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58B1 -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58B1
KR101380458B1 KR1020120080478A KR20120080478A KR101380458B1 KR 101380458 B1 KR101380458 B1 KR 101380458B1 KR 1020120080478 A KR1020120080478 A KR 1020120080478A KR 20120080478 A KR20120080478 A KR 20120080478A KR 101380458 B1 KR101380458 B1 KR 10138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coherence tomography
imaging
wall
optical coh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5749A (ko
Inventor
오왕열
권오기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8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4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대상체에 대한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신호를 검출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은,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상기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부에서 상기 광 신호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대체액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사용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혈관 조영술, 및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INTRAVASCULAR 2ND GENERATION OCT IMAGING METHOD FOR CAROTID ARTERY IMAGING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학 영상화 분야와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간섭계를 이용한 의학 영상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와 같은 광학적 단층 촬영 장치는, 비접촉 방식에 의하여 절개 없이 대상체의 내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컴퓨터 단층 촬영(Xray computed tomography; CT), 초음파 영상촬영(ultrasound imaging), 자기 공명 영상 촬영기와 같은 기존의 계측 장비들이 갖는 인체 유해성 문제, 가격 문제 및 측정 분해능 문제를 보완한 영상 촬영 기술이다.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술(Second Generat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2nd OCT)은 파장변환 레이저의 경로 차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깊이 방향의 정보를 얻고 빔 스캐닝을 통해 고해상도 3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이는, 비접촉,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적출 과정 없이 생체조직을 깊이 수 mm까지의 관찰이 가능하여 적출이 불가능한 혈관 계통의 영상화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분야의 하나로 심장에 혈액을 제공하는 관상동맥의 혈관 내 영상화가 있다.
이러한 광 가간섭 단층촬영의 경우, 혈관을 안쪽에서 내시경적으로 영상화할 시 혈액이 빛을 흡수하여 빛이 혈관 내벽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광 투과율이 높은 다른 액체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혈액을 대체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1300nm 파장영역의 파장변환 레이저를 사용하고 광 가간섭 단층촬영 시 식염수를 주입하여 혈액을 밀어내고 촬영을 진행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경동맥 영상화 절차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 추가적인 이물질을 주입하지 않고 경동맥 OCT 이미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혈관 안쪽에서 경동맥의 혈관 내벽을 내시경적으로 영상화 하는 2세대 OCT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기존 경동맥 영상화 절차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 추가적인 이물질을 주입하지 않고 카테터에서 혈관 내벽, 혈관 내벽에서 다시 카테터로 빛이 왕복하면서 발생하는 빛의 광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2세대 OCT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체에 대한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신호를 검출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는,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 및 상기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상기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부에서 상기 광 신호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대체액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사용된다.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에 이용되며, 상기 조영제가 혈액 대체액으로 사용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혈관 조영술, 및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 레이저는, 1000nm 이하 영역의 파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파장변환 레이저는, 1000nm 이하 영역에서 이득(gain)을 가지는 증폭 매질(gain medium), 및 1000nm 이하 영역에서 통과 대역(pass band)의 변환이 가능한 가변 필터(tunable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상체에 대한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신호를 검출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은,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상기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부에서 상기 광 신호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대체액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동맥의 혈관 내 영상화에 특화된 2세대 OCT를 통해 경동맥 질환의 진단 및 관찰을 위해 임상에서 위험부담을 최소화 하여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영상화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OCT의 영상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혈액 대체액으로 사용하는 조영제(예컨대, Xenetix)의 투과 깊이에 따른 투과 광량을 4가지 파장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OCT 장치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OCT 장치에 사용되는 파장 변환 레이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OCT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경동맥을 혈관 안쪽에서 내시경적으로 영상화 하는 2세대 OCT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혈관 조영술에서 사용하는 혈관 조영제(Contrast Agent)로 혈액을 대체하는 것과, 이를 바탕으로 한 혈관 조영술을 실시하면서 추가적인 주입물 없이 경동맥의 OCT 이미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 그리고 1000nm 파장 영역의 파장 가변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혈액은 빛을 크게 흡수하기 때문에 경동맥의 혈관 내 영상화를 위해서는 혈액을 광 투과율이 높은 다른 액체를 이용해 일시적으로 대체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혈관 내 광간섭 단층촬영 기술의 경우, OCT 이미징을 위하여 식염수나 혈관 조영제 등 빛이 잘 투과하는 액체를 혈관 조영술 이후에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혈액을 일시적으로 밀어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혈관 조영제로 혈액을 대체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혈관 조영술을 실시하면서 동시에 추가적인 주입물 없이 경동맥의 OCT 이미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000nm 영역의 파장가변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카테터에서 경동맥의 내벽, 경동맥의 내벽에서 다시 카테터로 왕복하면서 생길 수 있는 흡수로 의한 광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경동맥의 혈관 내 영상화에 특화된 2세대 OCT 방법 및 그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존의 경동맥 OCT 이미징 절차와 본 발명에 따른 경동맥 OCT 이미징 절차를 비교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OCT 이미징은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 조영술을 먼저 실시하고, 이미징 카테터를 혈관 내로 삽입한 후 혈액 대체 액체(예컨대, 식염수)를 추가적으로 주입하여 혈액을 밀어낸 다음, 경동맥의 OCT 이미징을 실시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한 절차의 OCT 이미징 방식은 불필요한 주입물을 추가적으로 주입한다는 점이 OCT 영상화의 경동맥 적용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혈관 조영술을 위한 조영제 주입과 OCT 이미징을 위한 혈액 대체액 주입이 각각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조영제를 이용하여 혈액을 대체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T 이미징은 먼저 이미징 카테터를 혈관 내로 삽입한 후, 조영제를 혈액 대체 액체로 주입하여 혈액을 밀어낸 다음, 경동맥에 대한 조영술과 OCT 이미징을 동시에 수행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내 2세대 OCT 방법은 OCT 시스템의 이미징 카테터를 피검자의 몸 안쪽 혈관으로 삽입한 후, 혈관 속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를 주입하여 혈액을 밀어낸 다음, OCT 이미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X-ray를 통한 혈관 조영술을 함께 실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혈관 조영제를 이용한 혈액 대체 기법과, 경동맥의 OCT 영상화와 혈관 조영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주입물 없이 경동맥의 영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혈액 대체액으로 사용하는 조영제의 투과 깊이에 따른 투과 광량을 4가지 파장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용화 된 특정 조영제, 예컨대, Xenetix에 대하여 흡수 특성 실험 결과 850nm, 1060nm 1295nm 1626nm의 광원을 이용하여 조영제 깊이를 통과하였을 때 남아있는 광 출력(optical power)의 비율을 알 수 있다.
OCT 이미징 카테터가 직경 약 4~6mm 정도인 경동맥의 혈관 중앙에 위치할 때 카테터로부터 나온 빛이 혈관 벽에 맞고 후방으로 산란되어 돌아올 때 혈관 내에 주입된 조영제를 거치면서 흡수에 의한 광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영역 별로 광 손실량을 살펴보면, 1295nm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 약 50% 정도, 1060nm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 약 5%정도, 850nm의 광원을 사용할 경우 5% 미만으로 손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손실의 추세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2세대 OCT 장치에서는 1000nm 이하의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카테터에서 경동맥 내벽, 내벽에서 다시 카테터로 왕복하면서 발생되는 광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OCT 장치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2세대 OCT 장치는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Swept Laser)(401), 간섭계 기준 암(reference arm)(402), 시편 암(sample arm)(403), 검출기(detector)(404)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2세대 OCT 장치는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probe)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파장변환 레이저(401)와, 파장변환 레이저의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40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파장변환 레이저(401)가 특정 파장 영역을 한번 변환(sweep)할 때 한 깊이 방향의 정보가 얻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1000nm 영역의 파장변환 레이저(401)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파장변환 레이저(401)의 경로 차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 현상, 즉 시편 암(403)에서 돌아오는 빛과 기준 암(402)에 의한 빛이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간섭 신호의 주파수가 깊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검출기(404)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퓨리에 변환하게 되면 깊이 방향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세대 OCT 장치에 사용되는 파장변환 레이저(4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을 내고 증폭시키는 증폭 매질(gain medium)(501)과 시간에 따라 통과 대역(pass band)을 변환할 수 있는 가변 필터(tunable filter)(502)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는 파장변환 레이저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fiber based ring cavity laser 구조, (b)는 freespace ring cavity laser 구조, (c)는 freespace linear cavity laser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000nm 이하의 영역에서 이득(gain)을 가지는 증폭 매질(501)과, 1000nm 이하의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가변 필터(502)를 이용하여 2세대 OCT 장치의 광원인 파장변환 레이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OCT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장변환 레이저(601)에서 나온 빛이 커플러(coupler)(602)를 통해 일부는 기준 암(603)으로 전달되고 일부는 시편 암(604), 즉 혈관 내벽을 관측할 프로브 쪽으로 전달된다.
이때, 기준 암(603)에서는 기준 거울(reference mirror)(605)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빛이 광 서큘레이터(circulator)(606)를 통해 평형 검출부(balanced detection part)(6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시편 암(604)에서는 회전 결합부(Rotary Junction)(607) 및 이미징 카테터(Imaging Catheter)(608)가 있어, 이미징 카테터(608)가 혈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면 2차원 이미지가 얻어지고 회전 결합부(607)가 뒤로 이동하면 3차원 이미지가 얻어질 수 있다. 이미징 카테터(608)가 삽입된 혈관의 내벽에서 반사되어 온 빛도 광 서큘레이터(606)을 통해 평형 검출부(610)로 전달된다.
여기서, 평형 검출부(610)는 시준기(collimator)(빛을 자유 공간으로 보내는 역할), 거울(mirror), 빔 스플리터(BS, beam splitter), 비교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평형 검출부(610)에서는 시편 암(604)에서 돌아오는 빛과 기준 암(603)에서 돌아오는 빛에 대하여 평형 검출 방법을 통해 빛의 간섭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OCT 이미징을 위한 컴퓨터(630)에서는 평형 검출부(610)에서 측정된 간섭 정보를 DAQ(High-speed Data Acquisition)(620)를 통해 수집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혈관 조영제를 이용한 혈액 대체 기법과, 혈관 조영술과 OCT 이미징 절차를 동시에 실시하는 기법을, 혈관 OCT 영상화와 관련된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혈관 내 광 가간섭 단층촬영 장치에 1000nm 이하를 중심 파장으로 하는 파장가변 레이저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동맥의 혈관 내 영상화에 특화된 2세대 OCT를 통해 경동맥 질환의 진단 및 관찰을 위해 임상에서 위험부담을 최소화 하여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영상화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601: 파장변환 레이저
602: 커플러
603: 기준 암
604: 시편 암
605: 기준 거울
606: 광 서큘레이터
607: 회전 결합부
608: 이미징 카테터
610: 평형 검출부

Claims (8)

  1. 대상체에 대한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신호를 검출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 및
    상기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상기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기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부에서 상기 광 신호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대체액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사용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에 이용되며,
    상기 조영제가 혈액 대체액으로 사용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혈관 조영술, 및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가 동시에 실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 레이저는,
    1000nm 이하 영역의 파장을 이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환 레이저는,
    1000nm 이하 영역에서 이득(gain)을 가지는 증폭 매질(gain medium), 및 1000nm 이하 영역에서 통과 대역(pass band)의 변환이 가능한 가변 필터(tunable filter)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
  5. 대상체에 대한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신호를 검출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장치에서의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에 있어서,
    파장변환 레이저(wavelength swept laser)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벽을 관측하기 위한 프로브로 광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광 신호에 대한 간섭계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반사 빛과 상기 혈관 내벽에서 반사되는 빛 간의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체의 혈관 내부에서 상기 광 신호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한 혈액 대체액으로 조영제(contrast agent)가 사용되고,
    상기 간섭 신호는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에 이용되며,
    상기 조영제가 혈액 대체액으로 사용됨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대한 혈관 조영술, 및 상기 혈관 내벽에 대한 영상화가 동시에 실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는,
    1000nm 이하 영역의 파장변환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를 방사하는 단계는,
    1000nm 이하 영역에서 이득(gain)을 가지는 증폭 매질(gain medium), 및 1000nm 이하 영역에서 통과 대역(pass band)의 변환이 가능한 가변 필터(tunable filter)로 이루어진 파장변환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가간섭 단층 촬영 방법.
KR1020120080478A 2012-07-24 2012-07-24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38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478A KR101380458B1 (ko) 2012-07-24 2012-07-24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478A KR101380458B1 (ko) 2012-07-24 2012-07-24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49A KR20140015749A (ko) 2014-02-07
KR101380458B1 true KR101380458B1 (ko) 2014-04-14

Family

ID=5026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478A KR101380458B1 (ko) 2012-07-24 2012-07-24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049B1 (ko) 2015-04-29 2016-12-06 한국과학기술원 카테터 기반 이미징 후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46763B1 (ko) * 2016-02-01 2017-06-14 한국과학기술원 망막 또는 맥락막 내 혈관조영 광가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방법
KR101880806B1 (ko) * 2016-08-24 2018-07-23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의료용 촬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398A (ja) 2005-06-27 2007-01-18 Siemens Ag 光コヒーレンス断層画像化を基礎とする画像化方法
JP2010517711A (ja) 2007-02-16 2010-05-27 メスピア・ライフ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心臓機能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1090744A2 (en) 2010-01-19 2011-07-28 Lightlab Imaging, Inc.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with pressure monitoring interface and accessor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398A (ja) 2005-06-27 2007-01-18 Siemens Ag 光コヒーレンス断層画像化を基礎とする画像化方法
JP2010517711A (ja) 2007-02-16 2010-05-27 メスピア・ライフ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心臓機能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1090744A2 (en) 2010-01-19 2011-07-28 Lightlab Imaging, Inc.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with pressure monitoring interface and accesso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749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219B2 (en) Low-coherence interferometr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image-guided surgical treatment of solid tumors
US952642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in-vivo blood clearing in a lumen
Bouma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P6071260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590503B2 (ja) 光音響装置および情報取得装置
Manapuram et al. Phase-sensitive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imaging and quantifying of microbubbles in clear and scattering media
JP2005224399A (ja) 光超音波断層画像測定方法及び装置
Han Review of photoacoustic imaging for imaging-guided spinal surgery
Jung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rapid tissue screening and directed histological sectioning
KR101380458B1 (ko) 경동맥의 영상화를 위한 혈관 내 2세대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Zhu et al. Perspective: current challenges and solutions of Dopple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angiography for neuroimaging
Taki et al. Overview of different medical imaging techniques for the identification of coronary atherosclerotic plaques
KR20190133741A (ko) 광 간섭 단층 촬영 시스템
CN109758119B (zh) 一种肿瘤微血管图像处理装置
JP2017202319A (ja) 光音響装置および光音響装置の制御方法
He et al. Importance of ultrawide bandwidth for optoacoustic esophagus imaging
EP3949835A2 (en) Auto-pullback triggering method for intracoronary imaging apparatuses or systems using blood clearing
JP6740004B2 (ja) 光音響装置
Chang et al. Noninvasive imaging analysis of biological tissue associated with laser thermal injury
US20170265749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JP7125930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セッサの作動方法及び記憶媒体
JP6824636B2 (ja) 被検体情報取得装置および被検体情報取得方法
Vavadi et al. Automated data selection method for diffuse optical tomography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breast cancer detection
Matsushita et al. Qualitative near-infrared vascular imaging system with tuned aperture computed tomography
KR20160107884A (ko) 광 투과율이 향상된 혈관 카테터 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