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561B1 -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561B1
KR101379561B1 KR1020120037314A KR20120037314A KR101379561B1 KR 101379561 B1 KR101379561 B1 KR 101379561B1 KR 1020120037314 A KR1020120037314 A KR 1020120037314A KR 20120037314 A KR20120037314 A KR 20120037314A KR 101379561 B1 KR101379561 B1 KR 10137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orch
unit
temperature
weld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898A (ko
Inventor
이우영
안인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5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6Arrangements or circuits for starting the arc, e.g. by generating ignition voltage, or for stabilising the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토치부; 상기 토치부로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토치부에서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용접대상물이 거치되며, 용접 방향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토치부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치부와 상기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용접대상물이 용접되는 최적 용접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최적 용접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토치부로의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용접열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토치부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에 의해 용접되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용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자동화로 용접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 및 능률이 향상되어 작업 단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접장치{Wel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용접대상물의 용접 표면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의 용접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 가능한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을 가 용접한 뒤에 용접대상물을 회전시키며 접합부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두 개의 원형 강관을 접합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경우의 용접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원형의 용접대상물(1)을 용접함에 있어서 용접대상물(1)에는 일정한 용접열 에너지가 입사되며. 입사된 용접열 에너지는 양 방향(a, b)으로 전도된다.
두 개의 원형강관을 접합하기 위하여, 토치부(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두 개의 원형강관을 회전시킨다. 원형강관이 180도를 넘어 회전한 경우, 상기 토치부(3)에 의하여 용접되는 용접부위에 인가되는 용접열에너지는 이전 용접된 부분으로부터 전달된 입사된 용접열 에너지에 의하여 180도 회전되기 이전의 용접면에 인가되는 용접열 에너지보다 크게 되므로 과열에 의한 접합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강관이 회전되어 초기 시작부의 180도 반대부위가 토치부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토치부에 의하여 용접되는 부위는 초기 시작부에 공급된 용접열에너지가 강관을 통하여 열전달되어 인가되는 잔열과, 토치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에너지가 합쳐져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상승되며 용접면 주변에 에너지가 과열되어 용접면이 터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용접 불량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용접장치는 강관의 회전각도 및 용접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토치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일정한 용접열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일정한 용접열에너지를 강관에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용접면에 처음 입사된 용접열에너지의 잔류열에너지에 의하여 강관이 부분적으로 과열되고, 이에 따라 용접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에 과도한 에너지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화 공정으로 용접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 및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 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토치부; 상기 토치부로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토치부에서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용접대상물이 거치되며, 용접 방향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토치부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치부와 상기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용접대상물이 용접되는 최적 용접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최적 용접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토치부로의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용접열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토치부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에 의해 용접되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자동화로 용접이 이루어져 작업 효율 및 능률이 향상되어 작업 단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상기 최적 용접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상기 토치부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을 줄이거나 높여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싱부에서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 상기 용접면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용접면의 온도가 변화하면 토치부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의 크기를 제어하여 용접면을 용접하는 용접열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함으로써, 용접대상물에 입사되는 열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상기 최적 용접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상기 토치부로의 전류 또는 전압값을 제어하여 용접되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 범위를 0°~ 90°, 90°~ 180°, 180°~ 270°및 270°~ 360°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된 회전 범위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회전 범위에 따라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은 일정하다. 따라서, 회전하는 용접대상물 용접면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구획된 회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서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증가된 회전속도에 반비례하여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계속에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토치부와 상기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즉, 일시적으로 토치부와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토치부에서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용접면의 용접열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치부의 용접열을 줄여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을 줄여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을 용접하는 토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토치부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에 용접열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용접대상물의 회전 범위를 구획하고, 구획된 회전 범위에 따라 용접대상물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에 용접열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용접대상물의 용접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을 자동으로 용접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효율 및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 단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두 개의 원형 강관을 접합하기 위하여 용접하는 경우의 용접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용접대상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용접대상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장치(100)는 토치부(120), 전원공급부(130), 거치부(140), 높이조절부(150), 제어부(160) 및 센서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토치부(120)는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용접열이 토출되어 용접대상물(50)을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30)는 토치부(120)에서 용접열이 발생되도록 상기 토치부(120)로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고, 작업자가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는 용접대상물(50)이 거치될 수 있으며, 용접 방향에 따라 용접대상물(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대상물(50)의 회전방향은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거치부(140)와 인접하게 높이조절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50)는 토치부(120)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여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토치부(120)에서 토출된 용접열은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을 용접시키면서 용접면 온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만약 토치부(120)에서 용접대상물(50)에 지속적으로 용접열을 입사시키면 용접면의 온도가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용접면 주변에 과다한 에너지가 잔류된다. 이로 인하여 용접면이 터지거나 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반대로 토치부(120)에서 용접열이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에 적절하게 토출되지 않으면 용접면의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조절부(150)에서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적절한 용접열이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에 입사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을 용접하는 최적 용접 온도,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 및 높이조절부(150)의 높이 조절을 통해 용접대상물(50)을 용접하는 용접열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도록 제어부(160)가 마련된다.
우선 상기 최적 용접 온도는 용접대상물(50)의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정 온도라고 할 수 있으며, 용접대상물(50)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용접대상물(50)은 관형의 용접대상물로, 상기 용접면이 용접되기 위해서는 용접대상물(50)이 회전해야 용접면이 골고루 용접될 수 있다. 이때, 용접대상물(50)의 회전속도는 용접대상물(50)의 재질, 크기 등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160)에 미리 설정하거나 용접 작업 이전에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60)는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높이조절부(150)와 토치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용접면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조절하여 용접대상물(50)의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용접장치(100)는 토치부(120)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70)는 용접대상물(50)이 용접될 때 용접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다. 측정된 용접대상물(50)의 표면 온도는 제어부(16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달된 용접대상물(50)의 표면 온도에 따라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토치부(120)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을 조절하여 용접면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하여 용접대상물(50)에 과도한 에너지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용접장치(100)의 제어부(16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용접대상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용접대상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제어부(160)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162),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164), 상기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디스플레이(163) 및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에 따라 토치부(120)가 안착된 높이조절부(150)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버튼(165)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160)에는 토치부(120)가 용접대상물(50)을 용접하는 최적의 용접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용접대상물(50) 주변에는 센서부(170)가 마련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대상물(50)이 용접될 때 용접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63)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에 설정된 최적 용접 온도를 100°C라고 가정한 뒤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용접면의 온도가 120°C로 디스플레이 되면, 제어부(160)에서는 미리 설정된 최적 용접 온도에 맞추어 토치부(120)로 토출되는 용접열을 낮출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163)에 표시되는 용접면의 온도가 95°C일 경우 제어부(160)에서는 토치부(120)로 토출되는 용접열을 높여 용접면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토치부(120)로 토출되는 용접열을 제어부(160)에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상기 버튼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원공급부(130)의 전류 또는 전압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전압 또는 전류를 줄이거나 높임으로써,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을 줄이거나 높여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용접면의 온도가 120°C로 디스플레이 되면, 작업자는 높이조절부(150)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에서는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증가시켜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이 일정하여도 용접대상물(50)로 전달되는 용접열 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163)에 표시되는 용접면의 온도가 95°C일 경우 작업자는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높이조절부(150)를 조절하여 용접대상물(50)로 전달되는 용접열을 증가시켜 용접면에 입사되는 용접열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170)에서 센싱된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토치부(120)에서 토출되는 용접열 에너지를 조절하거나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용접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용접대상물(50)을 최적 용접 온도로 용접할 수 있게 되어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에 따라 용접 조건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160)는 전원버튼(162), 온도조절버튼(164), 디스플레이(163), 높이조절버튼(165) 및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에 따라 용접대상물(5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기(16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를 0°~ 90°, 90°~ 180°, 180°~ 270°및 270°~ 360°로 구획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용접대상물(50)을 용접하는 최적의 용접 온도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를 기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를 측정하는 방법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의 위치표시기(166)에서 용접대상물(50)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용접대상물(50)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은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용접대상물(50)에는 지속적으로 용접열이 입사된다. 따라서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 온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구획된 회전 범위 중 어느 하나의 범위에서 용접대상물(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면 증가된 회전속도에 반비례하여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용접대상물(50)을 90°간격으로 구획하고 용접대상물(50)의 1회 회전이 끝나는 범위인 270°~ 360°의 회전 범위에 용접대상물(50)이 위치할 때 일시적으로 용접대상물(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용접면에 입사되는 용접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용접면의 온도가 계속에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용접대상물(50) 주변에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미도시)나 측정기 등이 마련되고,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전달된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가 270°~ 360°일 경우 자동으로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제어부(160)에 설정되어 자동으로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가 270°~ 360°가 되면 용접대상물(5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용접대상물(50)이 회전 범위가 270°~ 360°로 측정하면 제어부(160)에서 알람, 표시 등으로 작업자에게 통보한 뒤 작업자가 용접대상물(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 뒤 용접대상물(50)이 270°~ 360°의 회전 범위에서 벗어나면 용접대상물(50)의 회전을 중지시켜 용접을 완료시키거나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를 이전 속도로 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에서 용접대상물(50)의 회전 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높이조절부(150)를 조절하여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즉, 일시적으로 토치부(120)와 용접대상물(50)과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토치부(120)에서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을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용접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60)에서 상기 용접대상물(50)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제어부(160)는 토치부(120)의 용접열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대상물(50)로 입사되는 용접열을 줄여 용접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대상물(50)의 용접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용접대상물(50)의 용접 불량을 최소화하고, 용접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용접대상물: 50 용접장치: 100
토치부: 120 전원공급부: 130
거치부: 140 높이조절부: 150
제어부: 160 센서부: 170

Claims (7)

  1.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토치부;
    상기 토치부로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토치부에서 용접열을 발생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용접대상물이 거치되며, 용접 방향에 따라 상기 용접대상물을 회전시키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토치부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치부와 상기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전원을 on/off할 수 있는 전원버튼, 토치부에서 토출되는 용접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버튼, 센서부에서 센싱된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디스플레이 및 용접대상물로 입사되는 용접열에 따라 토치부가 안착된 높이조절부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버튼이 마련되는 제어부; 및
    상기 토치부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에 의해 용접되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이 용접되는 용접 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용접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 및 상기 토치부로의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을 용접하는 용접열이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설정된 상기 용접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상기 토치부에서 발생되는 용접열을 줄이거나 높여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용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가 설정된 상기 용접 온도보다 높거나 낮으면, 상기 토치부로의 전류 또는 전압값을 제어하여 용접되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면 온도를 유지시키는 용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 범위를 0°~ 90°, 90°~ 180°, 180°~ 270°및 270°~ 360°로 구획하는 용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속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용접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토치부와 상기 용접대상물과의 거리를 넓히는 용접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접대상물의 회전범위를 270°~ 360°로 측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치부의 용접열을 줄이는 용접장치.


KR1020120037314A 2012-04-10 2012-04-10 용접장치 KR10137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14A KR101379561B1 (ko) 2012-04-10 2012-04-10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14A KR101379561B1 (ko) 2012-04-10 2012-04-10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98A KR20130114898A (ko) 2013-10-21
KR101379561B1 true KR101379561B1 (ko) 2014-04-14

Family

ID=4963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314A KR101379561B1 (ko) 2012-04-10 2012-04-10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2785B2 (en) * 2013-12-12 2018-05-08 Lincoln Global, Inc. System and method for true electrode spe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163A (ja) * 1995-11-09 1997-05-27 Hitachi Zosen Corp 管自動溶接方法および管自動溶接装置
JPH09277051A (ja) * 1996-04-17 1997-10-28 Nas Toa Co Ltd 溶接鋼管製造における内面溶接トーチの自動倣い装置及び溶接鋼管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163A (ja) * 1995-11-09 1997-05-27 Hitachi Zosen Corp 管自動溶接方法および管自動溶接装置
JPH09277051A (ja) * 1996-04-17 1997-10-28 Nas Toa Co Ltd 溶接鋼管製造における内面溶接トーチの自動倣い装置及び溶接鋼管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98A (ko) 201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2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electrode speed
KR101263685B1 (ko) 터닝롤러를 이용한 파이프 연속 오비탈 용접장치 및 그 방법
JP5679923B2 (ja) 自動溶接システムおよび自動溶接方法
KR101678306B1 (ko) 압력용기 및 강관용 자동용접장치
KR101678307B1 (ko) 압력용기 및 강관제작용 자동용접장치의 용접방법
KR20140028466A (ko) 배관파이프와 플랜지 용접장치
CN106001912B (zh) 一种焊接设备
KR101379561B1 (ko) 용접장치
JP2019000854A (ja) 溶接システム及び溶接方法
KR101597284B1 (ko) 회전식 용접 장치
KR101028386B1 (ko) 회전식 용접장치
EP3162490B1 (en) Cylindrical-structure welding system and welding method
KR101284061B1 (ko) 곡면부 자동용접장치
KR101240275B1 (ko) 원자력 발전소 1차 계통 관통 노즐 정비용 자동 용접장치
KR20140070836A (ko) 자동 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2189501B1 (ko)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방법
KR101724054B1 (ko) 전기로 설비
KR102301317B1 (ko) 자체-조절식 용접 와이어 공급 속도를 갖는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20130037990A (ko) 용접전원 보정 기능을 구비한 용접장치 및 용접장치의 용접전원 자동 보정 방법
CN111633302A (zh) 一种焊接方法
KR101777046B1 (ko) 태크용접 보조장치
KR102427413B1 (ko) 곡 가공 장치
KR101953062B1 (ko) 소켓 오버레이 용접장치
KR101224878B1 (ko) 기울기센서와 온도센서를 장착한 오비탈 용접장치 및 그 용접 방법
KR20110001857U (ko) 파이프 자동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