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611B1 -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 - Google Patents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611B1
KR101376611B1 KR1020070074767A KR20070074767A KR101376611B1 KR 101376611 B1 KR101376611 B1 KR 101376611B1 KR 1020070074767 A KR1020070074767 A KR 1020070074767A KR 20070074767 A KR20070074767 A KR 20070074767A KR 101376611 B1 KR101376611 B1 KR 10137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resses
terminals
networ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349A (ko
Inventor
쟝-프랑스와 데프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1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세스 단말들과 엑세스 포인트들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WIFI 핸드오버를 위해 이중(double) IP 주소를 이용함으로써, WIFI 핫스팟이나 네트워크를 변형하지 않고,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사이의 핸드오버를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IFI, hotspots, double IP

Description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USING MULTIPLE INTERNET PROTOCOL ADDRESSES FOR WIFI HANDOVER}
본 발명은 엑세스 단말들 (예를 들면, 이동 단말 또는 사용자 장치) 과 엑세스 포인트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hot spots) (수요밀집지역) 사이의 핸드오버 절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IFI 핸드오버를 위해 이중(double) IP 주소를 이용함으로써, WIFI 핫스팟이나 네트워크를 변형하지 않고,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사이의 핸드오버를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IFI로 알려져 있는 무선 랜 표준 802.11b는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대학교, 공항, 역사 등에 네트워크들이 설치되고 있다. 실제로, WIFI는 소위 핫스팟에 의하여 광역 무선 엑세스를 인터넷에 제공한다. 현재, 더욱더 많은 WIFI 핫스팟들이 형성되고 있는데, 이러한 핫스팟들에 의해 이동단말들은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핫스팟들은 방출(emission) 지역을 가지며, 인터넷에 연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이동단말이 엑세스 포인트의 무선 범위로부터 이동하여 새로운 지역으로 진입할 때 발생한다. 핸드오버 동안, 소정의 데이터 (가령, 운영 프레임들)들이 이동단말과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교환되며, 이 기간 동안, 상기 이동단말은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다. 핸드오버 절차는 엑세스 포인트들과 이동단말이 교환하는 일련의 행위들(actions) 과 메시지들을 의미하며, 핸드오버절차에 의해 원래의 엑세스 포인트에서 목적지의 엑세스 포인트로 이동단말의 연결이 전환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전달되는 상태정보는 클라이언트 식별(identification)와 자격(credentials)으로 구성되며, 이들 클라이언트 식별과 자격에 의해 상기 이동단말은 네트워크로 접근하거나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요금계산 (accounting)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발견과 재인증의 두 가지 논리적 과정으로 나뉜다. 이때, 이동성으로 인해, 이동단말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대잡음비가 약화될 수 있는데, 신호대잡음비가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면, LAN과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단말은 다른 엑세스 포인트를 찾기 시작하고, 상기 핸드오버절차를 시작한다.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의 발견은 검색절차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검색과정 동안 엑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콘 신호들을 위한 서로 다른 채널들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상기 재인증 과정은 일반적으로 인증과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와의 재결합(연결)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단계는 이전의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자격과 기타 다른 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핫스팟들이 중복될 때만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특정장치 (예를 들면, 이동단말) 가 통신하는 동안 WIFI 핫스팟에 항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기존의 WIFI 핸드오버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WIFI 디바이스가 다른 WIFI 핫스팟을 사용할 때, 상기 WIFI 디바이스는 진행하고 있던 통신을 중지하고 새로운 통신을 시작한다. 여기에서, 연결해제 후 재 연결될 때까지, 데이터전송은 불가능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스는 4번에 걸쳐 연결을 수행하고 4번에 걸쳐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이동단말이 다른 WIFI 핫스팟을 사용할 때,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기술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다수의 WIFI 엑세스 포인트를 설정해야 하고, 하나의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엑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를 중단 없이 처리하여 사용자가 겪는 불편을 최소화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각각의 핫스팟은 서로 떨어져 있고, WIFI 특성을 지니는 이동기기는 효율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없다. 즉,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전송을 방해 받지 않고 상기 WIFI 디바이스가 상기 WIFI 핫스팟에서 연결을 개시하고 다른 WIFI 핫스팟에서는 상기 연결상태를 해지해야 한다.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연결이 끊어지면, 사용자와 운영자가 오디오, 비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특성들에 대해 불만족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WIFI 핫스팟들이 상호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가 없다. 즉, 이동단말이 WIFI 핫스팟에 WIFI 연결을 수행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이전의 WIFI 이동단말의 연결상태를 잃게 된다. 따라서, 연결해제와 재 연결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유실되고, 신호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기술은, WIFI 핫스팟들 사이에서 데이터전송이 방해 받지 않고 핸 드오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종래기술은 기존의 GSM/UMTS 네트워크와 동일한 기술로 서로 다른 핫스팟들 사이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은 WIFI 핫스팟에서는 적용이 불가능 한데, 왜냐하면 각각의 WIFI 핫스팟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핫스팟들 사이는 서로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된 WIFI 핸드오버방법 및/또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과 그 상대 단말 사이의 전송이 끊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품질의 저하 없이 WIFI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을 위한 WIFI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무선통신단말기를 위한 핸드오버 수행방법은,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다수의 서비스영역을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단말기들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영역 사이에서 두 개 이상의 IP 주소를 갖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한 방법은, 단말의 현재위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엑세스 포인트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단말용 IP 주소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을 상기 단말의 지정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연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은 무선 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와; 상기 이동단말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단말을 상기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단말들과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두 개 이상의 단말의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 및 메모리수단과 연동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장치와; 제1 이동단말을 제2 이동단말에 연결하며, 각각 제한된 서비스범위를 갖는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부와; 상기 이동 단말의 둘 이상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이동단말의 두 개 이상의 미리 할당된 IP주소들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해당 IP 주소들을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엑세스 포인트의 서비스범위로 이동하면 새로운 무선 랜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새로운 무선랜 신호의 파라미터를 다른 무선랜신호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을 상기 둘 이상의 미리 할당된 상기 이동단말의 IP주소들과 이에 해당하는 소정 상태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P주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 및 메모리 수단과 연동하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목적과 구성은 제공되는 도면에 기초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및 장치에 따라서, 본 발명은 WIFI 핫스팟이나 네트워크를 변형하지 않고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상에서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사이에서 WIFI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및 장치에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상에서 이동단말과 그 상대단말 사이의 전송에 있어서 증가된 대역을 갖는 WIFI핸드오버를 수행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의 적어도 두 개의 IP 주소들과 각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적어도 두 개의 IP 주소들은 각 디바이스에게 미리 공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로부터 지정된 IP 주소들을 디바이스들이 수신하거나, 각 디바이스들의 등록절차과정 등을 통하여 공지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들 (예, 이동국 (Mobile Stations), 사용자 장치 (User Equipment), 이동 단말, PDA, 등)의 IP 주소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들은 통신서비스공급자와 무관하게 IP 주소를 가질 수 있으며, 무선통신 시스템에 따라 무제한적인 IP 주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디바이스들은 전용 또는 특정 타입의 네트워크들을 가지지 않으며,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핸드오버 과정 동안 서로 다른 WIFI 엑세스 포인트들 또는 핫스팟들이 동일한 네트워크 (예, 인터넷 (Internet) 또는 이서넷 (Ethernet) 등) 와 연결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패킷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패킷 기반의 네트워크일수 있으며, 또한 무선 엑세스 포인트와 같은 하나이상의 무선 엑세스 포인트를 갖는 유선 네트워크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패킷 네트워크는 인터넷 또는 사내 인트라넷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킷 네트워크는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을 사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IP) 에 대한 음성 또는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개인컴퓨터와 랩탑 컴퓨터, PDA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장치들은 네트워크와 연결되거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전화 (telephony)와, 주변장치인 카메라, 웹 캠, 마이크로폰, 스피커 또는 주변적 전화 이동 단말을 사용하는 기타 멀티미디어 메시징(messaging) 특성들(capability)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WIFI 핸드오버 시스템의 다른 특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추가적인 특성들이 본 발명에 따른 WIFI 핸드오버 시스템의 특성을 이룬다는 사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착안하고 있다: 1) 각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주소 IP들을 가지며, 각 대응 디바이스의 적어도 두 개의 주소 IP들을 알고 있다; 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는 동일하거나 호환성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3)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은 동일한 인터넷/이서넷 (Internet/Ethernet)과 연결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표준들(standards) 과 기술에 따라 작동하는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타 다른 형태의 핸드오버 또는 유사한 절차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들은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그리고 촉각적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와 정보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계산장치 또는 실행장치를 소지하게 되며,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랩탑 컴퓨터,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 카드나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 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또한 무선전화 또는 휴대폰등과 같은 무선 전자식 장치를 소지할 수 도 있다. 상기 휴대폰은 무선 패킷 네트워크 제어기 등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인터페이스와 휴대폰 제어기 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기는 GSM, GPRS, TDMA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폰 프로토콜들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를 위한 두 개의 IP 주소들을 갖는 WIFI 핸드오버 과정을 보여준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바이스 1은 IP 주소인 IP1과 IP2를 갖는다. 상기 디바이스 2 는 IP 주소인 IPa 와 IPb를 갖는다. 각 디바이스는 각 대응디바이스의 두 개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IP 주소는 디바이스들이 인터넷 프로토콜 표준에 따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고유번호이다. 실 예로, 라우터, 컴퓨터, 타임서버, 프린터, 인터넷 팩시밀리, 전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상의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또한, 상기 IP 주소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나 기타 네트워크 디바이스용 주소지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개념이다. 각 주소지나 전화번호들이 건물이나 전화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처럼, IP 주소는 네트워크상의 특정 컴퓨터나 기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따라서, 이 경우, 디바이스 1과 디바이스 2의 이미 알려진 (등록된) IP 주소들이 상기한 핸드오버과정 동안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 1과 디바이스 2의 IP 주소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통신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될 수 도 있다. 디바이스 1 은 상기 IP 주소 IP1로서 핫스팟과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사전에 디바이스들 사이에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상대 디바이스의 주소가 IP 주소 IPa 와 IPb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1은 자신의 주소인 IP1로 통신을 개시하고 상대디바이스의 주소인 IP2를 호출한다.
상기 두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동안, 디바이스1은 WIFI 주파수를 검색(scanning)한다. 만약 디바이스1이 새로운 WIFI 핫스팟을 발견하면, 디바이스 1은 새로운 WIFI 핫스팟 (도2에서 WIFI 2) 의 서비스 품질 (또는 신호 대비 잡음 이나 수신전력) 과 WIFI 1의 서비스 품질 (또는 신호 대비 잡음이나 수신전력)를 비교한다. WIFI 2의 서비스 품질이 WIFI 1의 서비스 품질보다 우수하면, 상기 디바이스 1은 상대 디바이스와 우수한 서비스품질을 갖는 WIFI 2를 통해 통신을 새로이 시작한다. 이렇게 새로운 통신을 위해, 주소 IP2 와 IPb가 사용된다. 이는 상기 디 바이스 1 과 디바이스 2사이의 통신이 쌍을 이루는 서로 다른 두 개의 IP주소 ((IP1, IPa) 와 (IP2, IPb))를 통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두 개의 연결을 통해 동시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연결 중 하나의 통신품질이 좋지 않아서 상기 두 개의 연결을 통한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열등한 연결상태를 통한 통신은 중단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은 중단되지 않고, 이러한 스케줄링 (핸드오버) 은 각각의 새로운 WIFI 핫스팟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IP 주소를 사용하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는 핸드오버가 적절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두 개의 이동 단말기들이 데이터 전송을 방해 받지 않고 적절한 통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디바이스 1 (이동 단말 1) 과 디바이스 2 (이동단말 2) 가 네트워크상에서 WIFI 1을 통해 한 쌍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개시한다. 상기 이동단말 1이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갖거나, 신호대비 잡음이 양호하거나 양호한 수신전력을 갖는 새로운 핫스팟 (WIFI 2)을 발견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네트워크상에서 WIFI2를 통해 다른 쌍의 IP 주소들 (IP2, IPb)로 새로운 통신을 개시한다. 이 두 개의 데이터 경로는 상기 이동단말이 WIFI 2의 핫스팟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때까지 사용된다. 여기서, 둘 중 하나의 데이터 경로가 저급한 서비스 품질로 인해 연결상태가 약해지면, 이 경로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중지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 즉, WIFI 핫스팟 또는 네트워크를 변형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 사이의 핸드오버를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만을 변형함으로써 서로 다른 WIFI 핫스팟들을 사용하는 상기 디바이스들 (가령, 이동단말들)사이에서 중단 없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WLAN 네트워크의 인증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서버는 게이트웨이와 안정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운영자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설정되는 TCP/IP 연결을 말한다. 본 발명은 주로 이동단말들과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상호 협력관계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인증서버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310단계에서,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이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를 찾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의 무선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자동 탐지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검색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은 주파수를 채널에 설정하고(set), 상기 채널을 사용하는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비콘들을 수신한다 (listen). 또한,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은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과 연계되는 신호정보를 위한 식별된 네트워크들을 조사하기 위한 네트워크 리스트에서 식별된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위한 탐색 요청(Probe Request)를 수행한다 (issue). 또한,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이 상기 채널 리스트를 유지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채널들에 대해 일련의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밍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채널의 보조 셋 (sub-set)만이 검색되거나, 또는 채널리스트상의 채널들 전체가 검색될 수도 있다.
다음, 320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은 상기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은 수신된 신호에 대해 보고를 작성한다. 적절한 지시자 (indicator)가 상기 보고 신호를 인지하고 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 결합 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전송 연결을 설정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면, 330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은 상기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지정된 갯수의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흐름도이다.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이 네트워크에 진입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상에서 디바이스 또는 이동단말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한 검색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들을 통해 검색을 개시한다 (310 단계). 이후, 410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 (즉, 이동단말) 는 상기 단말의 현재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들의 갯수를 결정한다. 즉, 상기 단말은 현재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들의 갯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된 신호품질 (즉, 신호의 세기, 신호의 잡음, 신호의 간섭등)이 모두 상이하므로, 상기 단말은 신호 속성으 로부터 산정되는 신호품질에 따라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 세트(set)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410 단계에서, 소정의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품질이 낮으면, 해당 엑세스 포인트는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에서 제외된다. 적절한 수의 사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들을 발견하기 위해,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들이 자동탐지기능을 이용하여 탐지될 때마다, 또는 소정 기간마다, 검색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단말내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갯수의 IP 주소들만 사용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단말의 IP 주소의 최대갯수를 3개로 설정하면 (즉, 상기 단말의 하드웨어성능이 3개의 IP 주소들로 처리 가능하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4개의 엑세스 포인트가 사용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단기 3개의 우수한 엑세스 포인트들만 이용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은 검색을 지속할 수도 있고, 엑세스 포인트의 탐색을 중단할 수도 있고, 또는 최소 갯수의 사용 가능한 우수한 엑세스 포인트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내용에 비추어 기타 다양한 방식의 검색 과정과 결정과정이 수행 가능하다.
엑세스 포인트의 갯수가 결정되면, 420 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결정된 엑세스 포인트의 갯수와 동일하게 단말의 IP 주소의 갯수를 지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430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지정된 갯수의 IP 주소들을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WIFI 핸드오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우선, 510단계에서, 하나의 이동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주소들 (i.e., IP1, IP2)와 또 다른 이동단말의 대응 IP 주소 (i.e., IPa, IPb)들이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두 개의 단말들의 IP 주소들이 결정된 이후, 상기 하나의 단말은 또 다른 단말과 한 쌍의 IP 주소 (예, IP1, IPa)을 이용하여 제1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앞서 기술한 검색과정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520단계). 상기 두 개의 단말들이 통신을 하는 동안, 다른 이용 가능한 엑세스 포인트를 탐지하기 위해 검색이 다시 수행된다.
상기 검색과정 이후, 상기 단말이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를 탐지하면 (530단계), 제1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품질 (QoS1) 과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품질 (QoS2)을 비교한다 (540단계).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신호의 품질은 신호잡음비율, 신호수신전력 등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제1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품질 (QoS1) 이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의 품질 (QoS2)보다 낮으면, 단말은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또 다른 쌍의 IP 주소들 (IP2, IPb)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550 단계). 따라서, 두 개의 연결 (접속: connection) (IP1, IPa)및 (IP2, IPb) 이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데이터가 동시에 두 개의 연결 (connection) 을 통해 전송 또는 수신되므로, 상기 두 단말 사이의 전송대역폭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단말은 제1 및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만일 그 중 하나의 신호품질이 소정조건보다 낮거나, 또는 데이터 전송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연결을 통한 통신은 종료된다. 또한, 540 단계 이후, 상기 단말 이 제1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품질(QoS1) 이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 품질 (QoS2)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은 인지하면, IP 주소들 (IP2 및 IPb)를 이용한 연결설정은 불필요하게 되고 (단계 560),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IP 주소들과의 통신은 개시되지 않는다.
도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WIFI 핸드오버수행의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개체의 둘 이상의 IP 주소들 (IP1, IP2)과 제2개체의 대응 IP 주소들 (IPa, IPb)들이 결정되면 (단계 610), 제1 개체는 제1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IP 주소들 (IP1, IPa) 을 이용하여 제2 개체와 통신을 수행한다 (단계 620). 제1 개체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검색과정 동안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새로운 신호가 탐지되면 (단계 630), 제1 개체는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파라미터를 확인한다 (단계 640).
여기에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상기 개체의 현재의(experienced) 신호 품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1 개체는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신호 파라미터들을 확인한 후, 그 값들을 임계값과 비교한다.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신호잡음비율, 신호수신전력 등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의 품질에 의해 정의된다. 비교결과,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 파라미터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더 우수하거나) 또는 동일하면, 제1 개체는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다른 쌍의 IP 주소들 (IP2, IPb)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개체와 통신을 개시하게 된다. (단계 650).
그 결과, 상기 제1 개체 와 제2 개체 사이에 상기 IP 주소 ((IP1, IPa) 및 (IP2, IPb))의 연결들이 설정된다. 각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신호 파라미터를 모니터링 한 후, 만일 상기 신호 파라미터들중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적으면, 상기 연결을 통한 통신은 즉시 종료된다. 또한, 단계 640 이후,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제2 신호 파라미터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2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상기 한 쌍의 IP 주소 (IP2, IPb)와의 통신은 개시되지 않는다 (단계 660).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WIFI 핸드오버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제1 디바이스는 IP 주소 IP1 및 IP2를 가지고, 제2 디바이스는 IP 주소 IPa과 IPb를 갖는다. 각 디바이스들은 각각 대응하는 상대 디바이스의 IP 주소들을 알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제1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의 IP 주소들을 알고 있고, 제2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의 IP 주소들을 알고 있다 (단계 710). 이와 같은 판단에 따라, 제1 디바이스는 상기 한 쌍의 제1세트의 IP 주소 (IP1, IPa)를 이용하여 제1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2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시작한다 (단계 720).
제1 또는 제2 디바이스가 각 디바이스의 검색과정을 수행하여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를 발견하면,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신호가 탐지되고 분석된다 (단계 730). 상기 탐지된 신호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제2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두 번째 쌍의 IP 주소들 (IP2, IPb)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또한 첫 번째 쌍의 IP 주소들 (IP1, IPa)를 이용하여 제1 엑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수행된다.
상기 제2 데이터 전송경로가 설정된 후, 매 소정시간 동안,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아니면, 소정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서비 스 품질 (QoS1) 과 상기 제2 엑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서비스 품질(QoS2)을 임계값과 비교한다 (단계 750). 여기에서, 상기 임계값은 디바이스 기본값 (default) 설정 또는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의 신호조건에 의해 한정된다 (defined). 비교결과, 상기 서비스품질들 (QoS1, QoS2)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두 개의 전송경로가 그대로 유지되어 계속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게 된다 (단계 760). 만일, 상기 신호 품질들 (QoS1, QoS2)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기 두 개의 데이터 전송경로가 계속해서 유지되나, 상대적으로 약한 신호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경고 메세지가 전송된다 (단계 770). 상기 경고 메시지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법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다.
상기 비교결과, 서비스품질 QoS1 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서비스품질 QoS2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2 데이터 전송경로는 종료되고 상기 첫 번째 쌍의 IP 주소들을 사용하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경로만 그대로 유지된다 (단계 780). 만일 상기 서비스 품질 QoS2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상기 서비스 품질 QoS1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데이터 전송경로는 종료되고 상기 두 번째 쌍의 IP 주소들을 사용하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경로만 그대로 유지된다 (단계 790).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 (800)은, 무선링크 (Wi-Fi, Wi-Max, Wi-bro등)를 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810)와; 상기 이동단말과 기타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820) 와;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 사이의 상기 단말의 둘 이상의 IP 주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미리 결정된 전체 갯수의 엑세스 포인트들과 동일한 갯수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들을 지정하는 프로세서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 (850)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86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저장부 (820) 는 램, 롬, 하드디스크타입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86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는 LCD 스크린, 유기 전계발광 (EL) 표시스크린, 유기 발광다이오드 스크린, 플라즈마 표시 스크린등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 (860) 대신,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위해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 방법에 의한 출력을 제공하는 출력부를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은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가 불분명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 영역 (i.e., 핫스팟들)을 통해 네트워크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단말들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다른 단말들이 각각 호환성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단말들이 상기 단말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할당된 IP 주소들에 대응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를 포함할 때 상기 다수의 서 비스영역 사이에서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이 새로운 서비스영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때 및/또는 상기 단말이 인접하는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할 때, 단말은 자신의 둘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과 다른 단말들의 대응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방법은,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단말들 또는 엑세스 포인트들의 갯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단말들 또는 엑세스 포인트들의 결정된 갯수와 동일한 단말의 IP 주소들의 갯수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과 다른 단말 사이의 전송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지정된 단말의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연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은, 무선링크를 통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810)와; 상기 이동단말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통신 단말기들 (이동단말, PDA, PC 등)을 상기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네트워크 내부에서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둘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을 이용하녀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거나 연결되는 다른 단말들 또는 엑세스 포인트들의 전체 갯수를 결정하고 다른 단말들 또는 엑세스 포인트들의 전체 갯수와 동일한 IP 주소들을 지정함으로써, WIFI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는, 무선 링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와; 단말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 또는 다수의 단말들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IP 주소들의 전체 갯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이후에 상기 단말의 IP 주소들의 전체 갯수에 대해 IP 주소들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IP 주소들을 모두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와 연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제1 이동 단말기를 제2 이동단말기에 연결하며, 한정된 서비스 범위를 갖는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와;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와, 상기 이동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IP 주소들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이동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미리 할당된 IP 주소들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대응 IP 주소들을 각각 결정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엑세스 포인트의 다른 서비스 범위로 이동할 때 새로운 무선 LAN 신호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새로운 WLAN 신호 파라미터를 다른 WLAN 신호들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특정 조건에서의 상기 이동단말의 적어도 둘 도는 그 이상의 미리 할당된 IP 주소들과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대응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WIFI 핫스팟들 사이의 WIFI 핸드오버 과정의 일례를 보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각 디바이스에 두 개의 IP 주소들을 통한 WIFI 핸드오버 과정의 일례를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과정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지정된 갯수의 IP주소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WIFI 핸드오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WIFI 핸드오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WIFI 핸드오버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구조의 일례를 보인 도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서비스 영역을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무선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단말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영역들 사이에서 상기 단말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은,
    각각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들은 상기 단말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할당된 IP 주소들에 대응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들은 네트워크 엑세스 포인트 및/또는 핫스팟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인접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단말은 자신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과 다른 단말들의 대응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인접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단말은 자신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과 다른 단말들의 대응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을 시작하며, 여기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소정 파라미터는 임계값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파라미터는 서비스품질 (QoS), 신호대비잡음, 및 수신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상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9. 단말의 현재위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단말들의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다른 단말들의 갯수와 동일한 단말의 IP 주소의 갯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상기 단말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정된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들은,
    각각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과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간의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들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과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간의 통신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지정단계 이후 상기 단말에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말과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간의 통신 방법.
  12.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
    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단말을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네트워크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통신 단말들과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에서 상기 단말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 및 상기 메모리부와 연동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상기 다른 단말들은,
    각각 호환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인접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단말은 자신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IP 주소들과 다른 단말들의 대응 IP 주소들을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을 시작하며, 여기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의 소정 파라미터는 임계값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다른 단말들의 전체 갯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단말들의 결정된 전체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IP 주소들을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이동 단말.
  15. 무선링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송수신기부;
    단말에게 IP 주소들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다수의 단말들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IP 주소들의 전체 갯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의 IP 주소들의 전체 갯수에 따라 IP 주소들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IP 주소들을 모두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부와 연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상기 다수의 단말들은,
    각각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KR1020070074767A 2006-07-26 2007-07-25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 KR101376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291210.0A EP1883186B9 (en) 2006-07-26 2006-07-26 Using multiple internet protocol addresses for WIFI handover
EP06291210.0 2006-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49A KR20080010349A (ko) 2008-01-30
KR101376611B1 true KR101376611B1 (ko) 2014-03-20

Family

ID=3740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767A KR101376611B1 (ko) 2006-07-26 2007-07-25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1883186B9 (ko)
KR (1) KR101376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4515A (zh) * 2013-05-08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及其实现wifi热点网络共享的方法
US9860123B2 (en) 2014-04-11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le and proximity-based management of networks
CN106332201B (zh) 2015-07-07 2021-04-20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热点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US10271245B2 (en) * 2015-12-18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hotspot session
JP2020098989A (ja) * 2018-12-18 2020-06-25 村田機械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無線通信方法、及び繊維機械操業支援システム
CN112788160B (zh) * 2020-12-30 2022-12-09 普联技术有限公司 一种地址信息的切换方法及切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4007A2 (en) * 2002-08-06 2004-02-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2237A1 (en) * 1999-02-22 2000-08-30 Motorola Limited A CDMA communication system with soft handover
JPWO2004077870A1 (ja) * 2003-02-26 2006-06-0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ダイバーシチハンドオーバー方法及び制御局並びに移動端末装置
EP1599972B1 (de) * 2003-03-04 2010-07-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rahtlos ankoppelbare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paketorientierten datenübertrag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4007A2 (en) * 2002-08-06 2004-02-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seamless handoff between ip conn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3186B9 (en) 2014-05-14
KR20080010349A (ko) 2008-01-30
EP1883186B1 (en) 2013-09-04
EP1883186A1 (en)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981B1 (en) Handing off a node from a first access point to a second access point
US10327184B2 (en) Handoffs between access points in a Wi-Fi environment
US7616604B2 (en) Identifying one or more access points in one or more channel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US8082347B2 (en) Providing probe signals from a node to a centralized controller
CA2534976C (en) Passive probing for handover in a local area network
JP42817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1442622B1 (en) Coordination among mobile stations servicing terminal equipment
EP254717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improving network coverage for voice or data calls
US7864736B2 (en) Packet communication roaming method and system
US20090291686A1 (en) Autonomous connectivity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for minimizing service discontinuities during handov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90555A1 (en) Autonomous anonymous association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142478A1 (en) Neighbor network advertisement
US20110280239A1 (en) Communication session hand-off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10509831A (ja) 基本サービスセットの動的割当
KR20160141829A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 및 시스템
US2021022761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376611B1 (ko) 다수의 인터넷프로토콜 주소를 사용하는 wifi 핸드오버
JP2018515013A (ja) サービス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マネージャ
CN114339903A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电子设备
Singh et al. Qualitative study of intelligent access point handover in WLAN systems
JP200825258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移動端末、無線基地局、アクセススイッチおよび基地局探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