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18B1 -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 Google Patents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18B1
KR101377018B1 KR1020130153984A KR20130153984A KR101377018B1 KR 101377018 B1 KR101377018 B1 KR 101377018B1 KR 1020130153984 A KR1020130153984 A KR 1020130153984A KR 20130153984 A KR20130153984 A KR 20130153984A KR 101377018 B1 KR101377018 B1 KR 10137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lting
hand
sewing
need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란
Original Assignee
이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란 filed Critical 이순란
Priority to KR102013015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1/00Tools, implements, or accessories for hand sewing
    • D05B91/06Work holders or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7/00Hand sewing processes or apparatus for special work 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97/02Hand-guid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비옷 등을 제작함에 손바느질로 누비 박음질시에 누비감을 잡아주는 누비밀대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와, 밀대부(10)의 후미에 큐션부재(20a)가 부착된 타원형의 손잡이부(20)를 구성하여 밀대부(10)의 선단(10a)을 통해 누비 박음질에 의한 손바느질시에 누비감을 눌러 밀어줌과 동시에 봉제하는 바늘을 밀대부(10)가 받쳐주도록 하여 작업자가 누비 손바느질이 정교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손바느질용 누비밀대{A QUILTED PUSH STICK FOR NEEDLEWORK}
본 발명은 누비 손바느질에 사용되는 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겨울철 솜을 넣어 안팎으로 천을 누비질하여 누비옷 등을 제작함에 따른 손바느질이 정교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보다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누비 문화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살림과 밀접하다.
누비라는 말은 말 그대로 "누빈다"는 의미로부터 유래된 것인데 바느질 기법을 의미하며, 누비에 대한 사전적 해석을 보면 "안팎을 맞춘 두겹의 천 사이에 솜이나 종이와 같은 충전재를 두거나 또는 두지 않고 줄이 지도록 촘촘하게 홈질 또는 박음질하는 것" 이라 되어 있으며 손누비라는 말도 손으로 하는 누비를 강조하는 말로 안감과 겉감을 고정시키는데 솜을 넣거나 넣지 않은 형태로 고정시키는 바느질법을 총칭하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본격적인 누비옷은 불가의 스님 옷인 납의에서 비롯되어 일반 대중들이 누비 기술을 이용하여 호신용, 보호용, 종교용, 장식용, 실용성 등의 다양한 용도로서 누비직물이 제직되어 사용되어 왔었다.
현재 수작업에 의해 직접 손 박음질하는 누비 기술이 점차 쇠퇴해 가고 있는 실정이지만 사람은 새것을 선호하기도 하지만 옛 전통방식 그대로를 좋아하는 수요자들도 늘어나면서 손 누비로 제작된 누비옷을 찾는 사람이 생기고 아직 불가의 스님 옷인 납의는 기계가 아닌 옛 전통방식 그대로 한땀 한땀 손바느질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손바느질에 의해 누비옷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재봉도구로서 자, 누비밀대, 바늘, 골무, 가위, 인두, 다리미 등이 필요하였으며, 상기 재봉도구 중에 전통 누비에서 꼭 필요했던 누비밀대는 옷감을 누빌 때 천을 밀어주는 보조기구로서 누비게, 쥘대 라고 하였으며 누비감 밑에 누비밀대를 받쳐 놓으면 천의 안팎이 밀리지 않고 바느질이 편리하게 해준다 라고 옛 문헌에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전통 누비에 사용되었던 누비밀대는 대나무로서 길이 25㎝에 지름 2㎝정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것을 누비감 밑에 받쳐 놓고 작업자가 누비밀대와 누비감을 같이 잡고 올리면서 봉제하도록 하고 있어 천을 들어올리면 박음질하기가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몸체가 단순한 원통형으로만 되어 있어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여 장시간 사용하기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원통형의 누비밀대를 누비감 밑에 받쳐놓고 천을 들어올려 가면서 봉제하게 되면 바늘을 누비밀대 옆으로 빠져나올 때에 누비 봉제선을 제대로 식별하기가 어려워 작업 후 봉제선이 삐뚤어지게 되어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손바느질로 누비를 할 때에 보조기구로 사용되었던 누비밀대를 작업자가 장시간 잡고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정교한 누비 손바느질과 함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누비밀대의 개량이 적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방식에 의해 손바느질로 누비 할 때에 누비감을 평편한 바닥에 놓고 작업자가 누비밀대를 용이하게 잡은 상태에서 누비감 위를 누비밀대의 판재 선단이 눌러 밀어줌과 동시에 누비 봉제하여 빠져나오는 바늘을 안내하여 받쳐주도록 하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봉제선을 누비감 위에서 작업자가 식별하여 정교한 바느질이 가능하도록 개량된 손바느질용 누비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손바느질에 사용되는 누비밀대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와, 밀대부(10)의 후미에 큐션부재(20a)가 부착된 타원형의 손잡이부(20)를 구성하여 밀대부(10)의 선단(10a)을 통해 누비 박음질에 의한 손바느질시에 누비감을 눌러 밀어줌과 동시에 봉제하는 바늘을 밀대부(10)가 받쳐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누비 작업시에 누비감을 평편하게 펼쳐 놓고 그 위에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와 후미에 큐션부재가 형성된 타원형의 손잡이부가 형성된 누비밀대를 작업자가 편안하게 잡은 상태에서 누비밀대를 통해 누비감을 눌러 밀어주어 바늘의 봉제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면서 누비가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비밀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4(a)(b)(c)는 본 발명 누비밀대의 다른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 누비밀대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감과 겉감 사이에 충전재의 솜 등을 넣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 누비감을 바닥이 평편한 곳에 펼쳐놓도록 한 후 펼쳐진 누비감 위에 누비밀대와 바늘을 동시에 눌러 밀어주면서 중첩된 누비 부분을 바늘이 통과하여 누비밀대에 의해 안내되게 함으로서 누비 봉제작업이 신속하면서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비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누비밀대(A)는 크게 누비감을 눌러 밀어주는 밀대부(10)와 밀대부(10)와 일체로 성형하여 작업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후미에 손잡이부(20)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누비밀대(A)를 구성하는 밀대부(10)는 누비감을 눌러 밀어주는 부분으로서 선단(10a)이 직선형을 갖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밀대부(10)의 상면에는 연마부(30)를 형성하여 바늘침이 무디어 질 경우 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대부(10)를 금속판으로 형성함에 있어 가능한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벼운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해주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나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와 후미에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까지의 총 길이(L)는 너무 길거나 짧지 않도록 13∼15㎝ 정도로 형성하여 손잡이부(20)를 잡은 상태에서 밀대부(10)가 손으로부터 야간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대부(10)는 너비(W) 10∼15㎜에 두께(T)가 1∼3㎜로 형성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대부(10)의 너비(W)를 10∼15㎜ 정도 형성토록 함은 너비(W) 10㎜이하로 형성하면 누비감을 눌러 밀어줄 때 접촉 면적이 좁아 잘 밀리지 않을 수가 있으며, 너비(W) 15㎜이상으로 형성하면 누비감을 밀어주기가 용이하나 불필요한 재료낭비와 함께 원가상승의 요인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밀대부(10)의 두께(T)를 1∼3㎜ 정도로 형성토록 함에 있어서는 두께(T) 1㎜이하로 형성하면 누비감을 눌러 밀어주기가 용이하나 얇아서 밀대부(10)가 가중된 힘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가 있는 것이며, 반면에 두께(T)를 3㎜ 이상으로 형성하면 휘어질 염려는 없으나 무게가 불필요하게 무거워지면서 재료낭비와 함께 원가상승의 요인이 될 수가 있다.
한편 밀대부(10)의 상면 일측에 연마부(30)를 더 형성함에, 연마부(30)는 밀대부(10)와 일체로서 연마줄을 형성하여 거칠기 정도를 다양하게 형성해주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연마줄 대신에 연마석을 부착되게 형성하여 주도록 함으로서 바늘침 부분이 무디어 질 경우 연마부(30)를 통해 갈아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밀대부(10)를 두고 일체로서 후미에는 손잡이부(20)를 형성하되, 손잡이부(20)는 손에 움켜질 경우 손바닥에 감싸질 정도의 크기로서 전체 외형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손잡이부(20)를 이루는 외면에는 큐션기능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큐션부재(20a)를 부착 형성하여 누비밀대(A)를 잡고 작업하기가 용이하면서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를 구성하는 큐션부재(20a)로는 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 중에 어느 하나를 부착 형성하여 줌으로서 큐션기능과 미끄럼방지 효과를 갖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도 4(a)(b)(c)는 누비밀대의 다른 실시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누비감을 눌러 밀어주는 밀대부(10)의 선단(10a)을 직선형으로 형성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선단(10a)을 볼록형, 오목형 또는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여 누비 원단의 재질 내지는 누비 박음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 사용하여 누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40)은 누비감, (50)은 바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누비밀대(A)를 이용하여 누비감을 봉제하는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즉 도 5(a)(b)는 본 발명 누비밀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a)의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에 원통형 누비밀대를 누비감 밑에 받쳐 사용하던 것과는 반대로 누비감(40)를 평편한 바닥에 펼쳐지도록 한 후, 펼쳐진 누비감(40)을 두고 왼손에는 누비밀대(A)을 잡고 다른 오른손에는 바늘(50)을 잡은 상태에서 먼저 바늘(50)을 봉제 부분을 찔러 누비감(40)을 살짝 들어줌과 동시에 밀대부(10)의 선단(10a)을 누비 부분을 눌러 밀어주면 도 5(a)의 상태와 같이 바늘(50)과 누비밀대(A)가 서로 마주하여 누비감(40)을 눌러 밀어주면서 위로 들어주도록 해준다.
이때 밀대부(10)는 선단(10a)을 포함하여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누비감(40)을 눌러주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들리어 올라올 때에 누비감(40)이 틀어지지 않고 항시 수직으로 상승시켜 줌으로서 바늘(50)이 항시 누비감(40)을 수평으로만 봉제할 수 있도록 잡아주게 된다.
그리고 밀대부(10)를 이용하여 누비감(40)을 눌러 잡아줄 때 손잡이부(20)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손바닥 안에 감싸지도록 되어 작업자가 장시간 사용에도 손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잡이부(20)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재(20a)에 의해 큐션기능과 함께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상기한 도 5(a) 상태에서의 작업자는 바늘(50)을 더 찔러주어 누비감(40)을 통과시키면, 도 5(b)에서와 같이 바늘(50)과 마주하는 누비밀대(A)의 밀대부(10) 상면에 바늘(50)의 침부분이 위치하여 맞닿아지게 되고 이후 밀대부(10)는 바늘(50)을 받쳐주면서 안내되게 함으로서 바늘(50)을 항시 흔들림없이 신속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지지해 줌으로서 종래에서의 누비 작업시에 바늘에 손이 찔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 5(a)(b)의 방법으로 누비감(40)의 봉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누비감(40) 위에서 누비밀대(A)에 의해 봉제시에 바늘(50)의 진행상태의 식별이 가능함으로 항시 작업자는 박음질 부분을 보면서 누비작업을 할 수가 있어 박음질이 고르면서 정교하게 할 수가 있어 차후 누비 제품의 질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누비밀대(A)의 밀대부(10)에는 연마줄 내지 연마석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바늘침 부분이 무디어 질 경우 바로 연마부(30)를 통해 갈아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면서 바늘의 수명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누비 손바느질시에 각종 누비감을 잡아주어 봉제가 용이하게 해주는 보조기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A)-- 누비밀대 (10)-- 밀대부
(10a)-- 선단 (20)-- 손잡이부
(20a)-- 큐션부재 (30)-- 연마부

Claims (5)

  1. 손바느질에 사용되는 누비밀대에 있어서,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와, 밀대부(10)의 후미에 큐션부재(20a)가 부착된 타원형의 손잡이부(20)를 구성하여 밀대부(10)의 선단(10a)을 통해 누비 박음질에 의한 손바느질시에 누비감을 눌러 밀어줌과 동시에 봉제하는 바늘을 밀대부(10)가 받쳐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2. 제1항에 있어서, 밀대부(10)의 상면에 연마줄 내지 연마석이 형성된 연마부(30)를 구성하여 바늘침 부분을 갈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는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고, 손잡이부(20)의 큐션부재(20a)로는 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 중의 어느 하나를 부착 형성하여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4. 제1항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밀대부(10)는 너비(W) 10∼15㎜에 두께(T)가 1∼3㎜로 형성하여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5. 제1항에 있어서, 밀대부(10)의 선단(10a)을 볼록형, 오목형 또는 톱니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여 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KR1020130153984A 2013-12-11 2013-12-11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KR10137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84A KR101377018B1 (ko) 2013-12-11 2013-12-11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984A KR101377018B1 (ko) 2013-12-11 2013-12-11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018B1 true KR101377018B1 (ko) 2014-03-25

Family

ID=5064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984A KR101377018B1 (ko) 2013-12-11 2013-12-11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47A (ko) 2014-09-05 2016-03-15 임범모 바느질용 집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88Y1 (ko) 2006-04-04 2006-07-05 이학구 퀼팅기의 자수 바늘 안내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788Y1 (ko) 2006-04-04 2006-07-05 이학구 퀼팅기의 자수 바늘 안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47A (ko) 2014-09-05 2016-03-15 임범모 바느질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182B1 (en) Crochet hook with ergonomic configuration
US7874181B1 (en) Knitting needle with ergonomic configuration
CN102995330B (zh) 一种刺绣工艺
US8348251B2 (en) Sewing clip
KR101377018B1 (ko) 손바느질용 누비밀대
CN207659630U (zh) 一种实用性强的套口机设备
US7188756B1 (en) Quilting accessory
CN210856594U (zh) 一种制鞋缝纫机的防护机构
US1611878A (en) Rug needle
CN211689494U (zh) 一种垛花针
US6390001B1 (en) Holder for sewing articles
CN207685487U (zh) 一种便于服装局部加工的平缝机
JP3133710U (ja) 布編み針
US1473622A (en) Embroidery frame
US662202A (en) Darning attachment for sewing-machines.
KR20130081482A (ko) 재봉선 표시 도구의 제조 방법, 재봉선 표시 도구 및 재봉선 표시 방법
CN104738865B (zh) 一种撞钉机及撞钉安装方法
CN204483172U (zh) 一种手工diy制作用撞钉机
Smith Felt to stitch: creative felting for textile artists
CN207755191U (zh) 一种组合式多功能浴用搓脚防滑垫
CN103919338A (zh) 一种新型刺绣荷包
US1954948A (en) Clamp attachment for pressing machines
US1873257A (en) Embroidery or rug machine
CN205821664U (zh) 一种缝纫机自动送布机构
JP3196749U (ja) かぎ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