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13B1 -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13B1
KR101377213B1 KR1020110052355A KR20110052355A KR101377213B1 KR 101377213 B1 KR101377213 B1 KR 101377213B1 KR 1020110052355 A KR1020110052355 A KR 1020110052355A KR 20110052355 A KR20110052355 A KR 20110052355A KR 101377213 B1 KR101377213 B1 KR 10137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composition
deodorant
quino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622A (ko
Inventor
김남경
박진수
석지현
권신애
Original Assignee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솔루션스 filed Critical (주)그린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11005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7Perfumes having both deodor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악취 특히 인체의 체취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고, 환경 특히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Composition for removal of offensive odor using Rosa davurica PALL., bamboo leaf and Chenopodium quinoa Willd.}
본 발명은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에 발산되는 체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소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취(body odor)는 몸에서 발산되는 냄새로서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이 주된 원인이다. 땀샘은 에크린선(eccrine gland)과 아포크린선(apocrine gland)으로 나뉘는데, 에크린선은 대부분의 몸 표면에 퍼져 있고, 수분이 많은 묽은 땀을 대량으로 배출한다. 아포크린선은 겨드랑이에 가장 많고, 젖샘, 음부하, 복부 등에도 존재하는데, 사춘기에 활동하기 시작하여 점차 분비량이 늘어난다.
아포크린선에서 나오는 땀에는 지질(脂質)이나 단백질 등의 유기물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분비된 신선한 땀에는 냄새가 없으나,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들 유기물이 피부의 정상 세균층에 의해 분해되어 불쾌한 냄새로 변한다.
냄새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연구 보고는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 리포릴릭 디프테로이드(liphilic diphtheroid)나 라지 콜로니 디프테로이드(Large colony diphtheroid)에 의해 악취가 발생한다는 설이 유력하며, 상기 균이나 미생물이 분해된 후 휘발성 악취 물질의 발생에는 저급 지방산(caproic acid), 카프릴릭산(caprylic acid), 이소 길초산(isovaleric acid), 부트릭산 (butric acid),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당류인 트레할로스 성분은 알파-리놀렌산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 알데히드류의 생성을 막아주며, 임상 실험으로 트레할로스 성분이 불포화 알데히드류를 감소시켜 우수한 체취 발생 억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 연구 보고도 있다. (T. Nakada et al. (2002), Pure Appl. Chem, 74, 1263~1269)
한편, 천연물로서 소취 효능 소재로 사용되는 녹차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에 종래 구취 방지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테킨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녹차의 에탄올 추출물에는 카테킨 외에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아미노산류 등의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들 성분은 유화수소(-SH)와 아민류 (-NH)를 비롯한 음식물 냄새의 소취 및 구취의 완화, 살균, 항산화 효과 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녹차 추출물에 인체의 불쾌한 체취를 소취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선 지금까진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인체 체취에 대한 소취를 목적으로 피부용 조성물로서 제시된 바도 없다.
한편, 탈취제 조성물로 숯 또는 천연 추출물 또는 화합물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악취원들을 흡착하여 탈취하나 이것은 영구적인 탈취가 아니라 일시적인 것으로서 이러한 천연 추출물들은 악취원을 흡착한 후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흡착한 악취원들을 다시 발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며 그 탈취효과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이산화 염소와 같은 염소계 물질들도 탈취제의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발생기 산소에 의해 강력한 탈취효과를 발휘하나,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염소 냄새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불안감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고온에서 불안정하여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지속적 탈취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탈취제로서 금속산화물 또는 금속염을 사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종래의 것들에 비하여 지속성 및 탈취력이 우수하기는 하나, 온도에 민감하여 저온에서는 활성화되기 힘들어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콜로이드 상태로 분산되는 것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투명 겔로 제형화하기 힘들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악취 제거를 위해 방향제와 탈취제를 이용하여 매스킹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체취 성분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한계가 있고, 문제가 되는 악취와 방향성분에 의한 혼재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은 새로운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체취 성분의 생성 및 휘산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소취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인체 체취에 대해 우수한 소취 효과를 가지면서도, 피부에 대해 자극이 적고, 안정성이 높은 천연 소취제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열귀 추출물, 죽엽 추출물 및 퀴노아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소취 물질로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다. 상기 식물들의 혼합 추출물로부터 발생하는 소취 효과는 상기 식물들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아미노산류에 의해 발생하는데, 악취 성분의 중화, 흡착 등의 복합 작용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생열귀, 죽엽, 퀴노아의 성상 및 효능은 다음과 같다.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는 장미과(Rosacea)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우리나라, 일본, 만주 및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이북 해발 200~1,200m에 자생하며 추위에 강하고, 습기가 있는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높이는 1~1.5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적갈색이며, 가시가 있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나며,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고, 길이가 1~3cm로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다. 과실은 구형이며 9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꽃잎은 광도란형이며, 끝이 오므라든다. 민간에서는 식용으로 쓰이며, 뿌리와 열매는 건위이기, 양혈조경, 소화불량, 기대복사, 위통, 월경부조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유용한 약용식물자원이다. (육창수. 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 272. 아카데미서. 서울). 또한, 생열귀는 비타민 C 1000~2000 mg/100g, β-카로틴 208~286 mg/100g, 카테킨 7000~8000 mg/100g을 함유하고 있다. (사재훈. 2002. 생열귀 나무의 카테킨 함량 및 항산화 효과, Kor, J, Pharmacogn 33(3): 177 ~ 181).
한편, 죽엽은 벼 과 (Graminae)에 속하고, 대나무 속 및 조릿대 속의 잎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녹색을 나타내고, 뒷면은 담녹색이며, 기부에는 미모(微毛)를 볼 수 있다. 죽엽은 동의치료에서 열 내림, 피멎이약, 중풍, 고혈압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한방에서는 소염, 유산, 발한 등의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살균 및 항진균 작용과 항산화성,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경은, 류기형. 2004. 추출조건에 따른 죽엽분말 추출물의 화학성분 변화. 식품산업과 영양 9(2). 46~52.), 죽엽에 대한 성분 연구로는 플라보노이드 계열 화합물과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계열인 아룬도인(arundoin), 밀리아신(miliacin), 프리에델린(friedelin)이 보고되어 있다. 조릿대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은 항균물질로 알려진 구이콜(guicol), 페놀, 4-비닐페놀 등의 페놀성분과 아세트산, 페닐아세트산, 피로피온산 등의 유기산류가 보고되었다. (Chuyen NV, Kurata T, Ksto H, Furjimaki M. 1982. Antimicrobiol activity of kumazasa (Sasa albro-marginata). Agric Biol Chem 46: 971.). (김기동. 2002. 죽엽의 성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편, 퀴노아(Chenopodium quinoa Willd.)는 명아주과에 속하며, 잉카제국 전 이미 오랫동안 남아메리카의 안데스(Andes)지역에서 적어도 5000년 동안 재배되었으며, 다른 작물들이 잘 자라지 못하는 해발 3000m이상의 고지대의 건조한 조건하에서도 잘 자란다고 한다. 퀴노아 종자에는 보리, 밀 등 일반 화곡류에 비해 조단백, 조지방, 미네랄원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아미노산 및 지방산 구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재학. 2007. 유용한 식품영양 신소재 아마란스와 퀴노아. 식품산업과 영양 12(2), 29~36).
한편,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 또는 식물들의 혼합물의 추출 방법은 통상적인 추출공정에 의한다. 일 예로 설명하자면, 생열귀, 죽엽 또는 퀴노아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말화하여 약 20배의 추출용매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출 원액을 여과 및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혼합한 후, 상기와 같이 분말화하고, 추출한 후, 농축하여 혼합물의 추출액으로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 용매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디메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생열귀, 죽엽 또는 퀴노아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01~10 중량%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화가 어렵고, 첨가량만큼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로 조성물에 첨가될 경우에는 0.0003~30 중량% 만큼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소취제는 일 예로서, 몸에서 나는 체취를 제거하는 체취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천연의 식물 혼합 추출물을 소취 효능 원료로 포함하는 본 발명은 인체의 체취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도 매우 높아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소취 효능 평가 결과로서, 도 1a는 암모니아 제거 시험 결과이고, 도 1b는 트리메틸아민 제거 시험 결과이며, 도 1c는 황화수소 제거 시험 결과이고, 도 1d는 아세트알데히드 제거 시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
시험에 사용된 식물 혼합 시료는 생열귀, 죽엽, 퀴노아를 1:1:1 비율로 혼합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어 준비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 준비된 식물 혼합 시료 25 g에 용매인 70부피% 에탄올을 500 mL 첨가하여 교반기(제조사: Heidolph, 규격: MR 3001, MR3001K)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3시간 교반 추출하였다. 교반 추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고, 여과액을 농축기(Heidolph, LABOROTA 4000)를 이용하여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소취 효능 원료' 시료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취 효능평가]
1-1. 실험방법
가스검지관법을 이용하여 실내온도 20~30℃, 상대습도 25~65%의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취 효능 원료' 시료의 악취 성분에 대한 제거 능력을 시험하였다.
10L 테들라백 안에 표준가스(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아세트알데히드)를 각각 주입하여 내부의 농도가 암모니아 100 ppm, 트리메틸아민 30 ppm, 황화수소 50 ppm, 아세트알데히드 20 ppm이 되도록 가스검지기(GV-100S, Gastec Co. Japan)로 측정하여 이를 초기농도로 하였다. 초기농도를 맞춘 테들라백 안에 '소취효능원료' 시료 10ml를 주입한 후 밀봉하였다. 초기, 0.5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경과 시점의 가스 농도를 가스텍으로 정확히 측정하였다. '소취 효능 원료' 시료를 주입하지 않고, 동일하게 시험하여 바탕시험(Blank test)으로 하였다.
1-2. 실험결과
상기한 가스검지관법에 따른 소취 정도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a 내지 1d에 나타내었다.
가스검지관법에 따른 소취 정도 결과
시험항목 구분 초기(ppm) 0.5시간 후(ppm) 1시간 후(ppm) 2시간 후(ppm) 4시간 후(ppm) 6시간 후(ppm)
암모니아 Blank 100 100 100 100 99 98
실시예 1 100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트리메틸아민 Blank 30 30 30 30 30 30
실시예 1 30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황화수소 Blank 50 50 50 50 50 50
실시예 1 50 1 1미만 1미만 1미만 1미만
아세트알데히드 Blank 20 20 20 20 20 20
실시예 1 20 4 4 4 4 4
상기 표 1 및 도 1a~1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 0.5시간 후부터 높은 가스 제거 능력을 보였다. 이로부터, 생열귀, 죽엽, 퀴노아 혼합 추출물의 소취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1차 피부 자극 시험 및 누적 자극 시험 평가]
2-1. 실험방법
실시예 1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 시험 및 누적 자극 시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 (참고문헌: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시료 20 ㎕를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 안쪽에 얹은 다음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1차 피부 자극 시험은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24 경과 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누적 자극 시험은 RIPT(Repeated Insult Patch Test)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유도기(Induction Phase)로서 아홉 번 시료를 반복하여 처리하였으며, 10일 경과 후 시도기(Challenge Phase)로서 시료 처리 후 시간별 자극 유발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계산식]
자극도 =[{(±)수 x 1} + {(+)수 x 2} +{(++)수 x 3}]/피시험자 수
2-2. 실험결과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
시료 피시험자 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대조군
(증류수)
20 - - - 20 0
실시예 1 20 - - - 20 0
피부 누적 자극 시험 결과
시료 피시험자수 유도기
(Induction Phase)
시도기
(Challenge Phase)
자극도
1 2 3 4 5 6 7 8 9 24hr 48hr 72hr
대조군
(증류수)
20 - - - - - - - - - - - - 0
실시예 1 20 - - - - - - - - - - - - 0
상기 표 2 및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 유발 여부를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소취 효능 원료를 함유한 제제의 체취 억제 효능 평가]
3-1. 실시예 1의 소취 효능 원료를 함유한 바디클렌져의 제조
실시예 1을 첨가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바디클렌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을 첨가한 바디클렌져 제조(실시예 2)
원료명 실시예 2(%) 대조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 3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05 0.05
방부제 0.1 0.1
글리세린 7 7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스테아릭애씨드 10 1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4 4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20 2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방부제 0.2 0.2
알란토인 0.3 0.3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1 1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0 10
정제수 To 100 To 10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1
정제수 3 3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0.1
정제수 5 6
생열귀 추출물 0.33 -
죽엽 추출물 0.33 -
퀴노아 추출물 0.34 -
3-2. 실험방법
자신의 체취가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느끼고 있는 20~40대 남성 10명, 여성 10명을 선별한 후, 2일 동안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효과 정도를 아래의 평가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실시예 2의 바디클렌져 사용에 따른 효능 평가기준
평가기준 표시내용
0 체취가 전혀 없음.
1 체취를 아주 약간 느낄 수 있음.
2 체취를 확실히 느낄 수 있으나 미약함.
3 체취가 보통.
4 체취가 강하게 느껴짐.
5 체취가 매우 강하게 느껴짐.
3-3. 실험결과
실시예 2의 바디클렌져 사용에 따른 효능 평가 결과
피시험자
평가점수
실시예 2 대조군
1 0 2
2 0 4
3 0 3
4 1 3
5 0 3
6 2 2
7 1 1
8 1 2
9 0 2
10 0 3
11 0 1
12 0 1
13 0 4
14 0 3
15 0 3
16 1 3
17 2 3
18 2 2
19 0 1
20 0 2
평균 0.5 2.4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2가 대조군보다 체취 감소가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본 발명 생열귀, 죽엽, 퀴노아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소취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혼합한 혼합물의 70부피%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2. 생열귀의 70부피% 에탄올 추출물, 죽엽의 70부피% 에탄올 추출물 및 퀴노아의 70부피%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제는,
    몸에서 나는 체취를 제거하는 체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KR1020110052355A 2011-05-31 2011-05-31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KR10137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55A KR101377213B1 (ko) 2011-05-31 2011-05-31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355A KR101377213B1 (ko) 2011-05-31 2011-05-31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622A KR20120133622A (ko) 2012-12-11
KR101377213B1 true KR101377213B1 (ko) 2014-03-26

Family

ID=4751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355A KR101377213B1 (ko) 2011-05-31 2011-05-31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2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30084393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한국신약 죽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80107425A (ko) * 2006-03-22 2008-12-10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999A (ko) * 2000-07-31 2002-02-07 김석남 항산화 활성이 있는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플라반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30084393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한국신약 죽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80107425A (ko) * 2006-03-22 2008-12-10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hemistry, vol.119, pp.770-778 (2010) *
Food Chemistry, vol.119, pp.770-778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622A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20B1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20120129600A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70047514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251448A (zh) 一种含有蜂胶提取物的美容用组合物
KR101196397B1 (ko)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피톤치트 생성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2902B1 (ko)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21842A (zh) 一种含石松子粉的全天然爽身粉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7213B1 (ko) 생열귀, 죽엽 및 퀴노아를 이용한 천연 소취제 조성물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0778368B1 (ko)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하는 여성용 아로마 오일 조성물
KR101280315B1 (ko)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25740A (ko)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KR102227874B1 (ko) 아토피와 각종 피부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20190048930A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