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119B1 -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 Google Patents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119B1
KR101380119B1 KR1020120077638A KR20120077638A KR101380119B1 KR 101380119 B1 KR101380119 B1 KR 101380119B1 KR 1020120077638 A KR1020120077638 A KR 1020120077638A KR 20120077638 A KR20120077638 A KR 20120077638A KR 101380119 B1 KR101380119 B1 KR 10138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cannula
rear end
fat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776A (ko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김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성 filed Critical 김윤성
Priority to KR102012007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의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타원형의 통공; 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에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라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외주연에는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따르면, 몸속에 삽입하여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용 캐뉼라에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Cannula structure for protecting damage on the skin}
본 발명은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러 구조로서, 특히 캐뉼러의 외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한 줄 이상의 직선 또는 나선 형태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캐뉼러는 몸 속에 삽입하는 튜브로서,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 기구이다.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체액을 뽑아내기 위해 꽂는 얇은 튜브형태의 관으로 흉강이나 복강에 찬 액체를 꺼내거나, 혈관 내에 삽입하여 채혈하거나, 기관절개술 때 기관 내에 삽입하여 호흡을 시키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지방이식 시술과정에서 지방채취나 지방주입에는 가느다란 금속제 관의 캐뉼라가 쓰이는데, 일반 의료용 바늘에 비하여 끝이 뭉툭하여 혈관, 근육층, 피부층 등의 다른 조직들의 손상을 최소화해서 멍이 들지 않는다.
하지만 지방 흡입 시에는 시술자가 캐뉼라를 인체의 지방층에 삽입한 후 피부 속에서 흡입하고자 하는 지방 부위를 따라 지속적으로 캐뉼라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지방세포를 분리 및 파괴하여 지방을 흡입하고 지방 주입 시에도 다수의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피부 손상의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삽입되는 캐뉼라의 외경에 따라 피부에 남는 흉터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캐뉼라의 외경이 작을수록 유리하나 이동되는 액체나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통공을 다수 구비하여 흡입이나 배출되는 액체나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증가되는 양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지방채취나 지방 또는 필러 주입등을 시술하는 과정에 있어서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피부에 남는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속에 삽입하여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용 캐뉼라에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있어서,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의 삽입관(11), 상기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타원형의 통공(12)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에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라(10)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의 외주연에는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홈(13,14)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속에 삽입하여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의료용 캐뉼라에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의 홈을 구비함으로써,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있어서,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의 삽입관(11), 상기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타원형의 통공(12)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에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라(10)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의 외주연에는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홈(13,14)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방 흡입술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지방을 파쇄하도록 요동을 부여하는 핸드피스(22); 상기 핸드피스(22)의 후단부에 끼움 장착되고 지방이 연통되는 튜브(23); 상기 튜브(23)에 연결되어 흡입력에 의해 지방을 흡입시키는 흡입기(24); 를 구비하여 체내 지방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러 주입 및 지방 이식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캐뉼라 고정관이 구비되고, 끝단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실린더(30); 상기 실린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실린더(3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실린더(30)의 내주면과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이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밀대(40); 를 구비하여 피부 내부에 필러 및 지방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관(11), 통공(12), 홈(13,14)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관(11)은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이다. 즉, 피부 조직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선단은 둥근 형태로 막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액체나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일반 주사기 침과 같이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경우 피부를 투과하기에 용이하나 피부 내부에 삽입된 침이 혈관을 찔러 멍을 유발하고 피부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파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지방 흡입의 경우에는 피부 내부에 삽입 후 전후로 움직여 지방세포를 분리하고 파괴하는 반복적인 작업이 요구되므로 피부를 손상시킬 위험이 크므로 지방의 흡입이나 필러 주입 및 지방 이식 등에 있어서 선단이 둥근 형태로 폐쇄되어 있는 삽입관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삽입관(11)은 인체에 적합한 금속재질로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통공(12)은 타원형으로 상기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즉, 상기 삽입관(11)의 선단이 폐쇄되는 대신 상시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상기 통공(1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캐뉼라(10)가 인체에 삽입된 후 액체나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삽입관(11)의 외경에 따라 피부에 남는 흉터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삽입관(11)의 외경이 작을수록 유리하나 이동되는 액체나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통공(12)을 다수 구비하여 흡입이나 배출되는 액체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2)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는 상기 홈(13,14) 상에 등간격으로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공(12)을 다수 구비할 경우, 상기 통공(12)이 상기 삽입관(11)에 형성된 상기 홈(13,14) 상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삽입관(11)과 피부와의 마찰력을 경감하여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시에 액체가 상기 홈(13,14)을 따라 상기 통공(12)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배출시에 상기 통공(12)에서 나온 액체가 상기 홈(13,14)을 따라 피부속으로 쉽게 이동할 수있어 흡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삽입관(11)의 외경을 줄여 피부에 남는 흉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홈(13,14)은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관(11)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된다. 외주연에 다양한 형태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환자에게 삽입시 통증이 완화되고 삽입이 용이하여 자극이 줄어들고, 삽입 후 회전시 자극으로 인해 새로운 조직의 형성을 도와 세포 재생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홈이 없을 경우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크나 홈이 있는 경우 피부와의 접촉점이 작아 자극이 감소된다. 특히, 지방 흡입술의 경우 지방을 파괴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관(11)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지여야 하고, 지방 또는 필러 이식등의 반복적인 삽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효과가 더욱 크다.
또한, 상기 직선 형태의 홈(13)의 경우 상기 캐뉼라(10)를 일직선으로 삽입하는 지방 이식 또는 필러 이식 등에 효과가 크고 상기 나선형 형태의 홈(14)의 경우 상기 캐뉼라(10)를 회전하여 지방세포를 분리하는 경우 피부 화상이나 흉터 및 출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에 형성된 상기 통공(12)으로 흡입 및 배출되는 액체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액체를 몸에 주입하거나 몸에서 흡입하는 경우, 분리되어 형성된 다수의 통공(12)으로 흡입 또는 배출되므로 상기 홈(13,14)이 다수의 통공(12)으로 액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삽입관(11)의 직경이 작더라도 흡입 및 배출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삽입관(11)의 삽입으로 피부에 남는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끝단까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홈(13,14)과 홈(13,14) 사이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선형의 홈(13) 또는 나선형의 홈(14)은 한줄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고 상기 홈(13,14)은 단면의 형상이 반구형, 역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방 흡입술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지방을 파쇄하도록 요동을 부여하는 핸드피스(22)와, 상기 핸드피스(22)의 후단부에 끼움 장착되고 지방이 연통되는 튜브(23)와, 상기 튜브(23)에 연결되어 흡입력에 의해 지방을 흡입시키는 흡입기(24)를 구비하여 체내 지방을 흡입한다. 즉, 시술자가 상기 캐뉼라(10)를 피부 속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약품 등에 의해 용해된 지방을 상기 핸드피스(22)로 움직여 분리한 후 상기 캐뉼라(10)를 통해 흡입하게 되고, 지방은 상기 흡입기(24)에 의해 강하게 흡입되어 상기 튜브(23)를 통하여 이동하여 별도의 흡입 지방 저장통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지방흡입술 시술시 전후로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지방 흡입작업이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핸드피스(22)가 전후로 진동하여 상기 캐뉼라(10)가 전후로 진동하면서 지방을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러 주입 및 지방 이식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캐뉼라 고정관이 구비되고, 끝단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실린더(30)와, 상기 실린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실린더(3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실린더(30)의 내주면과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이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밀대(40)를 구비하여 피부 내부에 필러 및 지방을 주입한다. 즉, 일반적인 의료용 주사기의 주사침 체결부분을 대신하여 상기 캐뉼라(10)의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되도록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를 구비하여 필러 주입 또는 지방 이식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뉼라로 지방을 흡입하였을 경우 전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캐뉼라 고정관에 뚜껑을 체결하여 지방 이식을 위한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캐뉼라 11: 삽입관
12: 통공 13: 직선 홈
14: 나선 홈 20: 나사산
21: 체결부 22: 핸드피스
23: 튜브 24: 흡입기
30: 실린더 40: 밀대

Claims (3)

  1.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의 삽입관(11), 상기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통공(12)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에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라(10)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의 외주연에는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홈(13,14)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며,
    지방 흡입술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지방을 파쇄하도록 요동을 부여하는 핸드피스(22);
    상기 핸드피스(22)의 후단부에 끼움 장착되고 지방이 연통되는 튜브(23);
    상기 튜브(23)에 연결되어 흡입력에 의해 지방을 흡입시키는 흡입기(24);
    를 구비하여 체내 지방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2. 체내 삽입시, 혈관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선단은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는 원통체의 삽입관(11), 상기 삽입관(11)의 선단부의 외주연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통공(12)으로 이루어지는 인체에 액체나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캐뉼라(10)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의 외주연에는 환자에게 삽입시, 피부 조직의 손상이나 파열을 방지하도록 홈(13,14)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4)은 상기 삽입관(11)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나선형 형태로 한 줄 이상 형성되며,
    필러 주입 및 지방 이식에 사용되는 상기 캐뉼라(10)는,
    상기 삽입관(11)의 후단부에 결합설치되고 후단부에 나사산(20)이 형성된 체결부(21);
    상기 체결부(21)의 후단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전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캐뉼라 고정관이 구비되고, 끝단부에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형성된 실린더(30);
    상기 실린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실린더(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실린더(3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 실린더(30)의 내주면과 기밀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면서 압축력이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밀대(40);
    를 구비하여 피부 내부에 필러 및 지방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3. 삭제
KR1020120077638A 2012-07-17 2012-07-17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KR10138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38A KR101380119B1 (ko) 2012-07-17 2012-07-17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38A KR101380119B1 (ko) 2012-07-17 2012-07-17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76A KR20140010776A (ko) 2014-01-27
KR101380119B1 true KR101380119B1 (ko) 2014-04-01

Family

ID=5014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638A KR101380119B1 (ko) 2012-07-17 2012-07-17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16U (ko) 2018-05-17 2019-11-27 김승준 반액체 혼합용 캐뉼라
KR20210009829A (ko) 2019-07-18 2021-01-27 한국기계연구원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677A (zh) * 2018-05-09 2018-08-10 焦若涵 负压引流装置
KR101981324B1 (ko) * 2018-12-11 2019-05-22 김재윤 석션팁
KR200495284Y1 (ko) 2020-03-11 2022-04-1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다중 구조를 갖는 의료용 캐뉼라
KR102562165B1 (ko) * 2021-01-12 2023-08-02 주식회사 삼육오엠씨(365mc) 지방 흡입용 캐뉼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232A (en) * 1987-08-11 1990-08-21 Surelab Superior Research Laboratories Cerebrospinal fluid shunt system
JP2002534222A (ja) * 1999-01-12 2002-10-15 バルトローメ,フランシス 医療手術用排出カニュー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232A (en) * 1987-08-11 1990-08-21 Surelab Superior Research Laboratories Cerebrospinal fluid shunt system
JP2002534222A (ja) * 1999-01-12 2002-10-15 バルトローメ,フランシス 医療手術用排出カニュー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16U (ko) 2018-05-17 2019-11-27 김승준 반액체 혼합용 캐뉼라
KR20210009829A (ko) 2019-07-18 2021-01-27 한국기계연구원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76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119B1 (ko) 피부 손상 방지를 위한 캐뉼라 구조
US8696640B2 (en) Snake venom evacuation an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MX2007000145A (es) Jeringa de reconstitucion sin penetracion en la piel.
BR112015027723A2 (pt) dispositivo para entrega de medicamento
US8449493B2 (en) Ultrasonic syringe method
EP3125985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a needle tip of a needle
US20110202014A1 (en) Adapter device for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fat graft material by use of syringes
CN105611956B (zh) 颅骨植入型药物注射端口
US20080119797A1 (en) System with a syringe device and a needle device
US8672889B2 (en) Soft tissue tunneling device
CN104921762B (zh) 一种用于气管镜的内镜穿刺取样针
CN209204208U (zh) 一种吸脂针及吸脂手柄
Hertzog et al. The flexible needle, a safe and easy new technique to inject the face
WO2006121754A3 (en) Device capable of delivery of highly soluble pharmaceutical dose forms into body spaces
KR100915838B1 (ko) 주사기의 바늘구조
WO2010026644A1 (ja) 医療用無痛注射針
KR102527624B1 (ko) 지방 흡입용 캐뉼라
KR200495284Y1 (ko) 다중 구조를 갖는 의료용 캐뉼라
US9937317B2 (en) Modified medical syringe with a flow regulator for the administration of local anaesthetic
CN204910350U (zh) 肛肠定位给药器
RU40894U1 (ru) Карпульный шприц
US20230355894A1 (en) Multi-slot injection needle
CN208114631U (zh) 一种医用麻醉针
KR101872509B1 (ko) 통증 조절용 카테터 장치
JP7390360B2 (ja) 皮下投与用留置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