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004B1 - 버클링 어레스터 - Google Patents

버클링 어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004B1
KR101379004B1 KR1020120055715A KR20120055715A KR101379004B1 KR 101379004 B1 KR101379004 B1 KR 101379004B1 KR 1020120055715 A KR1020120055715 A KR 1020120055715A KR 20120055715 A KR20120055715 A KR 20120055715A KR 101379004 B1 KR101379004 B1 KR 10137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ing
pipeline
arrester
ar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842A (ko
Inventor
박주신
구정본
김봉재
조태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3Devices for the protection of pipes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버클링 어레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에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는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클링 어레스터{BUCKLING ARRESTER}
본 발명은 버클링 어레스터에 관한 것이다.
원유나 가스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은 심해저 구조물 및 선박과 연결될 수 있다. 심해저 구조물은 해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원유 및 가스 등의 생산을 제어하고 물이나 가스 등을 유정에 재주입할 수 있다. 채취된 원유나 가스 등은 심해저 구조물 및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선박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해저면은 돌출된 부분과 패인 부분을 가지므로 파이프라인은 해저면의 돌출된 부분에 걸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유나 가스가 이송되면서 파이프라인에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이 육상에 설치되는 경우, 파이프 라인 손상 발생에 따른 유지/보수가 쉬운 편이지만, 파이프라인이 해저면에 설치되는 경우, 파이프라인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어렵고 파이프라인의 손상에 따른 환경피해가 더욱더 커질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0-151156는 좌굴을 줄일 수 있는 파이프라인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최근에는 파이프라인의 좌굴을 방지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좌굴방지수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2010-151156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라인의 좌굴을 방지하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간단한 버클링 어레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에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는 암을 포함하는 버클링 어레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제 1 베벨기어,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 1 베벨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제 2 베벨기어, 상기 제 2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웜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웜과 치합되어 상기 웜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암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되도록 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여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의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암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되도록 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상기 암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상기 바디에 연결된 텐션 인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 인가부는 상기 텐션 인가부에 연결된 텐션 라인에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ROV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파이프라인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클링 어레스터의 유지 및 보수에 대한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바디 내부에 설치된 기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텐션 라인이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크링 어레스터의 바디 내부에 설치된 기어부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바디(body)(110), 헤드(head)(130), 기어부(150) 및 암(arm)(170)을 포함한다.
헤드(130)는 바디(110)로부터 돌출된다.
기어부(150)는 상기 바디(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130)에 인가된 회전력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헤드(130)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암(170)은 상기 기어부(150)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15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여 파이프라인(10)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기어부(150)는 베벨 기어(bevel gear) 치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의 기어부(150)는 베벨 기어(151), 웜(worm)(152) 및 랙(rack)(153)을 포함할 수 있다.
베벨 기어(151) 중 제 1 베벨기어(151a)는 헤드(130)와 연결되며, 제 1 베벨 기어(151a)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151b)는 제 1 베벨기어(151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그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웜은 제 2 베벨기어(151b)에 연결되며 제 2 베벨 기어(151b)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회전한다. 랙(153)은 웜과 치합되어 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선운동하며, 이에 따라 랙(153)에 연결된 암(170)이 직선운동을 한다. 이 때 랙(153)의 직선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guide)(155)가 랙(15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기어부(150)가 베벨 기어 치합 구조를 통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나, 기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기어 구조와 다른 기어 구조를 통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기어부(150)는 랙-피니언 기어(rack-pinion gear) 치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3의 기어부(150)는 피니언(pinion)(157) 및 랙(rack)(159)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57)은 헤드(130)에 연결되고 헤드(130)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157)이 회전하면 피니언(157)의 회전운동이 랙(159)의 축방향 직선 운동에 변환된다. 이에 따라 랙(159)에 연결된 암(170)이 직선운동을 한다. 이 때 랙(159)의 직선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드(155)가 랙(159)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디(110)의 내부 공간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130)의 회전에 의하여 암(170)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므로 파이프라인(10)의 직경에 따라 적절하게 헤드(13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버클링 어레스터가 파이프라인(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설치는 ROV(Remotely-Operated Vehicle)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V(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를 파이프라인(10)의 설치장소에 위치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암들(170)은 버클링 어레스터를 파이프라인(10)에 설치하기 위하여 벌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ROV(400)에 설치된 여러 개의 다각도 카메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위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 필요한 ROV(400)의 동력원 및 신호는 선박(410)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ROV(400)는 버클링 어레스터가 파이프라인(10)을 감싸도록 버클링 어레스터를 파이프라인(10)의 적정 설치장소에 위치시킨 후 ROV(400)의 로봇팔을 이용하여 버클링 어레스터의 헤드(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던 버클링 어레스터의 암(170)이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파이프라인(10)을 조이게 된다.
이 때 버클링 어레스터가 파이프라인(10)에 고정되는 것을 강화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암(170)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10)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가능한 고정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171)는 회전나사, 핀(pin) 또는 쇄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부(171)가 회전나사인 경우, ROV(400)가 고정부(171)를 회전시키면 회전나사의 끝단이 파이프라인(10)과 접촉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클링 어레스터는 암(170)뿐만 아니라 고정부(171)에 의하여 파이프라인(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0)에서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파이프라인(10)이 울퉁불퉁한 해저면(50)에 설치되면, 파이프라인(10)이 해저면의 돌출된 부분(50a)에 걸쳐지므로 해저면(50)의 돌출된 부분(50a)은 고정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임의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라인(10)의 고정점에서 경계조건이 설정된다. 경계조건 사이의 구간, 즉, 고정점들 사이의 구간은 free-span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free-span이 길어질수록 파이프라인이 돌출된 부분(50a) 사이의 영역(50b)으로 쳐져 좌굴이 발생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라인(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 및 온도 차이에 의하여 압축하중 및 수압하중이 해저면(50)에 설치된 파이프라인(10)에 수시로 작용한다. 이 때 파이프라인(10)의 축방향 압축하중(P1) 및 수직방향 횡하중(P2)에 의하여 파이프라인(10)의 좌굴 및 압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파이프라인(10)의 free-span을 줄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고정점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파이프라인(10)의 free-span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가 설치된 파이프라인(10)에 인가되는 축방향 압축하중(P1) 및 수직방향 횡하중(P2)이 줄어들어 파이프라인(10)의 좌굴 및 압괴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감소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텐션 라인(tension line)의 설치가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텐션 라인이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바디(110)에 연결된 텐션 인가부(700)를 더 포함하며 텐션 인가부(700)는 텐션 인가부(700)에 연결된 텐션 라인(70)에 인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인장력이 인가된 텐션 라인(70)은 파이프라인(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라인(10)의 좌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텐션 인가부(700)는 인가된 인장력을 유지하는 래칫(ratchet) 구조를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인가부(700)은 중심축에 텐션 라인(70)이 감겨있는 휠(710), 휠(710)의 외주변에 형성된 톱니(720) 및 톱니(720)의 역회전을 막는 멈춤쇠(pawl)(730)를 포함할 수 있다. 휠(710)의 회전은 ROV(4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텐션 라인(7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경감이나 텐션 라인(70)을 텐션 인가부(7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ROV(400)가 멈춤쇠(730)를 톱니(720)로부터 해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텐션 인가부(70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다양한 구조의 텐션 인가부(7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에 적용될 수 있다.
텐션 라인(70)의 일단은 제1 버클링 어레스터(BR1)에 설치된 텐션 인가부(700)에 연결되고, 텐션 라인(70)의 타단은 제2 버클링 어레스터(BR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버클링 어레스터(BR2)에는 텐션 라인(70)의 타단이 연결되는 릴(reel)(80)이 설치될 수 있다.
텐션 라인(70)의 양끝단이 연결된 제1 및 제2 버클링 어레스터들(BR1, BR2) 사이에는 텐션 라인(70)의 연장을 돕기 위하여 후크(850)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버클링 어레스터(BR3)가 파이프라인(10)에 설치될 수 있다. ROV(400)는 후크의 개구 영역을 통하여 텐션 라인(70)을 후크(850)로 밀어넣을 수 있다.
텐션 라인(70)의 연장을 돕기 위한 이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는 파이프라인(10)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버클링 어레스터의 암(170)을 조임으로써 파이프라인(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링 어레스터의 설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파이프라인 70 : 텐션 라인
80 : 릴 110 : 바디
130 : 헤드 150 : 기어부
151 : 베벨 기어 152 : 웜
153, 159 : 랙 155 : 가이드
157 : 피니언 170 : 암
171 : 고정부 400 : ROV
410 : 선박 700 : 텐션 인가부
710 : 휠 720 : 톱니
730 : 멈춤쇠 BR1 : 제1 버클링 어레스터
BR2 : 제2 버클링 어레스터 BR3 : 제3 버클링 어레스터

Claims (5)

  1.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어 회전가능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파이프라인에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는 암을 포함하며,
    상기 암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측면을 향하여 돌출가능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버클링 어레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제 1 베벨기어;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 1 베벨기어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제 2 베벨기어;
    상기 제 2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베벨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웜;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웜과 치합되어 상기 웜의 회전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암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되도록 하는 랙;
    을 포함하는 버클링 어레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암과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여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암이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되도록 하는 랙
    을 포함하는 버클링 어레스터.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연결된 텐션 인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 인가부는 상기 텐션 인가부에 연결된 텐션 라인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버클링 어레스터.
KR1020120055715A 2012-05-25 2012-05-25 버클링 어레스터 KR10137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715A KR101379004B1 (ko) 2012-05-25 2012-05-25 버클링 어레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715A KR101379004B1 (ko) 2012-05-25 2012-05-25 버클링 어레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842A KR20130131842A (ko) 2013-12-04
KR101379004B1 true KR101379004B1 (ko) 2014-04-02

Family

ID=4998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715A KR101379004B1 (ko) 2012-05-25 2012-05-25 버클링 어레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7558B (zh) * 2017-09-04 2020-02-18 中国海洋大学 一种海底纤维增强复合柔性管用组合式止屈器
GB2582769B (en) * 2019-04-01 2022-04-13 Subsea 7 Norway As Controlling movement of subsea pipelines
CN114754203B (zh) * 2022-03-18 2023-11-24 水力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轻质高压新型防爆裂水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34A (ja) * 1995-07-27 1997-02-14 Kubota Corp 管の接合装置
KR20100119463A (ko) * 2009-04-30 2010-11-09 임회규 pvc파이프 배관기구
KR20100135637A (ko) *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지오지 관 연결장치
US20110089688A1 (en) 2007-12-21 2011-04-21 Yoav Nahmias Thread-lockable pipe coup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34A (ja) * 1995-07-27 1997-02-14 Kubota Corp 管の接合装置
US20110089688A1 (en) 2007-12-21 2011-04-21 Yoav Nahmias Thread-lockable pipe coupling assembly
KR20100119463A (ko) * 2009-04-30 2010-11-09 임회규 pvc파이프 배관기구
KR20100135637A (ko) *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지오지 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842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7147B1 (en) Reversing leadscre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379004B1 (ko) 버클링 어레스터
US9975606B2 (en) Fairlead for guiding an anchoring element
CN103397871A (zh) 一种基于干式采油树的超深水油气开发系统及其安装方法
US9151121B2 (en) Buoyancy compensating element and method
CN117564685A (zh) 螺栓张紧组件、螺栓张紧装置和用于张紧螺栓的方法
CN102720891B (zh) 一种带螺旋眼板的海底管道止屈器及其固定方法
MY175508A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a double walled pipe
MY161515A (en) Hois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bandoning and/or recovering an underwater pipeline from a laying vessel, and lay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hoisting assembly
CN102221128A (zh) 一种基于锚墩固定的海底输油输气软管管线
NL2007751C2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floating pipe sections.
CN203189912U (zh) 单边固定管件接头
CN104364979A (zh) 连接系统
CN206531517U (zh) 一种基于插销活动固紧的深水钻井平台锚链传感器固定夹具
DK201370685A (en) An offshore system
MY192346A (en) Offshore s-lay pipelaying vessel
WO2011158049A3 (en) Device and method for blocking pipelines, especially under the sea
Nystrøm et al. Lay method to allow for direct tie-in of pipelines
CN207450167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船锚机构
MX341088B (es) Barco de tendido para la instalacion de tuberias tendidas en el lecho de un cuerpo de agua, y metodo de operacion del barco de tendido.
EP3479001B1 (en) System to connect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TE532700T1 (de) Systeme zum umsetzen einer person oder ladung zwischen einem schiff und einem meeresbauwerk
JP5164216B2 (ja) 接続構造
KR101607942B1 (ko) 라이저 가이드관 탑재 방법
KR101996282B1 (ko) 해양구조물의 무어링 라인 및 그 무어링 라인 체인의 굽힘 모멘트 저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