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785B1 - 낚싯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785B1
KR101379785B1 KR1020120048913A KR20120048913A KR101379785B1 KR 101379785 B1 KR101379785 B1 KR 101379785B1 KR 1020120048913 A KR1020120048913 A KR 1020120048913A KR 20120048913 A KR20120048913 A KR 20120048913A KR 101379785 B1 KR101379785 B1 KR 101379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ounting
leg
insertion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5428A (ko
Inventor
송화석
Original Assignee
송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화석 filed Critical 송화석
Priority to KR102012004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7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2Plural, selectively usable, article enga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낚싯대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싯대를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거치유닛과 체결되도록 일정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되는 거치부, 거치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거치부의 양끝단에 착탈되면서 거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수평부의 높이와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제어하면서 수평부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수평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수평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리부를 고정하는 제1 체결부와 수평부의 타단에 체결되면서 다리부를 고정하되, 다리부를 삽입하여 다리부의 높이를 제어하면서 고정하는 제2 체결부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낚싯대 지지 장치{Support unit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낚싯대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낚싯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구분되고 이러한 낚시의 종류에 따라서 낚싯대의 종류도 다양하게 사용되어 진다. 낚싯대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통상적으로 장대낚싯대와 릴낚싯대로 구분된다. 이러한 낚싯대는 원하는 낚시 포인트나 낚고자 하는 고기의 종류와 낚시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른 여러 조건에 따라 낚싯대의 길이를 달리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낚시를 하다 보면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할 때가 많기 때문에 장시간 이루어지는 낚시의 특성상 낚싯대를 손으로 들고 서있는 수고로움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낚싯대 받침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낚시터에서 복수 개의 낚싯대를 받침장치 위에 거치하여 놓고 고기가 물리도록 기다리다가 고기가 낚싯바늘에 물린 것을 즉시 발견하지 못할 경우 고기가 반항하면서 물속으로 들어가려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낚싯대가 받침장치 위에서 이탈하고 침수하게 되어 고가의 낚싯대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낚싯대 받침장치를 여러 개를 동시에 설치할 경우 많은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불규칙하게 설치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 개의 낚싯대를 빠르고 용이하게 설치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어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 개의 낚싯대의 설치하되, 용이하게 수평을 제어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하게 낚싯대를 설치하여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는 낚싯대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싯대를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거치유닛과 체결되도록 일정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되는 거치부, 거치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거치부의 양끝단에 착탈되면서 거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수평부의 높이와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제어하면서 수평부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수평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수평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리부를 고정하는 제1 체결부와 수평부의 타단에 체결되면서 다리부를 고정하되, 다리부를 삽입하여 다리부의 높이를 제어하면서 고정하는 제2 체결부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체결부는 수평부와 동일한 너비와 높이로 형성하는 바디부,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하되, 바디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다리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제1 삽입홀, 바디부의 중앙영역에 형성하되, 바디부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수평부에 나란하게 체결되면서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제1 삽입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삽입홀을 관통하여 제1 삽입홀에 삽입된 바디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는 수평부의 타단에서 수평부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평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숫나사부, 숫나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면서 다리부를 관통하여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홀, 제1 삽입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삽입홀을 관통하여 제2 삽입홀에 삽입된 다리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수평홀에 삽입된 숫나사부의 타측에 체결되어 숫나사부를 수평부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숫나사부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는 다리부와 체결되는 동안 수평부의 기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는 길이방향으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의 일면에는 거치부가 굴절되어 접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힌지부와 거치부의 타면에는 거치부가 굴절되지 않도록 힌지부의 동작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의 상부면 중 일단에 거치부와 체결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 수평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거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거치홀 및 거치홀에 삽입된 수평돌출부가 거치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돌출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거치부, 수평부, 다리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수평을 제어하면서 복수 개의 낚싯대를 빠르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거치부, 수평부, 다리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낚싯대를 동시에 안정적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평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평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확대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평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의 분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의 평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리부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형성되는 힌지부의 동작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형성되는 힌지차단부의 사시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형성되는 힌지차단부의 동작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8d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거치부(100), 수평부(130), 다리부(150) 및 체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싯대를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거치유닛(10)과 체결되도록 일정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거치부(100)는 거치유닛(10)이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홀(미도시)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100)는 거치유닛(10)이 용이하게 착탈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0)는 양끝단에 거치홀(117)을 형성한다. 이러한 거치홀(117)은 후술할 수평돌출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수평돌출부(131)를 삽입하면서 거치부(100)와 수평부(130)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홀(117)이 수평돌출부(131)를 삽입시켜 수평부(130)에 거치부(100)를 체결함으로써, 거치부(1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수평부(130)는 거치부(1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거치부(100)의 양끝단에 착탈되면서 거치부(100)를 지지한다. 이러한 수평부(130)는 거치부(100)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거치부(100)의 양끝단에 착탈되고, 거치부(100)에 체결되는 동안 거치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수평부(130)의 상부면 중 일단에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돌출부(131)는 거치부(100)에 형성되는 거치홀(117)에 삽입되거나 거치홀(117)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홀(117)에 삽입된 수평돌출부(131)가 거치홀(11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돌출부(131)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115)가 수평돌출부(131)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수평돌출부(131)의 높이는 거치부(1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돌출부(131)는 이탈방지부(115)와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산과 골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30)는 다리부(150)와 체결되는 동안 수평부(130)의 기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3)가 형성됨으로써, 수평부(130)의 기울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어 수평부(130)의 수평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다리부(150)는 수평부(130)의 높이와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제어하면서 수평부(130)를 지탱한다. 이러한 다리부(150)는 수평부(130)의 양끝단 각각에 배치되어 수평부(13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수평부(130)의 높이를 제어하면서 수평부(130)의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제어할 수 있다.
다리부(15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증 다양한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150)는 그라운드에 가까워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그라운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170)는 수평부(130)의 일단에 체결되어 수평부(13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다리부(150)를 고정하는 제1 체결부(170a)와 수평부(130)의 타단에 체결되면서 다리부(150)를 고정하되, 다리부(150)를 삽입하여 다리부(150)의 높이를 제어하면서 고정하는 제2 체결부(170b)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체결부(170a)는 바디부(171a), 제1 삽입홀(173a), 회전부(175a) 및 제1 고정부(177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71a)는 수평부(130)와 동일한 너비와 높이로 형성한다. 이러한 바디부(171a)는 수평부(130)의 옆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바디부(171a)는 실질적으로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되, 수평부(13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수평부(13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수평부(130)에 체결되는 거치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거치부(100)의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효율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제1 삽입홀(173a)은 바디부(171a)의 일단에 형성하되, 바디부(171a)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다리부(150)를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삽입홀(173a)은 바디부(171a)가 관통할 수 있도록 바디부(171a)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175a)는 바디부(171a)의 중앙영역에 형성하되, 바디부(171a)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수평부(130)에 나란하게 체결되면서 바디부(171a)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부(175a)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71a)와 수평부(13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바디부(171a)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171a)의 중앙영역 중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70a)가 다리부(150)에 체결되는 동안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고, 제1 체결부(170a)가 다리부(150)에 체결되지 않는 동안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77a)는 제1 삽입홀(17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삽입홀(173a)을 관통하여 제1 삽입홀(173a)에 삽입된 바디부(171a)를 고정한다. 이러한 제1 고정부(177a)는 제1 삽입홀(173a)을 관통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1 삽입홀(173a)에 삽입된 바디부(171a)를 고정한다. 즉, 제1 고정부(177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삽입홀(173a)에 삽입된 바디부(171a)를 고정하는 것이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삽입홀(173a)에 삽입되어 고정된 바디부(171a)를 풀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70b)는 숫나사부(171b), 제2 삽입홀(173b), 제2 고정부(175b)및 암나사부(17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숫나사부(171b)는 수평부(130)의 타단에서 수평부(130)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평홀(135)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숫나사부(171b)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산과 골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숫나사부(171b)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홀(173b)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숫나사부(171b)는 제2 삽입홀(173b)에 가까워질수록 즉, h1에서 h2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점짐적으로 증가됨으로써, 후술할 암나사부(177b)와의 체결시 헛도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숫나사부(171b)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홀(173b)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되, 증가되는 영역에 그물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이 형성됨으로써, 숫나사부(171b)와 암나사부(177b)간의 체결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숫나사부(171b)와 암나사부(177b) 간의 체결되는 힘이 개선될 수 있다.
제2 삽입홀(173b)은 숫나사부(171b)의 일측에 형성되면서 다리부(150)를 관통하여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삽입홀(173b)은 다리부(15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다리부(150)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부(175b)는 제1 삽입홀(173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삽입홀(173b)을 관통하여 제2 삽입홀(173b)에 삽입된 바디부(171a)를 고정한다. 이러한 제2 고정부(175b)는 제2 삽입홀(173b)을 관통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서 제2 삽입홀(173b)에 삽입된 다리부(150)를 고정한다. 제2 고정부(175b)에 대한 동작은 제1 고정부(17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암나사부(177b)는 수평홀(135)에 삽입된 숫나사부(171b)의 타측에 체결되어 숫나사부(171b)를 수평부(13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암나사부(177b)는 숫나사부(171b)에 형성된 나선형의 산과 골에 대응하여 나선형의 산과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177b)가 숫나사부(171b)와 체결됨으로써, 제2 체결부(170b)가 임의적으로 수평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살펴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 지지 장치는 거치부(100), 수평부(130), 다리부(150) 및 체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낚시대를 용이하게 거치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50)에 길이방향으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15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리부(150)에 체결된 수평부(130)의 위치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130)의 위치를 더욱 빠르게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수평부(130)의 수평을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0)의 일면에는 거치부(100)가 굴절되어 접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힌지부(111)와 거치부(100)의 타면에는 거치부(100)가 굴절되지 않도록 힌지부(111)의 동작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차단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11)가 거치부(100)에 형성됨으로써, 거치부(100)를 자유롭게 접을 수 있어 휴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a에서는 거치부(100)에 힌지부(111)가 한 개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00)는 힌지부(111)와 대응되는 반대면 위치에 힌지차단부(113)를 형성함으로써, 힌지부(111)에 의해 거치부(100)가 임의적으로 굴절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즉, 거치부(100)를 접을 때는 힌지차단부(113)를 풀어서 거치부(100)가 굴절되도록 하고, 거치부(100)를 접지 않을 때는 힌지차단부(113)를 체결하여 거치부(100)가 굴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100)는 힌지부(111)와 힌치차단부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거치부(100)를 주변환경에 맞게 용이하게 굴절시키거나 평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0)에 형성되는 거치유닛(10)은 낚싯대가 거치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안착부에 거치된 낚싯대를 고정시키도록 안착부의 양 끝단의 일측에 연결된 고정부가 체결되며, 안착부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일측면에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는 낚싯대가 안착되는 면의 양단이 각각 "U"자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는 각각의 양 끝단에 낚싯대를 고정하는 반원형 지지대와 직선형 지지대가 구성되어 다양한 낚싯대를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낚싯대를 잡아줄 수 있다.
이러한 거치유닛(10)은 회전조절유닛과 지지유닛(11)을 더 포함하여 거치유닛(10)을 더욱 효율적으로 회전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거치부 111: 힌지부
113: 힌지차단부 115: 이탈방지부
117: 거치홀 130: 수평부
131: 수평돌출부 133: 디스플레이부
135: 수평홀 150: 다리부
151: 눈금 170: 체결부
171a: 바디부 173a: 제1 삽입홀
175a: 회전부 177a: 제1 고정부
171b: 숫나사부 173b: 제2 삽입홀
175b: 제2 고정부 177b: 암나사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싯대를 거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거치유닛과 체결되도록 일정한 너비와 길이로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거치부의 양끝단에 착탈되면서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높이와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제어하면서 상기 수평부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상기 수평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 체결되면서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되, 상기 다리부를 삽입하여 상기 다리부의 높이를 제어하면서 고정하는 제2 체결부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수평부와 동일한 너비와 높이로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하되, 상기 바디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다리부를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제1 삽입홀;
    상기 바디부의 중앙영역에 형성하되, 상기 바디부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에 나란하게 체결되면서 상기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삽입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바디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지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수평부의 타단에서 상기 수평부의 옆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평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숫나사부;
    상기 숫나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다리부를 관통하여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홀;
    상기 제1 삽입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다리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수평홀에 삽입된 상기 숫나사부의 타측에 체결되어 상기 숫나사부를 상기 수평부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지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제2 삽입홀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낚싯대 지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다리부와 체결되는 동안 상기 수평부의 기울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지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길이방향으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되는 낚싯대 지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면에는 상기 거치부가 굴절되어 접히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거치부의 타면에는 상기 거치부가 굴절되지 않도록 상기 힌지부의 동작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힌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지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상부면 중 일단에 상기 거치부와 체결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평돌출부;
    상기 수평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평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거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거치홀; 및
    상기 거치홀에 삽입된 상기 수평돌출부가 상기 거치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평돌출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지지 장치.
KR1020120048913A 2012-05-09 2012-05-09 낚싯대 지지 장치 KR101379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13A KR101379785B1 (ko) 2012-05-09 2012-05-09 낚싯대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913A KR101379785B1 (ko) 2012-05-09 2012-05-09 낚싯대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428A KR20130125428A (ko) 2013-11-19
KR101379785B1 true KR101379785B1 (ko) 2014-03-31

Family

ID=4985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913A KR101379785B1 (ko) 2012-05-09 2012-05-09 낚싯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966A (zh) * 2017-07-04 2017-09-22 刘美梅 一种折叠式钓鱼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26U (ko) * 2007-07-25 2009-02-02 최주호 낚시 받침대 활형 각도 조절틀의 절첩 장치
KR20100060986A (ko) * 2008-11-28 2010-06-07 신중균 낚시 받침틀
KR20110008444U (ko) * 2010-02-24 2011-08-31 김규석 낚싯대 받침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926U (ko) * 2007-07-25 2009-02-02 최주호 낚시 받침대 활형 각도 조절틀의 절첩 장치
KR20100060986A (ko) * 2008-11-28 2010-06-07 신중균 낚시 받침틀
KR20110008444U (ko) * 2010-02-24 2011-08-31 김규석 낚싯대 받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428A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827B2 (en) Picture frame hanger
US20170218593A1 (en) Securing device
KR101379785B1 (ko) 낚싯대 지지 장치
US2915274A (en) Clothes line attachment for support of garment hangers
US9144331B2 (en) Peg hook staple
JP6905943B2 (ja) 餌固定具
US2184192A (en) Fishing rod holder
US2934298A (en) Fishing rod holder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KR101593135B1 (ko) 낚시 받침대
US3015467A (en) Clamp for mounting fishing accessories on small boats
US4846356A (en) Rigid clothes drying rack
US20150027028A1 (en) Decoy attachment devices and assemblies
JP2020512163A (ja) スキーストラップアセンブリおよびスキーストラップのための吊り下げデバイス
GB2566957A (en) A vase apparatus
SE534680C2 (sv) Element för upphängning av rör
JP2010088333A (ja) 鳥害防止具
US1805297A (en) Bathtub chair
US4536047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support bracket
KR101036615B1 (ko) 낚싯대 받침장치
CN215891391U (zh) 多向型管线支架
KR200366997Y1 (ko) 낚시대 지지 장치
KR20120005595A (ko) 과실수 가지의 지지대
US1843611A (en) Drapery hook
JP6156866B2 (ja) ロープ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