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806B1 -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806B1
KR101380806B1 KR1020120144383A KR20120144383A KR101380806B1 KR 101380806 B1 KR101380806 B1 KR 101380806B1 KR 1020120144383 A KR1020120144383 A KR 1020120144383A KR 20120144383 A KR20120144383 A KR 20120144383A KR 101380806 B1 KR101380806 B1 KR 10138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s
dry
extract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영철
김정아
서정일
박종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8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200/00Recycling of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cessing by-products. The method of processing by-products includes: a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by-products generated in a steel making process; a dry disintegration step of disintegrating the by-products; a step of classifying the by-products into a plurality of treatment matters having related particle size rang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article diameter between the disintegrated by-products; a dry-sorting process of sorting remaining treatment matters other than a treatment matter having the smallest particle size in order from a heavy treatment matter to a lightweight treatment matter based on the difference in weight between the treatment matters; and a dry magnetic-force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the treatment matters having the higher weight and the treatment matters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according to non-magnetic materials and magnetic materials. [Reference numerals] (AA) Prepare by-products; (BB) Dry-disintegration; (CC) Dry-sieving; (DD,EE,FF,GG,HH) Dry-classification; (II) Concentrate 1; (JJ) Dry-magnetic force classification; (KK) Magnetic concentrate (concentrate 2); (LL) Tailings

Description

부산물 처리방법{Method for processing sludg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본 발명은 부산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부산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that can recycl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철광석 및 석탄 등의 원료 가격 상승에 따른 제선 원가의 원료 가격에 대한 부담이 갈수록 증가 되는 실정이다. 예컨대, 매년 제철 원료인 철광석 수입량은 약 5,000만톤, 수입액은 약 6조 5천억원(110$/ton)에 이른다. 제철 부산물은 철강제조 공정 중 건/습식 집진장치가 있는 모든 공정에서 슬래그, 더스트 종류의 부산물이 발생되며 발생량은 매년 약 200만ton이다. 이와 같은 부산물에는 제강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물질 및 연료물질 등과 같은 유효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매년 20% 즉, 40만ton을 재활용 처리하고, 재처리된 부산물로부터 직접환원철(총철은 60% 이상 함유)을 70% 회수한다면 28만ton(20만원/ton)을 얻을 수 있고 약 560억원의 원료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재활용 처리 기술에 따라 부산물 처리 능력이 증대되면 향후 경제적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비용 절감 및 자원 재활용 면에 있어서 부산물로부터 유효 물질을 선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The burden on raw material costs for steelmaking costs is increasing due to rising raw material prices such as iron ore and coal. For example, annual imports of iron ore, steelmaking raw materials, amount to about 50 million tons, amounting to about 6.5 trillion won (110 $ / ton). By-products of steel are produced by-products of slag and dust types in all processes with dry / wet dust collectors in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Such by-products contain a large amount of effective materials such as raw materials and fuel materials us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If 20% of 400,000 tons are recycled each year and 70% of direct reduced iron (60% or more of total iron) is recovered from the reprocessed by-products, 280,000 tons (200,000 won / ton) will be obtained. Raw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Here, if the by-product treatment capacity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cycling treatment technology, the economic effect will increase further. Therefore,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to select effective substances from by-products in terms of cost reduction and resource recycling.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는 주요 성분인 철광석 외에 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불순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여 원료로서의 재활용에 있어 사용량에 제약이 있다.Dus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contains a large amount of various impurity components generated in the process in addition to iron ore, which is a main component, which limits the amount of dust used in recycling as a raw material.

또한, 더스트는 불순성분으로 인하여 조업 상에 여러 장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더스트를 재활용에 있어서는 더스트 자체를 처리하여 불순성분을 제거하는 방식보다는 다른 원료와의 혼합 및 직접 환원철 제조공정 등을 통하여 재활용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더스트의 특성상 그 물리, 화학적 특성이 일정치 않고 변동이 심하여 더스트를 그대로 재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dust has the possibility of causing various obstacles in operation due to impurities. In recycling such dusts, a method of recycling the dusts by mixing with other raw materials and directly reducing iron manufacturing processes, etc. has been developed, rather tha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mpurities from the dust itself.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ust, i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not constant and fluctuate, and there is a limit to recycling dust as it is.

또한, 제강 더스트의 주요 성분 함량은 Fe 20.93%, CaO 30.99%, C 7.27% 등으로 제선 공정에서 함철 원료나 Ca 성분 대체 부원료로 활용하기에는 타 성분 함량이 너무 높고 불균질하다. 하지만 제강 더스트로부터 고부가가치 원료로 재활용이 가능한 키쉬흑연(kish)을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쉬흑연은 품위 200 기준 $125/5g, 품위 300 기준 $200/0.2g, 품위 300 기준 $350/0.5g 가격으로 2012년 12월 기준으로 거래될 만큼 고부가가치 원료이다. In addition, the main component content of steelmaking dust is Fe 20.93%, CaO 30.99%, C 7.27%, etc. Other components are too high and heterogeneous to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iron or Ca as a substitute for Ca component in the steelmaking process. However, it is possible to recover kish, which can be recycled as a high value-added raw material from steelmaking dust. For example, Kish Graphite is a high value-added raw material that can be traded as of December 2012 at a price of £ 125 / 5g based on class 200, £ 200 / 0.2g based on class 300 and £ 350 / 0.5g based on class 300.

종래에는 제강 더스트로부터 키쉬흑연 및 함철 원료를 분리/회수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습식 선광 방법, 부유선별 방법이 사용되었다. Conventionally, a wet beneficiation method and a flotation screening method using water to separate / recover kishi graphite and ferrous materials from steelmaking dust have been used.

습식 선광 방법은 제강 더스트로부터 유효 성분을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회수하는 반면 선별 후 탈수 및 건조 등에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습식 선광 과정에서 2차적인 부산물 즉, 오폐수를 발생시키며, 오폐수 처리를 위한 설비가 추가적으로 설치 운영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발생했다.The wet beneficiation method relatively easily separates / recovers active ingredients from steelmaking dust, but incurs additional costs such as dehydration and drying after screening. In addition, in the wet beneficiation process, secondary by-products, namely, waste water, are generated, and a problem arises that additional facilities for waste water treatment must be installed and operated.

부유 선별 방법은 산과 같은 다양한 시약을 사용하여 더스트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회수한다. 유효 성분을 회수하기 위해 부가적인 원료(다양한 시약)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용수의 정수 처리에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초래하였다. 상기 두 방식으로 더스트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회수 과정 중 2차 오염 물질(오폐수)을 발생시킨다. 또한, 2차 오염 물질을 재처리하기 위한 부가적으로 별도의 설비가 설치되어야한다. 따라서 초기 원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더스트 재활용 기술의 취지를 벗어나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에 더스트 재활용 공정 중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더스트로부터 유효 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Suspension sorting methods use various reagents such as acids to separate / recover active ingredients from dust. Adding additional raw materials (various reagents) to recover active ingredients incurs additional costs for water purification. The two methods generate secondary pollutants (waste water) during the separation / recovery process of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dust. In addition, additional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for reprocessing secondary pollutants.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economic aspect that additional costs are generated beyond the purpose of dust recycling technology to reduce initial raw material co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ffectively screening and recycling effective materials from dust without polluting the environment during the dust recycling process.

KR 1989-0016186 AKR 1989-0016186 A KR 0423440 BKR 0423440 B

본 발명은 제강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로부터 고품위의 원료를 추출할 수 있는 부산물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that can extract a high quality raw material from the by-produc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본 발명은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산물 처리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capabl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recycling by-product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은, 부산물 처리방법으로서,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부산물을 해쇄하는 건식 해쇄 과정과 상기 해쇄된 부산물을 입경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입도 범위를 갖는 복수 개의 처리물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처리물 중 최하위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을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들을 질량의 차이에 따라 질량이 높은 처리물과 질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처리물로 건식 분급하는 과정 및 상기 질량이 높은 처리물과 상기 최하위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들을 자성 물질과 비 자성 물질로 선별하는 건식 자력 선별 과정을 포함한다.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and the dry crushing process for crushing the by-products and the pulverized by-produc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 Separating the treatment into a plurality of treatments having a range and the treatment except for the treatment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of the plurality of treatments to a high mass treatment and a relatively low mass treat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ass A dry classification process and a dry magnetic screening process for sorting the high-mass treatments and the treatments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into magnetic and non-magnetic materials.

또한, 상기 부산물은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인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y-product includes the dus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또한, 상기 더스트를 마련하는 과정은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dust includes a drying process for removing moisture.

또한, 상기 부산물을 해쇄하는 건식 해쇄 과정은, 임펠러가 구비된 스크러버나 고속 교반 믹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건식 조건하에서 해쇄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y disintegration process of disintegrating the by-products includes disintegration under dry conditions using either a scrubber equipped with an impeller or a high speed stirring mixer.

또한, 상기 해쇄된 부산물을 입경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입도 범위를 갖는 복수 개의 처리물로 분리하는 과정은, 메시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체를 구비하고, 상하운동 또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전동식 체가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integrated by-products into a plurality of treatments having respective particle size range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 the electric siev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ieves having a different mesh size, vertical movement or left and right movement It includes using.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체는 각각 0.06mm, 0.075mm, 0.1mm, 0.15mm, 0.2mm의 메시 크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ieves include those having a mesh size of 0.06 mm, 0.075 mm, 0.1 mm, 0.15 mm, 0.2 mm,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처리물은 각각 0.2mm 초과, 0.2mm 이하 내지 0.15mm 초과, 0.15mm 이하 내지 0.1mm 초과, 0.1mm 이하 내지 0.075mm 초과, 0.075mm 이하 내지 0.06mm 초과, 0.06mm 미만의 입도 범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reatments are each greater than 0.2mm, 0.2mm or less to 0.15mm, 0.15mm or less to 0.1mm, 0.1mm or less to 0.075mm, 0.075mm or less to 0.06mm, and less than 0.06mm It includes those having a range.

또한, 상기 건식 분급하는 과정은, 상기 0.2mm 초과하는 산물은 4 내지 6L/min, 상기 2mm 이하 내지 0.15mm 초과하는 산물은 2 내지 3L/min, 상기 0.15mm 이하 내지 0.1mm 초과하는 산물은 1 내지 2L/min, 상기 0.1mm 이하 내지 0.075mm 초과하는 산물과 상기 0.075mm 이하 내지 0.06mm 초과하는 산물들은 0.5 내지 1.5L/min의 범위의 유속 조건 하에서 선별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the product of more than 0.2mm 4 to 6L / min, the product of more than 2mm to 0.15mm 2 to 3L / min, the product of less than 0.15mm to 0.1mm 1 To 2 L / min, the product of less than 0.1mm to more than 0.075mm and the products of less than 0.075mm to more than 0.06mm include those selected under flow rate conditions in the range of 0.5 to 1.5L / min.

또한, 상기 건식 분급 과정은, 공기의 힘을 사용하는 지그재그 공기 분급기, 사이클론 분급기, 공기 강압여과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may include using at least one of a zigzag air classifier, a cyclone classifier, and an air pressur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force of air.

또한, 상기 질량이 낮은 처리물은 키쉬흑연 추출물이고, 상대적으로 상기 질량이 높은 처리물은 철과 칼슘 혼합된 추출물인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ow mass treatment is a Kish graphite extract, and the relatively high mass treatment includes an extract mixed with iron and calcium.

또한, 상기 키쉬흑연 추출물은 상기 키쉬흑연 추출물을 100 중량%으로 했을 때 75 중량% 이상 카본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kishi graphite extract includes having a quality containing at least 75% by weight of carbon when the Kishi graphite extract is 100% by weight.

또한, 상기 자성물질로는 철 추출물, 상기 비 자성물질로는 칼슘 추출물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material includes an iron extract, and the non-magnetic material includes selecting a calcium extract.

또한, 상기 철은 추출물은 상기 철 추출물을 100 중량%으로 했을 때 60 중량% 이상철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ron extract includes those having a grade containing 60% by weight or more of iron when the iron extract is 100% by weight.

또한, 상기 칼슘 추출물은 상기 칼슘 추출물을 100중량%으로 했을 때 44중량% 이상의 칼슘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alcium extract includes having a quality containing 44% by weight or more of calcium when the calcium extract is 100% by weigh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은,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중 특히 더스트를 재활용할 수 있다. 특히,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공정이 간단한 물리적인 선광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제강 공정은 물론,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더스트를 재활용하는데 확대 적용될 수 있다.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ycle dust, particularly among by-products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In particular, by applying a physical beneficiation process that can be mass-produced and simple in process, it can be extended to recycle various kinds of dust generated in steelworks as well as steelmaking processes.

또한, 더스트로부터 키쉬흑연(C), 철(Fe), 칼슘(Ca)을 함유하는 원료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Further, raw materials containing Kish graphite (C), iron (Fe) and calcium (Ca)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dust.

또한, 더스트로부터 추출되는 원료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전처리공정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retreatment step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 extracted from the du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은, 건식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더스트 처리 과정에 따른 환경 오염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원료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더스트로부터 고품위의 원료를 추출할 수 있어, 이를 사용한 제품의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ry treatment method can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cost of the dust treatm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raw materials. And a high quality raw material can be extracted from dust,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using this can also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의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에 의한 부산물의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by-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by-products by 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은 불필요한 성분이 제거된 더스트 자체를 재활용하는 기술보다 품위가 향상된 원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건식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습식 선광 방법 및 부유선별 방법과 달리 더스트 처리 과정에서 오염 물질을 발생하지 않는다.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 raw material of improved quality than the technology to recycle the dust itself is removed unnecessary components, and in the dust treatment process unlike the conventional wet beneficiation method and flotation screening method using a dry treatment method Does not generate pollutants.

부산물 처리 방법은 더스트의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건식 해쇄과정, 건식 체가름 과정, 건식 분급 과정, 건식 자력 선별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로부터 키쉬흑연(C), 철(Fe), 칼슘(Ca)을 함유하는 원료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By-product treatment methods include dry pulverization, dry sifting, dry classification, and dry magnetic screening to separate the particles of dust.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raw materials containing Kish graphite (C), iron (Fe), calcium (Ca) from the dus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을 실험 예를 통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다음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에 대하여 하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dus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s 1 and 2 below.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더스트를 마련한다. 더스트는 집진기를 통해 집진되며, 선 처리 과정인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마련된다. 마련된 제강 더스트는 하기의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Provide dust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Dust is collected by a dust collector, and is prepared after the drying process, which is a pretreatment process. The steelmaking dust provided has a composi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성분ingredient 함량(중량%)Content (% by weight) T.FeT.Fe 20.9320.93 M.FeM. Fe 1.981.98 CaCa 30.9930.99 CC 7.277.27 나머지Remainder 38.8338.83

제강 더스트의 주요 구성 광물은 적철광, 소회석, 석회석, 흑연이다. 이러한 제강 더스트의 조성을 살펴보면 제선 공정의 원료물질로 사용되는 철(Fe) 성분을 2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탄소(C) 성분도 7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The major constituent minerals of steelmaking dust are hematite, small lime, limestone and graphite.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such steelmaking dust it contains 20% by weight or more of the iron (Fe) component used as a raw material of the steelmaking process, and also contains 7% by weight or more of the carbon (C) component.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입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하기의 표 2와 같은 입도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도출하였다.As a result of performing a particle size test on steelmaking dus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own in Table 2 was derived.

누가 통과율Who passes 입자경(㎛)Particle size (㎛) D 10D 10 7.57.5 D 50D 50 50.950.9 D 90D 90 310.3310.3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제강 더스트 구성물의 입도 범위는 비교적 넓었다. 따라서 입도 범위가 넓은 제강 더스트를 사용하여 유효물질(철, 키쉬흑연, 칼슘)을 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선별하기 어렵다. Looking at Table 2, the particle size range of the steelmaking dust composition was relatively wid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hysically directly select the active substances (iron, kin graphite, calcium) using steelmaking dust having a wide particle size range.

제강 더스트는 구성 물질의 입도 범위가 넓어 그대로 건식 분급을 적용할 경우, 구성 물질 간 비중의 차이에 의한 선별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는 더스트 입자들은 극미분으로서 높은 표면 에너지에 기인한 응집 현상으로 선별 효율이 낮기 때문에 건식 체가름 과정 시행 전에 해쇄기에 제강 더스트를 투입하여 용매 내에서 더스트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해쇄기는 해쇄기는 건식 해쇄 과정을 수행하는 설비로서 임펠러가 구비된 스크러버나 고속 교반 믹서 등을 사용하여 제강 더스트를 해쇄 과정을 수행한다. 임펠러를 1000 ~ 1200rpm 정도의 속도로 회전시켜 10분간 교반하는 해쇄(disintegr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해쇄는 응집된 더스트 입자들을 서로 분리하여 용매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해쇄 과정이 수행된 제강 더스트는 구성 물질간 비중의 차이에 의한 선별 효과를 적용하여 유효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Steelmaking dust has a wide particle size range, and when dry classification is applied as it is, the screening effect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components is inferior. This is because the dust particles are extremely finely divided due to the high surface energy, and the screening efficiency is low, steelmaking dust is introduced into the crusher before the dry sifting process so that the dust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solvent. At this time, the crusher used is a crusher is a facility for performing a dry crushing process using a scrubber or a high-speed stirring mixer equipped with an impeller to perform the pulverization process of steelmaking dust. The impeller is rotated at a speed of about 1000 to 1200 rpm to perform a disintegration process of stirring for 10 minutes. Here, disintegration means a process in which the aggregated dust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uniformly dispersed in a solvent. Steelmaking dust subjected to the pulverization process can select the effective substance by applying the screening effect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constituent materials.

이렇게 해쇄 공정이 완료되면, 해쇄 과정을 거친 제강 더스트를 건식 체가름기에 투입하여 입도 별로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예건대, 건식 체가름 과정은 상하운동 또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복수 개의 체가 구비된 전동식 체가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체는 제강 더스트의 구성 물질에서 유효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다양한 메시(mesh)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해쇄 과정을 거친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0.06mm, 0.075mm, 0.1mm, 0.15mm, 0.2mm 메시 크기를 갖는 5종의 체로 구성된 전동식 체가름 장치를 사용하여 건식 체가름 과정을 실행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체가름에 의한 입도 분리 산물의 성분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When the disintegr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teelmaking dust which has undergone the disintegration process is put into a dry sieve to perform a process of separating by particle size. For example, the dry sieve process may use an electric siev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ieve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or left and right movement. Here, the plurality of sieves have various mesh sizes for selecting effective substances from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steelmaking dust. For example, a dry sift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using an electric sifting device consisting of five sieves with 0.06mm, 0.075mm, 0.1mm, 0.15mm and 0.2mm mesh sizes for steel mill dust which has been crushed. Component analysis results of the particle size separation product by the sieve as shown in Table 3 below.


처리물(size)

Size

산출률(%)

% Yield
화학성분(wt%)Chemical composition (wt%)
T.FeT.Fe M.FeM. Fe CaCa CC LOILOI 0.2mm 초과Greater than 0.2mm 3.173.17 20.6220.62 10.2710.27 9.609.60 53.6253.62 16.1616.16 0.2mm 이하 ~ 0.15mm 초과0.2mm or less ~ 0.15mm or more 3.883.88 11.9011.90 3.563.56 24.7224.72 30.3830.38 3333 0.15mm 이하 ~
0.1mm 초과
0.15mm or less
More than 0.1mm
6.256.25 14.4214.42 3.923.92 31.8731.87 12.7112.71 4141
0.1mm 이하 ~
0.075mm 초과
0.1 mm or less
Greater than 0.075 mm
7.207.20 14.3014.30 3.013.01 34.1834.18 9.459.45 42.0742.07
0.075mm 이하 ~
0.06mm 초과
0.075mm or less
Greater than 0.06 mm
16.7116.71 13.2313.23 2.212.21 37.2937.29 5.675.67 43.8143.81
0.06mm 미만Less than 0.06mm 62.7962.79 24.9624.96 1.091.09 30.3330.33 3.143.14 41.5741.57

해쇄 공정이 완료된 제강 더스트는 0.2mm의 메시 크기를 갖는 체를 통과하고 다시 0.15mm, 0.1mm, 0.075mm, 0.06mm 메시 크기를 갖는 체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제강 더스트는 6종의 입도 범위별 처리물로 분리된다. 각 처리물의 산출률을 100wt%의 기준 값으로 하고, 각 화학성분을 wt%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각 처리물의 전체 중량은 T.Fe 중량%와 Ca 중량%와 C 중량% 및 LOI(강열 감량, Loss On Ignition) 중량%의 합이다. 여기서 T.Fe 중량%은 total Fe 중량%을 의미하며, M.Fe 중량%는 Metal Fe 중량%를 의미하고, F.Fe 중량%에는 M.Fe 중량%과 산화철 성분들이 포함되어있다. 또한, Ca 중량%에는 Ca 산화물이 함께 포함되며, C 중량%에도 C 산화물이 함께 포함되어있다. LOI는 화학 분석 중 열에 의해 감소 된 중량%이다. After the pulveriz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steelmaking dust passes through a sieve having a mesh size of 0.2 mm and then passes through sieves having a mesh size of 0.15 mm, 0.1 mm, 0.075 mm, and 0.06 mm in order. As shown in Table 3, steelmaking dust is separated into six kinds of particle size treatments. The yield of each treatment was taken as the reference value of 100 wt%, and each chemical component was analyzed by wt%. Here the total weight of each treatment is the sum of T.Fe wt%, Ca wt% and Cwt% and LOI (loss loss on weight) wt%. In this case, T.Fe wt% means total Fe wt%, M.Fe wt% means Metal Fe wt%, and F.Fe wt% includes M.Fe wt% and iron oxide components. In addition, Ca oxide is included in the wt%, and C oxide is also included in the wt%. LOI is the weight percent reduced by heat during chemical analysis.

이렇게 입도 범위로 분류된 제강 더스트 중 건식 분급이 적용가능 한 입도를 갖는 0.06mm 이상의 제강 더스트들을 대상으로 공기 분급기를 사용하여 건식 분급을 한다. 건식 분급 과정은 각 입도 범위로 분리된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유속 조건으로 분급이 진행된다. 0.2mm 초과하는 제강 더스트에 대해서는 4 내지 6L/min, 0.2mm 이하 내지 0.15mm 초과하는 제강 더스트에 대해서는 2 내지 3L/min, 0.15mm 이하 내지 0.1mm 초과하는 제강 더스트에 대해서는 1 내지 2L/min, 0.1mm 이하 내지 0.075mm초과와 0.075mm 이하 내지 0.06mm 초과하는 제강 더스트에 대해서는 0.5 내지 1.5L/min의 유속 조건으로 건식 분급을 진행된다. 여기서 공기 분급기로는 지그재그 공기 분급기, 사이클론 분급기, 공기 강압여과장치(air aspirat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유속 조건으로 사용하여 각 입도 범위의 제강 더스트를 O/F와 U/F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속조건의 기준 범위 미만으로 건식 분급이 진행되면 회수율이 감소하고, 기준 범위를 초과하면 회수되는 유효물질의 품위가 떨어진다. 이렇게 상기 유속 조건 하에서 공기의 힘을 사용하는 건식 분급 과정을 통해 각 입도 범위로 분류된 제강 더스트들을 각각 분급 산물인 키쉬흑연이 농축된 O/F(over flow) 산물과 철(Fe) 및 칼슘(Ca) 성분이 농축된 U/F(under flow) 산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O/F 와 U/F는 분급기 내에서 분체의 크기 및 질량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분체의 크기는 체가름 공정에서 분류되므로 건식 분급 공정에서는 분체의 질량의 차이에 따라 분류된다. 분류된 O/F로부터 카본을 함유한 키쉬흑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Dry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an air classifier for steelmaking dusts of 0.06mm or more with the applicable particle size among the steelmaking dusts classified into the particle size range.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classifies steelmaking dust separated into each particle size range under the following flow rate conditions. 4 to 6 L / min for steelmaking dust exceeding 0.2 mm, 2 to 3 L / min for steelmaking dust exceeding 0.2 mm or less, 1 to 2 L / min for steelmaking dust exceeding 0.15 mm or less and 0.1 mm, For steelmaking dust of 0.1 mm or less and more than 0.075 mm and 0.075 mm or less and more than 0.06 mm, dry classification is performed under the flow rate conditions of 0.5 to 1.5 L / min. Here, the air classifier may be used to separate steelmaking dust of each particle size range into O / F and U / F using at least one of a zigzag air classifier, a cyclone classifier, and an air aspirator as the flow rate conditions. Can be. In addition, when dry classification progresses below the reference range of each flow rate condition, the recovery rate decreases, and when the reference range is exceeded, the quality of the effective substance recovered is lowered. Through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using the force of air under the flow rate conditions, steelmaking dust classified into each particle size range was each O / F (over flow) product, which is a product of classification, and iron (Fe) and calcium ( The Ca component can be separated into concentrated under flow (U / F) products. O / F and U / F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and mass of the powder in the classifier. Since the size of the powder is classified in the sifting process,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ass of the powder in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Kish graphite extracts containing carbon can be obtained from the classified O / F.

이렇게 건식 분급 공정이 완료되면, 입도 별 U/F 산물과 0.06mm 미만의 입도를 갖는 제강 더스트를 각각 자력 선별기에 투입하여 철(Fe)과 칼슘(Ca)으로 선별하는 건식 자력선별 공정을 수행한다. 자력선별 공정은 광액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식 자력선별 공정은 유효물질의 품위, 즉, 철(Fe) 성분의 품위를 높이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자력선별 공정을 1차에 걸쳐 수행하였다. 이때, 자력선별 공정은 다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더 많은 차수에 걸쳐 수행하는 경우 유효물질인 철의 회수율이 저하되지않는 횟수로 추가될 수 있다.When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a dry magnetic screen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iron / dust products having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0.06 mm and steelmaking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0.06 mm are input to the magnetic screening device. . The magnetic scree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dry magnetic screener that does not use mineral liquid. In the dry magnetic screening process, the magnetic screening process was performed in the first stag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ctive material, that is, the quality of the iron (Fe) component. At this time, the magnetic screening process may be carried out in a multi-step, and if performed over more orders may be added in a number of times that the recovery rate of the iron, which is an effective material does not decrease.

다음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입도 범위별로 건식 분류 과정이 완료된 각 U/F 산물들과 0.6mm 이하 입도를 갖는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각각 건식 자력선별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applying dry magnetic screening to each U / F product having a dry classification process for each particle size rang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teelmaking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0.6 mm or les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 처리방법에 의한 부산물의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nge in by-products by 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건식 자력선별 공정을 통해 입도 범위별로 건식 분류 과정이 완료된 각 U/F 산물들과 0.6mm 이하 입도를 갖는 제강 더스트로부터 자성물질(정광1)과 비자성물질(광미1)을 선별한다. 이때, 자력선별 공정은 3,000 이상 내지 10,000 Gauss세기의 자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건식 분급 과정 완료 후, 각 입도 범위의 U/F 산물과 0.06mm 이하 산물에 대해서 각각 건식 자력선별을 실시하여 유효물질인 정광 2인 철(Fe) 및 광미인 칼슘(Ca)으로 선별/분리한다. 건식 자력 선별에 사용되는 자력 선별기는 3,000 이상 내지 10,000 이하 Gauss의 자속 밀도를 갖는 롤형 또는 벨트형 자력선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속 밀도가 3,000 Gauss 미만이 되면, 유효물질의 회수율이 감소하고, 10,000 Gauss 초과하면 회수되는 유효물질의 품위가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에 건식 자력선별을 통해 각 입도 범위의 U/F 산물과 0.06mm 이하 산물을 대상으로 유효물질 즉, 정광 2인 철(Fe)을 함유한 추출물 및 광미인 칼슘(Ca)을 함유한 추출물로 선별/분리할 수 있다. The following magnetic screening process selects magnetic materials (concentrate 1) and non-magnetic materials (tailings 1) from steelmaking dust with a particle size of 0.6 mm or less and each U / F product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by particle size range. At this time, the magnetic scree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magnetic force of more than 3,000 to 10,000 Gauss strength. For example, after completion of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dry magnetic screening is performed on U / F products of each particle size range and products of 0.06 mm or less, respectively, and selected / contained by the active substance concentrate (iron) (Fe) and tailings calcium (Ca). Separate. The magnetic separator used for the dry magnetic separator may use at least one of a rolled or belt type magnetic separator having a magnetic flux density of 3,000 or more to 10,000 or less Gauss. Here, when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less than 3,000 Gauss, the recovery rate of the effective substance decreases, and if the magnetic flux density exceeds 10,000 Gauss, the quality of the effective substance recovered falls.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rough the dry magnetic screening, the extract containing the active substance, namely iron (Fe), and the tailings calcium (Ca), for the U / F products of each particle size range and the products of 0.06 mm or less through dry magnetic screening One extract can be selected / separated.

하기의 표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 처리 공정을 통해 선별된 물질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가 나타나있다. Table 4 below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selected material through the by-produc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물
product
산출률 (wt%)
Yield (wt%)
화학 성분 wt%Chemical composition wt% 회수율%
Recovery%
T.FeT.Fe M.FeM. Fe CaCa CC LOILOI 원광Ore 100.0100.0 20.9320.93 1.981.98 30.9930.99 7.277.27 40.8140.81 -- 키쉬흑연(정광1)Kish Graphite (Concentrate 1) 3.83.8 4.284.28 0.450.45 7.957.95 75.3775.37 12.412.4 C 39.39C 39.39 Fe 자력선별(정광2)Fe magnetic screening (concentrate 2) 28.328.3 60.160.1 6.316.31 2.62.6 6.26.2 31.131.1 Fe 81.26Fe 81.26 Ca 자력선별 (광미)Ca magnetic screening (tailings) 67.967.9 5.65.6 0.270.27 44.144.1 3.93.9 46.446.4 Ca 96.62Ca 96.62

이렇게 선별된 유효물질과 원료물질 즉, 원광으로부터의 유효물질 회수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수율(%)은 하기의 수학식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effective material and the raw material selected in this way, that is, the recovery rate of the effective material from ore is as follows. The recovery rate (%)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112012103321658-pat00001
Figure 112012103321658-pat00001

상기 표 4를 참조하여, 각 산물의 회수율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며, 각 산물의 품위는 각 산물의 산출률을 100wt%로 기준 했을 때 각 산물에 화학 성분이 함량 된 수치(wt%)로 정해진다. Referring to Table 4, the recovery rate of each product is calculated by Equation 1 above, and the grade of each product is a numerical value containing the chemical component in each product based on the yield rate of each product (wt%) It is decided by).

키쉬흑연(정광1) 추출물 살펴보면 제강 더스트로부터 천연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키쉬흑연 추출물의 산출률은 3.8%이고, 키쉬흑연 추출물을 전체 100중량%으로 했을 때 카본(C) 및 카본 산화물의 함유량 75.37중량%의 품위를 갖는 키쉬흑연 추출물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39.39% 회수율로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강 더스트(원광)에 비해 다량의 카본 및 카본 산화물을 함유하는 고품위의 키쉬흑연 추출물을 39% 이상의 회수율로 획득할 수 있다.Kish Graphite (Concentrate 1) Extract The yield of Kish graphite extract, which can replace natural graphite from steelmaking dust, is 3.8%, and the content of carbon (C) and carbon oxides is 100. Kish graphite extract having a weight% of grade was obtained by the equation (1) with a 39.39% recovery. Therefore, a high-quality kishi graphite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arbon and carbon oxides compared to steelmaking dust (ore) can be obtained with a recovery rate of 39% or more.

철광석 원료를 대체하여 재활용될 수 있는 철(Fe) 추출물(정광2)의 산출률은 28.3%이고, 철 추출물을 전체 100중량%으로 했을 때 철과 철 산화물의 함유량 60.1%의 품위를 갖는 철 추출물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81.26% 회수율로 획들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강 더스트(원광)에 비해 다량의 철 및 철 산화물을 함유하는 고품위의 철 추출물을 81% 이상의 회수율로 획득할 수 있다. The yield of iron (Fe) extract (concentrate 2), which can be recycled by replacing iron ore raw materials, is 28.3%, and the iron extract having a grade of 60.1% of iron and iron oxide when the total amount of iron extract is 100% by weight. It can be stroked with 81.26% recovery by the above equation (1). Therefore, a high-quality iron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iron and iron oxide compared to steelmaking dust (ore) can be obtained with a recovery rate of 81% or more.

제선 부원료를 대체하여 재활용될 수 있는 칼슘(Ca) 추출물의 산출률은 67.9%이고, 칼슘 추출물 전체 100중량%으로 했을 때 칼슘 및 칼슘 산화물의 함유량 44.1 중량%의 품위를 갖는 칼슘 추출물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96.62% 회수율로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강 더스트(원광)에 비해 다량의 칼슘 및 칼슘 산화물을 함유하는 고품위의 칼슘 추출물을 96% 이상의 회수율로 획득할 수 있다.The yield of calcium (Ca) extract that can be recycled in place of the secondary raw material is 67.9%, the calcium extract having a quality of 44.1% by weight of calcium and calcium oxide when the total amount of calcium extract 100% by weight 1 could be obtained with a recovery rate of 96.62%. Therefore, a high-quality calcium extra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alcium and calcium oxide can be obtained with a recovery rate of 96% or more compared with steelmaking dust (o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 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 키쉬흑연 추출물, 철 추출물, 칼슘 추출물은 원료물질 즉, 제강 더스트에 함유된 C, Fe, Ca 함유량보다 높은 함유량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해 선별된 유효물질의 품위가 제강 더스트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Kishi graphite extract, iron extract, calcium extract prepared by the by-product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higher content than the raw material, that is, C, Fe, Ca content contained in steelmaking dus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grade of the active substance sel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steelmaking dust.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 공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by-produc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산물의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by-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부산물 즉, 제강 더스트를 마련한다(S100). 여기서 제강 더스트는 집진설비를 통해 집진된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과정이 완료되어 마련된다.First, a by-product, that is, steelmaking dust is prepared (S100). Here, the steelmaking dust is prepared by completing a drying process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steelmaking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facility.

그 후, 마련된 제강 더스트를 대상으로 건식 해쇄 공정을 진행한다(S200). 여기서 해쇄 과정은 상기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Thereafter, a dry pulveriz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rovided steelmaking dust (S200). Since the disintegration proces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is omitted.

그 후, 해쇄 공정이 완료된 시료를 대상으로 건식 체가름 공정을 통해 입도 별로 분리한다(S300).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체가 구비된 건식 체가름 설비를 통해 해쇄 공정이 완료된 시료는 각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들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쇄 공정이 완료된 시료를 5종의 각각 다른 체의 크기를 갖는 체들을 사용하여 6종의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들로 분리하였다. 여기서 복수 개의 체는 각각 체의 크기가 변경 가능하며, 사용되는 체의 개수 또한 가감 가능하다. Thereafter, the sample is separated by particle size through a dry sieve process for the sample in which the disintegration process is completed (S300). As described above, the sample that has been disintegrated through a dry siev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ieves is separated into treatments having respective particle size rang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s of which the disintegration process is completed were separated into treatments having six particle size ranges using sieves having five different sieve sizes. Herein, the sizes of the sieves may be changed, and the number of sieves used may be changed.

그 후, 각 입도 범위별로 분리된 각 처리물 중 최하위 입도 범위를 가지는 처리물을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들을 대상으로 건식 분급 공정을 통해 질량이 높은 처리물과 상대적으로 질량이 낮은 처리물로 선별/분리한다(S400). 여기서 정광1을 제조할 수 있다.After that, sorting / separating into high mass and relatively low mass through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for the treatments except the one with the lowest particle size among the treatments separated by each particle size range (S400). Concentrate 1 can be produced here.

그 후, 건식 분급 공정이 완료된 각 입도 범위별 U/F 산물들과 건식 체가름 공정으로 분리된 산물 중 최하 입도 범위를 갖는 산물을 대상으로 건식 자력 선별 공정을 통해 정광1과 광미를 분리한다(S500). 여기서 건식 자력 선별을 통해 정광1과 광미를 제조할 수 있다.Thereafter, concentrates 1 and tailings are separated through a dry magnetic screening process on the U / F products for each particle size range where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products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among the products separated by the dry sifting process ( S500). Here, concentrate 1 and tailings can be produced by dry magnetic screen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4)

부산물 처리방법으로서,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부산물을 해쇄하는 건식 해쇄 과정;
상기 해쇄된 부산물을 입경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입도 범위를 갖는 복수 개의 처리물로 분리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처리물 중 최하위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을 제외한 나머지 처리물들을 질량의 차이에 따라 질량이 높은 처리물과 질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처리물로 건식 분급하는 과정;
상기 질량이 높은 처리물과 상기 최하위 입도 범위를 갖는 처리물들을 자성 물질과 비 자성 물질로 선별하는 건식 자력 선별 과정;
을 포함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A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Preparing by-products generated from the steelmaking process;
A dry crushing process of crushing the by-products;
Separating the pulverized by-products into a plurality of processed materials having respective particle size rang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article diameters;
Dry classifying the treatments other than the treatment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among the plurality of treatments into a high mass treatment and a relatively low mass treatment according to a difference in mass;
A dry magnetic screening process for sorting the high-mass processed materials and the processed materials having the lowest particle size range into magnetic materials and non-magnetic materials;
By-product treatment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인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y-product is a dust by-product treatment method generat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를 마련하는 과정은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ust by-product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drying step of removing moistu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을 해쇄하는 건식 해쇄 과정은,
임펠러가 구비된 스크러버나 고속 교반 믹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건식 조건하에서 해쇄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Dry crushing process of crushing the by-product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of disintegrating under dry conditions using either a scrubber equipped with an impeller or a high speed stirring mix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쇄된 부산물을 입경의 차이에 따라 각각의 입도 범위를 갖는 복수 개의 처리물로 분리하는 과정은, 메시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체를 구비하고, 상하운동 또는 좌우운동이 가능한 전동식 체가름 장치를 사용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ulverized by-products into a plurality of treatments having respective particle size rang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particle diameters includes a plurality of sieves having different mesh sizes, and uses an electric sieve device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or horizontal movement. By-product treatment metho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체는 각각 0.06mm, 0.075mm, 0.1mm, 0.15mm, 0.2mm의 메시 크기를 갖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sieves are each by-product method having a mesh size of 0.06mm, 0.075mm, 0.1mm, 0.15mm, 0.2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처리물은 각각 0.2mm 초과, 0.2mm 이하 내지 0.15mm 초과, 0.15mm 이하 내지 0.1mm 초과, 0.1mm 이하 내지 0.075mm 초과, 0.075mm 이하 내지 0.06mm 초과, 0.06mm 미만의 입도 범위를 갖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treatments each have a particle size range of greater than 0.2 mm, less than 0.2 mm to more than 0.15 mm, less than 0.15 mm to more than 0.1 mm, less than 0.1 mm to more than 0.075 mm, less than 0.075 mm to more than 0.06 mm, less than 0.06 mm. Process by-products hav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식 분급하는 과정은,
상기 0.2mm 초과하는 산물은 4 내지 6L/min, 상기 2mm 이하 내지 0.15mm 초과하는 산물은 2 내지 3L/min, 상기 0.15mm 이하 내지 0.1mm 초과하는 산물은 1 내지 2L/min, 상기 0.1mm 이하 내지 0.075mm 초과하는 산물과 상기 0.075mm 이하 내지 0.06mm 초과하는 산물들은 0.5 내지 1.5L/min의 범위의 유속 조건 하에서 선별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The product of more than 0.2mm is 4 to 6L / min, the product of more than 2mm to 0.15mm is 2 to 3L / min, the product of more than 0.15mm to 0.1mm is 1 to 2L / min, the 0.1mm or less By-products of more than 0.075mm and products of less than 0.075mm to more than 0.06mm are selected by the flow rate conditions in the range of 0.5 to 1.5L / mi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분급 과정은, 공기의 힘을 사용하는 지그재그 공기 분급기, 사이클론 분급기, 공기 강압여과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9,
The dry classification process, by-product treatment method using at least one of a zigzag air classifier, a cyclone classifier, an air pressure filtration device using the force of the ai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이 낮은 처리물은 키쉬흑연 추출물이고, 상대적으로 상기 질량이 높은 처리물은 철과 칼슘 혼합된 추출물인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ow mass treated product is a Kish graphite extract, and the relatively high mass processed product is an iron and calcium mixed extract.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키쉬흑연 추출물은 상기 키쉬흑연 추출물을 100 중량%으로 했을 때 75 중량% 이상 카본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kishi graphite extract i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having a grade containing at least 75% by weight of carbon when the Kishi graphite extract to 100% by weight.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로는 철 추출물, 상기 비 자성물질로는 칼슘 추출물을 선별하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by-product treatment method for selecting the iron extract as the magnetic material, calcium extract as the non-magnetic materi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철은 추출물은 상기 철 추출물을 100 중량%으로 했을 때 60 중량% 이상철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iron extract i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having a grade containing more than 60% by weight of iron when the iron extract to 100% by weigh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칼슘 추출물은 상기 칼슘 추출물을 100중량%으로 했을 때 44중량% 이상의 칼슘을 함유하는 품위를 갖는 부산물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lcium extract is a by-product treatment method having a quality containing at least 44% by weight of calcium when the calcium extract to 100% by weight.
KR1020120144383A 2012-12-12 2012-12-12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KR101380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83A KR101380806B1 (en) 2012-12-12 2012-12-12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83A KR101380806B1 (en) 2012-12-12 2012-12-12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806B1 true KR101380806B1 (en) 2014-04-04

Family

ID=5065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383A KR101380806B1 (en) 2012-12-12 2012-12-12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80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97A (en)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separating the steelmaking du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al briquettes
WO2017057856A1 (en) * 2015-09-30 2017-04-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eparating and sorting nickel laterite ores
KR101796040B1 (en) 2015-04-30 2017-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s of high-quality lime for desulfurization from low-grade limest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889A (en) * 1998-03-09 1999-09-21 Dowa Min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metal from solid waste
KR20020051631A (en) * 2000-12-23 2002-06-29 이구택 Method for separating iron powder from slag
KR100706477B1 (en) * 2005-12-06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Reworking method of iron powder in residual product of ferruginous
JP2009249734A (en) * 2008-04-11 2009-10-29 Jfe Steel Corp Method for producing iron in blast furnace utilizing low-grade iron scra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889A (en) * 1998-03-09 1999-09-21 Dowa Min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metal from solid waste
KR20020051631A (en) * 2000-12-23 2002-06-29 이구택 Method for separating iron powder from slag
KR100706477B1 (en) * 2005-12-06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Reworking method of iron powder in residual product of ferruginous
JP2009249734A (en) * 2008-04-11 2009-10-29 Jfe Steel Corp Method for producing iron in blast furnace utilizing low-grade iron scra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97A (en)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separating the steelmaking du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al briquettes
KR101709200B1 (en) 2014-11-12 2017-02-22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for separating the steelmaking dus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al briquettes
KR101796040B1 (en) 2015-04-30 2017-12-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anufacturing methods of high-quality lime for desulfurization from low-grade limestone
WO2017057856A1 (en) * 2015-09-30 2017-04-0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separating and sorting nickel laterite o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4345A1 (en) Soil cleaning method
CN111302377A (en)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and whitening ardealite
CN109482336B (en) Novel gravity separation and recovery process for low-grade uranium-niobium-titanium ore
CN108514949B (en) Recovery method of fine-grain ilmenite
CN113941433B (en) Ore dressing method for cascade recovery and segmented tailing discarding of low-grade chromite
CN111545341A (en) Process for removing chromium from laterite-nickel ore
CN111841871A (en) Beneficiation method for low-grade tungsten ore
CN1785527A (en) Oxidation ore classification technology
CN111285405A (en) Method for separating calcium ferrite and magnesium ferrite from steel slag magnetic separation tailings
KR101380806B1 (en) Method for processing sludge
CN112206919A (en) Beneficiation method for obtaining blocky manganese concentrate
CN114178043B (en) Beneficiation process for copper-containing iron ore
CN112791848B (en) Method for reducing ilmenite flotation difficulty in process of recycling ilmenite from iron ore dressing tailings
CN112871438B (en) Method for recovering ilmenite from iron ore dressing tailings
CN114178046B (en) Beneficiation method for pyrochlore
CN109550587A (en) The red composite ore ore-dressing technique of magnetic
CN112156889B (en) Beneficiation method for pyroxene type ilmenite
CN113042180B (en) Method for recovering rare earth from heterolite
CN112718231B (en) Mineral separation method of molybdenite of magnesium-rich mineral
CN110694787B (en) Effective recovery process for associated niobium and tantalum in rare metal ore
CN113941441A (en) Wet-type strong magnetic preselection method for low-grade chromite
US4591103A (en) Asbestos process
CN108580021B (en) Process method for recovering chromium concentrate from gravity tailings of high-carbon ferrochromium smelting dry slag
CN113304876B (en) Beneficiation method for copper-containing high-sulfur magnetite ore
CN112774854B (en) Method for reducing leaching acid consumption of clay uranium 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