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48B1 -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48B1
KR101375648B1 KR1020120076279A KR20120076279A KR101375648B1 KR 101375648 B1 KR101375648 B1 KR 101375648B1 KR 1020120076279 A KR1020120076279 A KR 1020120076279A KR 20120076279 A KR20120076279 A KR 20120076279A KR 101375648 B1 KR101375648 B1 KR 10137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creen
images
mobile terminal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874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메디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칸(주) filed Critical 메디칸(주)
Priority to KR102012007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입체영상 제공장치는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통해 촬영한 후 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terminal with 3D imag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입체영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자원이 제한적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은 각각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양쪽 눈에 각각 전달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영상이다. 이를 위해 2 개 각도의 영상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와 양쪽 영상을 정확히 나눠 양쪽 눈에 각각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입체안경이 필요하다.
적청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방법은 사물을 2개 각도로 촬영한 뒤 각 각도의 영상을 청색과 적색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양쪽 영상을 겹쳐 표시한 뒤 한쪽은 적색, 또 다른 한쪽은 청색 렌즈를 갖춘 안경을 착용해 감상하면 각각의 눈에 해당 렌즈의 색에 해당하는 영상만 보이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편광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방법은 TV 화면을 구성하는 주사선을 각각 짝수 선과 홀수 선으로 나눈 뒤 각각의 주사선에서 왼쪽과 오른쪽 눈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고, TV 전면에 양쪽 신호를 분리해 출력할 수 있는 필터를 부착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시청자는 두 가지의 영상 신호 중 서로 다른 한가지씩만 통과시키는 2개의 편광 렌즈로 구성된 안경을 착용하여 각각의 눈에 다른 영상이 전달되면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방법은, 편광 안경 방식과 달리 주사선을 나누지 않고 왼쪽과 오른쪽 눈에 해당하는 영상을 매우 빠른 속도 번갈아 출력하며, 이에 맞춰 시청자가 쓴 안경은 TV와의 통신을 주고받으며 양쪽 렌즈의 셔터가 번갈아 열고 닫히기를 반복하는 원리로 입체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입체영상의 제공을 위해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로 다른 시각에서 촬영된 적어도 두 개의 영상을 수신하여 각각의 영상처리과정을 거쳐 화면상에 표시하여야 한다. 입체영상은 각각 촬영된 두 영상을 수신하므로 수신되는 데이터 양이 일반 영상보다 두 배 이상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영상 처리하여야 할 양 또한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처리속도나 메모리, 데이터 전송속도 등이 제한적인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두 영상을 수신하여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스템 자원이 제한적인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의 일 예는,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통해 촬영하는 입체영상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의 다른 예는,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통해 동시에 촬영하는 입체영상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의 일 예는,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분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성능이 제한적인 모바일 단말 등은 종래의 일반 영상을 처리하는 것과 동일한 시스템 부하를 가지면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리즘 렌즈 안경을 통해 표시된 입체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고가의 셔터 또는 편광 안경이 필요 없이 저비용으로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인터넷상의 3D를 위한 한 쌍 이상의 양안 입체 화면을 관람할 수 있는 동영상 송출에서 인터넷 회선과 CPU의 속도 제한으로 인하여 양안의 시각적 시간차 발생으로 인한 화질의 감소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제공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키스톤 효과를 고려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서 키스톤 효과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 내지 도 11은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한 양안시 변형뷰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상물(10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두 영상(A,B)을 얻는다.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다른 두 대의 영상인식장치(110,120)를 통해 각각 대상물을 촬영하여 두 영상을 얻거나, 두 개의 렌즈를 가진 하나의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두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영상인식장치(110,120,150)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이다.
서로 다른 시각에서 촬영된 두 영상(A,B)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화면에 분할되어 표시(140,142)된다. 예를 들어, 제1영상인식장치(110)를 통해 얻은 영상(A)과 제2 영상인식장치(120)를 통해 얻은 영상(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영역(140,142)에 각각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두 영상(A,B)은 본 실시 예의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얻은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입체영상을 위한 두 영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입체영상제공장치(160)는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되는 두 영상을 하나의 렌즈, 즉 하나의 영상인식장치(150)를 통해 다시 촬영한다. 그리고 입체영상 제공장치(160)는 하나의 렌즈를 통해 얻은 영상을 모바일 단말(17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70)은 수신된 영상을 화면(180)상에 표시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70)은 하나의 영상을 수신하므로 종래의 하나의 영상을 처리하는 것과 동일한 시스템 자원만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위한 영상, 즉 두 영상(A,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70)에 표시된 두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보기 위하여 프리즘 렌즈 안경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두 영역에 각각 표시된 영역을 프리즘 렌즈 안경을 통해 보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프리즘을 통해 굴절되어 상이 맺히는 위치가 변동되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프리즘 렌즈의 구조와 기능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며 종래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두 영상이 서로 영역을 달리하여 표시되는 경우를 제시하였으나, 적청방식으로 두 영상을 겹치게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적청 안경을 통해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제공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체영상 제공장치(200)는 입체영상 촬영부(210) 및 전송부(220)를 포함한다. 입체영상 촬영부(210)는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촬영한다. 즉 입체영상 촬영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 하나의 영상인식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두 영상을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든다.
전송부(220)는 입체영상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은 하나의 영상을 수신하지만 입체영상을 위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키스톤 효과를 고려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울형 장치 등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보는 경우 등에 발생하는 키스톤 효과(key stone effect) 등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표시되는 두 영상(300,302)을 중심에서 가장자리방향 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퍼지도록 미리 표시한 후, 입체영상 제공장치(160)가 이를 촬영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 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아닌 두 대의 디스플레이장치(430,432)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도 1과 상이하며 그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각각의 영상인식장치(410,420)를 통해 촬영된 대상물(400)의 두 영상(A,B)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430,432)의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두 대의 디스플레이장치(430,432)를 나란히 배치한 후, 입체영상제공장치(450)는 두 대의 디스플레이장치(430,432)의 화면에 표시된 두 영상을 하나의 영상인식장치(440)를 통해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만든 후 이를 모바일 단말(460)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460)은 전송받은 영상을 화면(470)에 표시한다.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서 키스톤 효과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앞서 살핀 도 3의 예와 같이, 키스톤 효과를 고려하여 두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500,502)를 180도 평면에서 일정각도(α) 회전시켜 배치한다. 그러면 입체영상 제공장치(450)는 하나의 렌즈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전되어 배치된 두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500,502)의 화면을 재촬영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각도에 위치한 렌즈들을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여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획득한다(S600). 그리고 촬영된 두 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각각 분할하여 표시하거나 두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각각 표시한다(S610).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할되어 표시된 두 영상 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두 영상을 이번에는 하나의 영상인식장치 즉, 하나의 렌즈를 통해서 재촬영하여 두 영상이 아닌 하나의 영상을 생성한다(S620). 그리고 재촬영된 하나의 영상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S63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을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대의 영상인식장치(740,750)를 통해 대상물(700)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두 영상(A,B)을 얻는 구성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CPU(73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영상인식장치(740,750)로부터 수신한 두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CPU(730)는 영상인식장치(710,720)로부터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얻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로부터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CPU(730)는 한 쌍의 동영상(740,742)이 아니 두 쌍 이상의 동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모두 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CPU(730)는 한 쌍 이상의 영상을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CPU(750)는 화면 캡쳐를 위한 제2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1 CPU(740)에 의해 한 화면상에 표시되는 한 쌍 이상의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든다. 화면 캡쳐의 방법을 종래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또한 화면 캡쳐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 또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CPU(750)는 영상을 캡쳐하여 자체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거나 영상을 캡쳐하여 만든 하나의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760)로 전송한다.
제1 CPU(730)와 제2 CPU(750)는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CPU(730)와 제2 CPU(75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CPU로 구현되고 논리적으로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각각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
제1 CPU(730)에 의해 표시되는 한 쌍 이상의 동영상은 종횡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CPU(75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한 쌍 이상의 동영상을 캡쳐할 때 그 종횡비를 동일하게 수정하여 녹화한 후 이를 인터넷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종횡비를 조절된 영상을 수신한 인터넷상의 단말(770)은 이를 화면(770)상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에 표시된 영상의 종횡비를 변환시키는 프리즘 또는 원주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횡비의 변환은 양쪽 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서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130,170,460,760)에 표시된 입체 영상 또는 도 7의 제1 CPU(730)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등을 보기 위한 양안시 변형뷰어의 구성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안시 변형뷰어는, 사용자의 양안을 모두 사용하여 관찰하는 것으로서, 양안에 투영되는 영상광의 입사각을 원하는 정도로 변화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원근감을 달리 느끼도록 하는 뷰어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양안시 변형뷰어(30)는, 영상발생부, 광학 유닛, 회전각 조정수단, 거리조정수단 및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발생부(31)는, 양안으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측으로 화상을 내보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영상발생부(31)는, 휴대용 영상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발생부(31)는 좌우 양안에 각각 다른 영상을 제공하도록 2개의 서로 다른 화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양판양안식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영상을 좌우 양안에 각각 독립적인 광경로를 형성하도록 두 개의 영상이 좌우 양안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영상발생부(31)는, 하우징(3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영상을 그대로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유닛(32)은, 양안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좌안용 광학 유닛(32A) 및 우안용 광학유닛(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광학 유닛은 영사발생부로부터 발생할 영상광이 입사되는 입사면(321A, 321B)과, 상기 영상광이 투과되는 투과면(322A, 322B)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학 유닛(32)은 대략 삼각기둥형태로 구성되는 프리즘 렌즈일 수 있으며, 입사면(321A, 321B), 투과면(322A, 322B) 및 상기 입사면(321A, 321B)과 투과면(322A, 322B)을 연결하는 상면(323A, 323B), 하면(324A, 32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유닛(32)의 둘레가장자리, 즉, 상면(323A, 323B)과 하면(324A, 324B)에는 각각 돌출되는 돌기부(325, 32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안용 광학 유닛(32A)에는 제1돌기부(325)가 마련되어 있으며, 우안용 광학 유닛(32B)에는 제2돌기부(32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부(325)는 좌안용 광학 유닛(32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제2돌기부(326)는 우안용 광학 유닛(32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회전각 조정수단은, 좌우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광학 유닛(32)에서 상기 영상광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각 입사면(321A, 321B)의 상대각도가 변화되도록 위치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회전각 조정수단은, 한 쌍의 광학 유닛(32)을 양안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각도만큼 회전각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광학 유닛(32)이 회전할 때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 조정수단은, 한 쌍의 광학 유닛(32) 중 어느 한 광학 유닛(32)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제1축부(331)와, 다른 광학 유닛(32)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제2축부(341)와, 상기 제1축부(331) 및 제2축부(34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몸체(35) 및 상기 피벗몸체(35)가 양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홀(36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각 조정수단의 제1축부(331)는, 좌안측 광학 유닛(32)의 상면(323)과 하면(324)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유닛(32)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33)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이며, 상기 제2축부(341)는 우안측 광학 유닛(32)의 상면(323)과 하면(324)측에 배치되어 광학 유닛(32)을 지지하는 제2지지바(34)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이다.
피벗몸체(35)는, 상기 제1축부(331) 및 제2축부(341)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회전공(351)을 포함하는 작은 판부재로서, 그 상면(323)에는 손잡이부(352)가 돌출되어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352)는, 가이드홀(36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벗몸체(3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광학 유닛(32)은 제1축부(331) 및 제2축부(34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지지바(33)에는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지지돌기(3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지바(34)에도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지지돌기(34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돌기(332) 및 제2지지돌기(342)는 하우징(36)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362)을 따라서 상기 광학 유닛(32)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한다.
손잡이부(352)에는, 가이드홀(361)에 대하여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5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구속수재(3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속수재(353)는 하우징(36)에 마련된 가이드홀(361)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352)와 결합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36)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손잡이부(352)를 위치고정한다. 상기 손잡이부(325)를 가이드홀(361)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각각의 입사면(321A, 321B) 간의 상대각도가 변화될 수 있으며 원하는 상대각도를 얻은 후에는 회전구속부재(353)로 손잡이부(325)를 가이드홀(361)에 위치고정하게 된다.
거리조정수단은, 한 쌍의 광학 유닛(32)에서 각 입사면(321)의 상대각도는 유지시키면서 광학 유닛(32)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거리조정수단은, 이미 상술한 바 있는 광학유닛(32)의 제1돌기부(325) 및 제2돌기부(32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리조정수단은 제1돌기부(325)의 이동로를 안내하는 제1안내슬롯(333)이 형성된 제1지지바(33) 및 상기 제2돌기부(326)의 이동로를 안내하는 제2안내슬롯(343)이 형성된 제2지지바(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안내슬롯(333) 및 제2안내슬롯(343)은 상기 제1지지바(33) 및 제2지지바(3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제1돌기부(325)는 상기 제1안내슬롯(333)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돌기부(326)는 상기 제2안내슬롯(343)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기부(325)에는 그 제1돌기부(325)를 위치고정할 수 있는 제1구속수단(36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구속수단(363)은, 상기 제1돌기부(325)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바(33)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2구속수단(364)이 상기 제2돌기부(326)에도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36)은, 상기 광학유닛, 회전각조정수단 및 거리조정수단을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면측에는, 영상발생부(31)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부착부(365)가 마련된다.
또한, 상면(323)의 중앙에는 피벗몸체(35)의 손잡이부(352)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6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361)의 주변에는 가이드 슬롯(362)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다른 양안시 변형뷰어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사용자가 양안을 통하여 화상을 보는 경우에 화상을 원하는 정도로 보기 위해서, 회전각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입사면의 상대각도를 변경가능하다. 또한, 거리조정수단을 통하여 광학 유닛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서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 조정수단을 통하여 광학 유닛의 상대각도를 달리함으로서 영상광의 입사각 및 출사각을 변경함으로서 원하는 형태의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고, 광학 유닛 간의 거리가 협소하여 화상이 중첩되어 보이는 경우에는 거리조정수단을 이용하여 광학 유닛간의 거리를 넓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각 조정수단은,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의 조정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중첩됨이 없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여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입체영상 촬영부; 및
    상기 입체영상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촬영부는,
    키스톤 효과를 고려하여 중심에서 가장자리방향 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퍼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두 영상을 하나의 렌즈를 통해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3.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를 통해 동시에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입체영상 촬영부; 및
    상기 입체영상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하나의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 촬영부는,
    키스톤 효과를 고려하여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화면을, 하나의 렌즈를 통해 동시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5. 대상물에 대한 서로 다른 시각의 두 영상을 중첩됨이 없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여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하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촬영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하나의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두 영상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 표시하거나, 두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키스톤 효과를 고려하여 상기 두 영상의 각각을 중심에서 가장자리방향 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퍼지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방법.
  8.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한 쌍 이상의 동영상을 중첩됨이 없이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하여 각각 화면에 표시하는 제1 CPU; 및
    화면을 캡쳐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한 쌍 이상의 동영상이 표시된 각각의 화면을 캡쳐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파일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녹화하는 제2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공장치.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CPU는 캡쳐된 화면에 표시된 한 쌍 이상의 동영상의 종횡비를 조정한 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제공장치.
KR1020120076279A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37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79A KR101375648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79A KR101375648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74A KR20140008874A (ko) 2014-01-22
KR101375648B1 true KR101375648B1 (ko) 2014-03-18

Family

ID=5014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79A KR101375648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3487B2 (en) * 2015-06-24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display on mobi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25B1 (ko) 1999-04-19 2001-12-22 구자홍 키스톤을 이용한 박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시스템
KR20060011680A (ko) * 2004-07-30 2006-02-03 김현애 모바일폰용 입체카메라모듈장치
JP2009516447A (ja) 2005-11-17 2009-04-16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3次元画像データを生成、転送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025B1 (ko) 1999-04-19 2001-12-22 구자홍 키스톤을 이용한 박형 프로젝션 텔레비젼 시스템
KR20060011680A (ko) * 2004-07-30 2006-02-03 김현애 모바일폰용 입체카메라모듈장치
JP2009516447A (ja) 2005-11-17 2009-04-16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3次元画像データを生成、転送および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74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923B2 (en) Stereoscopic video imaging display system and a stereo slide or stereo slide print
TWI382746B (zh) 立體電視系統及立體電視接收機
JP5014979B2 (ja) 個人用電子機器の3次元情報取得及び表示システム
US8077964B2 (en) Two dimensional/three dimensional digital information acquisition and display device
FI125261B (fi) Digitaalinen stereokamera/digitaalinen stereovideokamera, 3-ulotteinen näyttö, 3-ulotteinen projektori ja tulostin sekä stereokatselulaite
US8289380B2 (en) Polarize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US200500532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3D photography and/or analysis of 3D images and/or display of 3D images
JP2018522510A (ja) 3d及び/又は2d高品質ビデオ撮影、写真撮影、自撮り録画用のカメラシステム及び非電気的3d/マルチビデオ及び静止フレームビューアーと一体化される多目的携帯機器ケース/カバー
KR20120105495A (ko) 입체 영상 촬상 장치
KR100354840B1 (ko) 입체영상 취득을 위한 촬영기 및 촬영방법
JP2010004511A (ja) 立体映像撮像表示システム
WO2016107063A1 (zh) 一种多摄像头终端的3d文件制作、播放方法及装置
CA2968676A1 (en) Device for creating and enhancing three-dimensional image effects
KR101375648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입체영상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2015502572A (ja) 動画立体視システム
US8581962B2 (en) Techniques and apparatus for two camera, and two display media for producing 3-D imaging for television broadcast, motion picture, home movie and digital still pictures
JPH07311426A (ja) 映像記録機用の立体鏡装置
GB2507911A (en) Stereo slide and stereo photo print display apparatus with spacing between left and right screens
JP2005328332A (ja) 三次元画像通信端末
JPH06253341A (ja) 立体テレビ装置
JP2012163790A (ja) 縦長三次元映像の撮影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5181880A (ja) アダプター保持装置およびアダプターセット
TWI573435B (zh) Dimensional image camera display system
WO2013061334A1 (en)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with auto parallax
JPH04252697A (ja) 立体テレビジ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