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502B1 - 동결광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동결광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502B1
KR101377502B1 KR1020120032553A KR20120032553A KR101377502B1 KR 101377502 B1 KR101377502 B1 KR 101377502B1 KR 1020120032553 A KR1020120032553 A KR 1020120032553A KR 20120032553 A KR20120032553 A KR 20120032553A KR 101377502 B1 KR101377502 B1 KR 10137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hute
plate
bar
froz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527A (ko
Inventor
이태연
박영국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5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결광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을 안내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동결광을 길이방향으로 잘라내는 절개부 및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동결광을 부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동결광에 의한 슈트부의 파손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결광 파쇄장치{CRUSHING DEVICE OF FROZEN MINERAL}
본 발명은 동결광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을 파쇄하여 슈트의 손상이나 막힘을 방지하는 동결광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덕트 형상을 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904호(2008.11.21 등록, 발명의 명칭: 댐퍼 장치가 구비된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가 있다.
본 발명은 기온이 하강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물이 동결된 경우, 이를 파쇄하여 슈트의 손상이나 막힘을 방지하는 동결광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동결광을 길이방향으로 잘라내는 절개부; 및 상기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동결광을 부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결광을 길이방향으로 잘라내는 절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축에 장착되어 상기 동결광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축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바; 및 상기 고정바를 감싸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걸림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좌우 길이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슈트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슈트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설치바; 상기 설치바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절단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설치바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돌기;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과홀은 좌우 길이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는 절개부와 절단부가 동결광을 파쇄하여 슈트부의 손상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동결광의 이동에너지에 의해 절개부와 절단부가 구동되므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는 절개부와 절단부가 탄성 지지됨으로써, 이들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절개부와 절단부가 동결광에 밀착되어 동결광을 파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개부에 의해 동결광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단부에 의해 동결광이 절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개부에 의해 동결광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에서 절단부에 의해 동결광이 절단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1)에는 슈트부(10), 절개부(20) 및 절단부(30)가 구비된다.
슈트부(10)는 벨트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90)을 안내한다. 벨트 컨베이어(100)는 목적지에 따라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슈트부(10)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을 다른 벨트 컨베이어로 안내한다.
슈트부(10)는 덕트 형상을 하며, 일측면과 하측면이 개구되어 동결광(90)의 낙하지점을 안내한다. 이때, 개구된 일측면에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100)가 삽입되고, 개구된 하측면 하방에는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200)가 위치된다.
한편, 기온이 하강하면, 이송물에 포함된 수분이 얼면서 동결광(90)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동결광(90) 중에는 자체 부피가 상당하여, 슈트부(10)를 통과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절개부(20)는 슈트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절개부(20)는 동결광(90)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동결광(90)을 길이방향, 즉 동결광(90)의 진행방향으로 잘라낸다.
절단부(30)는 슈트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절단부(30)는 동결광(90)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길이를 갖는 동결광(90)을 잘게 부순다.
이때, 동결광(90)은 절개부(20)와 절단부(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파쇄된 후 슈트부(10)에 의해 안내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20)에는 고정축(21) 및 절개판(22)이 구비된다.
고정축(21)은 슈트부(10)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축(21)은 슈트부(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관통홀(11)을 통과하여 슈트부(10)에 걸쳐진다.
절개판(22)은 고정축(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절개판(22)은 고정축(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절개판(22)에는 고정축(21)을 감싸는 베어링(221), 베어링(221)과 결합되는 원판(222) 및 원판(22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동결광(90)을 절개하는 절개돌기(223)가 구비된다.
이때, 절개돌기(223)는 원판(222)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절개돌기(223) 사이로 유입된 동결광(90)은 절개돌기(223)를 밀어내어 절개판(22)을 회전시키고, 절개판(22)이 회전되면서 절개돌기(223)가 이송되는 동결광(90)을 절개한다.
한편, 고정축(21)에는 스토퍼(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211)는 절개판(22) 사이에 배치되어 절개판(22)의 유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20)에는 가이드판(23)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3)은 슈트부(10)에 내장되고, 고정축(21)에 장착된다.
가이드판(23)은 슈트부(10)의 내벽에 근접 배치되어 관통홀(11)을 커버한다. 이러한 가이드판(23)은 동결광(90)이 관통홀(11)을 통해 슈트부(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20)에는 고정판(24), 고정바(25), 걸림바(26) 및 탄성체(27)가 더 구비된다.
고정판(24)은 슈트부(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판(24)은 서로 마주보는 슈트부(10)의 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고정축(21)의 하방에 위치된다.
고정바(25)는 고정축(21)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고정판(24)을 관통한다. 예를 들어, 고정바(25)의 상단부는 고정축(21)에 결합되고, 고정바(25)의 하단부는 고정판(24)의 하방에 위치된다.
걸림바(26)는 고정바(25)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고정바(25)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탄성체(27)는 고정바(25)를 감싸며, 고정판(24)과 걸림바(26)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체(27)는 동결광(90)의 누적 높이에 의해 고정축(21)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고정축(21)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관통홀(11)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1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에는 설치바(31), 회전판(32) 및 절단봉(33)이 구비된다.
설치바(31)는 슈트부(10)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통과홀(12)을 관통하여 슈트부(10)에 안착된다. 이러한 설치바(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슈트부(10)의 각 측면에 걸쳐진다.
회전판(32)은 설치바(31)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회전판(32)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회전판(32)과 설치바(31) 사이에는 회전베어링(321)이 구비된다.
회전판(32)은 단면이 원 형상을 하며, 통과홀(12)에 근접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판(32)은 동결광(90)이 통과홀(12)을 통해 슈트부(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단봉(33)은 회전판(32)에 양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절단봉(33)은 슈트부(10)를 가로지르며, 회전판(32)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절단봉(33) 중에서 어느 하나가 벨트 컨베이어(100)에 근접되면, 동결광(90)에 의해 밀려나 회전판(32)이 회전된다. 이때, 상당한 길이를 갖는 동결광(90)은 절단봉(33)들을 통과하면서 회전되는 절단봉(33)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에는 지지판(34), 지지봉(35), 걸림돌기(36) 및 스프링(37)이 더 구비된다.
지지판(34)은 슈트부(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판(34)은 서로 마주보는 슈트부(10)의 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설치바(31)의 하방에 위치된다.
지지봉(35)은 설치바(31)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지지판(34)을 관통한다. 예를 들어, 지지봉(35)의 상단부는 설치바(31)에 결합되고, 지지봉(35)의 하단부는 지지판(34)의 하방에 위치된다.
걸림돌기(36)는 지지봉(35)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지지봉(35)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스프링(37)은 지지봉(35)을 감싸며, 지지판(34)과 걸림돌기(36)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스프링(37)은 동결광(90)의 누적 높이에 의해 설치바(3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설치바(3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통과홀(12)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90)은 슈트부(10)에 의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200)로 안내된다.
이때, 슈트부(10)에는 절개부(20)와 절단부(30)가 장착된다. 절개부(20)와 절단부(30)는 동결광(90)을 파쇄하여, 동결광(90)에 의한 슈트부(10)의 손상과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먼저, 동결광(90)이 절개부(20)를 통과하면, 동결광(90)과의 접촉에 의해 절개판(22)이 회전되면서 동결광(90)을 절개한다.(도 3 참조)
복수의 절개판(22)에 의해 동결광(90)은 진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절개된다. 이때, 동결광(90)의 일부는 절개되는 중에 파쇄되어 슈트부(10)를 통과한다.
벨트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90)의 누적 높이에 의해 절개판(22)이 장착된 고정축(21)이 상승하면, 고정축(21)과 결합된 고정바(25)가 상승하여 탄성체(27)가 수축된다.
이러한 탄성체(27)는 고정축(21)의 하방 이동을 유도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절개판(22)이 동결광(9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절개부(20)를 통과한 동결광(90)이 절단부(30)를 통과하면, 동결광(9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판(32)이 회전된다(도 5 참조).
이때, 절개부(20)에 의해 상당한 길이를 갖는 동결광(90)이 절단봉(33)을 통과하는 중에 회전판(32)에 장착된 절단봉(33)이 회전되면서 동결광(90)을 절단한다.
벨트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90)의 누적 높이에 의해 설치바(31)가 상승하면, 설치바(31)와 결합된 지지봉(35)이 상승하여 스프링(37)이 수축된다.
이러한 스프링(37)은 설치바(31)의 하방 이동을 유도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절단봉(32)이 동결광(9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1)는 절개부(20)와 절단부(30)가 동결광(90)을 파쇄하여 슈트부(10)의 손상이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1)는 벨트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되는 동결광(90)의 이동에너지에 의해 절개부(20)와 절단부(30)가 구동되므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결광 파쇄장치(1)는 절개부(20)와 절단부(30)가 탄성 지지됨으로써, 이들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절개부(20)와 절단부(30)가 동결광(90)에 밀착되어 동결광을 파쇄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슈트부 20 : 절개부
21 : 고정축 22 : 절개판
23 : 가이드판 24 : 고정판
25 : 고정바 26 : 걸림바
27 : 탄성체 30 : 절단부
31 : 설치바 32 : 회전판
33 : 절단봉 34 : 지지판
35 : 지지봉 36 : 걸림돌기
37 : 스프링 90 : 동결광

Claims (6)

  1.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동결광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동결광을 길이방향으로 잘라내는 절개부; 및
    상기 슈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동결광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동결광을 부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슈트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슈트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설치바;
    상기 설치바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에 양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절단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동결광을 길이방향으로 잘라내는 절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에 내장되고, 상기 고정축에 장착되어 상기 동결광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축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바; 및
    상기 고정바를 감싸며, 상기 고정판과 상기 걸림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좌우 길이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슈트부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설치바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 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걸림돌기; 및
    상기 지지봉을 감싸며, 상기 지지판과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과홀은 좌우 길이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광 파쇄장치.
KR1020120032553A 2012-03-29 2012-03-29 동결광 파쇄장치 KR10137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53A KR101377502B1 (ko) 2012-03-29 2012-03-29 동결광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553A KR101377502B1 (ko) 2012-03-29 2012-03-29 동결광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27A KR20130110527A (ko) 2013-10-10
KR101377502B1 true KR101377502B1 (ko) 2014-03-24

Family

ID=4963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553A KR101377502B1 (ko) 2012-03-29 2012-03-29 동결광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5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502Y1 (ko) * 1995-07-27 1999-10-15 이구택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동결탄 파쇄장치
US20030173431A1 (en) * 2002-03-18 2003-09-18 Kevin Hood Reclaimer devi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502Y1 (ko) * 1995-07-27 1999-10-15 이구택 리크레이머(reclaimer)의 동결탄 파쇄장치
US20030173431A1 (en) * 2002-03-18 2003-09-18 Kevin Hood Reclaimer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527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741B1 (ko) 선회될 수 있는 안내면 및 컨베이어
CA2604403A1 (en) Entrance chute for blowing insulation machine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JP2005225677A (ja) ローラ用の保持装置と、該保持装置を備えたコンベア
KR101377502B1 (ko) 동결광 파쇄장치
EP3392168B1 (en) Conveyor assembly
KR100689098B1 (ko) 건설 폐기물 습식처리장치
EP2774692A1 (de) Rüttelsieb
KR10129559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동결광 파쇄장치
KR101421280B1 (ko) 진개물 파쇄장치를 갖는 제진기
KR10125086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EP3001896A1 (en) Straw bale breaker for breaking up and partially dividing biomass material
KR200436515Y1 (ko)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KR101277578B1 (ko) 이동슈트
CN101171191A (zh) 用于运行带式输送机的传送带的装置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400601B1 (ko) 콜타워
KR101421830B1 (ko)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KR100957956B1 (ko) 누출 광물의 배출장치
KR102110683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배출장치
KR102585636B1 (ko) 철근의 규격별 분배 가능 기능을 구비한 철근 분배 시스템
KR101062952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처리장치
FI94848C (fi) Roskanpoistojärjestelmä erityisesti puunhalkaisukoneessa
KR101353591B1 (ko) 파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파쇄 방법
KR102462214B1 (ko) 비산재 안정화물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