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382B1 - 충격 흡수형 배낭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형 배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382B1
KR101374382B1 KR1020120100096A KR20120100096A KR101374382B1 KR 101374382 B1 KR101374382 B1 KR 101374382B1 KR 1020120100096 A KR1020120100096 A KR 1020120100096A KR 20120100096 A KR20120100096 A KR 20120100096A KR 101374382 B1 KR101374382 B1 KR 10137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ent
frame
backpack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철웅
Original Assignee
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웅 filed Critical 전철웅
Priority to KR102012010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2013/02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2Back cushioning parts or details of backpacks, e.g. with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 A45F2003/127Dorsal or hip pads for the lumbar back or for the waist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의 수용된 물품들의 무게에 대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어깨끈 또는 힙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격 흡수형 배낭에 관한 것으로, 배낭 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장되는 수평프레임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형 배낭{shock absorbing backpack}
본 발명은 충격 흡수형 배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의 수용된 물품들의 무게에 대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어깨끈 또는 힙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충격 흡수형 배낭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낭은 등산, 낚시, 여행 등을 할 때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여 어깨에 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편리하고, 물품의 분실을 막아주는 유용한 가방의 하나이다.
이러한 배낭은 상기한 등산, 낚시, 여행용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책가방으로도 애용되고 있으며, 특히 등산, 낚시, 여행 중 야영을 할 경우에는 텐트, 버너, 식기 등을 휴대해야 하므로 이럴 경우 상기한 많은 물품들을 수납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배낭은 필수적인 물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낭은 넓은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많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주수납공간과, 작은 물품 예컨대, 수첩이나 지갑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수납공간과, 주수납공간의 배면에 배낭을 어깨에 걸 수 있게 형성된 어깨끈 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학생용, 등산, 여행용 배낭은 양어께에 메고 다닐 수 있게 어깨끈이 구비되는데, 배낭 내에 넣어진 물건의 중량에 따라 신체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인체 골격중 쇄골 및 척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낭의 무게에 따라 어깨 또는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완충 구조를 갖는 충격 흡수형 배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형 배낭은 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장되는 수평프레임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제3수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재는 타측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 사이에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내장되고, 상단에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절곡부와, 하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내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제3절곡부와 제4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4 절곡부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4절곡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5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절곡부와 제5절곡부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배낭에 따르면, 배낭의 수용된 물품들의 무게에 대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어깨끈 또는 힙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낭의 무게에 따라 어깨 또는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낭 몸체의 테두리에 내장되어 배낭 몸체의 형상을 지지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배낭의 형체가 흐트러지지 않고, 가방 처짐 등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배낭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배낭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배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격 흡수형 배낭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배면에 어깨끈(12)이 연결된 것으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수직프레임(100)들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장되는 수평프레임(200)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수용되도록 수직프레임(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수직통로가 형성되고, 수평프레임(200)이 수용되도록 수평프레임(200)과 대응하는 수평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통로 및 수평통로는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몸체(11)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낭 몸체(11)가 수직방향에 대해 일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11)를 지지해줌과 동시에, 수직부재(100)에 탄성부재(400)가 설치되어 배낭 몸체(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탄성부재(400)의 신축동작과 대응하여 그 길이가 변동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00)들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장된다.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상단끼리 연결하고, 하단끼리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200)은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낭 몸체(11)가 수평방향에 대해 일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11)를 지지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은 가벼우면서 강도 높은 알루미늄, 티타늄, 듀랄리늄 등과 같은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시행한다. 상기 탄성부재(400)은 수직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외측에 부착되는 고무, 실리콘 등의 시트(sheet) 종류 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끼워지는 코일 스프링 또는 실린더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에서 보다 효과적인 완충동작이 이뤄지도록 다수의 탄성부재(400)가 수직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400)는 수직프레임(100)뿐 아니라 수평프레임(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1)이 요입 형성된 제1수직부재(110)와, 상기 제1수직부재(110)의 가이드홈(11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21)가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수직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40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부재(110)와 제2수직부재(120)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제1수직부재(110)와 제2수직부재(120) 사이에 탄성부재(400)가 끼워짐에 따라 배낭 몸체(11)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부재(400)의 작용으로 수직부재(100)가 신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제1수직부재(110)와 제2수직부재(120)에 각각 가이드홈(111)과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됨에 따라 수직프레임(100)의 신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 또한 제1수직부재(110)와 제2수직부재(120)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111)과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된 제1수직부재(110)와 제2수직부재(120)의 각 단부에는 탄성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12,12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제1수직부재(110)에 가이드홈(111)을 형성하고, 제2수직부재(120)에 가이드돌기(121)를 형성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제1수직부재(110)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거나 제2수직부재(120)에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400)가 코일스프링의 형태를 취할 경우, 탄성부재(400)는 배낭(10)에 수용된 물건들의 무게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에만 반응하도록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리터 용량의 배낭의 경우 10kg이상의 하중에서 반응하도록 탄성부재(400)를 설계하고, 40리터 용량의 배낭의 경우 8kg이상의 하중에서 반응하도록 탄성부재(400)를 설계하는 것이다. 또한, 30리터 용량의 배낭의 경우 6kg이상의 하중에서 반응하도록 탄성부재(400)를 설계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배낭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4의 프레임부재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131)이 요입 형성된 제3수직부재(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재(120)는 타측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홈(131)에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기(12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제2수직부재(120)와 제3수직부재(130)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400)가 수직프레임(100)의 양측에 배치될 경우, 수직프레임(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400)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면, 상부와 하부에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충격뿐 아니라 힙벨트를 통해 착용자의 허리부분에 가해지는 충격까지 흡수하여 실질적으로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수직부재(120)와 제3수직부재(130)에 각각 제2가이드돌기(122)와 제2가이드홈(131)가 형성됨에 따라 수직프레임(100)의 신축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 또한 제2수직부재(120)와 제3수직부재(130)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돌기(122)와 제2가이드홈(131)가 형성된 제2수직부재(120)와 제3수직부재(130)의 각 단부에는 탄성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24,1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제2수직부재(120)에 제2가이드돌기(122)를 형성하고, 제3수직부재(130)에 제2가이드홈(131)을 형성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제2수직부재(120)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거나 제3수직부재(130)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몸체(11)의 배면에 내장되고, 상단에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절곡부(101)와, 하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102)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절곡부(101)와 제2절곡부(102)는 아치형으로 각각 상부와 하부로 볼록하게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이 제1절곡부(101)와 제2절곡부(102)를 형성할 경우, 상기 수평부재(200)는 수직프레임(100)의 제1절곡부(101)끼리 연결하거나, 제2절곡부(102)끼리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제1 절곡부(101)를 형성함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에 배낭 몸체(11)를 밀착시킬 수 있어 착용감 향상을 가져온다. 한편, 제2절곡부(102)를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에 수평프레임(200)이 닿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되고, 허리를 프레임부재(30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절곡부(101)와 제2절곡부(102)가 형성되면, 상기 몸체(11)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 몸체(11)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고, 내부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상기 몸체(11)의 전면에 내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제3절곡부(103)와 제4절곡부(104)를 형성하되, 상기 제4 절곡부(104)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4절곡부(104)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5절곡부(105)를 포함하며, 상기 제4절곡부(104)와 제5절곡부(105)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아치형으로 절곡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100)이 제3절곡부(103)와 제4절곡부(104) 및 제5절곡부(105)를 형성할 경우, 상기 수평부재(200)는 수직프레임(100)의 제3절곡부(103)끼리 연결하거나, 제5절곡부(105)끼리 연결한다. 한편, 제3절곡부(103)와 제4절곡부(104) 및 제5절곡부(105)를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에 수평프레임(200)이 닿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프레임부재(30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3절곡부(103)와 제4절곡부(104) 및 제5절곡부(105)가 형성되면, 상기 몸체(11)의 전후 방향에 대해서 몸체(11)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해주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고, 내부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4절곡부(104) 및 제5절곡부(105)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아치형으로 절곡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착용감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몸체(11)에 연결된 힙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배낭은, 배낭(10)의 수용된 물품들의 무게에 대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져 어깨끈(12) 또는 힙벨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낭(10)의 무게에 따라 어깨 또는 허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배낭 몸체(11)의 테두리에 내장되어 배낭 몸체(11)의 형상을 지지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배낭(10)의 형체가 흐트러지지 않고, 가방 처짐 등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낭
11 : 몸체
12 : 어깨끈
100 : 수직프레임
101 : 제1절곡부
102 : 제2절곡부
103 : 제3절곡부
104 : 제4절곡부
105 : 제5절곡부
110 : 제1수직부재
111 : 가이드홈
120 : 제2수직프레임
121 : 가이드돌기
122 : 제2가이드돌기
130 : 제3수직부재
131 : 제2가이드홈
200 : 수평프레임
300 : 프레임부재
400 : 탄성부재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몸체의 배면에 어깨끈이 연결된 통상의 배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내장되는 수평프레임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와,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제1수직부재와, 상기 제1수직부재의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일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 제2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1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배낭.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제3수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직부재는 타측 단부에 상기 제2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2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배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배면에 내장되고, 상단에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1절곡부와, 하단에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배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내장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된 제3절곡부와 제4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4 절곡부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4절곡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5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절곡부와 제5절곡부는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배낭.
KR1020120100096A 2012-09-10 2012-09-10 충격 흡수형 배낭 KR10137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6A KR101374382B1 (ko) 2012-09-10 2012-09-10 충격 흡수형 배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96A KR101374382B1 (ko) 2012-09-10 2012-09-10 충격 흡수형 배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382B1 true KR101374382B1 (ko) 2014-03-18

Family

ID=5064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96A KR101374382B1 (ko) 2012-09-10 2012-09-10 충격 흡수형 배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94A1 (ko) * 2016-11-02 2018-05-11 김기연 배낭 완충기
CN111678682A (zh) * 2020-05-27 2020-09-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悬浮隔离机构测试平台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21Y1 (ko) * 1991-05-01 1993-09-24 권병순 차량 운전자 보호장치
KR100605487B1 (ko) 2003-11-05 2006-07-28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배낭식 입상물 산포기
KR20120007967A (ko) * 2010-07-15 2012-01-25 도이터 스포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후벽을 오목하게 인장시키는 프레임 장치를 구비한 배낭
KR101167825B1 (ko) 2010-03-09 2012-07-26 이도관 배낭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21Y1 (ko) * 1991-05-01 1993-09-24 권병순 차량 운전자 보호장치
KR100605487B1 (ko) 2003-11-05 2006-07-28 야마토 노지 가부시키가이샤 배낭식 입상물 산포기
KR101167825B1 (ko) 2010-03-09 2012-07-26 이도관 배낭용 프레임
KR20120007967A (ko) * 2010-07-15 2012-01-25 도이터 스포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후벽을 오목하게 인장시키는 프레임 장치를 구비한 배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494A1 (ko) * 2016-11-02 2018-05-11 김기연 배낭 완충기
KR101938943B1 (ko) 2016-11-02 2019-01-15 기 연 김 배낭 완충기
CN111678682A (zh) * 2020-05-27 2020-09-1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悬浮隔离机构测试平台设备
CN111678682B (zh) * 2020-05-27 2022-07-19 哈尔滨佩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悬浮隔离机构测试平台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165B2 (en) Backpack frame device
US11064792B2 (en) Carrier system
US20110198377A1 (en) Backpack with suspension
US9131762B2 (en) Backpack having removable frame
US10988086B2 (en) Hat holder device
US9254030B2 (en) Carrying device dual shoulder strap system
GB2525662A (en) Free-flex harness
US20190307232A1 (en) Carrying system
KR101374382B1 (ko) 충격 흡수형 배낭
CN202439585U (zh) 一种带有防雷功能的悬挂座椅
JP2012020111A (ja) リュックサック
CN210446058U (zh) 一种减震背包
KR101174414B1 (ko) 배낭용 파우치
KR200476355Y1 (ko) 가방의 어깨끈에 부착되는 가방 하중 분산 부재
NO332793B1 (no) Baeremeis for ryggsekk
CN209825578U (zh) 一种双肩包
KR101255120B1 (ko) 배낭
KR101196808B1 (ko) 인체공학적 배낭
CN216220570U (zh) 舒适减压护脊背包
JP2016145439A (ja) 3点ハンモック装着型ヘルメット
KR200284167Y1 (ko) 통풍수단이 구비된 배낭
CN215271082U (zh) 具有减压缓震功能的书包
US20220167730A1 (en) Compound arc pack and frame
KR20130136756A (ko) 스포츠 레저용 백팩
US20130161142A1 (en) Suitcase with elastic suspending buff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