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717B1 -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717B1 KR101377717B1 KR1020120085921A KR20120085921A KR101377717B1 KR 101377717 B1 KR101377717 B1 KR 101377717B1 KR 1020120085921 A KR1020120085921 A KR 1020120085921A KR 20120085921 A KR20120085921 A KR 20120085921A KR 101377717 B1 KR101377717 B1 KR 1013777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key
- touch
- spelling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오타를 줄일 수 있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오타가 발생시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예측(유사)단어를 찾아줌으로써 정확도가 높은 단어 입력을 자동적으로 체크해 주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다 입력되기전까지 원하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주어 오타가 있어도 입력 정확성을 높여주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다 입력되기전까지 원하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주어 오타가 있어도 입력 정확성을 높여주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오타를 줄일 수 있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멀티 터치 방식의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스마트폰은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하고, 휴대성이 좋아야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일종이기 때문에 크기 면에서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크기가 작게되면, 가상 키를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기란 쉽지 않다. 즉, 스마트폰에 구현된 가상 키가 한글, 영문의 철자와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모든 문자를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가상키가 스마트폰의 터치 화면에 매우 조밀하게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가상 키가 매우 조밀하게 배치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문자의 각 철자를 정확하게 터치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복수개의 철자가 새겨진 가상 키가 동시에 터치되거나 원하는 가상 키가 아닌 이웃하고 있는 가상 키가 터치되 등 오타 상태로 입력되는 경우가 많을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유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008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되어 등록된 US8,010,895호에서 "Method for correcting typing errors according to character layout positions on a keyboard"가 개시되었다.
상기 미국등록특허는 오타로 인한 에러를 수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자 입력시 문자키의 주변 영역(비인식 영역)을 터치한 경우 인근 문자를 문자 DB에 저장하였다가 문자 입력이 끝난 후 DB에 저장된 문자들을 이용하여 단어 조합 법칙에 따르는 단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어에 맞도록 문자를 수정하는 것을 큰 특징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등록특허는 단어 조합 법칙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입력을 정확하게 제시하여 주지 못한 문제점과 키 인식 영역을 터치 할 경우 철자 보정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예를 들면, much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m,u,c까지는 키의 정확한 위치를 터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이 되었다. 그러나 다음으로 'h'라는 키를 입력하고자 하였으나 잘못 터치하여 'i'라는 키의 "키 인식 영역"을 터치 하였을 경우에는 'muci'라는 단어로 입력이 되고 단어 보정 기능이 동작되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타가 발생되는 허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잘못 터치되거나 정확하게 터치된 각 철자를 단어 우선 순위에 따라 정확성이 높은 단어를 빠르게 추출하여 제시해줌으로써, 단어를 자동적으로 구성하여 주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어 우선 순위에 따라 제시된 단어들을 히스토리 상태를 이용하여 수정이 쉽도록 하여 원하는 단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 터치 매순간 단어 db 검색을 진행하며, 사용자가 올바르지 않은 철자를 입력하였을 경우 해당 철자를 배제하여 단어를 새로이 구성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와 상기 제1 키로부터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키가 동시에 터치(입력)될 경우 상기 제1 키 및 제2 키의 터치를 인식하는 철자 인식부; 상기 철자 인식부의 인식에 대응하여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제2 단어가 소정의 횟수만큼 계속하여 터치 화면에 표시되는 단어 표시부; 및 상기 단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단어와 일치되는 제3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선택의 결과로서 완료 키를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제3 단어를 표시하는 단어 완성부;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는 상기 제3 단어가 표시된 터치 화면의 터치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어 수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는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를 저장, 표시하고, 상기 터치 히스토리를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상기 터치 히스토리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터치 히스토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철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 히스토리 중 선택된 제1 터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입력)를 다시 인식하여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단어 추출부는 상기 철자의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상기 제2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와 같은 순서로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철자 인식부는, 상기 제1 키 및 제2 키에 대한 터치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크기 또는 모양으로 조절될 경우, 상기 조절된 터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a)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의 터치와 이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제2 키의 터치가 동시에 인식되는 단계; (b) 상기 인식에 대응하여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된 제2 단어를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을 통해 상기 제1 단어와 일치하는 제3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d) 상기 제3 단어가 표시된 터치 화면의 터치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로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d) 단계는 상기 터치 정도가 작을 경우 상기 유추된 제4 단어를 차례로 변경시켜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정도가 클 경우 상기 유추된 제4 단어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은 (e)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의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상기 터치 히스토리 중 선택된 제1 터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입력)를 다시 인식한 후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가 다 입력되기전, 부정확 철자가 반복되어 입력되더라도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예상 단어(제2 단어)를 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다 입력되기전까지 원하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주어 오타가 있어도 입력 정확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찾아낸 단어(제3 단어)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간편하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생각지 못한 다양한 단어가 선택됨으로써, 표현력이 높은 문장을 완성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자신이 입력한 철자 상태를 갖는 터치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단어 수정이 쉽도록 하여 높은 문장이 완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구성 중 키보드부(110)와 터치 화면(18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해당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구성 중 키보드부(110)와 터치 화면(18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해당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구성 중 키보드부(110)와 터치 화면(18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의 해당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3 내지 도 10은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서 부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는 키보드부(110), 철자 인식부(120), 단어 추출부(130), 단어 표시부(140), 단어 완성부(150), 단어 수정부(160), 터치 히스토리부(170) 및 터치 화면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포함한 문장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키(예: 한글 철자 키, '가상 키'라고도 함)를 지원한다. 이때, 임의의 단어가 갖는 철자가 새겨진 해당 키(key)가 터치(입력)되면 이에 감응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190)로 송신한다. 여기서, 한글 철자 키는 일례로서 나타낸 것일 뿐, 다른 형태의 한글 철자 키가 배치되어도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별 각 철자가 키보드부(110)를 통해 정확하게 입력될 수도 있지만, 틀린 철자가 같이 상기 키보드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목적을 이루기 위한 대상으로 삼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에 대한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key)와 상기 제1 키(key)로부터 이웃하여 배치된 제2 키가 동시에 터치(입력)될 경우 상기 제1 키의 터치와 제2 키의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예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제1 키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별 각 철자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정확하게 각 철자가 터치되는 키를 의미하고, 제2 키는 제1 키와 이웃하여 배치되어 잘못 터치된 키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가로 방향을 나열된 'ㅐ'의 제1 키(111)와 'ㅔ'의 제2 키가 한쌍을 이뤄 터치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ㅏ'의 제1 키(114)와 'ㅡ'의 제2 키가(115)가 한쌍을 이뤄 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제2 키의 터치가 하나인 경우에 한정되고 있으나 제2 키의 터치가 2개 이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ㅁ'의 제1 키(117) 및 'ㅂ'과 'ㅈ'의 제2 키가 한번(동시에)에 터치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는 정확하게 철자가 터치(입력)된 제1 키 및 상기 제1 키와 이웃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키가 동시에 터치될 경우 상기 제1 키와 제2 키를 인식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별 철자가 포함된 제3 키가 더 터치(입력)될 경우 상기 제3 키를 인식한다. 여기서, 제3 키의 터치는 사용자가 정확하게 입력한 경우의 터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철자 인식부(120)에서는 두가지 경우, 철자 오타가 없는 제1 키와 철자 오타가 있는 제2 키를 동시에 인식 및/또는 오타가 있는 제2 키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는 앞서 설명한 제1 키 및 제2 키가 터치되는 영역을 터치 영역이라 명명할 경우 상기 터치 영역을 다양한 크기 또는 모양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인식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영역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조절되면, 이를 철자 인식부(120)가 인식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추출부(130)는 철자 인식부(120)의 제1 키와 제2 키의 동시 인식 및/또는 제3 키의 인식에 대응하여 해당 철자(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철자 중 임의의 철자를 의미함)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어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와 동일하거나 다른 단어일 수 있으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추출된 예상 단어를 의미하고, 상기 우선 순위는 철자의 일치 여부,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예상되는 제2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추출부(130)는 철자의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상기 제2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의 순서로 단어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단어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예상되는 제2 단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터치 화면부(180)에 표시되는 제2 단어는 리스트 목록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목록의 형태로 제2 단어가 저장된 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표시부(140)는 단어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된 제2 단어가 소정의 횟수만큼 계속하여 선택되어 터치 화면부(180, 터치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단어가 연속적으로 터치 화면(180)에 표시되기 까지의 과정은 일례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잠시 참조하면, 도 4에서는 제2 단어, 예컨대 '단풍놀이', '바다표범', '바다세상', '자다' 및 '저기'등을 포함하는 리스트 목록이 저장되어 있으며, 단어 우선 순위 중 사용 빈도 정도에 기초하여 제2 단어가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바다구경'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바다구경'의 각 철자중 'ㅂ'의 제1 키(1)가 터치되고, 'ㅂ'의 제1 키(1)와 이웃하고 있는 'ㅈ'의 제2 키(1)가 터치될 경우 앞서 설명한 철자 인식부(120)가 'ㅂ'의 제1 키(1)와 'ㅈ'의 제2 키(1)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바다구경'의 각 철자중 'ㅏ'의 제1 키(2)와 'ㅓ'의 제2 키(2)가 터치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가 'ㅏ'의 제1 키(2)와 'ㅓ'의 제2 키(2)를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추출부(130)는 'ㅏ'의 제1 키(2)와 'ㅓ'의 제2 키(2)의 터치에 대응하여 리스트 목록(131)에 저장된 '저기'라는 제2 단어(132)가 사용 빈도 정도의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추출되어질 수 있다. 추출된 '저기'의 제2 단어(132)는 터치 화면(180)에 표시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표시부(140)에 의하여 '저기'라는 제2 단어(132)와 같이 임의의 다른 제2 단어가 선택되어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다구경'의 각 철자중 'ㄷ'의 제3 키(3)가 정확하게 터치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가 추가적으로 'ㄷ'의 제3 키(3)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단어 추출부(130)에 의해 사용 빈도의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한 '자다'라는 제2 단어(133)가 추출되어 터치 화면(180)에 표시될 것이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바다구경'의 각 철자중 'ㅏ'의 제1 키(4)와 'ㅓ'의 제2 키(4)가 동시에 터치되고, 이어서 'ㄱ'의 제3 키(5)가 터치될 경우, 철자 인식부(120)가 'ㅏ'의 제1 키(4), 'ㅓ'의 제2 키(4) 및 'ㄱ'의 제3 키(5)를 인식하게 되면, 단어 추출부(130)에 의해 사용 빈도의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바다구경'이라는 단어(133)가 추출되어질 수 있다. 이때, 정확하게 유추된 단어를 '제3 단어'라 명명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바다구경'의 각 철자를 터치하는 과정속에서 유추(예상되는)되는 제3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중복 터치에 의한 오타가 있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 입력을 도와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완성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 표시부(140)에 의해 표시된 제1 단어(예:바다구경)와 일치되는 제3 단어(예: 바다구경)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선택의 결과로서 완료 키(6)를 인식한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바다구경'이라는 제3 단어가 터치 화면(180)에 표시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어 수정부(160)는 제3 단어(예:바다구경)가 표시된 터치 화면(180)의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를 추출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4 단어의 추출은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달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1)에 의한 터치세기 정도(161)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을 경우 '바다구경'이라는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예:바닷가, 162)를 차례로 변경시켜 표시하게 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구경'이라는 제3 단어가 표시된 터치 화면(180)에서 사용자(101)에 의한 터치세기 정도(163)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상기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를 리스트 형식(164, 바닷가 및 바다표범 등의 제4 단어가 저장되어 있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히스토리부(170)는 앞서 설명한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를 저장,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터치 히스토리를 보면서 재 입력이 가능하다. 즉, 도 10에 서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터치 히스토리 중 도 5의 터치 히스토리 상태에서 'ㄷ'의 제3 키(3) 입력을 수정(173)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back space 키(172)를 터치하게 된다. 이때, 도 5의 터치 히스토리를 '제1 터치 히스토리'라고 명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히스토리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back space 키(172)에 반응하여 'ㄷ'의 제3 키(3) 입력을 취소하고(173), 그 상태로부터 다시 입력을 받는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철자 인식부(120)는 터치 히스토리 중 선택된 제1 터치 히스토리로부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입력)를 다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바다구경'이 아닌 다른 단어로 다시 입력하고자 할 경우 이와 같은 복수개의 터치 히스토리를 참고하여 생각이 바뀐 단어로 수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문장 활용 능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여 철자 인식부(120), 단어 추출부(130), 단어 표시부(140), 단어 완성부(150), 단어 수정부(160) 및 터치 히스토리부(17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터치 화면부(180)는 이후에 설명될 제어부(190)와의 신호 송수신이 되도록 인터페이스화됨은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철자 인식부(120), 단어 추출부(130), 단어 표시부(140), 단어 완성부(150), 단어 수정부(160), 터치 히스토리부(170) 및 터치 화면부(18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각 구성이 고유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가 다 입력되기전까지 원하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주어 오타가 있어도 입력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단말기(100)는 터치 화면을 채용하고 있는 모든 단말기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와이브로 단말기, PDA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은 오타가 발생되어도 사용자가 희망하는 단어를 정확하게 찾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50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의 터치와 이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제2 키의 터치가 동시에 인식하게 된다. 이때, 제1 키의 터치는 정확한 철자가 입력된 경우이나, 제2 키의 터치는 사용자가 희망하지 않고 입력된 결과이다. 이러한 예는 도 3에 나타내었으며, 앞서 설명되었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S11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임의의 철자를 포함하는 제3 키가 터치될 경우 상기 제3 키를 더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각 철자는 때로는 정확하게 해당 키가 터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정확하게 철자가 입력된 제3 키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20 단계에서는 S110 단계에 의해 인식된 제1 키 및 제2 키의 터치 또는/및 제3 키의 터치에 대응하여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한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제2 단어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예상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에하여 찾아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 단어의 추출에 기초가 되는 단어 우선 순위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에 포함된 철자에 대하여 철자의 일치 여부,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의 순서로 짜여져 있다.
이러한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게 되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입력되는 과정속에서 정확하게 제2 단어를 찾아낼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충분히 논의되었다. 상기와 같이 추출되어진 제2 단어는 리스트 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30 단계에서는 S120 단계에 의해 추출된 제2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을 통해 제1 단어와 일치하는 제3 단어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제3 단어의 추출되기까지의 과정은 앞서 도 4 내지 도 7에서 충분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40 단계에서는 S130 단계에 의해 추출된 제3 단어가 터치 화면에 표시될 경우, 상기 터치 화면에 표시된 제3 단어의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로 수정하여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단어의 터치세기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을 경우 유추되어진 제4 단어를 차례로 변경시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예는 도 8에서 설명되었다. 반면, 상기 제3 단어의 터치세기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에는 유추된 제4 단어를 리스트 목록의 형식으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9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S150 단계에서는 제1 키 및 제2 키의 터치 및/또는 제3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의 전과정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표시하여 준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터치 히스토리를 보면서 재 입력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재입력을 원할 경우에는 터치 히스토리의 전 과정 중 임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터치 히스토리 예컨대, 제1 터치 히스토리로부터 제1 키와 제2 키 및/또는 제3 키의 입력(터치)을 다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키와 제2 키 및/또는 제3 키의 입력(터치)은 S110 단계에 의해 수행됨은 물론일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S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다 입력되기전까지 원하는 단어를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 주어 오타가 있어도 입력 정확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찾아낸 단어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문자 입력 단말기 110 : 키보드부
120 : 철자 인식부 130 : 단어 추출부
140 : 단어 표시부 150 : 단어 완성부
160 : 단어 수정부 170 : 터치 히스토리부
180 : 터치 화면부 190 : 제어부
120 : 철자 인식부 130 : 단어 추출부
140 : 단어 표시부 150 : 단어 완성부
160 : 단어 수정부 170 : 터치 히스토리부
180 : 터치 화면부 190 : 제어부
Claims (15)
-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key)와 상기 제1 키로부터 이웃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키(key)가 동시에 터치(입력)될 경우 상기 제1 키 및 제2 키의 터치를 인식하는 철자 인식부;
상기 철자 인식부의 인식에 대응하여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추출하는 단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제2 단어가 소정의 횟수만큼 계속하여 터치 화면에 표시되는 단어 표시부;
상기 단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제1 단어와 일치되는 제3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선택의 결과로서 완료 키(key)를 인식하여 선택된 상기 제3 단어를 표시하는 단어 완성부; 및
상기 제3 단어가 표시된 터치 화면의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어 수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를 저장, 표시하고, 상기 터치 히스토리를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에 반응하여 상기 터치 히스토리를 수정하여 표시하는 터치 히스토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 히스토리 중 선택된 제1 터치 히스토리로부터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입력)를 다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추출부는,
상기 철자의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상기 제2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와 같은 순서로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인식부는,
상기 철자가 포함된 제3 키가 더 터치(입력)될 경우 상기 제3 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인식부는,
상기 제1 키 및 제2 키에 대한 터치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크기 또는 모양으로 조절될 경우, 상기 조절된 터치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단말기.
- (a)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제1 단어의 각 철자가 포함된 제1 키의 터치와 이로부터 이웃하고 있는 제2 키의 터치가 동시에 인식되는 단계;
(b) 상기 인식에 대응하여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해당 철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제2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추출된 제2 단어를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을 통해 상기 제1 단어와 일치하는 제3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3 단어가 표시된 터치 화면의 터치세기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단어로부터 유추된 제4 단어로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터치세기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을 경우 상기 유추된 제4 단어를 차례로 변경시켜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세기 정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상기 유추된 제4 단어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e)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를 포함한 터치 히스토리의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터치 히스토리 중 선택된 제1 터치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키와 제2 키의 터치(입력)를 다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철자의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순서 일치 여부, 상기 철자의 갯수 일치 여부 및 단어의 사용 빈도 정도의 순서로 단어 우선 순위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추출된 제2 단어를 리스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철자가 터치된 제3 키(key)를 더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921A KR101377717B1 (ko) | 2012-08-06 | 2012-08-06 |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921A KR101377717B1 (ko) | 2012-08-06 | 2012-08-06 |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188A KR20140019188A (ko) | 2014-02-14 |
KR101377717B1 true KR101377717B1 (ko) | 2014-03-25 |
Family
ID=5026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921A KR101377717B1 (ko) | 2012-08-06 | 2012-08-06 |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77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8892A (ko) * | 2021-03-15 | 2022-09-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오타 보정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547B1 (ko) | 2005-10-24 | 2006-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921A patent/KR1013777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7547B1 (ko) | 2005-10-24 | 2006-11-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9188A (ko) | 2014-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96851B2 (en) | Split virtual keyboard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 |
US10156981B2 (en) | User-centric soft keyboard predictive technologies | |
US9128921B2 (en) |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ve word prediction | |
KR100958309B1 (ko) | 문자입력장치 | |
CN101788855B (zh) | 一种获取用户输入信息的方法、装置及通信终端 | |
CN103268154B (zh) | 一种机顶盒虚拟键盘的字母输入方法及装置 | |
JP6219935B2 (ja) | 単語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コントローラ及び装置 | |
EP2669782B1 (en) |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ve word prediction | |
CN104066012A (zh) | 一种智能电视输入汉字的方法及装置 | |
US20140298177A1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 computing device | |
CN103123572A (zh) | 一种输入字符的方法和电子装置 | |
KR101377717B1 (ko) | 문자 입력 단말기 및 방법 | |
US890217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 using a touch screen | |
CN104991735A (zh) | 一种虚拟键盘输入方法及移动终端 | |
KR20140139702A (ko) | 텍스트 수정 방법 및 장치 | |
JP2015002520A (ja) | 文字入力装置 | |
AU2019201023B2 (en) | Methods, Controllers and Devices for Assembling a Word | |
CN106293129B (zh) | 一种中文输入法中输入单个汉字的方法 | |
CN106708281A (zh) | 文字输入装置以及文字输入方法 | |
KR20090049903A (ko) | 가상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퍼지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시스템 및 방법 | |
KR101653102B1 (ko) |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 |
CN106708286B (zh) | 一种智能手表输入法 | |
KR20160076952A (ko) | 문자 편집 장치 및 방법 | |
CN107544680A (zh) | 元素输入方法、设备及系统 | |
JP2016194788A (ja) |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