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180B1 -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180B1
KR101375180B1 KR1020080121282A KR20080121282A KR101375180B1 KR 101375180 B1 KR101375180 B1 KR 101375180B1 KR 1020080121282 A KR1020080121282 A KR 1020080121282A KR 20080121282 A KR20080121282 A KR 20080121282A KR 101375180 B1 KR101375180 B1 KR 101375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data
bypass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574A (ko
Inventor
박덕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1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는, 복수의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단일 채널화하는 다중화부; 상기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 중 알람 신호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를 나타내는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알람 데이터 우회부; 및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도록 하는 우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에 출력하는 우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Description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a transmitt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본 발명은 감시 장비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그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종류의 감시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감시 장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특별한 제어 없이 24시간 특정 구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의 보안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원격의 보안 시스템으로의 송신을 위하여 감시 장비에서 촬영된 영상은 통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 과정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촬영된 영상 신호를 통신 가능한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로 다시 변환하는 것이다.
또한 보다 철저한 감시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장비를 포함한다. 복수의 감시 장비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원격의 보안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다채널의 통신 자원을 구비하거나, 다채널로 입력된 영상을 단일 채널화하여 전송해야 한다. 다채널의 통신 자원을 구비할 경우, 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지만, 넓은 대역폭을 차지하여 통신 자원의 소비 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채널로 입력된 영상을 단일 채널화하여 전송하는 경우, 다채널 입력 영상을 다중화하여 단일 채널화하는 과정에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한다.
한편 각각의 감시 장비는 움직임 검출, 얼굴 인식, 움직임 트랙킹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감시가 요구되는 영상을 판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이다. 감시 장비의 입력 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검출되거나, 얼굴이 인식되거나, 움직임 트랙킹(tracking) 도중 객체가 금지 구역으로 침입하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보안 조치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시 장비의 입력 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검출되거나, 얼굴이 인식되거나, 움직임 트랙킹 도중 객체가 금지 구역으로 침입하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와 같이, 보안 조치가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시 장비에 대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감시 장비의 입력 영상을 고화질로 보다 빠른 속도를 가지고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는, 복수의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단일 채널화하는 다중화부; 상기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 중 알람 신호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를 나타내는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알람 데이터 우회부; 및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도록 하는 우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에 출력하는 우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는,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들 중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부에서 단일 채널화 된 형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다중화부에서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된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임시 저장부로 우회시키는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임시 저장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는, 상기 알람 신호 발생 중에, 상기 제1 감시 장비 이외의 제2 감시 장비로부터 알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2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회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에,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도록하는 제2 우회 제어 신호를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에 출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는 상기 제2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신호는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들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움직임 트랙킹 중 객체가 금지 구역으로 침입한 경우, 얼굴이 인식된 경우, 감시 장비 파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및 화재가 검출된 경우 중 적 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알람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켜 다중화시키지 않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감시 장비들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임시 저장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 상기 임시 저장된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들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감시 장비에 대한 알람 신호 발생 중에, 제2 감시 장비로부터 알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감시 장비에 대한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에,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켜 다중화하지 않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보다 중요한 감시 장비의 입력 영상에 대해 전송 속도 및 화질을 향상시켜, 보안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 전송 장치(200), 및 수신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은 감시가 요구되는 각각의 영역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제공한다.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카메라, 캠코더 등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은 추가적으로 영상뿐만 아니라 소리를 함께 입력받아 제공할 수 있지만, 소리 입력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의 개수는 본 발명의 실제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송 장치(200)에서 처리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수신 장치(300)로 전송된다. 전송 장치(200) 는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즉 다채널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단일 채널화하고 수개의 처리들을 거친 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 장치(30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수신 장치(300)는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전송 장치(200)를 통해 전송받아 이용하는 장치이다. 수신 장치(300)는 상기 입력 데이터들을 필요로 하는 원격 서버, 보안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수신 장치(300)는 수신된 데이터를 역 다중화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사용자는 수신 장치(300)에서 수신된 데이터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감시 장비 및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2, 214, 및 216),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 다중화부(230),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 버퍼(250), 송신 신호 생성부(260), 우회 제어부(280), 및 임시 저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장치(200)는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로부터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과정은 다채널 입력 데이터를 시분할 슬롯들에 배치하여 단일 채널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중화부(230)는 입력 데이터를 슬롯에 적합한 크기로 분할한다. 그런데 이러한 다중화 과정에서, 입력 데이터의 정보가 손실되고 화질 열화가 발생한다. 또한 다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입력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감시 장비를 나타내는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면, 해당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는 다중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시키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보다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가 다중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질 열화를 방지하고 보다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 장치(200)에서 알람 신호가 발생한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신 장치(3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역다중화로 인한 화질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장비에서 제공한 화면을 보다 빠른 속도로 수신하여 좋은 화질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2, 214, 및 216)는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로부터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은 각각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디지털-변환부(212, 214, 및 216)로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2, 214, 및 216)는 감시가 요구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상기 감시가 요구되는 이벤트는 예를 들면 입력 데이터로부터 움직임 검출, 얼굴 인식, 객체 움직임 트랙킹, 감시 장비 파괴, 및 화재 등이다. 이러한 처리는 적절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처리들을 위해 요구되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용이하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2, 214, 및 216)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2, 214, 및 216)는 상기 움직임 검출 등의 이벤트가 검출되면,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를 발생시켜, 우회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를 발생 시키는 이벤트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본 전송 장치의 설계자가 검출하기를 원하는 이벤트를 설정하고, 그에 적절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는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감시 장비(102, 104, 및 106)는 움직임 검출, 얼굴 인식, 객체 움직임 트랙킹, 감시 장비 파괴, 및 화재 등의 이벤트를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비한다.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는 우회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되는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알람 신호(alarm 1, alarm 2, 및 alarm 3)가 발생한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 경로(bypass)로 우회시켜, 다중화부(23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전달한다. 어떠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 대해서도 알람 신호(alarm1, alarm 2, 및 alarm 3)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는 각각의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 부(230)로 전달한다. 그런데 만약 제1 감시 장비(102)에 대해 제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12)에서 알람 신호(alarm1)가 발생하였다면, 알람 신호(alarm1)에 응답하여 우회 제어부(280)에서 제1 감시 장비(102)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도록 제어하는 우회 제어 신호를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로 출력하고,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는 상기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감시 장비(102)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부(230)로 전달하지 않고,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200)는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로부터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의 우회 경로(bypass)를 제공한다.
다중화부(230)는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로부터 전달된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로부터 제공된 다채널의 입력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단일 채널화한다. 만약 어떠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 대해서도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다중화부(230)는 모든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게 된다. 만약 제1 감시 장비(102)에 대해 알람 신호(alarm1)가 발생하였다면, 다중화부(230)에는 제2 감시 장비(104) 및 제3 감시 장비(106)의 입력 데이터만이 입력될 것이고, 다중화부(230)는 제2 감시 장비(104) 및 제3 감시 장비(106)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부(230)는 예를 들면 멀티플렉서(multiplexer) 통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는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경우, 우회 제어부(280)로부터 출력되는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 이외의 감시 장비의 다중화된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290)에 저장한다. 전송 장치(200)는 어떠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서도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버퍼(250)를 통해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전달한다. 그런데 만약 제1 감시 장비(102)에 대해 알람 신호(alarm1)가 발생한 경우, 다중화부(230)에서 제2 감시 장비(104) 및 제3 감시 장비(106)의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로 출력하고,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는 우회 제어부(280)로부터 출력된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다중화부(230)로부터 출력된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290)로 전달한다. 따라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경우,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에 대한 입력 데이터는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활성화되어있는 동안은 우회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임시 저장부(290)로 전달되어 임시 저장된다.
버퍼(250)는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입력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퍼(250)는 우회 제어부(280)에서 출력되는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버퍼(250)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의 전달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감시 장비(102, 104, 및 106) 중 어느 하나로부터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여 우회 제어 신호가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버퍼(250)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는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전달되지 않고 지연된다.
송신 신호 생성부(26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 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장치(300)로 송신한다. 송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는 디지털 형태의 입력 데이터를 심벌화 등의 작업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송신 가능한 형태의 신호는 광전송을 위해 광변환된 신호일 수 있다.
송신 신호 생성부(260)는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없는 동안에는 버퍼(250)를 통하여 다중화된 입력 신호를 버퍼(250)로부터 제공받아 수신 장치(300)로 송신한다.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면,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또는 106)의 입력 데이터가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우회되어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입력되고, 송신 신호 생성부(260)는 우회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된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우회 경로(bypass)를 통해 입력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또는 106)의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신호 생성부(260)는 수신 장치(3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는 동안 임시 저장부(290)에 임시 저장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종료된 후에 수신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송신 신호 생성부(260)는 수신 신호(3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임시 저장부(290)에 저장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독출하여,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고 송신한다. 송신 신호 생성부(260)에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현재 감시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는 버퍼(250)에 저장되고,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된 후에 송신된다.
우회 제어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입력되면,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입력되는 동안,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시키도록 제어하는 우회 제어 신호를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로 출력한다. 또한 우회 제어부(280)는 우회 제어 신호를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입력되는 동안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 버퍼(250), 및 송신 신호 생성부(26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시 장비(102)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가 발생하여, 제1 감시 장비(102)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시키지 않고 우회시켜 송신하는 동안, 제2 감시 장비(104)에 대한 알람 신호(alarm2)가 발생하면, 제1 감시 장비(104)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가 종료될 때까지,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를 제2 임시 저장부(미도시)에 임시 저장하고, 제1 감시 장비(104)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가 종료되면, 상기 제2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지 않고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 시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20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는 알람이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스위칭 소자(222, 224, 및 226)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222, 224, 및 226)는 제1 단자(222a, 224a, 및 226a)로 연결되면,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부(230)로 전달하고, 제2 단자(222b, 224b, 및 226b)로 연결되면, 입력 데이터를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연결된 우회 경로(bypass)로 전달한다.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의 각각의 스위칭 소자(222, 224, 및 226)는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단자(222a, 224a, 및 226a)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제2 단자(222b, 224b, 및 226b)에 연결된 상태로 변경된다. 상기 우회 제어 신호는 복수의 감시 장비들(102, 104, 및 106) 중 어느 감시 장비에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고, 알람 데이터 우회부(220)는 이러한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에 대응되는 스위칭 소자(222, 224, 및 226)를 제1 단자(222a, 224a, 및 226a)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제2 단자(222b, 224b, 및 226b)에 연결된 상태로 변경한다. 우회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제2 단자(222b, 224b, 및 226b)에 연결된 상태로 있던 스위칭 소자(222, 224, 및 226)는 다시 제1 단자(222a, 224a, 및 226a)에 연결된 상태로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는 제1 단자(242b) 및 제2 단자(242b)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242)로 구현될 수 있다.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의 스위칭 소자(242)는 우회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다중화된 입력 데이터를 버퍼(250)로 출력하기 위하여 제2 단자(242b)에 연결된 상태로 있다. 이후에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여 우회 제어부(280)로부터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의 스위칭 소자(242)는 제2 단자(242b)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제1 단자(242a)에 연결된 상태로 변경되고, 이로 인해 다중화부(230)로부터 출력된 다중화된 입력 데이터는 임시 저장부(290)로 전달된다.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종료되어, 우회 제어 신호가 비활성화되면,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240)의 스위칭 소자는 제1 단자(242a)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제2 단자(242b)에 연결된 상태로 변경되어, 다중화부(230)로부터 출력된 다중화된 입력 데이터를 버퍼(250)로 전달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전송 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감시 장비(102, 104, 및 106)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면(S402),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한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는 다중화 처리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하도록 전송 장치(200)를 제어한다(S404). 또한 상기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는 동안,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102) 이외의 감시 장비(104, 및 106)들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S406).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감시 장비(102)로부터의 알람 신호(alarm1)가 종료되면(S410), 제1 감시 장비(102)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는 동작을 종료시키고(S412), 모든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다시 다중화하여 송신한다(S412). 또한 상기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감시 장비(102) 이외의 감시 장비(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작을 종료한다(S414).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수신 장치(300)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는 동안 임시 저장부(290)에 임시 저장된 알람 신호(alarm1, alarm2, 및 alarm3)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102, 104, 및 106)의 입력 데이터를, 알람 신호(alarm1, alarm2, 또는 alarm3)가 종료된 후에 수신 장치(3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416).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감시 장비(102)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가 발생하여, 제1 감시 장비(102)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시키지 않고 우회시켜 송신하는 동안, 제2 감시 장비(104)에 대한 알람 신호(alarm2)가 발생하면(S410),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시키지 않고 우회시켜 임시 저장한다(S418). 상기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감시 장비(104)에 대한 알람 신호(alarm1)가 종료되면(S420),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지 않고 송신 신호 생성부(260)로 우회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422). 다음으로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S424), 상기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제1 감시 장비(102) 및 제2 감시 장비(104)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는 동작을 종료하고(S426), 알람 신호(alarm1 및 alarm2)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106)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동작을 종료한다(S428). 또한 수신 장치(300)로부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은 알람 신호(alarm1 및 alarm2)가 발생하는 동안 임시 저장된 알람 신호(alarm1 및 alarm2)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106)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S43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감시 장비 및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20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1)

  1. 복수의 감시 장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감시 장비 각각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검출에 따른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단일 채널화하는 다중화부;
    상기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 신호 생성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부로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 중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를 나타내는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는 알람 데이터 우회부; 및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키도록 하는 우회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에 출력하는 우회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들 중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부에서 단일 채널화 된 형태로 저장하는 임시 저장부; 및
    상기 다중화부에서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전달하고, 상기 우회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된 단일 채널화 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임시 저장부로 우회시키는 알람 부재 데이터 우회부를 더 포함하는, 전송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는 임시 저장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 전송 장치.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입력되는 단일 채널화 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의 상기 단일 채널화 된 데이터의 입력을 지연시키는, 전송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알람 신호는 상기 복수의 감시 장비들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움직임 트랙킹 중 객체가 금지 구역으로 침입한 경우, 얼굴이 인식된 경우, 감시 장비 파괴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및 화재가 검출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검출되었을 때 발생되는, 전송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 발생 중에, 상기 제1 감시 장비 이외의 제2 감시 장비로부터 알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제2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회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에,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경로를 제공하도록하는 제2 우회 제어 신호를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에 출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알람 데이터 우회부는 상기 제2 우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송신 신호 생성부로 우회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전송 장치.
  8. 복수의 감시 장비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전송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감시 장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상기 감시 장비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감시 장비 각각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검출에 따른 알람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감시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한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켜 다중화시키지 않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감시 장비들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되면,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의 우회를 종료하고, 상기 제1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들의 입력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되면, 상기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장치 제어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임시 저장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 상기 임시 저장된 알람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감시 장비들의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장치 제어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시 장비에 대한 알람 신호 발생 중에, 제2 감시 장비로부터 알람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감시 장비에 대한 알람 신호가 종료된 후에, 상기 임시 저장된 제2 감시 장비의 입력 데이터를 우회시켜 다중화하지 않고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송 장치 제어 방법.
KR1020080121282A 2008-12-02 2008-12-02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KR10137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282A KR101375180B1 (ko) 2008-12-02 2008-12-02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282A KR101375180B1 (ko) 2008-12-02 2008-12-02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574A KR20100062574A (ko) 2010-06-10
KR101375180B1 true KR101375180B1 (ko) 2014-03-18

Family

ID=4236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282A KR101375180B1 (ko) 2008-12-02 2008-12-02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7113A (zh) * 2017-02-09 2017-06-13 成都启立辰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盗报警功能的防盗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40B1 (ko) * 1995-08-11 1999-08-02 니시무로 타이죠 다중화 네트워크 접속장치
JP3266394B2 (ja) * 1993-12-16 2002-03-18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犯用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394B2 (ja) * 1993-12-16 2002-03-18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犯用監視装置
KR100211340B1 (ko) * 1995-08-11 1999-08-02 니시무로 타이죠 다중화 네트워크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574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3154C (zh) 图像拾取设备和图像分配方法
US8384830B2 (en) Pre-alarm video buffer
KR101682982B1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및 전송시스템
JP6364838B2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2011217062A (ja) カメラシステム、信号遅延量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62864A1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0160068B1 (ko) 다중화데이타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거쳐서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와 화상입력장치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입력시스템
US20160173813A1 (en)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image transmission method
TWI449418B (zh) 相機系統,信號遲延量調整方法及程序
KR101375180B1 (ko)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 제어 방법
JP2018054841A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記録システム
US8587654B2 (en) Network switch control digital video recorder
US11064156B2 (en) Camera control method, camera, and surveillance system
JP200529525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画像の送信方法
JP2011155410A (ja) カメラ装置
JP2000341175A (ja) 映像伝送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CN111355930B (zh) 一种模拟视频处理方法、系统及合路设备、分路设备
CN111432133B (zh) 自动曝光成像系统与方法
JP4738251B2 (ja) 同期自動調整装置
KR20150079524A (ko) Cctv 영상 압축 전송장치, cctv 영상관리 단말기, 그리고, cctv 영상 전송 시스템
JP2007158533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監視カメラ
KR20150035845A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KR20140100196A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JP201118233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8005356B2 (en) Video transmission system of a r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