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324B1 -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4324B1 KR101374324B1 KR1020110118807A KR20110118807A KR101374324B1 KR 101374324 B1 KR101374324 B1 KR 101374324B1 KR 1020110118807 A KR1020110118807 A KR 1020110118807A KR 20110118807 A KR20110118807 A KR 20110118807A KR 101374324 B1 KR101374324 B1 KR 101374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horizontal
- installation
- building
- fixing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이나 베란다의 일정부분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수평바람을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여 통기성을 높이고, 반대로 수평바람이 건축물 반대편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로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 없이 수평바람을 이용하여 인입/배출이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수직바람의 경우는 창문을 열어 둔 것과 같이 외부공기가 인입된다.
동력 없이 자연환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 상기 필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격자구조에 수분 충진 물질이 도포 되어 있고, 상기 수분 충진부에 수분이 공급되어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이 상기 수분 충진부에 충돌하면 통상의 필터처럼 격자구조에서 반발하여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수분 충진부에 흡착되어 제거가 된다. 또한 건축물 내부의 가습효과 및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실내 환경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동력 없이 자연환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 상기 필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격자구조에 수분 충진 물질이 도포 되어 있고, 상기 수분 충진부에 수분이 공급되어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이 상기 수분 충진부에 충돌하면 통상의 필터처럼 격자구조에서 반발하여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기 수분 충진부에 흡착되어 제거가 된다. 또한 건축물 내부의 가습효과 및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실내 환경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조립식(또는 초기 시공시 고정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 없이 수평바람에 장벽을 만들어서 실내로 인입하고, 수평바람을 건축물 반대편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연통부재에 필터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부재 격자구조의 수분 충진부에 의해 미세 이물질이 종래의 필터보다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오직 기계적인 구조로만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건축물은 사방으로 문을 낼 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에는 외부공기의 순환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특히 여름철에는 외부공기의 인입을 통한 통기성 향상이 냉방비 절감에 도움이 되나, 현실에서는 수평바람의 경우는 건축물 내부에 인입되지 못하여 냉방비 절감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외부공기의 인입이 원활한 경우라도 외부공기 내의 미세 이물질이 건축물 내부로 여과 없이 인입되어서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봄철의 황사나 꽃가루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강제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동일한 방법으로 인입하면서 후단에 필터를 설치하여 인입공기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종래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2439호(건물의 환기장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술한, 동력을 사용하는 경우는 팬을 구동하는 팬부재와 이것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로 구성되어서 고가이며, 소음 발생이 우려되고, 설치도 기존의 창문이나 베란다에 용이하지 않다. 필터를 통과시켜서 큰 이물질 제거는 가능하나, 미세 이물질은 제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동력의 사용 없이 수평바람이 건축물 내부로 인입되게 하고,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필터부재의 상기 수분 충진부를 이용하여 인입되는 외부공기 내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며, 수평바람을 이용하여 내부공기가 배출되게 한다.
수직바람은 창문을 열어두면 건축물 내부로 인입되나, 수평바람은 건축물 내부로 인입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창문에 수평으로 부는 바람에 장벽을 만들어서 바람의 방향을 바꾸면 수평바람도 건축물 내부로 들어올 수가 있다. 다단으로 되어 있는 상기 연통부재에, 전단은 상/하로는 막혀있고 좌/우로는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부분에 수평바람의 방향을 변경하는 바람 차단천이 설치되는 바람 인입/배출부재의 바람 차단부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바람 차단부의 전단에는 수직 고정 핀에 상기 바람 차단천의 수직 설치부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 상/하로 수평 고정 핀에 상기 바람 차단천의 수평 설치부가 설치된다.
수평바람이 건축물 외부에서 부는 경우, 상기 바람 차단부에 설치된 상기 바람 차단천의 전단은 상기 수직 고정 핀에 고정이 되어 움직이지 못하고, 상기 바람 차단부의 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은 상기 수평 고정 핀에 연결이 되어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바람의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바꾸어서 외부의 바람을 내부로 인입 가능하게 한다.
수평바람을 이용한 내부공기의 배출은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 상/하로 상기 수평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평 설치부를 설치하여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에 상기 수직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직 설치부를 고정되게 구성한다. 수평바람이 불면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은 고정이 된다. 이러한 경우 수평바람은 건축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축물 내부와의 압력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 발생한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는 상기 수분 충진부가 있는 상기 필터부재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인입된 외부공기에 있는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이 제거되게 구성한다. 필요시에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와 기능성 방향제를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오직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서, 외부공기가 풍향에 상관없이 항상 건축물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며, 인입된 공기는 상기 수분 충진부가 있는 상기 필터부재를 거쳐서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필터부재에 기능성 방향제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수평바람이 건축물 반대편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건축물 내부와의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는 발명이다. 또한 모든 부품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서 모든 창문이나 베란다에 사용이 가능하고 운송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본 발명은 오직 기계적인 구성에 의해서 외부의 수평/수직바람을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고, 인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은 상기 수분 충진부가 있는 상기 필터부재를 통하여 제거한다. 상기 수분 충진부가 있는 상기 필터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 내부의 가습효과 및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실내 환경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수평바람이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의 상기 바람 차단부에서 건축물 반대편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배출되게 구성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창문이나 베란다에 설치되어 수평바람의 방향을 바꾸어 외부공기를 인입하거나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연통부재, 상기 연통부재가 건축물의 창문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외부설치부재, 그리고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 설치되는 상기 필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설치부재는 상기 연통부재 또는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를 고정하고 창문이나 베란다에 설치 가능하게 하는 외부설치부로 구성이 된다.
상기 배치부는 상기 연통부재 또는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외부설치부는 자유롭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조각형태로 만들어서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통부재에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장착되어 전/후진이 가능하게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 가이드 레일이 형성이 되어 있고, 후단에는 상기 필터부재가 장착되도록 상기 필터부재 설치 홈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통부재의 전단에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밀려서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연통부재는 실내로 외부공기를 연통하게 하고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뒤로 이동하여 연통부재 내부에 넣은 다음 창문을 닫을 수가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는 상기 연통부재에서 외부로 일정부분이 돌출되게 장착이 되고, 상/하로는 막혀있고 좌/우와 전/후는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수평바람을 수직바람으로 풍향을 전환하는 상기 바람 차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는 기능적으로 상기 바람 차단부와 연장부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바람 차단부의 전/후단에는 상기 수직/수평 고정 핀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 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람 차단부와는 동일한 구조물에 있으나 상기 바람 차단부는 상기 연통부재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통부재 안에 있는 부분이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람 차단부가 외부로 돌출될 경우에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과,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를 상기 연통부재 안에서 전/후로 이동할 경우 사용되는 이동용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 차단부의 전/후단에는 상기 수직/수평 고정 핀이 설치되는 설치 홈이 형성이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고정 핀 설치 홈은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형성부에 형성이 되고, 상기 수직 고정 핀 설치 홈은 상기 바람 차단부의 상/하판 중앙에 형성이 된다.
수평바람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는 경우는,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 상/하로 상기 수평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평 설치부를 설치하여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에 상기 수직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직 설치부를 고정되게 구성한다. 수평바람이 불면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은 고정이 된다. 이러한 경우 수평바람은 건축물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또한 수직바람이 불어오는 경우는 상기 수평 고정 핀에 설치된 상기 바람 차단천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이 되어서 수직바람의 인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이 된다.
수평바람을 이용한 내부공기의 배출은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 상/하로 상기 수평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평 설치부를 설치하여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에 상기 수직 고정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바람 차단천의 상기 수직 설치부를 고정되게 구성한다. 수평바람이 불면 상기 바람 차단부 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이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바람 차단부 후단의 상기 바람 차단천은 고정이 된다. 이러한 경우 수평바람은 건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축물 내부와의 압력의 차이가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 발생한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인입과 배출 구성의 차이가 더욱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상기 수평 고정 핀에는 Stopper를 설치할 수가 있어 사용자가 최적의 인입 및 배출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 차단천은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에 강한 압력을 줄 수가 있으므로 중간은 분리가 되는 구조로 형성이 되어 일정한 풍압이 형성이 되면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재의 후단에는 인입되는 외부공기 내의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필터부재의 정착이 가능한 상기 필터부재 설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설치 홈은 옆에서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밀어서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의 필터는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이 필터의 격자구조에 충돌한 이후에 다시 인입 바람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다.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격자구조를 미세하게 하면 바람의 통기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상기 필터부재 격자구조의 외부는 수분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도포가 되어 있는 상기 수분 충진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수분을 주입하면 미세 이물질이 수분 충진부와 충돌할 때, 상기 수분 충진부에 흡착이 되어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인접한 상기 연통부제에 의한 간섭으로 취부의 불편함이 발생 가능하므로, 격자구조 중앙에 90도로 접히는 부분을 두어서 취급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수분의 공급은 외부에서 분사하는 방식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통상의 엔지니어의 생각이나 종래의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날씨의 급변(태풍,강풍 등등)이나 야간에 필요가 없을 경우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를 상기 연통부재 안쪽으로 후진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창문틀의 뒤편으로 빠지게 되어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의 모든 부품은 전부 조립이 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창문의 크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그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고, 부피가 혁신적으로 줄어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동력의 사용 없이 수평바람을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여 통기성을 높여서 여름철에는 냉방비 절감효과가 있고, 수평바람을 이용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축물 내부의 공기정화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충진부가 있는 상기 필터부재를 사용하므로 외부공기 내의 황사 등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가 있고, 다양한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내부의 환경을 조절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품이 사용자와 설치 환경에 맞게 크기와 배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든 부품이 조립이 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이러한 조립형태로 되어 있어서 제품의 부피를 혁신적으로 줄어들게 하여 물류비가 절감되어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를 사시도
도 2는 외부설치부재의 완성된 사시도
도 3은 배치부 사시도 및 조립도와 외부설비부 조립도
도 4는 외부설치부의 각 프레임 도면
도 5는 외부설치부 각 프레임의 연결 도면
도 6은 연통부재의 사시도와 조립도
도 7은 연통부재에 필터부재 설치도와 연통부재의 배치부 설치도
도 8은 바람 인입/배출부재의 사시도와 조립도
도 9는 바람 차단천의 구조와 설치 사시도
도 10은 수평바람이 바람 인입/배출부재로 인입되는 사시도와 연통부재 결합도
도 11은 수평바람에 의한 인입 및 배출과정 도면
도 12는 필터부재 사시도와 배치부에 설치된 도면
도 2는 외부설치부재의 완성된 사시도
도 3은 배치부 사시도 및 조립도와 외부설비부 조립도
도 4는 외부설치부의 각 프레임 도면
도 5는 외부설치부 각 프레임의 연결 도면
도 6은 연통부재의 사시도와 조립도
도 7은 연통부재에 필터부재 설치도와 연통부재의 배치부 설치도
도 8은 바람 인입/배출부재의 사시도와 조립도
도 9는 바람 차단천의 구조와 설치 사시도
도 10은 수평바람이 바람 인입/배출부재로 인입되는 사시도와 연통부재 결합도
도 11은 수평바람에 의한 인입 및 배출과정 도면
도 12는 필터부재 사시도와 배치부에 설치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부설치부재(200), 연통부재(300), 바람 인입/배출부재(400), 그리고 필터부재(500)로 구성이 된다. 전체 사시도(100)는 전체가 조립/완성된 형태이다.
상기 외부설치부재(200)는 창문이나 베란다의 일정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부재(300)나 상기 필터부재(500)가 배치되도록 구성이 된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는 상기 외부설비부재(200)에 배치되는 상기 연통부재(300)에 장착되어, 바람 차단부(401-a)를 통하여 수평바람이 불면 외부공기를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거나, 반대로 설치가 되면 수평바람은 건축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축물 내부와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때 발생한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이 된다.
상기 필터부재(500)은 상기 연통부재(300)에 배치되어 외부공기가 내부로 인입될 경우에 미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다. 통상의 필터와 다른 점은 격자구조 위에 수분 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도포 되어 있는 수분 충진부가 있어서, 상기 수분 충진부에 미세 이물질이 충돌하는 경우 상기 수분 충진부에 미세 이물질이 흡착되어 미세 이물질이 인입되는 바람을 타고 필터를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이 된다.
상기 외부설치부재(200)는 상기 연통부재(300)가 배치되는 배치부(203)와 상기 배치부가 설치되는 외부설치부(205)로 구성이 된다. 상기 배치부(203)는 필요시 상기 필터부재(500)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배치부 연결사시도/세부도(201/202)는 여러 개의 배치부가 조립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치부(203)의 조립도 사시도(204)에서 보듯이, 상기 배치부(203)는 상하가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부에는 다른 배치부의 하부 연결 홈(204-f)과 결합하는 배치부 하부 연결 레일(204-a)이 형성이 되고, 상기 연통부재(300)가 설치되도록 하는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204-b)이 좌/우로 형성이 된다. 상기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204-b)은 상/하로 관통이 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연통부재(300)를 고정할 수 있는 연통부재 지지대(204-c) 설치를 위한 지지대 고정 핀(204-d)을 설치하는 지지대 설치 홈(204-g)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가 되면 지지대 고정 너트(204-e)로 고정이 된다.
상기 연통부재 지지대(204-c)는 상기 지지대 설치 홈(204-g)에 맞추어 놓고 상기 지지대 고정 핀(204-d)을 관통 시킨 다음에 상기 지지대 고정 너트(204-e)로 고정한다.
상기 외부설치부 조립 사시도(205)와 상기 외부설치부 상세 조립 사시도(206)는 상기 배치부(203)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외부설비부(205)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좌/우 프레임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 외부설치부 상부 프레임(207)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 프레임(207)은 좌측 프레임(207-a), 중앙 프레임(207-b), 우측 프레임(207-c) 및 단독 프레임(207-d)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프레임(207-a/207-c)의 끝단은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두께 d1 만큼 더 크게 제작이 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207-b)은 상기 d1부분이 없고 좌/우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이 된다. 각 프레임에는 동일하게 3개의 관통 홈(207-e)이 형성이 된다. 상기 관통 홈(207-e)는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용 볼트/너트(207-f)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연결고리를 정착하는데 이용이 된다.
상기 배치부(203) 하나만을 단독으로 정착하는 경우는 상기 단독 프레임(207-d)이 사용이 되는데 상기 단독 프레임(207-d)는 좌/우에 동일하게 d1 두께 만큼 더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각 프레임은 상기 관통 홈(207-e)과 상기 연결용 볼트/너트(207-f)에 의해서 연결이 되는데, 상기 관통 홈(207-e)의 하부는 상기 연결용 볼트(207-f)의 머리 부분과 반대 형성을 하고 있어서 조립시 요철부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외부설치부 좌/우 프레임(208)은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프레임(208)은 3개의 상기 상부 프레임 관통 홈(207-e)과 동일한 관통 홈이 3개 형성이 되어 있다.
상기 외부설치부 하부 프레임(209)는 상기 배치부(203)의 하부가 배치되는 곳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07)은 좌측 프레임(209-a), 중앙 프레임(209-b), 우측 프레임(209-c) 및 단독 프레임(209-d)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프레임(209-a/209-c)의 끝단은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두께 d1 만큼 더 크게 제작이 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209-b)은 상기 d1부분이 없고 중앙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이 된다. 각 프레임에는 동일하게 3개의 관통 홈(207-e)이 형성이 되나 두께는 d2로 크기가 d1가 차이가 있다. 상기 관통 홈(207-e)는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용 볼트/너트(207-f)를 이용하여 연결하는데 크기는 d2에 의해서 결정이 되고, 연결고리를 정착하는데 이용이 된다.
상기 배치부(203) 하나만을 단독으로 정착하는 경우는 상기 단독 프레임(209-d)이 사용이 되는데 상기 단독 프레임(209-d)는 좌/우에 동일하게 d1 두께 만큼 더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상부 우측 프레임(207-c)과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결합 도면(210)에서 보듯이, 두 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모서리 연결판(210-a)이 설치가 되고, 상기 상부 우측 프레임(270-c)과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상기 관통 홈(207-e)을 통과한 상기 연결용 볼트(207-f)가 상기 모서리 연결판(210-a)의 홈으로 돌출이 되면 상기 연결용 너트(207-f)에 의해서 조립이 된다. 중앙의 상기 관통 홈(207-e)에 설치된 상기 연결용 볼트(207-f)에는 상기 연결고리(210-b)가 장착되어 상기 외부설치부재(200)를 창문이나 베란다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우측 프레임(209-c)과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결합 도면(211)은 상기 상부 우측 프레임(207-c)과 상기 좌/우 프레임(208)의 결합 도면(210)과 동일하다.
상기 상부 중앙 프레임(207-b)과 다른 중앙 프레임을 연결하는 도면(212)을 보면 두 프레임이 인접하게 설치되고, 일측의 좌측과 타측 프레임의 우측의 상기 관통 홈(207-e)으로 상기 연결용 볼트(207-f)가 돌출되고, 이 돌출된 상기 연결용 볼트(207-f)에 수평 연결판(212-a)의 홈이 배치가 되고, 상기 연결용 너트(207-f)로 고정하게 된다. 중앙의 상기 관통 홈(207-e)에 설치된 상기 연결용 볼트(207-f)에는 상기 연결고리(210-b)가 장착되어 상기 외부설치부재(200)를 창문이나 베란다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중앙 프레임(209-b)과 다른 중앙 프레임과의 설치 도면(213)은 상부 프레임과의 조립방법이 동일하다. 상기 연결고리(210-b)를 많이 추가하기 위해서 프레임을 더 짧게 하여 상기 연결고리(210-b)의 설치 개수를 늘릴 수 있다.(미도시)
상기 연통부재의 조립 사시도(301)에서 보면 상기 연통부재(300)는 상/하판(301-a)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이 되며, 상기 상/하판(301-a)의 좌우에는 좌/우판(301-b)의 상/하판 설치 홈(301-d)를 따라서 조립이 되도록 좌/우판 설치 레일 돌기(30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판(301-a)에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장착될 때 움직이게 하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 가이드 레일(301-f)이 형성이 되고, 상기 필터부재(500)가 설치되도록 상기 필터부재 설치 홈(301-h)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된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뒤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핀(미도시)을 설치하는 밀림 방지용 고정 핀 고정 홈(301-i)이 하판에 형성이 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재 좌/우판(301-b)은 좌/우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우판이 좌판보다 상기 필터부재(500)의 두께 만큼 짧게 형성이 되어서 상기 필터부재(500)를 상기 필터부재 설치 홈(301-h)을 따라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어서 설치시에, 좌판에 상기 필터부재(500)가 걸려서 밀려 나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에 강한 풍압이 형성될 경우, 이 압력에 의해서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 돌기(30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통부재 좌/우판(301-b)의 전면에는 상기 배치부에 설치가 되도록 상기 배치부 설치 레일 돌기(301-e)가 형성이 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500)가 상기 연통부재(300)에 설치되는 사시도(302)와 상기 연통부재(300)가 상기 배치부(203)에 배치되는 사시도(303)이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의 상/하판(400-a)은 상/하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은 물리적으로 하나도 연결되어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바람 차단부(401-a)와 좌/우판(400-b)가 설치되는 연장부(401-b)로 구분이 된다. 상기 상/하판(400-a)의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좌/우 끝단에는 전/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400-e)이 형성이 되는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형성부(400-c)가 있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의 상기 상/하판(400-a)의 바닥면 중앙에는 전/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400-g)이 형성이 되어 있고, 상기 상/하판(400-a)의 밑바닥에는 상기 연통부재(300)에 설치되도록 하는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400-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401-b)의 후단에는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를 설치하기 용이하게 이동용 손잡이(400-i)가 설치된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의 조립 사시도(401)의 상기 바람 차단부(401-a)는 상기 연통부재(300) 밖으로 나가며, 상기 연장부(401-b)는 상기 연통부재(300) 안에 있어서 무게 중심을 맞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람 차단천(402-a)의 전체 설치 사시도(402)에서 보면, 상기 바람 차단천(402-a)은 2개의 차단 천과 3개의 고정 핀에 의해서 상기 바람 차단부에 설치가 된다.상기 바람 차단천(402-a)은 크기가 변하지 않는 고정형 천(402-b)과 이동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수축/팽창형 천(402-c), 그리고 이 두 천을 붙이고 이상 기후(태풍, 강풍 등등)에 의해 강한 풍압이 상기 바람 차단천(402-a)에 인가될 때, 상기 고정형 천(402-b)과 상기 수축/팽창형 천(402-c)을 분리하여 구조물 파괴를 막아주는 분리용 찍찍이(402-d)로 구성이 된다.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이 설치되는 상기 수직 설치부(402-e)는 중력에 의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강관 형태로 형성이 되고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은 고정 너트(402-g)에 의해 고정이 된다.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 설치부(402-h)는 좌/우로 움직이기 용이하게 고리 형상을 하고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은 고정 너트(402-k)에 의해 고정이 된다.
바람을 인입하는 경우는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에 상기 수직 설치부(402-e)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전단에 있는 상기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에 설치를 하고,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에 상기 수평 설치부(402-h)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후단에 있는 상기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e)에 상/하로 설치한다. 바람을 배출하는 경우는 위의 경우와 반대로 설치한다.
상기 바람 차단천(402-a)이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에 설치되어 바람을 인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403)와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가 상기 연통부재(300)에 설치되는 사시도(404)이다.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에서 바람의 인입 및 배출과정을 나타낸 도면(405)에서 보면, 바람의 인입 과정(405-a)에서는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에 상기 수직 설치부(402-e)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전단에 있는 상기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에 설치를 하고,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에 상기 수평 설치부(402-h)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후단에 있는 상기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e)에 상/하로 설치 고정한다. 이때에 수평 바람이 불어 오면 상기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에 설치된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의 상기 수직 설치부(402-e)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후단에 있는 상기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e)에 설치된 상기 수평 설치부(402-h)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수평바람을 수직바람을 변경하여 건축물 내부로 들어오게 한다.
수평바람에서 수직바람으로 변경이 되면(405-b), 상기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에 설치된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의 상기 수직 설치부(402-e)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후단에 있는 상기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e)에 설치된 상기 수평 설치부(402-h)는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수직 바람을 받으면 원래 상태로 돌아가서 수직바람이 원활하게 통기가 된다.
수평바람에 의한 배출 과정(405-c)에서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에 상기 수직 설치부(402-e)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후단에 있는 상기 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g)에 설치를 하고,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에 상기 수평 설치부(402-h)를 끼운 다음에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전단에 있는 상기 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에 상/하로 설치 고정한다. 이때에 수평 바람이 불어 오면 상기 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g)에 설치된 상기 수직 고정 핀(402-f)의 상기 수직 설치부(402-e)는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바람 차단부(401-a)의 전단에 있는 상기 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에 설치된 상기 수평 설치부(402-h)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수평바람을 수직바람을 변경하여 건축물 외부로 밀어 내게 된다. 이때에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 고정 핀(402-i)에 Stopper(미도시)를 설치하면 원하는 배출 조건을 만들 수가 있다.
상기 필터부재(500)의 필터 구조는 일반적인 방충망의 형태에 수분을 충진하는 물질이 도포된 형태(500-a: 상세 도해는 미도시)이며,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90도로 접히게 하기 위한 90도 회전 축(500-b)과 상기 두 부분을 연결하는 장석(500-c)로 구성이 된다.
상기 배치부(203)에 상기 연통부재(300) 대신에 상기 필터부재가 설치된 형태(501)이다.
본 발명은 동력의 사용 없이 기계적인 장치로 수평바람의 방향을 바꾸어서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거나, 수평바람이 상기 바람 차단천(402-a)에 의해 건축물 밖으로 나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의 차이로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오직 기계적인 장치만으로도 환기가 가능하다.
상기 필터부재(500)를 설치함으로써, 수분을 가지고 있는 상기 수분 충진부가 인입공기 내의 미세 이물질을 일반 필터보다 훨씬 잘 제거하므로 건강에 도움이 되고, 건축물 내부의 가습효과 및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실내 환경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부품이 조립이 되는 형태로 구성이 되어, 크기가 다양한 창문이나 베란다에 낭비 없이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형태로 만들어져서 운송비의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인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전체 사시도 200 : 외부설치부재 사시도
201 : 배치부 연결 사시도 202 : 배치부 연결 세부도
203 : 배치부 사시도 204 : 배치부 조립 사시도
204-a : 배치부 하부 연결 레일 204-b :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
204-c : 연통부재 지지대 204-d : 지지대 고정 핀
204-e : 지지대 고정 너트 204-f : 배치부 상부 연결 홈
204-g : 지지대 설치 홈 205 : 외부설치부 조립 사시도
206 : 외부설치부 상세 조립도 207 : 외부설치부 상부 프레임
207-a : 상부 좌측 프레임 단면도 207-b : 상부 중앙 프레임 단면도
207-c : 상부 우측 프레임 단면도 207-d : 상부 단독 프레임 단면도
207-e : 관통 홈 207-f : 연결용 볼트/너트
208 : 외부설치부 좌/우 프레임 209 : 외부설치부 하부 프레임
209-a : 하부 좌측 프레임 단면도 209-b : 하부 중앙 프레임 단면도
209-c : 하부 우측 프레임 단면도 210 : 우/상부 프레임 연결도
210-a : 모서리 연결판 210-b : 연결 고리
211 : 우/하부 프레임 연결도 212 : 상부 프레임 연결도
212-a : 수평 연결판 213 : 하부 프레임 연결도
300 : 연통부재 사시도 301 : 연통부재 조립 사시도
301-a : 연통부재 상/하판 301-b : 연통부재 좌/우판
301-c : 좌/우판 설치 레일 돌기 301-d : 상/하판 설치 홈
301-e : 배치부 설치 레일 돌기
301-f : 바람 인입/배출부재 설치 가이드 레일
301-g : 바람 인입/배출부재 걸림 돌기
301-h : 필터부재 설치 홈
301-i : 바람 인입/배출부재 밀림 방지용 고정 핀 고정 홈
302 : 필터부재 조립 사시도 303 : 연통부재 배치부 설치도
400 : 바람 인입/배출부재 사시도 400-a : 바람 인입/배출부재 상/하판
400-b : 바람 인입/배출부재 좌/우판 400-c :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형성부
400-d : 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400-e :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400-f :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 400-g : 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
400-h :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 400-i : 이동용 손잡이
401 : 바람 인입/배출부재 조립 사시도
401-a : 바람 차단부 401-b : 연장부
402 : 바람 차단천 설치 사시도 402-a : 바람 차단천
402-b : 고정형 천 402-c : 수축/팽창형 천
402-d : 분리용 찍찍이 402-e : 수직 설치부
402-f : 수직 고정 핀 402-g : 고정 너트
402-h : 수평 설치부 402-i : 수평 고정 핀
402-k : 고정 너트 403 : 바람 인입 사시도
404 : 연통부재 설치 사시도 405 : 인입/배출시 공기 이동 도면
405-a : 수평바람 인입 상태 405-b : 수평에서 수직바람 변경 상태
405-c : 수평바람에 의한 내부공기 배출 상태
500: 필터부재 사식도 500-a : 수분 충진 격자구조
500-b : 90도 회전 축 500-c : 장석
501 : 필터부재 배치부 결합도
201 : 배치부 연결 사시도 202 : 배치부 연결 세부도
203 : 배치부 사시도 204 : 배치부 조립 사시도
204-a : 배치부 하부 연결 레일 204-b :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
204-c : 연통부재 지지대 204-d : 지지대 고정 핀
204-e : 지지대 고정 너트 204-f : 배치부 상부 연결 홈
204-g : 지지대 설치 홈 205 : 외부설치부 조립 사시도
206 : 외부설치부 상세 조립도 207 : 외부설치부 상부 프레임
207-a : 상부 좌측 프레임 단면도 207-b : 상부 중앙 프레임 단면도
207-c : 상부 우측 프레임 단면도 207-d : 상부 단독 프레임 단면도
207-e : 관통 홈 207-f : 연결용 볼트/너트
208 : 외부설치부 좌/우 프레임 209 : 외부설치부 하부 프레임
209-a : 하부 좌측 프레임 단면도 209-b : 하부 중앙 프레임 단면도
209-c : 하부 우측 프레임 단면도 210 : 우/상부 프레임 연결도
210-a : 모서리 연결판 210-b : 연결 고리
211 : 우/하부 프레임 연결도 212 : 상부 프레임 연결도
212-a : 수평 연결판 213 : 하부 프레임 연결도
300 : 연통부재 사시도 301 : 연통부재 조립 사시도
301-a : 연통부재 상/하판 301-b : 연통부재 좌/우판
301-c : 좌/우판 설치 레일 돌기 301-d : 상/하판 설치 홈
301-e : 배치부 설치 레일 돌기
301-f : 바람 인입/배출부재 설치 가이드 레일
301-g : 바람 인입/배출부재 걸림 돌기
301-h : 필터부재 설치 홈
301-i : 바람 인입/배출부재 밀림 방지용 고정 핀 고정 홈
302 : 필터부재 조립 사시도 303 : 연통부재 배치부 설치도
400 : 바람 인입/배출부재 사시도 400-a : 바람 인입/배출부재 상/하판
400-b : 바람 인입/배출부재 좌/우판 400-c :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형성부
400-d : 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400-e : 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400-f : 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 400-g : 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
400-h :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 400-i : 이동용 손잡이
401 : 바람 인입/배출부재 조립 사시도
401-a : 바람 차단부 401-b : 연장부
402 : 바람 차단천 설치 사시도 402-a : 바람 차단천
402-b : 고정형 천 402-c : 수축/팽창형 천
402-d : 분리용 찍찍이 402-e : 수직 설치부
402-f : 수직 고정 핀 402-g : 고정 너트
402-h : 수평 설치부 402-i : 수평 고정 핀
402-k : 고정 너트 403 : 바람 인입 사시도
404 : 연통부재 설치 사시도 405 : 인입/배출시 공기 이동 도면
405-a : 수평바람 인입 상태 405-b : 수평에서 수직바람 변경 상태
405-c : 수평바람에 의한 내부공기 배출 상태
500: 필터부재 사식도 500-a : 수분 충진 격자구조
500-b : 90도 회전 축 500-c : 장석
501 : 필터부재 배치부 결합도
Claims (7)
- 창문이나 베란다에 설치되어, 수평바람을 건축물 내부로 인입하거나 또는 수평바람이 건축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차압에 의해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에 있어서,
연통부재(300)가 배치되는 배치부(203);
상기 연통부재(300)에 설치되어 수평바람을 인입하거나 또는 내부공기를 배출하는 바람 인입/배출부재(400);
상기 연통부재(300)의 후단에 설치되고, 미세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수분 충진부가 있는 필터부재(500);
상기 배치부(203)에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설치된 상기 연통부재(300)가 장착된 다음에 창문이나 베란다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하게 하는 외부설치부재(200);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500)는
수분을 흡수하여 미세 이물질 제거 및 가습 효과와 기능성 방향제를 사용하여 건축물 내부의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수분 충진 격자구조(500-a);
상기 필터부재(500)의 취급성을 좋게 하기 위한 90도 회전축(500-b);
상기 90도 회전축(500-b)과 좌/우판을 연결하는 장석(500-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설치부재(200)는 상기 배치부(203)와 조립된 상기 배치부(203)를 고정하고 창문이나 베란다의 구조물에 설치가능하게 하는 외부설치부(2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설치부(205)는 조립 가능하도록 상부, 좌/우, 하부 프레임(207,208,209);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을 연결가능하게 하는 관통 홈(207-e)과 연결용 볼트/너트(207-f);
상기 관통 홈에 대응하여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판(210-a)과 수평 연결판(212-a), 그리고 상기 외부설치부(205)를 창문이나 베란다의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연결고리(210-b);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재(300)가 조립 되도록 하는, 상/하판(301-a)과 좌/우판(301-b);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창문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301-g);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이동하도록 하는 바람 인입/배출부재 가이드 레일(301-f);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용 고정 핀 고정 홈(301-i);
상기 필터부재(500)를 설치가능하게 하는 필터부재 설치 홈(301-h);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는 조립 가능하도록 상/하판(400-a)와 좌/우판(400-b);
물리적으로는 하나이나 기능적으로 다른 바람 차단부(401-a)와 연장부(401-b);
바람 차단천(402-a)을 설치가능하게 하는 전/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400-e)과 전/후면 수직 고정 핀 설치 홈(400-f/400-g);
상기 전/후면 수평 고정 핀 설치 홈(400-d/400-e)이 형성되도록 하는 수평 고정 핀 설치 홈 형성부(400-c);
상기 연통부재(300)가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 가이드 레일(301-f)에 대응하는 연통부재 설치 가이드 홈(400-h);
상기 바람 인입/배출부재(400)를 이동하기 편하기 하는 이동 손잡이(400-i);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차단천(402-a)은 크기가 변화가 없는 고정형 천(402-b)과 수평바람에 의해 이동하면서 크기가 변하는 수축/팽창형 천(402-c), 그리고 이 두 천을 연결하고 강풍에서는 분리가 되는 분리용 찍찍이(402-d);
상기 바람 차단천(402-a)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부분에서는 중력에 의해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수직 설치부(402-e);
상기 바람 차단천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수평 설치부(402-h);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807A KR101374324B1 (ko) | 2011-11-15 | 2011-11-15 |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807A KR101374324B1 (ko) | 2011-11-15 | 2011-11-15 |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188A KR20130053188A (ko) | 2013-05-23 |
KR101374324B1 true KR101374324B1 (ko) | 2014-03-17 |
Family
ID=4866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807A KR101374324B1 (ko) | 2011-11-15 | 2011-11-15 |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432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733A (ja) * | 1992-11-02 | 1994-05-27 | Fumi Tec:Kk | 自然換気設備用フィルタ |
JP2004116954A (ja) * | 2002-09-27 | 2004-04-15 | Max Co Ltd | 換気装置 |
JP2007509266A (ja) * | 2003-10-29 | 2007-04-12 | リー,ビョン−ス | 空気自動浄化窓 |
KR100961998B1 (ko) * | 2008-01-24 | 2010-06-08 |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무동력 자연환기 창문 |
-
2011
- 2011-11-15 KR KR1020110118807A patent/KR1013743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733A (ja) * | 1992-11-02 | 1994-05-27 | Fumi Tec:Kk | 自然換気設備用フィルタ |
JP2004116954A (ja) * | 2002-09-27 | 2004-04-15 | Max Co Ltd | 換気装置 |
JP2007509266A (ja) * | 2003-10-29 | 2007-04-12 | リー,ビョン−ス | 空気自動浄化窓 |
KR100961998B1 (ko) * | 2008-01-24 | 2010-06-08 | 울산과학대학 산학협력단 | 무동력 자연환기 창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188A (ko) | 2013-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2850Y1 (ko) |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 |
KR20100120147A (ko) | 에어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룸 | |
CN106545284A (zh) | 百叶窗装置 | |
KR101143268B1 (ko) |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 |
CN202885059U (zh) | 一种用于油烟机的出风装置 | |
CN208198419U (zh) | 一种轨道车辆用防尘防水进风格栅 | |
CN204782567U (zh) | 一种防霾推拉窗 | |
CN106642387A (zh) | 一种空气净化器 | |
KR101374324B1 (ko) | 조립식 무동력 환기장치 | |
DE102006043936B4 (de) | Belüftung einer Windenergieanlage | |
CN208168717U (zh) | 一种组合式百叶窗 | |
JP4691172B2 (ja) | 換気フード | |
KR101211154B1 (ko) | 환풍기능을 구비한 창호 | |
KR101995119B1 (ko) |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 |
KR101971168B1 (ko) |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 |
CN201596419U (zh) | 窗式自然通风过滤装置 | |
KR101360504B1 (ko) | 필터링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환기장치 | |
CN202419877U (zh) | 新风箱 | |
KR200305712Y1 (ko) |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 |
KR101858541B1 (ko) | 수평설치형 환풍기 | |
JPH112445A (ja) | 室内空気の換気システム | |
DE4226634C2 (de) | Entlüftungsgerät | |
KR200384769Y1 (ko) | 통풍장치 | |
CN205976129U (zh) | 建筑型材及换气系统机组 | |
KR20240125146A (ko) | 환기 효율이 향상된 환기구 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