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850B1 -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850B1
KR101379850B1 KR1020120012072A KR20120012072A KR101379850B1 KR 101379850 B1 KR101379850 B1 KR 101379850B1 KR 1020120012072 A KR1020120012072 A KR 1020120012072A KR 20120012072 A KR20120012072 A KR 20120012072A KR 101379850 B1 KR101379850 B1 KR 10137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chamber
room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939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일캐스텍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일캐스텍, 김시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일캐스텍
Priority to KR102012001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주위에 격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실내공기흡입챔버와 실내공기배출챔버, 그리고 외부공기배출챔버와 외부공기흡입챔버로 구성한 전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와 실내공기배출챔버는 상기 열교환기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기배출챔버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공기배기팬의 구동으로 실내 각 방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며,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와 외부공기흡입챔버는 상기 열교환기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에는 정화공기배출라인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정화공기배출라인의 타단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정화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덕트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외부공기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덕트에 순환하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를 통해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 장치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heat exchanger using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광합성, 배지자체,그리고 배지배의 근원부 미생물의 작용을 이용한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환기수단인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의 각 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연적으로 외기로부터 차단된 실내에서의 생활이 동반되며 따라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교환하기 위한 환기장치는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 내부에는 실내의 현열(Sensible heat) 및 잠열(Latent heat)을 교환하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되는 데, 일반적으로 전열교환기는 건물의 공조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건물을 환기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함으로써 환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전열 교환기는 단순히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입시켜 환기 작용을 구현하게 되는 데, 실외 공기라 하더라도 공해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해 오염된 공기임에 따라 환기 작용이 구현된다 하더라도 인체에 그다지 유익한 효과를 전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열 교환기를 통해 실, 내외 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그 효율이 75%정도에 그쳐 열교환된 실외 공기는 실내로 유입된 후, 다시 원하는 온도까지 냉.난방시켜야 함으로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환기수단인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의 각 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공기흡입라인에 댐퍼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만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공기배출챔버에 실내를 순환하는 냉.난방배관을 연결 설치하여 외부공기배출챔버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실내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센터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주위에 격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실내공기흡입챔버와 실내공기배출챔버, 그리고 외부공기배출챔버와 외부공기흡입챔버로 구성한 전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와 실내공기배출챔버는 상기 열교환기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기배출챔버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공기배기팬의 구동으로 실내 각 방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며,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와 외부공기흡입챔버는 상기 열교환기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열교환기의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에는 정화공기배출라인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정화공기배출라인의 타단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정화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덕트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외부공기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덕트에 순환하는 정화된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를 통해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에는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로 공급하는 외부공기흡입라인이 연결 구성되며, 상기 외부공기흡입라인에는 상기 외부공기흡입라인을 개폐 동작시키는 댐퍼가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에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에서 분기 형성된 냉.난방배관이 연결 구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환기수단인 전열교환기를 통해 실내의 각 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흡입라인에 댐퍼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만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배출챔버에 실내를 순환하는 냉.난방배관을 연결 설치하여 외부공기배출챔버로 유입된 실외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전열교환기의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냉.난방이 가능한 보일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전열교환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보일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구현하는 시스템은 크게 전열교환기(50)와 식물공기정화기(110)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전열교환기(50)는 건물을 환기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게 함으로써 환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비로서, 센터에 열교환기(52)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2)를 주위로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실내공기배출챔버(70), 그리고 외부공기흡입챔버(80)와 외부공기배출챔버(90)가 각각 격판(58)으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실내공기배출챔버(70)는 상기 열교환기(52)로 서로 연결하여 통하며,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80)와 외부공기배출챔버(90)가 상기 열교환기(52)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다.
상기 열교환기(52)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실내공기배출챔버(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 오염된 공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외부공기흡입챔버(80)와 외부공기배출챔버(90)를 통해 실내 각 방으로 배출되는 외부 공기를 열교환시켜 외부 공기를 냉, 난방시키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대략 사각판 형상의 전열막(54)이 상측과 하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전열막(54) 사이에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회 절곡된 절곡판(56)이 상, 하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가 위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절곡판(56)은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되어,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다음, 열교환기(52) 둘레를 따라 격판(58)으로 구획 형성된 각각의 챔버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60)는 실내 각 방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공기흡입라인(62)으로 연결 구성되어 후술하는 실내공기배기팬(74)의 구동에 따라 실내 각방에서 흡입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실내공기배출챔버(70)는 전술한 열교환기(52)의 절곡판(56)을 통해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연통하며 실내공기배기팬(7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60)를 통해 실내 각방의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열교환기(52)를 통해 유입시켜 실내공기 배출라인(72)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80)는 후술하는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흡입라인(82)을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 흡입하게 되는 챔버이다.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는 전술한 열교환기(52)의 절곡판(56)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80)와 연통하며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와 연통하는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공기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의 전열교환기(50)를 통해 외부 공기를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배출시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환기과정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열교환기를 통해 서로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서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는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이 더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은 식물공기정화장치(110)에서 정화된 공기를 전술한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강제 흡입하여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식물공기정화장치(110)는 식물의 공기 개선 효과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장치로서, 필터층(120)과, 공기덕트(130), 히트파이프(140) 및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필터층(120)은 실내 공기의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곳으로서,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덕트(130)는 상기 필터층(120) 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필터층(130)을 거쳐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덕트(130)의 전면에는 미세기공들이 형성된 타공판이 설치되어, 상기 필터층(130)을 거친 공기를 공기덕트로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히트파이프(140)는 상기 공기덕트(13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덕트(130) 내부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를 냉, 난반용에 적합한 온도를 가진 정화된 공기로 열교환시키게 된다.
상기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은 일단은 상기 공기덕트(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술한 전열교환기의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덕트(130)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강제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배출된 정화된 공기는 다시 외부공기배출라인(92)을 통해 실내 각 방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기흡입챔버(80)에 연결 구성된 외부공기흡입라인(82)에는 댐퍼(84)가 더 설치된다. 상기 댐퍼(84)는 상기 외부공기흡입라인(8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의 흡입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즉,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통해 식물공기정화장치(110)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실외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화된 공기만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댐퍼(84)를 동작시켜 상기 외부공기흡입라인(82)을 폐쇄시킨 다음, 외부공기배기팬(94)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는 상기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통해 공기덕트(130)로 유입된 정화된 공기가 흡입되어 지며, 이를 통해 실내 각 방으로는 식물공기정화장치(110)에서 인체에 유익한 정화된 공기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으로,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는 실내 개별 난방기구인 보일러(10)에서 분기된 난방배관(14)이 더 설치되어, 열교환기(52)를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흡입된 외부 공기를 재차 열교환시키게 됨과 아울러 댐퍼(84)를 동작시켜 외부공기흡입라인(82)을 폐쇄한 상태에서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통해 외부공기배출챔버(80)로 흡입된 정화된 공기를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상기한 보일러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일러(10)에는 도시가스 혹은 전기를 연료로 하는 버너(12)와, 다기능 열교환기(24) 그리고 난방배관(14) 및 급탕배관(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다기능 열교환기(24)는 태양열 설비인 집열판에서 집열된 복사열로 데워진 온수의 온도로 난방배관(14)을 순환하는 난방수를 일정온도로 열교환시키는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태양열 설비인 집열기에서 집열된 복사열로 데워진 온수를 저장하고 있는 온수탱크와 주공급관 및 주환수관으로 각각 연결 구성되어 온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를 공급 및 환수시켜 가며 난방배관을 순환하는 난방수를 열교환시키게 된다. 이때 난방수는 버너(12)의 사용없이 상기 다기능 열교환기(24)를 경유하는 것만으로 난방에 필요한 온도로 열교환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버너(12)는 다기능 열교환기(24)를 경유하는 난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데워질 때에만 선택적으로 가동하며 난방수를 직접 가열시키도록 한다. 이때 버너(12)의 동작은 후술하는 주공급관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의 측정여부를 통한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너(12)는 난방수가 순환하는 난방배관(14)을 직접 가열하지 않고, 열교환기(13)를 통해 난방배관(14)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방배관(14)은 난방수 순환펌프(15)의 펌핑 동작에 따라 난방수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폐루프 타입의 배관으로서, 상기 난방배관(14)은 보일러(10)의 다기능 열교환기(24)와 버너(12)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함께 경유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난방배관(14)으로 순환하는 난방수는 다기능 열교환기(24)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 된 후, 실내 난방처(19)로 공급되어 난방기능(즉, 복사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난방배관(14)을 순환하는 난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버너(12)를 가동시켜 난방수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시켜 실내 난방처(19)로 공급토록 하는 데, 이러한 동작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공급관(44)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21)의 측정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21)는 주공급관(44)을 통과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한 후, 설정온도 예를 들어 온수의 온도가 45℃ 이하로 측정될 경우에는 제어부(미 도시 함)로 신호를 출력하여 버너(12)를 자동 동작시키도록 함으로서 난방수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자동으로 데워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난방배관(14)에는 선택밸브(16)(삼방변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선택밸브(16)에는 급탕배관(20)을 경유하는 난방수분기관(18)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난방수분기관(18)은 급탕배관(20)으로 공급되어 열교환 된 시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선택밸브(16)의 동작에 따라 난방배관(14)을 순환하는 난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수의 온도로 급탕배관(20)으로 공급된 시수를 열교환시켜 데워주도록 한다.
상기 급탕배관(20)은 시수구(22)에서 공급된 시수(수돗물)를 급탕시키는 배관으로서, 보일러(10)의 다기능 열교환기(24)를 경유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급탕배관(20)으로 유입된 시수는 다기능 열교환기(24)에서 열교환된 후, 급탕수로 가열되어 사용처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급탕배관(20)으로 공급된 시수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난방배관(14)에 설치되어 있는 선택밸브(16)에 분기 형성된 난방수분기관(18)으로 공급된 난방수의 온도를 통해 급탕수로 열교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태양열 설비는 집열판(40)에서 집열된 복사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42)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를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난방수를 데워주기 위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42)와, 태양열의 복사열을 집열하며, 집열된 복사열로 온수탱크(42)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를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는 집열기(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온수탱크(42)에는 주공급관(44)과 주환수관(46)이 각각 연결 구성된다.
상기 주공급관(44)은 일단은 온수탱크(42)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기능 열교환기(24)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온수탱크(42)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즉, 집열기(40)에서 집열된 복사열을 통해 가열된 온수)를 다기능 열교환기(24)로 공급하게 되며, 따라서 다기능 열교환기(24)는 난방배관(14)을 순환하는 난방수를 데워줄 수 있는 열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주환수관(46)은 일단은 온수탱크(42)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기능 열교환기(24)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다기능 열교환기(24)로 공급된 온수를 다시 온수탱크(42)로 환수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보일러(10)에 언급한 난방배관(14)을 연결한 다음, 상기 난방배관(14)을 전술한 전열교환기(50)의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 연결 구성함으로서 일차 열교환된 외부공기를 재차 열교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 역시 효과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10: 보일러 14: 난방배관
21: 온도센스 42: 선택밸브(비례제어식)
40: 냉온수공급관 44: 냉온수환수관
48: FCU (펜코일유니드) 50: 전열교환기
52: 열교환기 54 : FCU냉온수공급라인
55: FCU냉온수환수라인 60: 실내공기흡입챔버
64: 온도보상용 냉온수순환라인 70: 실내공기배출챔버
74: 실내공기배기팬 80: 외부공기흡입챔버
82: 외부공기흡입라인 84: 댐퍼
90: 외부공기배출챔버 92: 외부공기배출라인
94: 외부공기배기팬 110: 식물공기정화장치
120: 필터층 130: 공기덕트
140: 히트파이프 150: 정화공기배출유로



Claims (3)

  1.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센터에 배치되는 열교환기(52)와;
    상기 열교환기(52)의 주위에 격판으로 구획 형성되는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실내공기배출챔버(70), 그리고 외부공기배출챔버(90)와 외부공기흡입챔버(80)로 구성한 전열교환기(50)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기흡입챔버(60)와 실내공기배출챔버(70)는 상기 열교환기(52)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실내공기배출챔버(70)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공기배기팬(74)의 구동으로 실내 각 방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며;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80)와 외부공기흡입챔버(90)는 상기 열교환기(52)로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80)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외부공기를 흡입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기(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시킨 상태에서 실내 각 방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전열교환기(50)의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정화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식물공기정화장치가 더 연결되며;
    상기 식물공기정화장치(110)는;
    식물의 광합성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층(120)과;
    상기 필터층(120)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층(130)을 거쳐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덕트(130)와;
    상기 공기덕트(13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덕트(130) 내부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를 냉, 난반용에 적합한 온도를 가진 정화된 공기로 열교환시키는 히트파이프(140) 및 ;
    상기 공기덕트(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 연결 구성되어,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기배기팬(94)의 구동에 따라 상기 공기덕트(130)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를 상기 외부공기배출챔버(90)로 강제 배출시키는 정화공기배출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20012072A 2012-02-07 2012-02-07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KR10137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72A KR101379850B1 (ko) 2012-02-07 2012-02-07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72A KR101379850B1 (ko) 2012-02-07 2012-02-07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39A KR20130090939A (ko) 2013-08-16
KR101379850B1 true KR101379850B1 (ko) 2014-05-13

Family

ID=4921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72A KR101379850B1 (ko) 2012-02-07 2012-02-07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91B1 (ko) * 2014-06-24 2015-01-08 윤병섭 식물재배 및 공기정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625B1 (ko) * 2018-04-16 2018-09-10 대한항업(주)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2378016B (zh) * 2020-11-13 2022-09-02 苏州市东挺河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车间智能化送风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52A (ja) * 2002-11-28 2004-06-24 Kimura Kohki Co Ltd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KR100650595B1 (ko) * 2005-07-06 2006-11-27 노영환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7052A (ja) * 2002-11-28 2004-06-24 Kimura Kohki Co Ltd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KR100650595B1 (ko) * 2005-07-06 2006-11-27 노영환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91B1 (ko) * 2014-06-24 2015-01-08 윤병섭 식물재배 및 공기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939A (ko)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3780B (zh) 室内空气处理系统
KR20170103133A (ko) 환기장치
CN204534952U (zh) 一种通风装置
CN105182785B (zh) 一种智能家居系统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102102831B1 (ko) 실내 정원을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CN104976704A (zh) 二次热回收新风处理装置的工作方法
CN206430312U (zh) 新风净化器及空气净化装置
CN206191746U (zh) 弱湍流医用空气净化系统
KR102319066B1 (ko) 건물 실내 환기와 냉난방 통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4122A (ko) 환기장치
KR101379850B1 (ko)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식물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실내 각방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WO2011060676A1 (zh) 一种集成化的溶液式除湿空调装置
CN205957377U (zh) 洁净手术室用温湿度独立控制的恒温恒湿空调系统
CN205102301U (zh) 洁净手术室用热管型节能空调机组
KR102327427B1 (ko) 일체형 냉난방 환기 청정 시스템
WO2003021155A1 (fr) Climatiseur de type pompe a chaleur a echange d'air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CN204421229U (zh) 加湿加热型双向空气交换机
CN207815516U (zh) 家用壁挂式空调器
CN110594874A (zh) 户式空调
KR100753975B1 (ko) 중간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KR101950418B1 (ko) 벽걸이형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시스템
CN109682003A (zh) 一种带新风的散热器供暖装置
KR102305958B1 (ko) 친환경 냉난방 환기일체형 천정형 공조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