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286B1 - 발광다이오드 램프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286B1
KR101380286B1 KR1020130063552A KR20130063552A KR101380286B1 KR 101380286 B1 KR101380286 B1 KR 101380286B1 KR 1020130063552 A KR1020130063552 A KR 1020130063552A KR 20130063552 A KR20130063552 A KR 20130063552A KR 101380286 B1 KR101380286 B1 KR 10138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push b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철
정화균
Original Assignee
루미리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리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루미리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와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지나는 경로에 배치되는 광 투과성 커버, 상기 광 투과성 커버에 체결되는 베이스,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한 쌍의 도전성 핀, 그리고 상기 도전성 핀과 상기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용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램프{Light emitting diode lamp}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인가를 위해 외부에 노출된 도전성 핀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형광등은 90 내지 1500V (피크 전압) 정도의 교류 전원(AC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발광다이오드(LED) 램프는 기존의 형광등과 같은 고압 방전관 램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에 입력하여 90V 미만의 직류 전원(DC 전원)으로 바꾼 후 이를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인가함으로써 직류 전원을 통해 발광다이오드가 빛을 발산한다. 이와 같이 통상의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SMPS라는 전원 장치를 부가하여 발광한다.
이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형광등에 인가되는 것과 같은 교류 전원이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인가될 경우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수명과 동작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종래의 형광등을 점등시켜주는 안정기에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꽂을 경우, 파괴, 폭발, 화재 등의 위험이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기존의 형광등용 안정기를 제거하고 발광다이오드 전용의 SMPS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달리 기존의 형광등용 안정기에 바로 꼽아서 사용할 수 있는 형광등 안정기 호환형의 발광다이오드 램프도 있다.
그러나 형광등 안정기에 바로 꽂아 쓰는 발광다이오드 램프나 90V 이하의 직류 전압의 SMPS를 사용하는 타입의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충전부(즉 도전성 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교체할 때 노출된 도전성 핀을 통해 감전 사고를 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되었으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핀을 통해 생길 수 있는 감전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와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지나는 경로에 배치되는 광 투과성 커버, 상기 광 투과성 커버에 체결되는 베이스,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한 쌍의 도전성 핀, 그리고 상기 도전성 핀과 상기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용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유닛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푸쉬 바(push bar),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도전성 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도전성 리드, 상기 푸쉬 바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접촉 부재, 그리고 상기 푸쉬 바와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푸쉬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를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바에 외력이 작용하다 제거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푸쉬 바에 전달되면서 상기 푸쉬 바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가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푸쉬 바의 외측 끝단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핀의 외측 끝단보다 덜 돌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유닛이 최초 상태에서는 도전성 핀과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푸쉬 바가 외력에 의해 베이스 내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 도전성 핀과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도전성 핀을 등기구의 핀 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전성 핀을 통해 감전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광 투과성 커버가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에서 도전성 접촉 부재와 도전성 리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에서 도전성 접촉 부재와 도전성 리드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에서 푸쉬 바의 접촉부와 도전성 리드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에서 푸쉬 바의 접촉부와 도전성 리드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램프는 통상의 형광등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모듈(10)과 광 투과성 커버(20)를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은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소자(11)와 전기 회로(1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소자(11) 및 전기 회로(13)는 기판(1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전기 회로(13)는 발광다이오드 소자(11)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회로 소자 및 배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다이오드 소자(11)를 보호하기 위한 퓨즈(131) 및 브릿지 다이오드(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회로(13)는 발광다이오드 소자(11)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각종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성 커버(20)는 발광다이오드 소자(11)에서 발산된 빛이 통과하도록 발광다이오드 소자(11)에서 발산된 빛이 지나는 경로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커버(20)는 발광다이오드 소자(11)에서 발산된 빛이 통과하도록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광 투과성 커버(20)는 광 투과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PC(Polycarbonate)와 같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 커버(20)는 양측이 개방된 단면이 대략 원형을 가지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광 투과성 커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다이오드 소자(1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히트 씽크(heat sink)가 구비될 수 있다. 히트 씽크는 광 투과성 커버(2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광 투과성 커버(20)에 체결될 수도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의 기판(15)이 히트 씽크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소자(11)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base)(30)가 광 투과성 커버(20)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가 광 투과성 커버(20)의 개방될 일측에 체결된다. 베이스(30)는 난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C(Polycarbonate)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광 투과성 커버(20)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일단에도 베이스(30)가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성 핀(40)이 베이스(30)에 체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전성 핀(40)은 일부가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30)에 체결된다. 도전성 핀(10)을 통해서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전기가 인가되며, 도전성 핀(10)은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반대편에도 동일한 한 쌍의 도전성 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의 기판(15)에는 전기 회로(13)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17)이 전극이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30) 내로 삽입된 한 쌍의 도전성 핀(40)의 끝단이 한 쌍의 전극(17)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전성 핀(40)이 전기 회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30) 및 도전성 핀(40)은 종래의 형광등용 등기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종래의 형광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핀(40)이 종래의 형광등용 등기구에 연결됨으로써 도전성 핀(40)을 통해서 외부 전원이 발광다이오드 모듈(10)로 인가될 수 있다.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용하는 스위치 유닛(50)이 구비된다. 도전성 핀(40), 전기 회로(13), 그리고 스위치 유닛(50)의 연결 관계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스위치 유닛(50)이 한 쌍의 도전성 핀(40) 중 어느 하나와 전기 회로(13)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전성 핀(40)이 전기 회로(1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스위치 유닛(50)이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를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한 쌍의 도전성 핀(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다시 말해, 스위치 유닛(50)은 한 쌍의 도전성 핀(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한다.
스위치 유닛(50)이 온(On) 되면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전성 핀(4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전기 회로(13)를 통해 발광다이오드(1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스위치 유닛(50)이 오프(Off) 되면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다. 이때 스위치 유닛(50)이 온 되는 경우 한 쌍의 도전성 핀(40)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되며, 스위치 유닛(50)이 오프 되는 경우 한 쌍의 도전성 핀(40)도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다. 한 쌍의 도전성 핀(40)이 서로 전기적으로 차단된 경우, 사용자가 외부 전원에 연결된 한 쌍의 도전성 핀(40)을 실수로 만지는 경우에도 전기 감전이 일어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위치 유닛(50)은 푸쉬 바(push bar)(51)를 포함한다. 푸쉬 바(51)는 일부가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닛(50)은 발광다이오드 모듈(10)의 기판(15)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푸쉬 바(51)의 외측 단부는 베이스(30)에 형성된 관통 홀(31)을 통과하여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푸쉬 바(51)에 외력이 작용하는 않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바(51)의 일부가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푸쉬 바(5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도전성 핀(40)의 끝단보다 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최초 상태에서는 도전성 핀(40)의 끝단이 푸쉬 바(51)의 끝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푸쉬 바(51)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베이스(3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푸쉬 바(51)에 베이스(30) 내측을 향하는 방향(도 6 및 도 7에서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푸쉬 바(51)가 외력에 의해 베이스(30) 내측을 향하는 방향(도 6 및 도 7에서 우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푸쉬 바(51)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외측으로 최대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 유닛(50)은 푸쉬 바(51)가 도 6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오프 상태가 되어 한 쌍의 도전성 핀(40) 중 어느 하나와 전기 회로(13)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며, 푸쉬 바(51)가 도 7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온 상태가 되어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 유닛(50)은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도전성 핀(40)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한 쌍의 도전성 리드(54) 중 나머지 하나는 전기 회로(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성 리드(53, 54)는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관계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생략되었다.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도전성 접촉 부재(55)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푸쉬 바(51)의 작용에 대응하여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되어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가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에 각각 접촉되어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푸쉬 바(5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푸쉬 바(51)가 베이스(30)의 외부로 최대한 돌출된 경우 도전성 접촉 부재(55)에 힘을 가하지 않아 도전성 접촉 부재(55)가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가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결과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다. 한편, 푸쉬 바(51)가 작용된 외력에 의해 베이스(30) 내측으로 이동된 경우 도전성 접촉 부재(55)에 힘을 가하여 도전성 접촉 부재(55)가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에 접촉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 결과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푸쉬 바(51)의 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한 예로, 푸쉬 바(51)와 도전성 접촉 부재(55) 사이에 게재되는 탄성 부재(57)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57)는 푸쉬 바(51)의 이동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금속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57)는 푸쉬 바(51)의 이동에 대응하여 도전성 접촉 부재(55)를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를 향해 가압한다. 즉, 푸쉬 바(51)가 도 6의 상태에서 가압되어 도 7의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57)는 푸쉬 바(51)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전성 접촉 부재(55)를 도전성 리드(53, 54)를 향해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푸쉬 바(5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형태를 유지하여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되고, 푸쉬 바(51)가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베이스(30) 내측으로 밀려 이동하는 경우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7)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어 도전겅 리드(53, 54)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푸쉬 바(51)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탄성 복원되면서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겯되며, 이때 도전성 접촉 부재(55)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57)를 통해 푸쉬 바(51)에 전달되면서 푸쉬 바(51)가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밀려나가서 최초 위치로 다시 복귀된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닛(50)은 스위치 바디(switch body)(59)를 구비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탄성 부재(57), 도전성 접촉 부재(55), 도전성 리드(53, 54)가 스위치 바디(59)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접촉 부재(55)는 제 자리를 유지하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스위치 바디(59)에 체결될 수 있으며, 도전성 리드(53, 54)는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푸쉬 바(51)의 끝단에는 걸림 돌기(5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57)의 일단이 걸림 돌기(511)에 지지될 수 있다. 걸림 돌기(511)를 포함하는 푸쉬 바(50)의 끝단 부분 및 탄성 부재(5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바디(59)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접촉 부재(55)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도전성 핀(40)이 전기 회로(13)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그에 따라 두 개의 도전성 핀(40)이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광다이오드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도전성 핀(40)을 등기구(200)의 핀 홀(201)에 삽입할 때 푸쉬 바(5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도전성 핀(40)이 핀 홀(201)에 일부 삽입되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도 푸쉬 바(51)가 등기구(200)의 외면(203)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도전성 핀(40)이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핀(40)이 핀 홀(201)에 더 삽입되어 푸쉬 바(51)가 등기구(200)의 외면(203)에 밀려 베이스(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도전성 접촉 부재(55)와 도전성 리드(53, 54)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이 발광다이오드 모듈(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150)에서는, 위의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도전성 접촉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푸쉬 바(151)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그 변형에 의해 도전성 리드(53, 54)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위치 바디(153)가 구비되며,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가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스위치 바디(153)의 일단에 설치된다.
푸쉬 바(151)가 스위치 바디(153)에 설치된다. 푸쉬 바(151)의 일단에는 돌출부(151a)가 구비되어 푸쉬 바(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부(151a)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푸쉬 바의 베이스(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푸쉬 바(151)의 다른 단부에는 접촉부(151b)가 형성된다. 접촉부(151b)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푸쉬 바(151)의 가장 끝단에는 걸림부(151c)가 구비되며, 걸림부(151c)는 스위치 바디(153)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54)에 지지된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바(15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푸쉬 바(151)의 접촉부(151b)가 도전성 리드(53, 54)로부터 이격되어 결과적으로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바(151)에 외력이 작용하여 푸쉬 바(151)가 베이스(3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접촉부(151b)가 변형되면서 한 쌍의 도전성 리드(53, 54) 모두에 접촉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전성 핀(40)과 전기 회로(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푸쉬 바(151)의 돌출부(151a)의 끝단은 최초 상태에서 도전성 핀(40)의 끝단보다 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발광다이오드 모듈
20: 광 투과성 커버
30: 베이스
40: 도전성 핀
50, 150: 스위치 유닛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소자와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 소자에서 발산된 빛이 지나는 경로에 배치되는 광 투과성 커버,
    상기 광 투과성 커버에 체결되는 베이스,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한 쌍의 도전성 핀, 그리고
    상기 도전성 핀과 상기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도록 작용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유닛은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푸쉬 바(push bar),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도전성 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전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도전성 리드,
    상기 푸쉬 바의 작용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전성 접촉 부재, 그리고
    상기 푸쉬 바와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푸쉬 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를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바에 외력이 작용하다 제거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상기 한 쌍의 도전성 리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도전성 접촉 부재의 복원력이 상기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푸쉬 바에 전달되면서 상기 푸쉬 바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가도록 형성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6. 제5항에서,
    상기 푸쉬 바의 외측 끝단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핀의 외측 끝단보다 덜 돌출되는 발광다이오드 램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63552A 2013-06-03 2013-06-03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38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52A KR101380286B1 (ko) 2013-06-03 2013-06-03 발광다이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52A KR101380286B1 (ko) 2013-06-03 2013-06-03 발광다이오드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286B1 true KR101380286B1 (ko) 2014-04-04

Family

ID=5065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552A KR101380286B1 (ko) 2013-06-03 2013-06-03 발광다이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0A (ko) * 2019-10-08 2021-04-16 금호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335A (ja) * 1997-12-26 1999-07-13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JP2010192229A (ja) * 2009-02-18 2010-09-02 Coolight Japan Co Ltd Ledランプおよびledランプ取り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1335A (ja) * 1997-12-26 1999-07-13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JP2010192229A (ja) * 2009-02-18 2010-09-02 Coolight Japan Co Ltd Ledランプおよびledランプ取り付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0A (ko) * 2019-10-08 2021-04-16 금호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KR102330178B1 (ko) 2019-10-08 2021-11-23 금호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7542C2 (ru) Сид лампа
US9420663B1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an arc prevention switch mechanism free of fire and shock hazards
US8562172B2 (en) LED tube end-cap having a switch
US8749167B2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voltage sensing mechanism free of fire and shock hazards
TWI408855B (zh) 具替換式保護模組之插座裝置
US9923325B2 (en) End cap for a tubular light source
US20120235556A1 (en) Safety lamp
KR20150097781A (ko) 선형 형광 램프를 위한 발광 다이오드 램프 교체 안전 스위치
US20150109802A1 (en) Led lighting device
RU2577778C2 (ru) Корпус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с электропитанием
KR101380286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KR20130141952A (ko) 형광등 소켓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KR101347257B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JP2011108627A (ja) 回路装置
KR101615665B1 (ko) 직관 램프
KR20160032535A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소켓
KR101399124B1 (ko) Led 램프용 안전 스위치 및 이를 갖는 led 램프
JP6635663B2 (ja) 直管形ランプの口金、直管形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101394961B1 (ko) Led 램프용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갖는 led 램프 어셈블리
KR101334102B1 (ko) 직관형 엘이디램프의 베이스
JP6473921B2 (ja) 基板用コネクタ、照明用電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6134225A (ja) 口金、直管形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16139471A (ja) 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6471932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照明用電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GB2506682A (en) Lam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