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238B1 -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 Google Patents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238B1
KR101375238B1 KR1020130122124A KR20130122124A KR101375238B1 KR 101375238 B1 KR101375238 B1 KR 101375238B1 KR 1020130122124 A KR1020130122124 A KR 1020130122124A KR 20130122124 A KR20130122124 A KR 20130122124A KR 101375238 B1 KR101375238 B1 KR 101375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reflective
film
refl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균
김덕실
이인섭
심희준
이범윤
Original Assignee
신창핫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핫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창핫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16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고분자필름으로 구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과 금속 반사층으로 된 진공증착층, 상기 금속 반사층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 방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금속 반사층과 부식 방지층의 적층필름상에 금속박을 붙여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가스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가진 알루미늄 박을 진공증착층인 금속 반사층과 합지함으로써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높은 반사율과 내구성 그리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Reflective film with two metal reflec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고분자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의 한 면에 프라이머층, 진공증착층, 부식방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이렇게 형성된 층상에 얇은 금속박(金屬箔)을 붙여 진공증착에 의한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이루어져, 높은 금속반사성과 우수한 내구성에 가지면서 LCD(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혹은 형광등의 반사필름 등에 사용할 수 있는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액정디스플레이)는 근래 들어 고휘도화와 대형화면화가 진행됨과 더불어 극심한 가격경쟁이 일어나고 있어, 상당한 제조비용 절감(cost down)의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소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고 있는 Note PC, Smart phone, Tablet PC 등은 낮은 소비전력과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LCD(액정디스플레이) 패널 제조회사의 측면에서는 LCD(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에 사용하고 있는 반사필름에 관하여 높은 반사율 특성의 확보와 낮은 제조비용(cost down)을 요구받고 있고, 또한 경량화와 더불어 높은 내구성을 요구받고 있다.
상기 반사필름에 사용하고 있는 금속 반사층으로서는 알루미늄층과 은(銀)층이 있다. LCD(액정디스플레이)에 사용하고 있는 금속 반사층은 주로 은층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금속 반사층인 은 증착층은 외부환경의 영향(예를 들어, 산소이온에 의한 산화 혹은 황이온에 의한 황화)을 받기 쉬운 금속으로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여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서는, 고분자필름상에 프라이머층과 반사층인 금속 은증착층, 금속 은증착층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고분자 수지층으로서 멜라민-에폭시수지에 산화티타늄을 첨가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여 1.5㎛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금속 반사층을 포함한 반사필름의 내구성 시험 후, 은증착층의 부식현상를 억제할 수 있었으나, 내광 특성에 관한 결과를 보면 황변현상이 발생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내구성 시험은 60℃*90%RH*1000hrs의 조건으로 실행하였다.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에서는, 고분자필름상에 프라이머층, 반사층인 금속 알루미늄증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프라미어층에는 다른 굴절률을 가진 무기산화물을 첨가하여 2종류의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반사필름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고분자필름상에 먼저 높은 굴절률을 가진 무기산화물을 첨가한 1층의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한다. 형성된 상기 1층의 고분자 수지층상에 낮은 굴절률을 가진 무기산화물을 첨가한 2층의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2층의 고분자 수지층상에 알루미늄증착층을 형성하였다. 이 구조로 된 반사필름의 특성을 살펴보면 90% 정도의 반사율을 보이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금속 은증착층의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1.5㎛의 부식방지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부식방지층인 멜라민-에폭시 수지층 두께의 불균일성에 의하여 빛 간섭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과 내광 특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반사층으로서 금속 알루미늄증착층을 사용한 결과, 90% 정도의 낮은 반사율로 인하여 실제 응용상에 문제점이 있고, 2종류의 고분자 수지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빛 간섭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7-11144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1998-0007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외선, 열선 등의 조건에 있는 장시간 가혹한 환경 하에서 높은 반사율과 내구성을 가짐으로써, 낮은 반사율, 빛 간섭현상, 내구성, 낮은 제조비용(cost down)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진공증착에 의한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의 합지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반사필름의 프라이머층과 부식 방지층인 고분자 수지층의 두께를 얇게 설계한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필름으로 된 고분자필름층 상에 프라이머층, 진공증착에 의한 금속 반사층, 부식 방지층 그리고 금속박의 합지공정을 순서적으로 적층하여 반사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에 의해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은, 고분자필름으로 구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과 금속 반사층으로 된 진공증착층, 상기 금속 반사층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 방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금속 반사층과 부식 방지층의 적층필름상에 금속박을 붙여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금속 반사층은 알루미늄 또는 은의 금속 증착이며,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 또는 은의 금속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금속박은 금속 반사층 상에 적층되는 산화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산화 방지층은 금속 반사층에 고분자 수지로 코팅하거나, 금속 반사층에 고분자필름을 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분자 수지에 착색제를 포함하거나, 상기 고분자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에 의하면, 상기 반사필름을 구성함에 있어 가스와 수증기의 차단기능을 가진 알루미늄 박을 진공증착층인 금속 반사층과 합지함으로써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높은 반사율과 내구성 그리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 구조를 보여주시는 단면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필름 구조를 보여주시는 단면의 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높은 투명도를 가진 고분자필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분자 필름층 상에 프라이머층, 진공증착층, 산화방지층, 접착제층 및 금속박층이 차례로 적층된 반사필름을 제조한다. 고분자필름층을 구성하는 상기 PET 필름의 두께는 7∼2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특히 9∼50㎛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7㎛ 이하의 두께에서는 제조공정에 주름과 얼룩짐이 발생하기 쉬워 낮은 수율과 불균일한 반사율에 의하여 품질 저하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고, 100㎛ 이상의 경우에는 경량화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으로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 경화제 수지로 알려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등의 기본적으로 가교성 수지 또는 이러한 가교성 수지를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 배합하여 얻어진 가교성 수지의 경화물을 사용한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그 자체로 치밀한 수지층을 형성하고, 후속 공정인 금속층의 증착공정에서 적은 수축률을 가지며, 고분자필름층과 진공증착에 의한 금속 반사층 사이의 균일하면서 높은 밀착력을 가지고, 금속 반사층의 변질 방지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반사필름에서 프라이머층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수지 중에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가교성분을 첨가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층이 높은 밀착력을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높은 밀착력을 얻기 위하여 첨가한 가교성분으로는 멜라민 수지, 활성 수소화합물과의 조합에서 사용되는 다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각종 아크릴 레이트, 에폭시 화합물과 같은 분자 중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중합제 불포화 결합을 갖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성분은 극히 소량으로도 밀착력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함량으로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 기준으로 1∼50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5∼30중량% 범위의 가교성분이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교성 수지(조성물)는 그 계에 따라 희석용액으로 유기용매 또는 수용액으로 유화액을 사용하며,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에 도포/건조한 후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건조 혹은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경화된 코팅층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등의 열가교성 수지를 가교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의 경우에는 140∼180℃ 범위에서 가용하여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140℃ 이하의 온도에서 가교하면 가교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180℃ 이상의 온도에서 가교하면 고분자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가 고온에 의하여 필름의 수축이 발생, 주름 또는 얼룩짐이 발생하기 쉬워 안정된 프라이머층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4㎛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2㎛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0.05㎛ 미만의 두께에서는 얇은 도포층으로 인하여 고분자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와 금속 반사층 사이의 밀착력이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4㎛ 이상의 두께에서는 도포층의 수축과 얼룩짐 그리고 도포층 내부의 불충분한 가교에 의하여 물성의 불균일성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에 금속반사층으로 진공증착층을 형성한다. 금속반사층에는 금속 알루미늄과 금속 은을 예로 들 수 있다. 고분자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상의 금속반사층은 물리적 진공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하였다. 진공증착층인 상기 금속반사층의 두께는 30∼200n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0∼100nm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30nm 미만의 두께에서는 얇은 금속반사층으로 인하여 충분한 반사성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200nm 이상의 두께에서는 금속 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조비용의 증가와, 증착공정 상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고분자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 사이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금속 반사층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한다. 부식방지층의 고분자 수지층으로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 경화제 수지로 알려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다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등의 기본적으로 가교성 수지 또는 이러한 가교성 수지를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 배합하여 얻어진 가교성 수지의 경화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반사필름에서는 부식 방지층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수지 중에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가교성분을 첨가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층이 높은 밀착력과 진공증착층인 금속 반사층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높은 밀착력을 얻기 위하여 첨가한 가교성분으로는 멜라민 수지, 활성 수소화합물과의 조합에서 사용되는 다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각종 아크릴 레이트, 에폭시 화합물과 같은 분자 중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중합제 불포화 결합을 갖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성분은 극히 소량으로도 밀착력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함량으로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 기준으로 1∼50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5∼30중량% 범위의 가교성분이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교성 수지(조성물)는 그 계에 따라 희석용액으로 유기용매 또는 수용액으로 유화액을 사용하며, 은 증착 고분자(PET)필름에 도포/건조한 후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건조 혹은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경화되어 진공증착층인 금속 반사층의 부식방지층을 형성한다.
상기 진공증착층인 금속반사층에 적층된 부식방지층에 적층되는 금속박층의 알루미늄 박을 접착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드라이라미네이션 방법, 샌드위치라미네이션 방법 등 여러 가지 접착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한 드라이 라미네이션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시 금속박층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박은 가스와 수증기 차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의한 수분, 부식성 가스 등의 침입에 의한 금속반사층인 진공증착층의 부식 방지와 진공증착층을 통과한 빛의 재반사의 역할을 한다. 이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박의 두께로는 2∼3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4∼20㎛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 미만의 경우, 반사필름에 형성되는 주름 등의 제조공정상의 문제점과 부식방지 억제기능과 재반사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30㎛ 이상의 경우, 높은 부식방지 기능과 재반사율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경량화되지 않는 문제점과 알루미늄의 경성에 의한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박층을 형성하고 있는 알루미늄 박은 알루미늄의 산화 방지를 위한 산화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층은 얇은 고분자필름을 통상의 드라이라미네이션 방법, 샌드위치라미네이션 방법 등 여러 가지 접착방법을 이용한 접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 다른 방법은 경화제가 포함된 고분자 수지를 코팅한 코팅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 박에 형성된 산화 방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에 착색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산화 방지층이 특정한 색상을 띄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얇은 고분자필름을 접착하여 산화 방지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고분자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층을 형성하여 산화 방지층이 특정한 색상을 띄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종류는 할로겐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적인 것이라면 통상의 착색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본 발명의 반사필름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에 대해 경화제 10중량%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혼합 용매 100중량%에 용해시켜,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프라이머 용액을 얻었다. 이 프라이머 용액을 두께 약 2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에 200메시 그라비어 코터로 도포/건조한 후, 150℃에서 20초간 가열건조하여 두께 약 0.3㎛의 폴리에스테르계 가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층으로 코팅한 고분자(PET)필름을 진공증착기 내에 배치하여 증착공정에서 약 50nm 두께의 은증착층을 증착한다.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에 대해 경화제 10중량%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톨루엔 혼합 용매 100중량%에 용해시켜,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얻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은증착층 상에 200메시 그라비어 코터로 도포/건조한 후, 150℃에서 20초간 가열건조하여 두께 약 0.3㎛의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부식방지층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에 대해 경화제 10중량%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톨루엔 혼합 용매 100중량%에 용해시켜, 폴리우레탄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얻었다. 상기 폴리 우레탄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은 증착 고분자(PET)필름의 산화 방지층 위에 200메시 그라비어 코터로 도포/건조한 후, 150℃에서 20초간 가열/건조하여 두께 약 5㎛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이 도포된 은증착 고분자(PET)필름을 알루미늄 박 6㎛과 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반사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추가적으로 알루미늄 박 표면의 산화를 억제를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에 대해 경화제 10중량%를 혼합하고,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톨루엔 혼합 용매 100중량%에 용해시켜,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얻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용액을 금속 알루미늄 박 상에 300메시 그라비어 코터로 도포/건조한 후, 150℃에서 20초간 가열건조하여 두께 약 1㎛의 폴리에스테르계 산화 방지층을 형성하여 반사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실시예1과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반사 필름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1에 추가적으로 알루미늄 박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에 방법으로 PET 필름 12㎛을 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반사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4
알루미늄 박 표면의 산화 억제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가교성 수지 용액에 블랙잉크와, 촉매제를 혼합하여 착색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5
블랙잉크(IPC, 신창블랙) 100중량%에 대해, 촉매제(IPC, 신창촉매제) 2.5중량%를 첨가하여 블랙용 수지용액을 얻었다. 이 블랙용 수지용액을 고분자(PET) 필름 12㎛에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50℃에서 10분간 건조하여 두께 약 3㎛의 블랙층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박 표면에 드라이라미네이션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알루미늄 박을 드라이라미네이션하지 않은 것과 은 증착 두께를 100nm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 1, 2, 3, 4, 5 및 비교예 1에서 얻은 반사필름의 내구성 평가, 내식성 평가, 내황화성 평가, 반사율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내구성 평가
60℃, 90%RH 항온 항습기에서 1000시간 방치 후 외관을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 : ○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된 경우 : ×
내식성 평가
상온에서 1M NaCl에 24시간 침지 후 외관을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 : ○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된 경우 : ×
내황화성 평가
상온에서 1M Na2SO4에 24시간 침지 후 외관을 확인하였다.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경우 : ○
육안으로 은 증착의 변화가 관찰된 경우 : ×
반사율 측정
내구성 평가를 실시한 시편으로 실시예 1,2,3,4,5는 은 증착층이 보이는 면, 비교예 1은 부식 방지층이 보이는 면에 대하여 각각 파장 800nm에서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와 비교예 1
구성 내구성 반사율
프라이머층 은 증착층 부식방지층 금속 박 내구성 내식성 내황화성 800nm
실시예 1 98%
실시예 2 98%
실시예 3 98%
실시예 4 98%
실시예 5 98%
비교예 1 × × × 9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고분자필름으로 구성하는 기재의 표면에 프라이머층과 금속 반사층으로 된 진공증착층, 상기 금속 반사층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 방지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상기 금속 반사층과 부식 방지층의 적층필름상에 금속박을 붙여 금속 반사층과 금속박의 2개의 금속 반사성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금속 반사층은 30∼200nm 두께범위를 가지며, 금속박은 2∼30㎛의 두께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반사층은 알루미늄 또는 은의 금속 증착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은 알루미늄 또는 은의 금속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은 금속박층 상에 적층되는 산화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층은 금속박층에 고분자 수지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층은 금속박층에 고분자필름을 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에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KR1020130122124A 2013-10-14 2013-10-14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KR101375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124A KR101375238B1 (ko) 2013-10-14 2013-10-14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124A KR101375238B1 (ko) 2013-10-14 2013-10-14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238B1 true KR101375238B1 (ko) 2014-03-18

Family

ID=5064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124A KR101375238B1 (ko) 2013-10-14 2013-10-14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0017A (ja) * 2017-01-23 2018-08-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耐ガンマ線反射膜
JP2018120016A (ja) * 2017-01-23 2018-08-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耐ガンマ線反射膜
CN109870753A (zh) * 2018-12-21 2019-06-1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亮高可靠性抗指污银反射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442A (ja) * 1995-10-18 1997-04-28 Oike Ind Co Ltd 高耐久性反射フイルム
KR100813142B1 (ko) * 2006-11-03 2008-03-13 김현규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15867A (ja) * 2007-11-02 2009-05-28 Oike Ind Co Ltd 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反射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442A (ja) * 1995-10-18 1997-04-28 Oike Ind Co Ltd 高耐久性反射フイルム
KR100813142B1 (ko) * 2006-11-03 2008-03-13 김현규 반사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15867A (ja) * 2007-11-02 2009-05-28 Oike Ind Co Ltd 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反射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0017A (ja) * 2017-01-23 2018-08-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耐ガンマ線反射膜
JP2018120016A (ja) * 2017-01-23 2018-08-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耐ガンマ線反射膜
CN109870753A (zh) * 2018-12-21 2019-06-11 宁波激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亮高可靠性抗指污银反射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31B1 (ko) 투명 도전성 적층 필름, 투명 도전성 적층 필름을 갖는 터치 패널 및 투명 도전성 적층 필름 제조방법
KR10109743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816183B2 (ja) 光学用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7713613B2 (en) Composition for antistatic layer
EP2302422A1 (en) Filter for display
KR101422634B1 (ko) 광학 다층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101375238B1 (ko) 2개의 금속 반사성분을 가진 반사필름
KR20100081136A (ko) 향상된 휘도를 가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JP2015118280A (ja) 光学積層体
KR10145912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94051B1 (ko) 반사외관이 우수하고 오염방지 기능을 가진 하드코팅필름
KR20110011194A (ko)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계 이접착 필름
JP5876994B2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080263B1 (ko)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KR101050216B1 (ko) 고분자 기재
KR101512546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EP3603960B1 (en) Transparent conductive gas barrier laminate
CN104619494A (zh) 层叠板及表面保护板
KR101621316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1621317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1567223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7219694A (ja) 光学反射フィルム、光学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反射体
KR20170090859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610324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KR102470818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광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