inertia),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에 비하여 낮은 열적 팽창, 배기시 존재하는 고온 가스의 흐름과 자동차의 진동 응력 특성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물성들, 및 마지막으로, 내연기관을 빠져나가는 고온 가스에 대한 고온 저항성에 기하여, 특히 적합성을 갖는다.
상기 튜브들(20)의 작동부에서의 두께는 0.4 내지 1.2 mm이다. 그것들은, 상기 엔벨로프의 출구를 형성하는 실질적인 관형 부분(30)을 통하여 상기 매니폴드의 배출 플랜지(25) 영역에서 개방된 한 다발의 튜브들을 이루기 위해, 상기 매니폴드의, 실린더 각각에 대응하는 유입 오리피스(24A)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수렴한다.
상기 튜브들(20)은 바람직하게는 그것들의 길이 전체에 걸쳐 상호 독립적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배출 영역(30)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것들은 그것들의 하류 단부 영역에서 상기 영역(30)을 가로지르는 동일 평면에서 모두 개방되어 있 다. 그리하여, 각각의 튜브는 4분-디스크(quarter-disk)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튜브들은 갈래진 영역에서 미리 만나서 하나의 배출 오리피스를 도출하는 단편의 다발(one-piece bundl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튜브들(20)은, 배출 덕트(31)를 형성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수렴 영역에서 개방된다.
상기 4개의 튜브들 및 상기 배출 덕트(31)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금속 격자(metal lattice)로 이루어진 링에 의해 형성된 실(32: seal)에 의해 상기 영역(30)에서 방사상의 위치(radial position)에 유지된다.
상기 덕트(31)는 상기 오리피스(27)를 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25)의 두께에 걸쳐 개방된다.
유리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에 불투과성이며 탄성 방식에 의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가로막(34)이 상기 배출 덕트(31)와 상기 배출 플랜지(25)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로막(34)은 상기 덕트(31)를 둘러싸며 상기 플랜지(25)와 상기 배출 덕트(3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막(34)은, 예를 들어, 접착 결합에 의해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그것은 단부 칼라(36: end collar)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가로막은, 예를 들어, 관련된 상기 오리피스(27)의 외측에서 상기 플랜지의 내측 평면(25B)에 용접된다. 이에 따라 그것은 상기 플랜지의 상기 내측면에 대해 가압된 스커트(38: skirt)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덕트(31)에 결합된 상기 가로막(34)의 단부는 상기 플랜지(25) 및 상기 오리피스(27)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가로막(3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25)로부터 상기 배출 덕트(31)를 향하여 수렴하는 대체적으로 테이퍼진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진 벽은, 각도상으로 오프셋되어 있으며 아코디언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일련의 테이퍼진 면들을 갖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벨로우즈(bellows) 형상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벨로우즈는 0.1 내지 0.2 mm 씩 감소되는 두께를 갖는 스탬프된(stamped)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실질적인 밀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막은 바람직하게는, 상호벽 공간(inter-wall space: 21) 내에서 회피되어야 할 과도 압력을 허용하는 조정 배출공(calibrated discharge vent)을 갖는다. 이러한 배출공은, 상기 상호벽 공간의 외측에 있는 어떠한 섬유들이 특히 상기 엔진 또는 상기 터보압축기를 향하여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공기의 순환을 허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가로막(34)은, 한편으로는 상기 배기라인 특히 상기 터보압축기와 상기 플랜지(25) 사이의 견고성(tightness)을,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플랜지925)와 상기 배출 덕트(31) 사이의 견고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배기가스들은 상기 덕트들(20)과 상기 외측 엔벨로프(22) 사이에 한정된 상기 상호벽 공간(21)에서 순환하지 않는다.
상기 튜브들(20)은 세라믹 재질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아주 작은 팽창만이 가능하며, 이는 상기 튜브들과 상기 배출 플랜지 사이의 매우 정밀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상기 튜브들(20)을 구성하는 세라믹은 우수한 단열재이므로 배출가스들의 열 중 매우 적은 양이 고체성의 플랜지(25)로 전달되며, 이는 열의 상당 부분이 상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안내되는 것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매니폴드의 하류에 배치되는 촉매 정화 부재 또는 입자 필터와 같은 오염 조절 부재들의 만족스러운 동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3은 플랜지(25)와 배출 덕트(31) 사이의 결합의 일 변형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4로 가리켜지는 가로막은 플랜지(25)에 그 내측면(25B)을 따라 결합되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가압될 뿐이다. 그리하여, 가로막(44)은, 플랜지(25)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가압되는 관형의 결합영역(48), 및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서의 받쳐짐을 위한 관형의 프로파일(50)을 갖는 금속 스커트(46)를 포함한다. 상기 스커트(46)의 단면은 대체적으로 크로스(cross) 또는 의문(question) 마크의 형상이다.
상기 관형의 프로파일(50)은 관련 배출 덕트(31)의 반대편 외측으로 개방된 채널(52)의 경계를 한정한다. 상기 채널(52)은 수렴 엣지들(converging edges: 54)을 가짐으로써, 상기 채널의 개구의 폭은 상기 채널(52)의 최대폭보다 작다.
탄성 링에 의해 형성된 관형의 탄성부재(56)가 상기 채널(52) 내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탄성부재(56)는 상기 관형의 받침 프로파일의 중심을 향하는 힘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상기 채널(52)의 저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링(56)은 예를 들어 금속 래티스(metal lattice)에 의해 형성되 며, 휴지기 때에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플랜지는 내측면 부근에서 상기 오리피스(27)를 국부적으로 확장하는 카운터보어(counterbore: 58)을 갖는다. 상기 관형의 받침 프로파일(50) 및 상기 탄성 링(56)은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카운터 보어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가로막(44)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관형영역(48)은 용접선(60)에 의해 그것의 외주에서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25B)에 용접된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여기 기술되는 구조는, 상기 받침 프로파일(50)이 상기 배출 덕트(31)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가압되도록 유지된다는 사실에 비추어, 상기 매니폴드의 엔벨로프의 내측 및 외측 사이의 견고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상기 매니폴드 내에 과도한 압력이 존재한다면, 상기 가로막(44)은 원심분리기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이러한 경우 과도한 압력의 원인이 된 가스가 상기 배출 덕트(31)와 상기 가로막 사이를 빠져나간다.
이에, 탄성 링(56)은 상기 내부 덕트의 중심을 향한 작용력을 가하며, 그 작용력의 강도는 상기 내부 덕트 및 상기 외측 쉘 사이의 공간의 배출 압력의 강도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히 플랜지가 없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플랜지(25)보다는 상기 외측 쉘(22)에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엔벨로프(22)의 조립체는 반드시 밀봉되지 않는다. 예로써, 반쪽 쉘들이 단지 기계적 고정만을 보장하면서 불연속적인 중앙주 변 용접(median peripheral weld)에 의해 조립된다. 실린더헤드 플랜지(24)의 조립체 및 상기 외측 엔벨로프(22) 상의 배출 플랜지(25)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다른 설치 방안들은 특히 매니폴드의 견고성 측면에서 유리한 해결책들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상호벽 공간 내에 배치되는 고정 또는 단열 물질이 보호된다.

Claims (18)

  1. 외측 쉘, 상기 외측 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 플랜지로서 연소 엔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스 유입 오리피스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유입 플랜지,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오리피스, 및 상기 외측 쉘에 연결되며 각각의 가스 배출 오리피스의 경계를 한정하는 배출 플랜지를 포함하는 외측 엔벨로프;
    상기 외측 엔벨로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 오리피스를 통해 개방된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 및
    가스가 투과할 수 없고, 탄성적 방식으로 반경 및 축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며, 각각의 내부 덕트와 상기 외측 엔벨로프 사이에서 각각의 내부 덕트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관형 가로막;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가로막은 상기 배출 플랜지와 각각의 내부 덕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형 가로막의 외주는 상기 외측 엔벨로프와 각각의 내부 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는 상기 내부 덕트의 길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이 세라믹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출 오리피스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배기 매니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막의 외주는 상기 외측 엔벨로프와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배기 매니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상기 배출 플랜지와 상기 각각의 내부 덕트 중 어느 하나와의 결합을 위한 관형 영역, 및 상기 배출 플랜지와 상기 각각의 내부 덕트 중 다른 하나에 받쳐지기 위한 관형 프로파일을 갖는 스커트; 및
    상기 배출 플랜지와 상기 각각의 내부 덕트 중 상기 다른 하나에 대향하여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반경 방향의 압력 하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형의 프로파일에 대향하여 가압되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스커트와는 다른 부분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기 매니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의 중심을 향하여 대향하는 작용력에 의해,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둘러싸며 가압하는 탄성 링을 포함하는, 배기 매니폴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프로파일을 둘러싸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에 대향하여 상기 관형 프로파일에 중심을 향한 작용력을 가하며,
    상기 작용력의 강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와 상기 외측 쉘 사이의 공간의 배출 압력의 강도보다 작은, 배기 매니폴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관형 채널을 형성하는, 배기 매니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채널은, 상기 관형 채널의 최대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하나의 개구의 경계를 한정하는 두 개의 수렴 엣지들을 갖는, 배기 매니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벨로우즈로 형성되는, 배기 매니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대체적으로 테이퍼진, 배기 매니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와 상기 외측 쉘 사이의 공간 내의 과도 압력을 피하기 위해 통풍되는, 배기 매니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배기 매니폴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쉘과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덕트 사이에 한정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은 충전 물질을 포함하는, 배기 매니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의 외주는 상기 외측 엔벨로프와 결합되는, 배기 매니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성인, 배기 매니폴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가로막은 상기 배출 플랜지에 단단히 고정된, 배기 매니폴드.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단면은 대체적으로 물음표 형상인, 배기 매니폴드.
KR1020087027915A 2006-04-14 2007-03-28 복합 배기 매니폴드 KR101381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3372 2006-04-14
FR0603372A FR2899933B1 (fr) 2006-04-14 2006-04-14 Collecteur d'echappement composite
PCT/FR2007/000533 WO2007118969A1 (fr) 2006-04-14 2007-03-28 Collecteur d'echappement compos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76A KR20090024676A (ko) 2009-03-09
KR101381942B1 true KR101381942B1 (ko) 2014-04-07

Family

ID=3694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915A KR101381942B1 (ko) 2006-04-14 2007-03-28 복합 배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5506B2 (ko)
JP (1) JP5350221B2 (ko)
KR (1) KR101381942B1 (ko)
DE (1) DE112007000864B4 (ko)
FR (1) FR2899933B1 (ko)
WO (1) WO2007118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6692B2 (en) * 2005-01-31 2010-11-23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Exhaust line element provided with a turbocompressor
US10508583B2 (en) 2012-08-30 2019-12-17 Bosal Emission Control Systems Nv Composite exhaust element
CN203403936U (zh) * 2013-08-21 2014-01-2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歧管
CA2919143C (en) * 2014-07-16 2017-10-24 Iq Energy Inc. Process for treating waste feedstock and gasifier for same
KR20170111815A (ko) * 2016-03-29 201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기매니폴드
US11208934B2 (en) 2019-02-25 2021-12-28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xing exhaust gas and reducta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046A (en) * 1998-04-20 2000-12-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at-insulation type exhaust manifold
WO2005091902A2 (en) * 2004-03-03 2005-10-06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Highly insulated exhaust manifol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6870B1 (fr) * 1984-06-28 1986-11-28 Amri Dispositif d'etancheite destine a assurer l'etancheite amont/aval d'un obturateur
DE3427998A1 (de) * 1984-07-28 1986-01-30 Witzenmann GmbH, Metallschlauch-Fabrik Pforzheim, 7530 Pforzheim Abgasleitung fuer kraftfahrzeugmotoren
DE3503148A1 (de) * 1985-01-31 1986-08-14 Witzenmann GmbH, Metallschlauch-Fabrik Pforzheim, 7530 Pforzheim Anordnung zur gelenkigen, dichten verbindung von mehrflutigen leitungen
JPS6249612U (ko) * 1985-09-17 1987-03-27
JPH01280616A (ja) * 1988-05-02 1989-11-10 Ngk Insulators Ltd 内燃機関排気チャネル用の断熱セラミック鋳ぐるみ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239956A (en) * 1991-06-07 1993-08-31 Detroit Diesel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ylinder heads and similar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5505498A (en) * 1994-05-16 1996-04-09 Eg&G Pressure Science, Inc. Flexible pressure-energized joint
JPH0828257A (ja) * 1994-07-11 1996-01-30 Toyota Motor Corp 二重排気管
JPH08189349A (ja) * 1994-12-28 1996-07-23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二重排気管
JP3572751B2 (ja) * 1995-10-27 2004-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重構造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H09236014A (ja) * 1996-02-29 1997-09-09 Isuzu Motors Ltd 遮熱マニホルド
JPH10115219A (ja) * 1996-10-09 1998-05-06 Honda Motor Co Ltd 多気筒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US5842342A (en) 1997-02-21 1998-12-01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Fiber reinforced ceramic matrix composit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ake/exhaust port liners
US6161379A (en) 1998-12-17 2000-12-19 Caterpillar Inc. Method for supporting a ceramic liner cast into metal
US6725656B2 (en) 2001-12-07 2004-04-27 Dan T. Moore Company Insulated exhaust manifold
DE10325030B4 (de) 2003-06-02 2012-09-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bga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046A (en) * 1998-04-20 2000-12-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Heat-insulation type exhaust manifold
WO2005091902A2 (en) * 2004-03-03 2005-10-06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Llc Highly insulated exhaust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1528A1 (en) 2009-10-01
JP5350221B2 (ja) 2013-11-27
JP2009533596A (ja) 2009-09-17
FR2899933B1 (fr) 2008-07-04
US8245506B2 (en) 2012-08-21
KR20090024676A (ko) 2009-03-09
DE112007000864B4 (de) 2018-01-18
FR2899933A1 (fr) 2007-10-19
DE112007000864T5 (de) 2009-02-19
WO2007118969A1 (fr)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42B1 (ko) 복합 배기 매니폴드
US6604358B2 (en) Exhaust manifold
JP5137817B2 (ja) ダブルシェル式マニホルド
EP2340364B1 (en) Exhaust flow insulator for an exhaust system device
JP5577264B2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KR101639345B1 (ko) 배기가스 터보차저
US20050150222A1 (en) One piece catalytic converter with integral exhaust manifold
WO2017078088A1 (ja) タービンハウジング
KR20080007661A (ko) 공기 간극 단열식 자동차 배기 덕트
US20180112623A1 (en) Cylinder Head with Connected Exhaus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205778B1 (en) Exhaust pipe assembly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531994A (ja) 排ガス設備の排ガス装置、特にモジュール構成形式の自動車触媒装置
US11015612B2 (en) Turbine housing
JP2007278221A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シール構造に使用されるガスケット
US4807436A (en) Arrangement for the mounting of exhaust gas lines
US6474697B2 (en) Exhaust elbow
US9410470B2 (en) Exhaust manifold
US20070170661A1 (en) Fire ring seal
WO2019168017A1 (ja) 排気浄化構造
JPH0610153Y2 (ja) 静圧形排気管
JP2019199853A (ja) タービンハウジング
CN217029077U (zh) 用于分段式歧管的柔性连接结构
GB2571270A (en) Exhaust manifold assembly
JP2019027396A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
JP2020041440A (ja) 内燃機関の排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