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790B1 -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790B1
KR101376790B1 KR1020120131356A KR20120131356A KR101376790B1 KR 101376790 B1 KR101376790 B1 KR 101376790B1 KR 1020120131356 A KR1020120131356 A KR 1020120131356A KR 20120131356 A KR20120131356 A KR 20120131356A KR 101376790 B1 KR101376790 B1 KR 10137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self
tourist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국
Original Assignee
조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국 filed Critical 조영국
Priority to KR102012013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9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 저장부에 저장한 뒤,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로 로딩(Loading)하는 제어부;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의 관광지 정보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에 들어오면 상기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안내 수단으로 통지하는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음성 안내 정보 제공시 사진 기반 또는 카테고리 기반으로 제공하며, QR 코드(QR code) 인식 기반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문자 안내문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수단;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한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시, 상기 관광지 중간에 부착된 QR 코드(QR code)가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QR 코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외부의 관광지 지도에 대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상기 QR 코드에서 확대 지도 정보를 독출한 뒤, 상기 입출력부로 독출된 확대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의 관광지 지도상의 "플레이 스토어" 아이콘에 대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관광품에 대한 판매 웹 또는 왑 서버로 연결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 및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 제공시,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받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것에 동의한 경우 사용자 서비스 수여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 의해 통계처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업로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국제적 관광 활성화에 따른 다국적 언어를 지원하며, 스마트폰 앱에 대한 다운로드만으로도 혼자만의 관광지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관광이 가능해지며 새로운 관광지 정보에 대한 추가가 용이하여 외지 관광 또는 외국 관광에 대한 반감 및 위험을 감소시켜 관광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Smart-phone with self-guiding function, and self-guiding system based on smart phone}
본 발명은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제적 관광 활성화에 따른 다국적 언어를 지원하며, 스마트폰 앱에 대한 다운로드만으로도 혼자만의 관광지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자들은 가고자 하는 지역의 정보를 얻기 위해 오프라인(Off-line)인 여행책자를 구입하거나, 온라인(Online)인 여행사 홈페이지나 지도서비스와 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습득한다. 그러나, 여행책자는 한정된 지면에 많은 내용을 넣기가 불가능하여 유명 관광지, 규모가 큰 건물이나 숙박시설의 위치정보만 수록되어 있으며, 웹사이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몇몇 유명 편의, 위락 시설에 대한 정보만 구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서비스 또한 도로정보만 수록되어 있으며, 그 정보도 이미지 파일의 제한 등으로 이용자의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이용되는 지리정보 저장매체를 CD-ROM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지리정보로 업데이트 받는 시스템이 있으나, 이 또한 단순 도로정보에 그치고 있어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 이동 소요시간만을 제공하므로, 여행자가 바라는 여행 상세정보를 얻기엔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유명사적지, 관광지, 고찰 및 박물관 등을 방문하게 되었을 때, 그러한 관광지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경우 관광의 즐거움을 충분히 느낄 수 없다. 따라서 관광가이드처럼 옆에서 사적이나 유물에 대한 역사 정보 등을 다각도의 안내 데이터와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다양한 언어로 제공해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기술문헌]
1. 외국인의 국내 식당, 호텔, 쇼핑 및 관광지 안내를 위한 인터넷 공중전화기 콘텐츠 제공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A internet public-phone contents provid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guidance of foreigner's domestic restaurants, hotels, shopping and tourist resorts)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30230호)
2. 관광지 및 국립공원 종합기상 안내 시스템(Total weather informationsystem for tourist resortsand national parks)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094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제적 관광 활성화에 따른 다국적 언어를 지원하며, 스마트폰 앱에 대한 다운로드만으로도 혼자만의 관광지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관광이 가능해지며 새로운 관광지 정보에 대한 추가가 용이하여 외지 관광 또는 외국 관광에 대한 반감 및 위험을 감소시켜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도록 하기 위한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은,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 저장부에 저장한 뒤,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로 로딩(Loading)하는 제어부;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의 관광지 정보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에 들어오면 상기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안내 수단으로 통지하는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음성 안내 정보 제공시 사진 기반 또는 카테고리 기반으로 제공하며, QR 코드(QR code) 인식 기반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문자 안내문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수단;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한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시, 상기 관광지 중간에 부착된 QR 코드(QR code)가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QR 코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외부의 관광지 지도에 대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상기 QR 코드에서 확대 지도 정보를 독출한 뒤, 상기 입출력부로 독출된 확대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의 관광지 지도상의 "플레이 스토어" 아이콘에 대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관광품에 대한 판매 웹 또는 왑 서버로 연결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 및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 제공시,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받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것에 동의한 경우 사용자 서비스 수여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 의해 통계처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업로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의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목표 영역에 해당하는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안에 위치한 관광지(서비스 포인트)를 정하고, 정해진 관광지의 정보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 요청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 뒤, 문자와 음성의 형태로 정보를 내려받아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QR 코드는, 상기 관광지에 구비된 관광지 지도에서 지도 부분 확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업로드 수단은,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 또는 공유 동의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서 SNS 서버로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SNS 서버 상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부터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을 독출하며, 새로운 관광지 추가, 안내문 수정, 음성 종류 추가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시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액세스(Access)하여 상기 저장부 상의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은,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셀프 가이딩 서버;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 저장부에 저장한 뒤,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로 로딩(Loading)하여,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 제공에 대한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에 의한 공유 요청 또는 공유 동의가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전송시,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SNS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은, 국제적 관광 활성화에 따른 다국적 언어를 지원하며, 스마트폰 앱에 대한 다운로드만으로도 혼자만의 관광지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은, 스마트 관광이 가능해지며 새로운 관광지 정보에 대한 추가가 용이하여 외지 관광 또는 외국 관광에 대한 반감 및 위험을 감소시켜 관광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가이딩이 구현되는 스마트폰의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은 스마트폰(10), 통신망(20), 셀프 가이딩 서버(30) 및 SNS 서버(40)를 포함한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2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스마트폰(10), 셀프 가이딩 서버(30), SNS 서버(4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셀프 가이딩 서버(30)는 관광지DB(31)에 저장된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구축한 뒤,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를 관광지 안내 앱 형태로 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여 관광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하기의 표 1은 셀프 가이딩 서버(30)와 스마트폰(1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와 데이터의 수정시기 및 주기를 표시한 도표이다.
데이터의 종류 업데이트 시기 주기
셀프 가이딩 서버(30) 관광지 위치 정보,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 관광지 추가, 안내문 수정, 음성 종류 추가 이벤트 발생시 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제 1 주기
스마트폰(10) 사용자 위치 정보 안내 서비스 시작 요청 시 미리 설정된 제 2 주기
셀프 가이딩 서버(30)는 관광지DB(31)에 저장된 관광지 외에 새로운 관광지로 안내하고자 하는 지역의 추가로 관광지 위치 정보와 각각의 관광지 안내 정보 수정, 또는 기존 관광지의 음성 서비스의 종류가 추가되는 경우, 기존 프로그램인 관광지 안내 앱의 수정은 별 필요가 없고 단지, 서비스로 추가되는 데이터의 개발과 수정만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콘텐츠 개발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NS 서버(40)는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스마트폰(10)에 서비스되는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을 스마트폰(10) 사용자의 공유 요청 또는 공유 동의에 따라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스마트폰(10)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스마트폰(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프 가이딩이 구현되는 스마트폰(10)의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송수신부(11), GPS 수신부(12), 카메라부(13), 제어부(14), 저장부(15) 및 셀프 가이딩 모듈(16)을 포함한다. 셀프 가이딩 모듈(16)은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16a), 안내 수단(16b),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 및 정보 업로드 수단(16d)을 구비한다. 이하, 셀프 가이딩 모듈(16)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폰(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4)는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20)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 형태로 저장부(15)에 저장한 뒤,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16)로 로딩(Loading)한다.
또한, 제어부(14)는 저장부(15)에 저장된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부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을 독출하며, 새로운 관광지 추가, 안내문 수정, 음성 종류 추가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제 1 주기로 통신망(20)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30)로 액세스(Access)하여 저장부(15) 상의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한다.
제어부(14)에 의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16)이 로딩된 뒤, 사용자의 입출력부(17)를 통해 안내 서비스 시작 요청에 따라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16a)은 사용자 위치 정보를 GPS 수신부(12)를 통해 수신한 뒤, 미리 설정된 제 2 주기로 통신망(20)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30)로 액세스(Access)하여 전송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관광지 정보에 대한 확인을 받는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 2 주기는 상술한 미리 설정된 제 1 주기와 같은 기간으로 설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제 1 주기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16a)은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가능하며, 사용자 위치로부터 정보를 얻어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 예컨대 현재 장소에 대한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16a)은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목표 영역에 들어오면 안내 수단(16b),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 및 정보 업로드 수단(16d)에 의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안내 수단(16b),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 및 정보 업로드 수단(16d)으로 목표 영역 정보를 통지한다.
안내 수단(16b)은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16a)으로부터 사용자 위치에 따른 목표 영역에 대한 통지에 따라 목표 영역에 해당하는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안내 수단(16b)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안내 정보는 도 3과 같을 수 있다. 즉 도 3a와 같은 초기 화면에서 음성 안내 정보 요청시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사진 기반 또는 카테고리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문자 안내문 정보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후술하는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와의 연동을 통해 QR 코드(QR code) 인식 기반으로 문자 안내문 정보가 제공가능하다.
안내 수단(16b)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는 수시로 셀프 가이딩 서버(30)에 의한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일관된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고, 셀프 가이딩 서버(30)에 의해서만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므로 서비스를 받는 관광객 입장에서는 중단 없이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받을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안내 수단(16b)이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용량이 적고, 실행 시 최근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다.
안내 수단(16b)의 주요 기능은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와 목표 영역에 해당하는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거리 안에 위치한 관광지(서비스 포인트)를 정하고, 정해진 관광지의 정보를 셀프 가이딩 서버(30)에 요청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 뒤, 문자와 음성의 형태로 정보를 내려받아 서비스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안내 수단(16b)은 사용자 위치 정보와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입출력부(17)에 UI화면 상에 같이 구현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관광지를 쉬게 찾아 갈 수 있게 하고, 관광 가이드 없이도 혼자 원하는 관광지를 찾아 관람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관광 안내 자료에 대한 부분을 지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설 서비스를 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관광 안내 서비스가 제공가능하다.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은 안내 수단(16b)에 의한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시 관광지 중간에 부착된 QR 코드(QR code)를 카메라부(13)에 의해 인식시, 인식된 QR 코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입출력부(17)로 구현한다. 여기서 QR 코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비용, QR 코드 생성이 빠르고 쉬우며, 지속적인 정보갱신이 가능하며, 다중언어 지원이 가능하며, 스마트폰(10)에 의한 접근이 용이해서이다. 본 발명에서 QR 코드는 다섯 개국 이상의 언어 이상 음성 정보를 지원하며, 대부분 언어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5는 QR 코드를 이용한 관광지 지도에서 지도 부분 확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10) 사용자는 카메라부(13)를 이용해 외부의 관광지 지도에 대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은 QR 코드에서 확대 지도 정보를 독출한 뒤, 입출력부(17)로 독출된 확대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스토어" 아이콘에 대한 카메라부(13)를 통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은 관광품에 대한 판매 웹 또는 왑 서버로 연결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는 기능도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16c)이 구비할 수 있다.
정보 업로드 수단(16d)은 안내 수단(16b)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 제공시, 스마트폰(10)의 사용자가 서비스받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셀프 가이딩 서버(30) 측으로 전송하는 것에 동의한 경우 사용자 서비스 수여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셀프 가이딩 서버(30) 측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함으로써, 통계처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업로드 수단(16d)은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스마트폰(10)에 서비스되는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를 스마트폰(10) 사용자의 요청 또는 동의를 셀프 가이딩 서버(3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SNS 서버(40)는 셀프 가이딩 서버(30)로부터 스마트폰(10)에 서비스되는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를시간으로 수신하여, 스마트폰(10)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폰
11: 송수신부
12: GPS 수신부
13: 카메라부
14: 제어부
15: 저장부
16: 셀프 가이딩 모듈
16a: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
16b: 안내 수단
16c: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
16d: 정보 업로드 수단
17: 입출력부
20: 통신망
30: 셀프 가이딩 서버
40: SNS 서버

Claims (11)

  1.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을 통해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 저장부에 저장한 뒤,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로 로딩(Loading)하는 제어부;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의 관광지 정보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에 들어오면 상기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하도록 안내 수단으로 통지하는 가이딩 위치 측정 수단;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음성 안내 정보 제공시 사진 기반 또는 카테고리 기반으로 제공하며, QR 코드(QR code) 인식 기반으로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 중 문자 안내문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수단;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한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시, 상기 관광지 중간에 부착된 QR 코드(QR code)가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인식된 QR 코드의 정보를 독출하여 입출력부로 구현하며, 상기 카메라부에 의한 외부의 관광지 지도에 대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상기 QR 코드에서 확대 지도 정보를 독출한 뒤, 상기 입출력부로 독출된 확대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외부의 관광지 지도상의 "플레이 스토어" 아이콘에 대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한 촬영에 따른 인식시 관광품에 대한 판매 웹 또는 왑 서버로 연결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QR 코드 정보 제공수단; 및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 제공시,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받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것에 동의한 경우 사용자 서비스 수여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 측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 의해 통계처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업로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의 액세스를 통해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목표 영역에 해당하는 관광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안에 위치한 관광지(서비스 포인트)를 정하고, 정해진 관광지의 정보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 요청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 뒤, 문자와 음성의 형태로 정보를 내려받아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상기 관광지에 구비된 관광지 지도에서 지도 부분 확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업로드 수단은,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 또는 공유 동의를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에서 SNS 서버로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SNS 서버 상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부터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을 독출하며, 새로운 관광지 추가, 안내문 수정, 음성 종류 추가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시마다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액세스(Access)하여 상기 저장부 상의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11. 관광지 안내 앱을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셀프 가이딩 서버;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수신하여, 관광지 안내 앱 콘텐츠로 저장부에 저장한 뒤, 상기 관광지 안내 앱을 자동 실행시켜 시스템 메모리 상에 셀프 가이딩 모듈로 로딩(Loading)하여, 관광지에 대한 위치 정보와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음성 안내 정보, 번역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 제공에 대한 상기 스마트폰의 사용자에 의한 공유 요청 또는 공유 동의가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 전송시, 상기 셀프 가이딩 서버로부터 상기 관광지 위치 정보 및 상기 관광지 안내 정보(문자 안내문 정보, 언어별 음성 안내 정보, 언어별 번역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업로드 되도록 하는 SNS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KR1020120131356A 2012-11-20 2012-11-20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KR10137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56A KR101376790B1 (ko) 2012-11-20 2012-11-20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56A KR101376790B1 (ko) 2012-11-20 2012-11-20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790B1 true KR101376790B1 (ko) 2014-03-20

Family

ID=5064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56A KR101376790B1 (ko) 2012-11-20 2012-11-20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7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29B1 (ko) * 2016-01-18 2016-12-22 (주)도일시스템즈 지오펜싱기술 기반 안내 시스템
WO2017126841A1 (ko) * 2016-01-18 2017-07-27 (주)도일시스템즈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KR101831663B1 (ko) * 2017-07-14 2018-02-23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스마트 단말에서 생태관광 컨텐츠 표시 방법
IT201800009875A1 (it) * 2018-10-30 2019-01-30 Carlo Maria Aimone Sistema e metodo di trasmissione, rilevamento ed esecuzione dati per lo sviluppo di un servizio turistico
CN110020970A (zh) * 2019-04-09 2019-07-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景点讲解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155654A (zh) * 2021-11-04 2022-03-08 许晓军 自助导游系统
KR102574778B1 (ko) * 2022-05-24 2023-09-06 에코텍 주식회사 기능성 스마트 데크 로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29B1 (ko) * 2016-01-18 2016-12-22 (주)도일시스템즈 지오펜싱기술 기반 안내 시스템
WO2017126841A1 (ko) * 2016-01-18 2017-07-27 (주)도일시스템즈 내 · 외부 완충지대를 갖춘 다양한 형태의 지오펜스 기반 지정지역 자동안내시스템
KR101831663B1 (ko) * 2017-07-14 2018-02-23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스마트 단말에서 생태관광 컨텐츠 표시 방법
IT201800009875A1 (it) * 2018-10-30 2019-01-30 Carlo Maria Aimone Sistema e metodo di trasmissione, rilevamento ed esecuzione dati per lo sviluppo di un servizio turistico
WO2020089949A1 (en) * 2018-10-30 2020-05-07 Aimone Carlo Maria System ano method for transmitting, detecting ano executing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ourist service
CN110020970A (zh) * 2019-04-09 2019-07-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景点讲解推荐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155654A (zh) * 2021-11-04 2022-03-08 许晓军 自助导游系统
CN114155654B (zh) * 2021-11-04 2023-08-29 许晓军 自助导游系统
KR102574778B1 (ko) * 2022-05-24 2023-09-06 에코텍 주식회사 기능성 스마트 데크 로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790B1 (ko) 셀프 가이딩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기반의 셀프 가이딩 시스템
US8457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location-based data while maintaining user privacy
US8494768B2 (en)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atabase using mobile devices
KR102174087B1 (ko) 경로 생성 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984685B2 (ja) 表示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58311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queue order, and terminal device
KR20170041237A (ko) 미리 결정된 위치 데이터 포인트를 결정하고,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JP200813159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87287A (ko) 증강현실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시스템
WO2009089308A2 (en) Wireless data acquisi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2238472A (zh) 以移动装置的目前位置更新服务器储存的位置资讯的方法
US201600071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device
KR101943430B1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KR20110124966A (ko) 차량 네비게이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US8428875B2 (en) GPS management system
KR20160002446U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장치
JP5491608B1 (ja) 測位方法決定装置及び測位方法決定方法
KR102186417B1 (ko) 지피에스 교환형식 데이터 편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415517B1 (ko) 캐싱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이를 위한 단말,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908335B2 (ja) 携帯端末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89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시스템
KR20160015421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정보 공유/추천 서비스 방법
JP6459749B2 (ja) 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CN107682809A (zh) 一种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及计算机系统
KR20150015836A (ko) 클라우드 기반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