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133B1 -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 - Google Patents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133B1
KR101381133B1 KR1020127013798A KR20127013798A KR101381133B1 KR 101381133 B1 KR101381133 B1 KR 101381133B1 KR 1020127013798 A KR1020127013798 A KR 1020127013798A KR 20127013798 A KR20127013798 A KR 20127013798A KR 101381133 B1 KR101381133 B1 KR 10138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uning element
tuning
wal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872A (ko
Inventor
자리 엠. 타스키라
테포 엠. 루크카릴라
안드레제즈 이. 스타넥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8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RF 구성 요소는 공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 홀을 갖는다. 부싱은 벽의 보어 홀 내에 장착되고, 튜닝 요소는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되어 튜닝 요소는 부싱으로 통해 내측으로 그리고 공동 내로 돌출되며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방법은 또한 RF 구성 요소의 벽의 보어 내에 장착되는 부싱을 제공하는 단계,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되는 튜닝 요소를 활주시켜 상기 튜닝 요소의 활주에 따라 변하는 거리만큼 튜닝 요소가 부싱을 통해 내측으로 그리고 공동 내로 돌출하는 단계, 상기 RF 구성 요소의 성능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원하는 성능 특성이 달성되도록 튜닝 요소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TUNING EL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RF COMPON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무선 주파수(RF; radio-frequency) 구성 요소 및 그를 위한 튜닝 요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몇몇의 다양한 실시예는 튜닝 조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 요소의 공동에 대해 이동되는 이동 가능한 튜닝 요소에 관한 것이다.
공동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이 공동 내에 하나 이상의 공진기와 같은 기타 기능부를 이용하는 다양한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의 일부는 필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종종,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이동 가능한 튜닝 요소를 통해 공동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에, 이들 이동 가능한 튜닝 요소는 예를 들어 공동 내측에 배치되는 만곡 가능한 플레이트 또는 공동의 외측벽의 나사 보어를 통해 돌출하는 나사 스크류의 형태를 취한다. 플레이트의 만곡, 또는 스크류가 공동 내로 전진하거나 공동으로부터 후퇴되게 하는 스크류의 회전은 공동 내에서 튜닝 요소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수행되었다.
공지된 장치 및 방법은 대체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실제적인 문제로서 특정한 단점을 각각 갖고 있고, 공동을 갖는 RF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튜닝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개선된 튜닝 요소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개선된 튜닝 요소 조립체 및 공동을 갖는 RF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튜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현재의 요구 관점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이 제공된다. 약간의 간소화 및 생략이 아래의 요약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 양태를 강조하고 소개하도록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의 개념을 제조하고 이용하게 하기에 적당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이후의 섹션에서 이어진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개선된 튜닝 요소 조립체 및 공동을 갖는 RF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튜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실시예는 관통 보어를 갖는 벽과 공동을 구비하는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의 보어 내에 끼워지도록 된 부싱; 및 상기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된 튜닝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공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 -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를 가짐 - 과, 벽의 보어 내에 장착되는 부싱과, 부싱을 통해 내측으로 그리고 공동 내로 돌출되도록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 및 수용되는 튜닝 요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RF 구성 요소의 벽의 보어 내에 장착되는 부싱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 및 수용되는 튜닝 요소를 활주시켜 상기 튜닝 요소의 활주에 따라 변하는 거리만큼 튜닝 요소가 부싱을 통해 내측으로 그리고 공동 내로 돌출하는 단계와, RF 구성 요소의 성능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원하는 성능 특성이 달성될 때에 튜닝 요소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편리한 튜닝 조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특정한 예에서, 부싱에 의해 유지되는 튜닝 요소를 활주시킴으로써, 공동이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튜닝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튜닝 요소 조립체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립체의 다른 사시도.
도 4는 RF 구성 요소의 벽에 설치된 도 1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절취 측면도.
도 5는 튜닝 조립체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변경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변경예의 다른 사시도.
이하, 동일한 번호가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도면을 가리키는 도면을 참조하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범위한 양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튜닝 조립체(1)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튜닝 조립체(1)는 공동(16)을 형성하는 RF 구성 요소의 벽(14)에 있는 보어 홀(12)을 통해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이동 가능한 튜닝 요소(10)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RF 구성 요소(14)는 하나 이상의 튜닝 조립체(1)와 공동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진기(18)를 갖는 필터이다. 도 4의 예의 벽(14)은 하우징(19)의 상부 플레이트이고, 상부 플레이트는 하우징(19)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공동(16)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우징(19)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그러나, RF 구성 요소는 공동을 갖는 임의의 RF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튜닝 조립체(10)는 메인 샤프트(20)를 갖는 이동 가능한 요소(10)를 포함한다. 샤프트(20)는 원통형인 샤프트(20)의 중간부(22)를 적어도 갖는 세장형 부재이다. 도시된 예에서, 샤프트(20)는 그 길이를 따라 원형 실린더의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샤프트(20)는 또한 사각형, 또는 육각형 실린더, 또는 임의의 다른 세장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샤프트(20)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원통형 또는 일정한 직경이 될 필요는 없다.
샤프트(20)는 부싱(24)을 통해 돌출하고 부싱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부싱(24)은 샤프트(20)의 적어도 중간부(22)의 외부 샤프트 직경(30)에 상보적인 내부 부싱 직경(28)을 적어도 부싱의 중간부(26)에서 갖는다. 이들 직경은 샤프트(20)와 부싱(24) 사이에서 축방향 활주 관계를 제공한다. 원한다면 이 지점에서 윤활 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부싱(24)은 또한 RF 구성 요소의 벽(14)을 통해 돌출하는 보어 홀(12)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외측 중간부 외부 직경(32)을 갖는 부분, 이 경우에 중간부(22)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부싱(24)의 중간부(26)는 널링 가공된, 홈 형성된, 또는 조밀화된 표면을 갖는다. 부싱(24)의 전체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 이는 부싱이 보어 홀(12) 내에 설치될 때에 부싱(20)과 보어 홀(12) 사이에서 힘을 유지하는 약간의 마찰 압력 끼워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부싱(24)의 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싱(24)은 그 제 1 단부에 장착 플랜지(36)를 갖는다. 장착 플랜지(36)는 중간부(22)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다. 장착 플랜지(36)는 벽(12)의 인접한 표면과 접하는 정지면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장착 플랜지(36)는 벽(12)에 대해 솔더링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부싱(24)을 벽(14)에 고정시킨다. 대안으로서, 중간부(26)는 벽(14)의 보어(11) 안으로 압력 끼워맞춤될 수 있고 플랜지(36)는 주로 정지부로서 기능한다.
부싱(24)의 중간부(26)는 장착 지점에서 벽(12)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큰 길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중간부로서 설명하였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중간부(26)는 부싱(24)의 전체 축방향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그 길이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부싱(24)은 플랜지 단부에 대향하는 제 2 단부에서 보다 상세하게 후술되는 스커트부(40)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부(40)는 부싱(24)의 제 2 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대체로 테이퍼지지만, 또한 3개의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을 갖는다.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은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볼 수 있고, 내향 만곡부를 설명하기 위해 주름진 또는 만곡된 라인을 갖는다.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은 각각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어,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의 대부분의 내향 지점들이 삼각형 형태를 형성하여 대부분의 내향 지점들은 샤프트(20)와 억지 끼워맞춤을 갖고 샤프트(20)의 외부면과 마찰식으로 접촉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에 따라 마찰식으로 유지된 샤프트(20)는 부싱(24) 내에서 활주 이동을 위해 배치되고, 활주 이동에 대한 약간의 마찰 저항이 제공된다. 마찰 저항은 2개의 위치들 중 한쪽 또는 양쪽에서 어느 정도까지 제공된다. 첫째, 마찰 저항은 부싱(24)의 중간부(26)의 내부 직경(28)과 샤프트(20)의 중간부(22)의 외부 직경(30)의 접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둘째, 마찰 저항은 부싱(24)의 스커트부(40)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의 접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스커트부(40)의 가장 큰 외부 직경은 이 예에서 스커트부(40)의 말단부(44)이고, 이 말단부의 외부 직경은 부싱(24)이 보어 홀(12) 내로 삽입되게 하도록 벽(14)의 보어 홀(12)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마찰 저항은 용례에 따라 선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할 때에 튜닝 요소가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외부 튜닝 기계에 의해 기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될 것이다. 그러나, 마찰력은 수동 또는 기계 조작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샤프트(20)가 RF 구성 요소의 일반적인 사용 중에 축방향 이동없이 적소에 머무르게 되도록 충분히 크다. 예를 들어, 마찰력은 RF 구성 요소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진동이 마찰력에 의해 충분히 저지될 만큼 크게 선택될 수 있다.
스커트부(40)는 제조의 편리를 위해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42)을 3개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스커트부(40)는 더 많거나 적은 만곡된 구역 및/또는 다른 마찰 제공 디자인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커트부(40)는 간단하게 1개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만곡된 구역, 2개의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 또는 4개 이상의 개수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만곡된 구역에 대한 참조는 도시된 형태를 가리키지만, 다른 형태들을 포함한다. 만곡된 구역의 형태는, 예를 들어 원래의 원뿔형 또는 원통형 스커트 구역을 압착함으로써 또는 성형 툴에 의해 만곡시킴으로써 사용된 재료에 적합한 임의의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부싱(24)이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되면, 만곡된 형태는 원래의 몰딩 프로세스에서 몰딩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 재료가 몰딩 후에 만곡되거나 압착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내측으로 만곡된 구역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핑거 또는 탭이 스커트부(4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20)와의 간섭을 제공할 수 있다. 원추형 테이퍼 외에, 스커트부(40)는 기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만곡된 구역(42)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O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마찰 요소가 스커트부(4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O링 또는 다른 부싱 링이 스커트부(40)에 제공된 내부 채널 내에 존재하거나, 스커트부(40)의 단부 상에 클립 결합되어 샤프트(20)의 축방향 이동에 대한 선택된 정도의 간섭 및 마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원통형 구역과 부싱(24)의 내부 직경(28) 간의 마찰 접촉이 충분히 크다면, 스커트부(40) 및/또는 그 관련 마찰 간섭 기능부가 생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튜닝 요소는 샤프트(20)의 제 1 단부에 제공되는 선택적인 핸들 또는 캡(50)을 포함한다. 핸들 또는 캡(50)은 샤프트(20)와 일체로 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나사식 커넥터, 압력 끼워맞춤, 솔더, 용접, 접착제 또는 기타 고정 방법에 의해 샤프트(20)의 단부에 고정되는 별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캡(50)은 샤프트(20)의 직경보다 큰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캡(50)은 대체로 평탄하고 디스크형일 수 있거나, 구형 또는 반구형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몇몇의 경우에, 캡(50)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또는 기계적 조정 디바이스의 조종 구성 요소에 의해 쉽게 파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의 변경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닝 요소(10)는 도시된 것처럼 보조 튜닝 본체(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보조 튜닝 본체(52)를 갖고 부싱(24)의 스커트부(40)와 중간부(26)의 기하학적 형태가 변경된 변경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보조 튜닝 본체(52)는 샤프트(20)의 내부 공동 단부에 고정되는 요소이다. 보조 튜닝 본체(52)는 예를 들어 나사식 커넥터, 압력 끼워맞춤, 솔더, 용접, 접착제 또는 기타 고정 방법에 의해 샤프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보조 튜닝 본체(52)는 몇몇의 용례에서 튜닝 조립체(1)의 민감도 또는 유효성을 강화하고 튜닝 요소(10)의 조정 운동을 강화하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또한 중간부(26)에서 부싱(24)의 널링된 또는 리브형 외부 직경 기능부가 생략될 수 있고 평활한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튜닝 조립체(1)는 광범위한 재료들 중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의 예에서, 이동 가능한 튜닝 요소(10)와 부싱(24)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금속, 또는 금속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보조 튜닝 본체(52)가 존재한다면, 몇몇의 예에서 보조 튜닝 본체는 금속 또는 금속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것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부싱(24)이 RF 구성 요소의 벽(14)과 별개의 구성 요소이지만, 부싱(24)은 벽(14)의 일체 구조로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도시된 튜닝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의 한가지 예를 설명한다.
초기에, 부싱(24)은 공동 벽(14)의 보어 홀(12) 내에 설치된다.
장착 플랜지(36)가 벽(12)의 외측에 접하도록 부싱(24)이 삽입된 후에, 부싱은 원한다면 솔더링, 접착 또는 기타 부착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 튜닝 요소(10)는 부싱(24)을 통해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튜닝 요소(10)의 삽입은 공동(16)을 형성하는 벽(14) 외측으로부터 행해진다. 그러나, 몇몇의 경우에, 벽(14)은 공동(16)을 형성하는 하우징(19)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플레이트의 양면이 엑세스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닝 요소(10)가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캡(50) 및/또는 보조 튜닝 본체(52)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그 중 하나는 샤프트(20)가 부싱(24)을 통해 설치된 후에 샤프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작동 형태로 설치된 튜닝 조립체(1)를 갖는 RF 구성 요소의 경우, 튜닝 요소(10)는 수동으로 또는 기계를 통해 조정되어, 튜닝 프로세스를 실시하도록 공동(16)에 대해 내측 및 외측으로 병진될 수 있다. 조정은 캡이 제공된다면 캡(50)을 파지하고 캡을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캡(50)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샤프트(20)를 바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예에서, 조작자 또는 튜닝 기계가 튜닝을 수행할 수 있지만, RF 에너지가 공동(16)으로 공급되고 조작자 또는 튜닝 기계가 RF 구성 요소의 성능을 전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원하는 성능이 달성될 때에, 튜닝 조립체(1)는 적소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RF 구성 요소가 원하는 데로 기능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특정한 예시적인 양태를 특별히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고 그 세부는 다양하고 명백한 관계로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쉽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서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개시, 설명 및 도면은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 튜닝 조립체 10: 튜닝 요소
12: 보어 홀 14: 벽
16: 공동 18: 공진기
19: 하우징 20: 샤프트
22, 26: 중간부 24: 부싱
36: 장착 플랜지

Claims (10)

  1. 관통 보어를 갖는 벽과 공동을 구비하는 무선 주파수(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장치로서,
    상기 벽의 보어 내에 끼워지도록 된 부싱; 및
    상기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된 튜닝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은 외측으로 테이퍼진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는 상기 튜닝 요소와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벽의 보어 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튜닝 요소는 상기 부싱을 통해 내측을 향해 그리고 상기 공동 내로 돌출되는 것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2개의 단부들을 갖고 제 1 단부 근처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부 플랜지는 상기 벽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2개의 단부들을 갖고 제 2 단부에 결합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표면은 상기 튜닝 요소와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인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은 외측으로 테이퍼진 스커트의 3개의 내측으로 변형된 구역들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요소의 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요소의 내측 단부에 배치되는 보조 튜닝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 RF 구성 요소를 튜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RF 구성 요소의 벽의 보어 내에 장착되는 부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부싱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용되는 튜닝 요소를 활주시켜 상기 튜닝 요소의 활주에 따라 변하는 거리만큼 상기 튜닝 요소가 상기 부싱을 통해 내측으로 그리고 공동 내로 돌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싱은 외측으로 테이퍼진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는 상기 튜닝 요소와 마찰식으로 결합하도록 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돌출하는 단계;
    상기 RF 구성 요소의 성능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원하는 성능 특성이 달성될 때에 상기 튜닝 요소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13798A 2009-10-30 2010-10-21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 KR101381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09,890 US8269582B2 (en) 2009-10-30 2009-10-30 Tuning el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RF components
US12/609,890 2009-10-30
PCT/US2010/053499 WO2011053503A2 (en) 2009-10-30 2010-10-21 Tuning el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rf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872A KR20120085872A (ko) 2012-08-01
KR101381133B1 true KR101381133B1 (ko) 2014-04-04

Family

ID=4392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798A KR101381133B1 (ko) 2009-10-30 2010-10-21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69582B2 (ko)
EP (1) EP2494653B1 (ko)
JP (1) JP5600178B2 (ko)
KR (1) KR101381133B1 (ko)
CN (1) CN102763267B (ko)
WO (1) WO20110535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8894A1 (de) * 2015-07-09 2017-01-12 Kathrein-Werke Kg Gewindelose Abstimmelemente für Koaxialresonatoren und Verfahren zur Abstimmung derselben
CN107768784A (zh) * 2016-08-23 2018-03-06 凯镭思通讯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腔体滤波器的调谐管机构
CN115000657A (zh) * 2022-05-06 2022-09-02 昆山立讯射频科技有限公司 调谐组件、滤波器以及通信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6813A2 (en) * 1987-11-17 1989-05-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resonator
KR20010089662A (ko) * 1998-12-21 2001-10-08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무선 주파수 필터의 슬리브
JP2004072730A (ja) 2002-06-12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フィルタ、通信機器、共振周波数を制御する方法
KR20090080761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이롬테크 고주파 필터 및 이의 튜닝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734A (en) * 1960-04-06 1964-03-17 Tuning screw having a double choke
US3311839A (en) * 1965-12-16 1967-03-28 Northern Electric Co Compensated tunable cavity with single variable element
FR2080126A5 (ko) 1970-02-24 1971-11-12 Thomson Csf
US4035749A (en) * 1976-04-06 1977-07-12 Harvard Industries, Inc. Microwave tuning screw assembly having positive shorting
FR2477783A1 (fr) * 1980-03-04 1981-09-11 Thomson Csf Dispositif d'accord a capacite variable et filtre hyperfrequences accordable comportant au moins un tel dispositif
FR2477782A1 (fr) * 1980-03-05 1981-09-11 Thomson Csf Dispositif d'accord en hyperfrequences, du type a contacts glissants, et filtr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4445100A (en) * 1982-01-28 1984-04-24 Electronics, Missiles & Communications, Inc. Coupling block assembly with band-reject filter
US4990871A (en) 1988-08-25 1991-02-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Variable printed circuit waveguide filter
US5033924A (en) * 1989-12-12 1991-07-23 Vsi Corporation Lock nut having a deformablel threaded bore
JPH05136614A (ja) * 1991-11-06 1993-06-01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装置
JPH10178303A (ja) * 1996-12-18 1998-06-30 Nippon Antenna Co Ltd 同軸型バンドパスフィルタ
JPH10308612A (ja) 1997-05-09 1998-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共振器
FI106658B (fi) 1997-12-15 2001-03-15 Adc Solitra Oy Suodatin ja säätöelin
SE512425C2 (sv) * 1998-02-09 2000-03-13 Ericsson Telefon Ab L M Trimningsanordning och enhet för avstämning och/eller anpassning av elektromagnetiska vågor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i enheten anordnad genomföringsdel
ES2262300T3 (es) * 1998-05-27 2006-11-16 Ace Technology Filtro de paso de banda con resonadores dielectricos.
US6222428B1 (en) * 1999-06-15 2001-04-24 Allgon Ab Tuning assembly for a dielectrical resonator in a cavity
US20030117229A1 (en) * 2001-12-20 2003-06-26 Remillard Stephen K. Low loss tuners
JP2003307208A (ja) * 2002-02-13 2003-10-31 Murata Mfg Co Ltd ネジ固定具、それを用いた高周波機器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EP1372211A3 (en) * 2002-06-12 2004-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electric filt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resonance frequency
US7148771B2 (en) * 2004-12-21 2006-12-12 Alcatel Concentric, two stage coarse and fine tuning for ceramic resonators
JP2007336412A (ja) * 2006-06-19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共振器
JP5115314B2 (ja) * 2008-05-08 2013-01-09 富士通株式会社 立体フィルタ及びチューナブル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6813A2 (en) * 1987-11-17 1989-05-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resonator
KR20010089662A (ko) * 1998-12-21 2001-10-08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무선 주파수 필터의 슬리브
JP2004072730A (ja) 2002-06-12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電体フィルタ、通信機器、共振周波数を制御する方法
KR20090080761A (ko) * 2008-01-22 2009-07-27 주식회사 이롬테크 고주파 필터 및 이의 튜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3267A (zh) 2012-10-31
JP2013509810A (ja) 2013-03-14
KR20120085872A (ko) 2012-08-01
WO2011053503A3 (en) 2012-08-02
US8269582B2 (en) 2012-09-18
EP2494653B1 (en) 2016-09-28
JP5600178B2 (ja) 2014-10-01
CN102763267B (zh) 2016-05-11
US20110102110A1 (en) 2011-05-05
EP2494653A2 (en) 2012-09-05
WO2011053503A2 (en)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7434B2 (en) Tuning screw assembly
EP1299735B1 (en) Self-retained spring probe
KR101381133B1 (ko) 튜닝 요소 조립체 및 무선 주파수 구성 요소를 위한 튜닝 방법
US20160233567A1 (en) Cavity filter and rf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cavity filter
US6255922B1 (en) Microwave resonator with dielectric tuning body resiliently secured to a movable rod by spring means
CN111163959B (zh) 车辆用门开闭装置
KR20160118667A (ko) 공진기 필터
US8641285B2 (en) Sliding bearing, process for producing a sliding bearing and use of a sliding bearing
US8561275B2 (en) Setting device with a variable setting stroke adjustment
WO2005053108A1 (en) Electrical terminal
KR101172101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1172116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5060109A (en) Adjustable electrical device
KR101172099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US20080089621A1 (en) Bushing assembly for reducing backlash
EP3263950A2 (en) Centralizing bushing assembly and lead screw nut device
CN214336885U (zh) 用于射频器件的调试组件与滤波器
KR200285688Y1 (ko) 신축가능형 안테나의 스프링 장치
US2794160A (en) Electrical condenser
JP7240138B2 (ja) スタッド溶接ガン用コレット組立体
KR102422720B1 (ko)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US2744221A (en) Electrical condenser
CN111051718A (zh) 借助于夹紧环使适配器轴与轴力锁合连接的装置
JP6292020B2 (ja) 高周波数用電子部品、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製造方法
JPH0513018U (ja) 高周波コ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