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567B1 -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 Google Patents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567B1
KR101374567B1 KR1020120143740A KR20120143740A KR101374567B1 KR 101374567 B1 KR101374567 B1 KR 101374567B1 KR 1020120143740 A KR1020120143740 A KR 1020120143740A KR 20120143740 A KR20120143740 A KR 20120143740A KR 101374567 B1 KR101374567 B1 KR 10137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distribution angle
led chip
l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호
송상빈
김재필
김기현
전시욱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4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5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die pad of the i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칩과, 상기 LED 칩과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와, 상기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패키지 본체부; 상기 패키지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렌즈부; 및 상기 패키지 본체부와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LED PACKAGE WITH VARIABLE DISTRIBUTION ANGLE}
본 발명은 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light emission diode)는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소자로서, 소비 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며,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진동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LED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LED 패키지(10)는 기판(11)과, 상기 기판(11) 상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12)과, 상기 리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칩(13)과, 상기 LED 칩(13)과 리드 프레임(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14)와, 상기 LED 칩(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한 몰드 프레임(15)과, 상기 LED 칩(13)과 본딩 와이어(14)를 밀봉하는 봉지재(16)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LED 패키지(10)는 LED 칩(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각이 고정되어 설치 장소에 따라 최적의 배광각으로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LED 패키지(10)는 미리 설정된 배광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렌즈를 추가 설치해야만 하여 결합구조가 복잡해지고, 추가 결합된 렌즈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최적의 배광 패턴이나 배광각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691441호 (발명의 명칭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는 투광성 수지의 형상을 변경하여 빛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게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칩과, 상기 LED 칩과 리드 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와, 상기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을 구비한 패키지 본체부; 상기 패키지 본체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렌즈부; 및 상기 패키지 본체부와 렌즈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키지 본체부는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1 리플렉터; 상기 제 1 리플렉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 칩에서 발광된 빛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2 리플렉터; 및 상기 패키지 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상부면에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임의의 배광각을 형성하며 출력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를 형성한 출사부; 상기 하부에 LED 칩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 및 상기 렌즈부의 상면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체결부와 결합하여 렌즈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사부는 마이크로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비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사부는 프레넬 렌즈, 평판 렌즈, 마이크로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비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부는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쿼츠 글라스(Quartz Glas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렌즈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배광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LED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2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결합한 상태를 단면도.
도 4 는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도 2의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도 2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도 2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렌즈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결합한 상태를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0)는 패키지 본체부(110)와, 렌즈부(120)와,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렌즈부(1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패키지 본체부(110)의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한다.
상기 패키지 본체부(110)는 기판(111)과, 상기 기판(111) 상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112)과, 상기 리드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칩(113)과, 상기 LED 칩(113)과 리드 프레임(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114)와, 상기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2단 리플렉터(115a, 115b) 구조의 몰드 프레임(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2단 리플렉터 구조의 몰드 프레임(115)은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1 리플렉터(115a)와, 상기 제 1 리플렉터(115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 칩(113)에서 발광된 빛과 제 1 리플렉터(115a)에서 반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2 리플렉터(1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리플렉터(115a)는 종래와 같이 LED 칩(113)에서 발광된 빛이 상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LED 칩(113)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광체를 포함한 실리콘 또는 에폭시 등의 봉지재(116)가 충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리플렉터(115b)는 하부의 내경이 제 1 리플렉터(115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1 리플렉터(115a)와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과 제 1 리플렉터(115a)에 의해 반사된 빛이 제 2 리플렉터(115b)에서 반사되어 빛의 집중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키지 본체부(110)는 제 2 리플렉터(115b)의 상부 양측 단부에는 체결부(130)가 결합되어 렌즈부(12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홈(115c)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120)는 패키지 본체부(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렌즈부(1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패키지 본체부(110)의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 패턴과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빛이 출광되는 출사부(121)와,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122)와, 렌즈부(120)가 체결부(130)를 통해 패키지 본체부(11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면 형상이 출사부(121)에서 입사부(122)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렌즈부(120)는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쿼츠 글라스(Quartz Glas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사부(121)는 렌즈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임의의 배광 패턴 또는 배광각을 형성하며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돔 형상의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나 작은 돔 형상으로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 등이 형성되는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가 형성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a)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a)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a)에는 작은 돔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다수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형상의 입사부(122a)가 형성되어 LED 칩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의 집광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사부(121a)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a)이 형성된 결합부(123a)가 형성된다.
상기 출사부(121a)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는 입사되는 빛이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에서 굴절되어 나란하게 출력되도록 하여 배광각이 일정 영역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또한,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b)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b)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형상의 입사부(122b)가 형성되어 LED 칩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의 집광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사부(121b)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b)이 형성된 결합부(123b)가 형성된다.
상기 출사부(121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 렌즈는 입사되는 빛이 오목 렌즈의 표면에서 발산되도록 굴절되어 배광 패턴과 배광각이 일정 영역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또한,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c)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c)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c)에는 구면인 돔 형상의 볼록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형상의 입사부(122c)가 형성되어 LED 칩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의 집광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사부(121c)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c)이 형성된 결합부(123c)가 형성된다.
상기 출사부(121c)에 형성된 볼록 렌즈는 입사되는 빛이 볼록 렌즈의 표면에서 집중되도록 굴절되어 배광 패턴과 배광각이 일정 영역으로 집중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1d)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d)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d)에는 돔 형상의 렌즈 표면이 평판인 비구면의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형상의 입사부(122d)가 형성되어 LED 칩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의 집광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사부(121d)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d)이 형성된 결합부(123d)가 형성된다.
상기 출사부(121d)에 형성된 비구면 렌즈는 입사되는 빛이 비구면 렌즈의 표면에서 굴절되어 배광 패턴과 배광각이 일정 영역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또한, 도 8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e)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e)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e)에는 돔 형상의 렌즈 표면에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형상의 입사부(122e)가 형성되어 LED 칩과 제 1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의 집광 효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출사부(121e)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e)이 형성된 결합부(123e)가 형성된다.
상기 출사부(121e)에 형성된 돔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는 입사되는 빛이 돔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표면에서 굴절되어 배광각이 증가되도록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입사부(122)는 렌즈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LED 칩(113)에서 발광된 빛과, 제 1 리플렉터(115a)에서 반사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입사부(122)는 프레넬 렌즈, 평판 렌즈, 마이크로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비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 형상으로 구성되어 입사되는 빛이 산란되지 않고 출사부(121)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9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f)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f)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f)에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를 포함한 돔 형상의 구면 렌즈, 비구면 렌즈, 마이크로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평판 렌즈 또는 비구면의 렌즈를 형성한 입사부(122f)가 형성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부(121f)로 굴절시키며, 상기 출사부(121f)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f)이 형성된 결합부(123f)가 형성된다.
또한, 도 1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g)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g)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g)에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를 포함한 돔 형상의 구면 렌즈, 비구면 렌즈, 마이크로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평판 렌즈 또는 비구면의 렌즈를 형성한 입사부(122g)가 형성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부(121g)로 굴절시키며, 상기 출사부(121g)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g)이 형성된 결합부(123g)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0h)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렌즈부(120h)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출사부(121h)에는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를 포함한 돔 형상의 구면 렌즈, 비구면 렌즈, 마이크로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평판 렌즈 또는 비구면의 렌즈를 형성한 입사부(122h)가 형성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출사부(121h)로 굴절시키며, 상기 출사부(121h)의 양측 단부에는 관통공(124h)이 형성된 결합부(123h)가 형성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123)는 렌즈부(120)의 상면 양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하여 설치되고, 내측에는 체결부(130)와 결합하는 관통공(124)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30)를 통해 렌즈부(120)가 패키지 본체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30)는 패키지 본체부(110)와 렌즈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120)가 패키지 본체부(11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볼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130)는 회전을 통해 렌즈부(120)가 패키지 본체부(110)의 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동작시켜 상기 렌즈부(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렌즈부(120)의 설정 위치 변경을 통해 상기 렌즈부(120)를 통과하는 빛의 배광 패턴과 배광각이 가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렌즈부를 설치함으로써, 설치하는 장소나 용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배광 패턴이나 배광각을 최적의 조건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110 : 패키지 본체부
111 : 기판 112 : 리드 프레임
113 : LED 칩 114 : 본딩 와이어
115 : 몰드 프레임 115a : 제 1 리플렉터
115b : 제 2 리플렉터 115c : 고정홈
116 : 봉지재 120 : 렌즈부
121 : 출사부 122 : 입사부
123 : 결합부 124 : 관통공
130 : 체결부

Claims (6)

  1. 기판(111)과, 상기 기판(111) 상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112)과, 상기 리드 프레임(112)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LED 칩(113)과, 상기 LED 칩(113)과 리드 프레임(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딩 와이어(114)와, 상기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상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1 리플렉터(115a)와, 상기 제 1 리플렉터(115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LED 칩(113)에서 발광된 빛과 제 1 리플렉터(115a)에서 반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테이퍼 형상인 제 2 리플렉터(115b)와, 체결부(130)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홈(115c)을 구비한 몰드 프레임(115)을 구비한 패키지 본체부(110);
    상기 패키지 본체부(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면에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임의의 배광각을 형성하며 출력되도록 구면 또는 비구면의 렌즈를 형성한 출사부(121)와, 상기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부(122)와, 상면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체결부(13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부(123)를 구비한 렌즈부(120); 및
    상기 패키지 본체부(110)와 렌즈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1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렌즈부(120)가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체결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12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LED 칩(113)으로부터 발광된 빛의 배광각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121)는 마이크로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비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122)는 프레넬 렌즈, 평판 렌즈, 마이크로 렌즈, 볼록 렌즈, 오목 렌즈, 비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6. 제 1 항 제 4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20)는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쿼츠 글라스(Quartz Glas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20120143740A 2012-12-11 2012-12-11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37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40A KR101374567B1 (ko) 2012-12-11 2012-12-11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40A KR101374567B1 (ko) 2012-12-11 2012-12-11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567B1 true KR101374567B1 (ko) 2014-03-19

Family

ID=5064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40A KR101374567B1 (ko) 2012-12-11 2012-12-11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530A (ko) * 2016-02-29 2017-09-06 한국광기술원 다중 광학계를 갖는 광원모듈
KR20230150045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임팩트럼 시인성이 향상된 능동형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시스템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41B1 (ko) * 2005-11-15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JP2008090006A (ja) * 2006-10-02 2008-04-17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指向性可変型ledフラッシュ装置
JP2010103404A (ja) 2008-10-27 2010-05-06 Sanyo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JP2012243531A (ja) * 2011-05-18 2012-12-10 Panasonic Corp 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441B1 (ko) * 2005-11-15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JP2008090006A (ja) * 2006-10-02 2008-04-17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指向性可変型ledフラッシュ装置
JP2010103404A (ja) 2008-10-27 2010-05-06 Sanyo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JP2012243531A (ja) * 2011-05-18 2012-12-10 Panasonic Corp 照明器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530A (ko) * 2016-02-29 2017-09-06 한국광기술원 다중 광학계를 갖는 광원모듈
KR101897863B1 (ko) * 2016-02-29 2018-09-12 한국광기술원 다중 광학계를 갖는 광원모듈
KR20230150045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임팩트럼 시인성이 향상된 능동형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시스템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방법
KR102624497B1 (ko) 2022-04-21 2024-01-12 주식회사 임팩트럼 시인성이 향상된 능동형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시스템 및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출력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966B1 (ko) 지향성 발광 배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661261B1 (ko) Led 확산 렌즈
US8235556B2 (en) Condensing element, array, and methods thereof
TWI323519B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a lens of silicone
US20110062470A1 (en) Reduced angular emission cone illumination leds
US20100165635A1 (en) Led unit
US20100165636A1 (en) Led unit
US20110140147A1 (en) Led unit
ATE420464T1 (de) Gehäuse mit lichtemittierender hochleistungsdiode und reflexionslinse, sowie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EP1503434A3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WO2004021460A3 (en) Light emitting diode planar light source and low-profile headlight constructed therewith
CN103311418B (zh) 发光二极管模组
US20090310352A1 (en) Led lamp
KR101374567B1 (ko) 배광각 가변형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20015991A (ko) 조명장치
CN107923580A (zh) Led 模块和照明模块
US8981387B2 (en)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having a deformable lens
KR100947440B1 (ko) 지향각 변환 렌즈 및 그것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용 발광장치
US9335450B2 (en)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45041B1 (ko) 조명 장치용 렌즈와 이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및 조명장치
TW201345002A (zh) 透鏡以及具有該種透鏡的發光二極體封裝結構
JP2007081063A (ja) 発光装置
KR101365619B1 (ko) 체결 구조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KR101167045B1 (ko) 비구면 렌즈, 이를 구비한 가로등
TWI441362B (zh) 發光模組及其發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