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200B1 -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200B1
KR101381200B1 KR1020120148298A KR20120148298A KR101381200B1 KR 101381200 B1 KR101381200 B1 KR 101381200B1 KR 1020120148298 A KR1020120148298 A KR 1020120148298A KR 20120148298 A KR20120148298 A KR 20120148298A KR 101381200 B1 KR101381200 B1 KR 10138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phone
amplifier
sound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텍 filed Critical (주)드림텍
Priority to KR102012014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Processing of the speech or voice signal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크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MIC}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이크(마이크로폰)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폰(Microphone)은 음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로 동작 원리에 따라 다이내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 그 외에 압전 현상을 이용한 압전 마이크, 탄소 입자의 접촉 저항을 이용한 카본 마이크, 음압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무지향성 압력 마이크, 음의 입자 속도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양지향성 속도 마이크 등이 있으며, 지향 특성에 따라서는 무지향성 마이크와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 구분한다.
통상 마이크로폰은 휴대폰, 노트북, 핸즈프리용 마이크, 외에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소형의 마이크로폰은 주로 소형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마이크 기능을 하지만 음질과 성능 측면에서는 개선점이 많다.
일례로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음성 샘플링 시 마이크의 주파수별 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이렇게 마이크로폰의 동작이 적정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 없었으므로 마이크로폰의 감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마이크로폰의 통화 품질 저하와 인식률 저하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없었으므로 마이크로폰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 않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의 감도 측정이 필요하며, 나아가 마이크로폰의 왜곡이나 소모전류에 대한 측정도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323호(발명의 명칭: 마이크로폰의 감도 측정 방법, 공개일자: 2010년 11월 9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전류센서 및 신호증폭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신호증폭기 및 변환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감도 및 음 왜곡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크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는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제2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MS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RMS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는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제3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하는 FFT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FFT 변환기는 상기 오디오 앰프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 출력 신호(원음)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기는 일정 단위로 10 ~ 20,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상기 오디오 신호로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방법은 신호 발생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오디오 앰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스피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에 인접 배치된 마이크에서, 마이크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단계; 전류센서에서, 상기 마이크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단계; 제1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마이컴에서, 상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방법은 제2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RMS 변환기에서, 상기 제2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RMS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방법은 제3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FFT 변환기에서, 상기 제3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방법은 상기 FFT 변환기에서, 상기 오디오 앰프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 출력 신호(원음)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기는 일정 단위로 10 ~ 20,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상기 오디오 신호로서 발생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전류센서 및 신호증폭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신호증폭기 및 변환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감도 및 음 왜곡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 시험 장치(100)는 신호 발생기(110), 오디오 앰프(120), 스피커(130), 마이크(140), 마이크 전원공급부(150), 전류센서(160), 제1 신호 증폭기(165), 마이컴(170), 제2 신호 증폭기(175), RMS 변환기(180), 제3 신호 증폭기(185), 및 FFT 변환기(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앰프(1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오디오 신호의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마이컴(170)으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10 ~ 20,000Hz까지 오디오 대역의 주파수 및 다양한 크기의 진폭을 가진 파형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 성능 검사의 대표적인 주파수인 1KHz에 국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앰프(120)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 앰프(120)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기(110)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오디오 앰프(120)와 연결된다.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오디오 앰프(120)로부터 상기 증폭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140)는 시험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130)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13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이크 전원공급부(150)는 상기 마이크(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140)는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류센서(160)는 상기 마이크(140)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한다.
이처럼 상기 전류센서(160)는 상기 마이크(140)가 동작 상태일 때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지만, 또 달리 상기 마이크(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신호 증폭기(165)는 상기 전류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상기 제1 신호 증폭기(165)는 상기 마이크(140)가 동작 상태일 때 소모되는 전류량의 신호(제1 감지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또 달리 상기 마이크(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 소모되는 전류량의 신호(제2 감지 신호)를 증폭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증폭된 신호(제1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140)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증폭된 신호(제2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14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는 상기 마이크(140)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는 상기 마이크(140)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RMS 변환기(180)는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RMS 변환기(180)는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RMS 변환기(180)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140)의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는 상기 마이크(140)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는 상기 마이크(140)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FFT 변환기(190)는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와 연결되고,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한다.
즉, 상기 FFT 변환기(190)는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의 출력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성분 및 각 주파수 성분별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FFT 변환기(19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FFT 변환기(190)는 상기 오디오 앰프(120)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 출력 신호(원음)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17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FFT 변환기(190)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마이크(140)의 왜곡 정도의 측정값을 미리 설정(저장)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를 평가하여 상기 측정값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측정값 및 평가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10)에서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마이크(17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단계(220)에서 상기 오디오 앰프(120)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230)에서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상기 마이크(140)는 상기 마이크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상기 스피커(13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140)는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130)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250)에서 상기 전류센서(160)는 상기 마이크(140)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단계(260)에서 상기 제1 신호 증폭기(165)는 상기 전류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한다.
다음으로, 단계(270)에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140)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마이크(17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오디오 앰프(120)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330)에서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340)에서 상기 마이크(140)는 상기 마이크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상기 스피커(13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350)에서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는 상기 마이크(140)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한다.
다음으로, 단계(360)에서 상기 RMS 변환기(180)는 상기 제2 신호 증폭기(17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단계(370)에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RMS 변환기(180)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140)의 감도를 측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마이크(17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오디오 앰프(120)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에 의해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스피커(130)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마이크(140)는 상기 마이크 전원공급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상기 스피커(130)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는 상기 마이크(140)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한다.
다음으로, 단계(460)에서 상기 FFT 변환기(190)는 상기 제3 신호 증폭기(18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단계(470)에서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FFT 변환기(19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오디오 앰프(120)의 출력 신호(원음)를 상기 FFT 변환기(190)를 통해 입력받아(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원음을 입력받음)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70)은 상기 FFT 변환기(190)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140)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전류센서 및 신호증폭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의 출력 신호(소리)를 입력받아 신호증폭기 및 변환기를 거쳐 마이컴으로 전달함으로써, 마이컴에서 마이크의 감도 및 음 왜곡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신호 발생기
120: 오디오 앰프
130: 스피커
140: 마이크
150: 마이크 전원공급부
160: 전류센서
165: 제1 신호 증폭기
170: 마이컴
175: 제2 신호 증폭기
180: RMS 변환기
185: 제3 신호 증폭기
190: FFT 변환기

Claims (10)

  1.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앰프;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에 전원을 공급하는 마이크 전원공급부;
    상기 마이크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제1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마이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제2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RMS 변환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RMS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제3 신호 증폭기; 및
    상기 제3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하는 FFT 변환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FT 변환기는
    상기 오디오 앰프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 출력 신호(원음)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일정 단위로 10 ~ 20,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상기 오디오 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장치.
  6. 신호 발생기에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오디오 앰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스피커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응답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
    시험 대상으로서 상기 스피커에 인접 배치된 마이크에서, 마이크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단계;
    전류센서에서, 상기 마이크에 상기 소리가 입력되면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단계;
    제1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해 감지된 전류량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마이컴에서, 상기 제1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동작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RMS 변환기에서, 상기 제2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RMS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크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3 신호 증폭기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의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FFT 변환기에서, 상기 제3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FFT(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및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에서,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FT 변환기에서, 상기 오디오 앰프로부터 상기 오디오 신호의 증폭 출력 신호(원음)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원음을 기준값으로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FFT 변환기의 분석 결과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원음 대비 상기 마이크의 출력 신호의 왜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일정 단위로 10 ~ 20,000Hz 사이의 주파수를 상기 오디오 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시험 방법.
KR1020120148298A 2012-12-18 2012-12-18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138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98A KR101381200B1 (ko) 2012-12-18 2012-12-18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98A KR101381200B1 (ko) 2012-12-18 2012-12-18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200B1 true KR101381200B1 (ko) 2014-04-04

Family

ID=5065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98A KR101381200B1 (ko) 2012-12-18 2012-12-18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7654A (zh) * 2017-07-05 2017-10-20 深圳市捷高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麦克风背景噪音消除的方法
CN109104685A (zh) * 2018-09-01 2018-12-2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麦克风温度特性试验测试系统
CN110595612A (zh) * 2019-09-19 2019-12-20 三峡大学 电力设备噪声采集装置传声器灵敏度自动校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700A (ja) * 2003-02-25 2004-12-02 Akg Acoustics Gmbh アレイマイクロホンのセルフキャリブレーション
KR100787012B1 (ko) * 2005-01-06 2007-12-18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공급 회로, 전원 회로, 그것을 이용한 마이크로폰유닛, 및 마이크로폰 유닛 감도 조정 방법
JP2010041638A (ja) * 2008-08-08 2010-02-18 Panasonic Corp マイクロホン装置の検査装置
KR20110009150A (ko) * 2008-04-15 2011-01-27 에프코스 피티이 엘티디 집적된 자체 테스트 회로를 구비하는 마이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700A (ja) * 2003-02-25 2004-12-02 Akg Acoustics Gmbh アレイマイクロホンのセルフキャリブレーション
KR100787012B1 (ko) * 2005-01-06 2007-12-18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전압 공급 회로, 전원 회로, 그것을 이용한 마이크로폰유닛, 및 마이크로폰 유닛 감도 조정 방법
KR20110009150A (ko) * 2008-04-15 2011-01-27 에프코스 피티이 엘티디 집적된 자체 테스트 회로를 구비하는 마이크 어셈블리
JP2010041638A (ja) * 2008-08-08 2010-02-18 Panasonic Corp マイクロホン装置の検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7654A (zh) * 2017-07-05 2017-10-20 深圳市捷高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麦克风背景噪音消除的方法
CN109104685A (zh) * 2018-09-01 2018-12-28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麦克风温度特性试验测试系统
CN109104685B (zh) * 2018-09-01 2024-01-16 潍坊歌尔微电子有限公司 一种麦克风温度特性试验测试系统
CN110595612A (zh) * 2019-09-19 2019-12-20 三峡大学 电力设备噪声采集装置传声器灵敏度自动校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071B2 (en) Reducing audio distortion in an audio system
JP5352634B2 (ja) 入力装置
CN104683927B (zh) 确定扬声器音圈温度的方法和装置
CN108989952A (zh) 声处理器
US201502081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orce factor of loudspeaker
CN103297889B (zh) 入耳式耳机
US8913752B2 (en) Audio signal measurement method for speake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peaker
EP210616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detection and attenuation of periodic acoustic feedback
KR101381200B1 (ko) 마이크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7231597B (zh) 扬声器谐波失真值的测试方法及系统
CN102384821B (zh) 扬声器模组气密性测试方法、测试工装以及测试系统
US8385563B2 (en) Sound level control in responding to the estimated impedances indicating that the medium being an auditory canal and other than the auditory canal
KR101413085B1 (ko) 리시버 시험 장치 및 방법
KR20190046495A (ko)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329718A (ja) 膜スチフネス測定装置および膜スチフネス測定方法
Litwhiler A custom vibration test fixture using a subwoofer
US11877126B2 (en) Inductive excursion sensing for audio transducers
JP5900296B2 (ja) 振動解析装置、振動解析方法、及び振動解析プログラム
CN103424625B (zh) 测试信号供应设备和半导体集成电路
JP2014045364A (ja) 試験方法および試験装置
KR101386366B1 (ko) 스피커의 공진주파수 측정방법
TWI792607B (zh) 雜音偵測裝置及其方法
TW202201978A (zh) 干擾量測系統及其運作方法
KR101496911B1 (ko) 사운드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0709B1 (ko) 씨-마이크로폰 음향특정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