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185B1 -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185B1
KR101374185B1 KR1020130002105A KR20130002105A KR101374185B1 KR 101374185 B1 KR101374185 B1 KR 101374185B1 KR 1020130002105 A KR1020130002105 A KR 1020130002105A KR 20130002105 A KR20130002105 A KR 20130002105A KR 101374185 B1 KR101374185 B1 KR 10137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test
fixed
load cell
tes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두
김장용
강복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6Means for assembling, fitting or testing prostheses, e.g. for measuring or balancing, e.g. alignment means
    • A61F2002/7615Measuring means
    • A61F2002/7635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의 기본 물성인 인장, 굽힘, 방사압축 모두를 테스트할 수 있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스트 챔버(100)와; 히팅부(210)가 수납되며, 상기 테스트 챔버와 관로(211)(212)에 의해 연통되는 온도조절 챔버(200)와; 반원호 형상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동심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라인(111)과, 이 가이드라인(111)의 지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포지션 홀(112)을 갖는 템플레이트(110)와; 상기 템플레이트(110) 상부에 마련되어 스텐트(S)에 인가된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121)을 포함하는 로드셀유니트(120)와; 상기 테스트 챔버(100) 내에서 스텐트(S)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홀더유니트(130)와; 상기 테스트 챔버(100) 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부(140)를 포함하여, 인장, 굽힘 및 방사압축에 대해 각 전용의 홀더유니트만을 교체 사용하여 하나의 측정장비에서 모든 테스트가 가능하여 스텐트의 효율적인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Stent test equipment for elongation, bending and radial compression of a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텐트의 기본 물성인 인장, 굽힘 및 방사압축 모두를 테스트할 수 있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는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혈관이나 담즙트랙, 식도 등과 같은 내강의 협착된 부위에 삽입되어 내강의 통로를 확보하므로써 원활한 신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텐트는 다양한 구조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원통형상의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그 기능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굽혀져 자체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부재에 의해 외력을 가하면 일시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지만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기능을 가지는 탄성스텐트와, 일정한 소성을 발휘하는 와이어부재에 의해 일단 외력을 가하게 되면 자체 소성으로 인해 팽창 또는 수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소성스텐트로 대분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삽입되는 인체의 내강에 따라 더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며, 예를 들어, 신체구조상 위와 식도의 연결부에는 분문괄약근이 있어 투입된 음식물 또는 유체 등의 역류를 방지해주며, 이 부위에 스텐트를 설치하면 분문괄약근이 그 기능을 상실하므로, 상기부위에 적용되는 스텐트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음식물이나 유체 등의 역류에 의해 의료적 부작용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스텐트는 혈관에 삽입되면 통상적으로 10~20년 정도를 사용하게 되며, 스텐트의 수명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자주 스텐트를 삽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의 내구성을 미리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써 스텐트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스텐트 내구성 테스트 장치가 등록특허 제10-1111097호(등록일자: 2012.01.25)(이하, "종래기술문헌"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문헌은 유체를 이용하여 튜브 구조의 스텐트 내에 압력을 가하여 인체환경(혈관)과 동일한 조건을 조성하며, 스텐트 양단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스텐트에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스텐트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기를 포함하여 인체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스텐트의 저항을 측정하여 스텐트의 파괴 시점을 측정하여 내구성 시험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내구성 테스트 이외에도 스텐트는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내강을 팽창시켜 주기 위한 팽창성, 내강의 굽어진 부위에서 내강의 굽어진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일정한 직경으로 축소되기 위한 축소성 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텐트의 기본 물성인 인장, 굽힘 및 방사압축 테스트 모두를 하나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수행이 가능한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는, 테스트 챔버와; 히팅부가 수납되며, 상기 테스트 챔버와 관로에 의해 연통되는 온도조절 챔버와; 반원호 형상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동심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라인과, 이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포지션 홀을 갖는 템플레이트와; 상기 템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어 스텐트에 인가된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하는 로드셀유니트와; 상기 테스트 챔버 내에서 스텐트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홀더유니트와;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부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스텐트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포지션 홀에 고정이 가능하여 상기 로드셀과 함께 스텐트 양단이 지지되어 스텐트의 인장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스텐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1랙기어부와; 상기 로드셀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제1랙기어부와 나란하게 직선 운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1랙기어부와 함께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2랙기어부를 포함하여 스텐트의 굽힘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상기 포지션 홀에 고정 설치된 두 개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롤러와; 박막필름으로써 일단이 상기 가이드롤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셀과 고정되는 벨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된 스텐트를 상기 벨트부가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텐트에 대한 방사압축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가이드롤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는, 스텐트의 기본 물성인 인장, 굽힘 및 방사압축에 대해 각 전용의 홀더유니트만을 교체 사용하여 하나의 측정장비에서 모든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텐트의 효율적인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텐트의 인장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서 스텐트 지그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텐트의 굽힘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텐트의 방사압축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는 스텐트의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테스트 챔버(100)와, 이 테스트 챔버(100)와 관로(211)(212)에 의해 연결되어 테스트 챔버(100)의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온도조절 챔버(200)를 포함한다.
테스트 챔버(100)와 온도조절 챔버(200)는 모두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함체구조로 제공되며, 온도조절 챔버(200) 내부에는 히팅부가 마련되어 히팅부의 조작에 의해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히팅부로써 히팅코일(210)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주지의 수단(열전소자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테스트 챔버(100) 내부에 히팅부가 마련되어 테스트 챔버(100)에 대해 직접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온도조절 챔버(20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완만하게 테스트 챔버(100)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테스트 챔버(100) 내부 조건이 급격히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조건(온도, 습도 등) 하에서 테스트가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테스트 챔버(100)는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부(151)를 포함하며, 온도검출부(151)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기록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출력부(152)를 통해 측정 온도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온도검출부 이외에도 테스트 챔버의 습도를 검출하여 측정된 습도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 부가될 수도 있으며, 이때 습도 출력수단은 측정 온도를 출력하는 출력부(152)와 공통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테스트 챔버(100)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써, 템플레이트(110), 로드셀유니트(120), 홀더유니트를 더 포함한다.
도 2의 (a)를 참고하면, 템플레이트(110)는 넓은 장방형의 플레이트에 의해 제공되며, 반원호 형상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동심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라인(111)과, 이 가이드라인(111)의 지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포지션 홀(112)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라인(111)은 템플레이트(110)에 인입 형성된 반원호 형상의 장공 요홈에 의해 제공됨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가이드라인(111)들과 포지션 홀(112)들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며, 예를 들어 포지션 홀(112)은 5mm 간격으로 마련되어 인장테스트 시에 스텐트의 신축 또는 신장 간격은 5m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라인과 포지션 홀의 간격은 테스트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 결정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이 이외의 가이드라인(111)에 다수의 제2포지션 홀(111a)이 등각도로 배치되어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제2포지션 홀(111a)은 인장력과 굽힘력(bending)을 동시에 테스트하게 되는 복합응력 테스트에서 이용될 수 있다.
로드셀유니트(120)는 템플레이트(110) 상부에 마련되어 스텐트(S)에 인가된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121)과, 이 로드셀(121)에서 검출된 하중을 출력하기 위한 로드셀 출력부(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로드셀(121)은 인장 또는 방사압축 테스트에 따라서 그 설치 위치가 다르며, 굽힘(bending) 테스트 시에는 스텐트(S)를 가압하도록 가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인장 또는 방사압축 테스트 시에 로드셀(121)은 템플레이트(110) 상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며, 이때 템플레이트(110) 상부에 로드셀(121)의 고정은 주지의 볼트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로드셀(121)과 템플레이트(110)가 서로 끼워 고정이 가능한 조립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로드셀(121)은 로드셀 하우징에 수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로드셀 하우징은 템플레이트와 조립되어 고정이 가능한 볼트 조립용 홀, 또는 템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한 요홈 또는 돌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로드셀은 로드셀 하우징에 수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로드셀 하우징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로드셀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테스트 챔버(100), 템플레이트(110), 로드셀유니트(120) 및 온도조절 챔버(200)는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에 공통적으로 동일하게 기능하는 구성인 반면에, 다음에서 설명하게 되는 홀더유니트는 인장, 굽힘 또는 방사압축 테스트에 따라서 다른 구성을 가질 수가 있으며, 이하 인장, 굽힘 및 방사압축 테스트의 순서로 홀더유니트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각 테스트 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도 2의 (a)(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인장용 홀더유니트(130)는 스텐트(S) 일단을 고정하여 템플레이트(110)의 포지션 홀(112)에 고정이 가능하여 로드셀(121)과 함께 스텐트(S) 양단이 지지되어 스텐트(S)의 인장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인장용 홀더유니트(130)는 템플레이트(110)의 포지션 홀(112)에 끼워 고정이 가능한 고정돌기(미도시)가 하부에 마련되어 템플레이트(110)의 임의 포지션 홀(112)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인장용 홀더유니트(130)는 스텐트(S) 일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텐트 지그(14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에서 스텐트 지그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스텐트 지그(140)는 스텐트(S)가 삽입 고정 가능한 홀더(141)와, 홀더(141)에 고정된 스텐트(S)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고무튜브(142)와, 고무튜브(142) 외주면을 감싸면서 나사(B) 조임이 가능한 고정클램프(14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 지그(140)는 스텐트(S)를 홀더(141)에 끼워 가조립한 상태에서 고무튜브(142)를 스텐트(S)에 덧씌우며, 고무튜브(142)에 고정클램프(143)를 끼워 나사(B)를 조여서 스텐트(S)를 스텐트 지그(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S)가 조립된 스텐트 지그(140)는 다시 홀더유니트 또는 로드셀(즉, 로드셀 하우징)에 끼워 고정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스텐트 지그(140)는 인장용 홀더유니트(130)에 끼워 고정이 이루어지며, 인장용 홀더유니트(130)는 템플레이트(110)의 포지션 홀(112)에 끼워 고정되어 스텐트(S) 일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스텐트(S) 타단은 로드셀(121)에 의해 고정된다. 앞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이때 로드셀(121)은 볼트 등에 의해 템플레이트(110) 상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스텐트(S)는 템플레이트(110)의 가이드라인(111) 지름방향으로 배치되며, 인장용 홀더유니트(130)가 고정된 포지션 홀(112)의 위치에 따라서 스텐트(S)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듬으로써 로드셀(121)에서 검출된 하중값을 이용하여 스텐트(S)의 인장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텐트의 굽힘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b)를 참고하면, 굽힘용 홀더유니트(230)는, 스텐트(S) 일단이 고정되며, 가이드라인(111)의 지름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1랙기어부(231)와; 로드셀(121)이 고정되어 가이드라인(111)의 지름 방향으로 제1랙기어부(231)와 나란하게 직선 운동이 가능하되, 제1랙기어부(231)와 함께 피니언 기어(232)와 치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2랙기어부(233)를 포함하여 스텐트의 굽힘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랙기어부(231)와 제2랙기어부(233)는 피니언 기어(232)를 사이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피니언 기어(232)의 회전에 의해 제1랙기어부(231)와 제2랙기어부(23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이루어진다.
제1랙기어부(231)는 스텐트(S) 일단을 고정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1랙기어부(231)는 가이드플레이트(231a)가 마련되어 가이드플레이트(231a)에 지지되어 스텐트(S) 일단이 고정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가이드플레이트(231a)와 스텐트(S)는 앞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스텐트 지그(도 3 참고)를 매개로 하여 고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랙기어부(233)에는 로드셀(121)이 고정되고 로드셀(121)은 스텐트(S) 일단이 고정 지지되며, 이때 로드셀(121)과 스텐트(S) 사이에는 스텐트 지그가 이용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S) 양단은 각각 제1랙기어부(231)와 제2랙기어부(233)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스텐트(S)는 가이드라인(111)의 지름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가이드플레이트(231a)를 가압하게 되면, 제1랙기어부(231)의 직선 운동과 함께 피니언기어(232)가 회전하여 제2랙기어부(233)는 제1랙기어부(233)와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스텐트(S) 양단이 동일한 크기의 힘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스텐트(S)의 밴딩(bending)이 이루어지며, 이때 스텐트(S)의 밴딩 형상이 템플레이트(110)의 가이드라인(111) 곡선과 일치하도록 하고 가이드 곡선과 스텐트(S)가 일치하면 그때의 로드셀(121)의 하중값을 측정하여 스텐트(S)에 대한 굽힘탄성을 구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2랙기어부와 피니언기어가 템플레이트(110) 상부에 가동 가능하게 취부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과 같은 구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스텐트의 방사압축 테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요부 구성인 방사압축용 홀더유니트를 중심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b)는 스텐트, 가이드롤러, 벨트부 및 로드셀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5의 (a)(b)를 참고하면, 방사압축용 홀더유니트(330)는, 포지션 홀(112)에 고정 설치된 두 개의 고정블록(331)과; 고정블록(331)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롤러(332)와; 박막필름으로써 일단이 가이드롤러(332)에 고정되고 타단이 로드셀(121)과 고정되는 벨트부(333)를 포함하여, 가이드롤러(332)와 나란하게 배치된 스텐트(S)를 벨트부(333)가 감싸도록 마련되어 가이드롤러부(332)의 회전에 의해 스텐트(S)에 대한 방사압축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방사압축 테스트 시에 로드셀(121)은 가이드롤러(332)와 수직하도록 템플레이트(110)에 고정되며, 벨트부(333)의 일단은 로드셀(121)에 고정되어 스텐트(S)를 감싸면서 타단이 가이드롤러(332)에 고정된다(도 5의 (b) 참고).
따라서, 가이드롤러(332)의 회전에 의해 벨트부(333)가 가이드롤러(332)에 감기면서 스텐트(S)를 방사(radial) 방향으로 압축하게 되며, 이때 로드셀(121)에서 검출된 하중값을 이용하여 스텐트(S)의 방사압축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롤러(332)는 회전 조작을 위한 조작핸들(332a)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부(333)의 길이는 조작핸들(332a)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제어될 수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는, 인장, 굽힘, 또는 방사압축 테스트에 대해 해당하는 전용의 홀더유니트만을 교체하여 하나의 측정장치 내에서 모든 테스트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굽힘 및 방사압축 테스트 시에 외력에 의해 스텐트를 가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테스트 수행자의 직접적인 조작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전동식 또는 유공압과 같은 주지의 액츄에이터가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굽힘 테스트 시에 제1,2랙기어부의 직선 구동을 위하여 주지의 선형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방사압축 테스트 시에는 가이드롤러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테스트 챔버 바깥에 위치한 콘트롤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시험 동안에 테스트 챔버와 외부는 밀폐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정된 조건(온도, 습도)에서 시험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테스트 챔버 110 : 템플레이트
111 : 가이드라인 112 : 포지션 홀
120 : 로드셀유니트 121 : 로드셀
130 : 인장용 홀더유니트 230 : 굽힘용 홀더유니트
231 : 제1랙기어부 231a : 가이드플레이트
232 : 피니언기어 233 : 제2랙기어부
330 : 방사압축용 홀더유니트 331 : 고정블록
332 : 가이드롤러 332a : 조작핸들
333 : 벨트부 140 : 스텐트 지그
141 : 홀더 142 : 고무튜브
143 : 고정클램프 151 : 온도검출부
152 : 출력부 200 : 온도조절 챔버
S : 스텐트

Claims (5)

  1. 테스트 챔버와;
    히팅부가 수납되며, 상기 테스트 챔버와 관로에 의해 연통되는 온도조절 챔버와;
    반원호 형상으로써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동심을 갖는 다수의 가이드라인과, 이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포지션 홀을 갖는 템플레이트와;
    상기 템플레이트 상부에 마련되어 스텐트에 인가된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을 포함하는 로드셀유니트와;
    상기 테스트 챔버 내에서 스텐트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홀더유니트와;
    상기 테스트 챔버 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검출부를 포함하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스텐트 일단을 고정하여 상기 포지션 홀에 고정이 가능하여 상기 로드셀과 함께 스텐트 양단이 지지되어 스텐트의 인장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스텐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1랙기어부와;
    상기 로드셀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제1랙기어부와 나란하게 직선 운동이 가능하되, 상기 제1랙기어부와 함께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된 제2랙기어부를 포함하여 스텐트의 굽힘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니트는,
    상기 포지션 홀에 고정 설치된 두 개의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롤러와;
    박막필름으로써 일단이 상기 가이드롤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셀과 고정되는 벨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된 스텐트를 상기 벨트부가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텐트에 대한 방사압축 테스트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을 더 포함하는 스텐트 테스트용 측정장치.
KR1020130002105A 2013-01-08 2013-01-08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KR10137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105A KR101374185B1 (ko) 2013-01-08 2013-01-08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105A KR101374185B1 (ko) 2013-01-08 2013-01-08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185B1 true KR101374185B1 (ko) 2014-03-25

Family

ID=5064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105A KR101374185B1 (ko) 2013-01-08 2013-01-08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1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139A (zh) * 2014-06-27 2014-09-24 易生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血管支架系统推送性能模拟测试装置
KR20170083691A (ko) * 2016-01-08 2017-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방법 및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장치
RU2669731C1 (ru) * 2017-07-11 2018-10-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ашк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прочности коронарных стентов для возможности их установки в зоне "мышечного мост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828A (ja) 2004-03-29 2005-10-13 Yamaguchi Univ ステント力学特性測定装置
JP2008018029A (ja) 2006-07-12 2008-01-31 Univ Waseda 血管動作シミュレータ
JP2008018030A (ja) 2006-07-12 2008-01-31 Univ Waseda 血管動作シミュレータ
KR100956496B1 (ko) 2009-12-04 2010-05-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변형소자를 이용한 스텐트 피로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828A (ja) 2004-03-29 2005-10-13 Yamaguchi Univ ステント力学特性測定装置
JP2008018029A (ja) 2006-07-12 2008-01-31 Univ Waseda 血管動作シミュレータ
JP2008018030A (ja) 2006-07-12 2008-01-31 Univ Waseda 血管動作シミュレータ
KR100956496B1 (ko) 2009-12-04 2010-05-1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변형소자를 이용한 스텐트 피로시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139A (zh) * 2014-06-27 2014-09-24 易生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血管支架系统推送性能模拟测试装置
CN104062139B (zh) * 2014-06-27 2017-02-15 易生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血管支架系统推送性能模拟测试装置
KR20170083691A (ko) * 2016-01-08 2017-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방법 및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장치
KR102430430B1 (ko) 2016-01-08 2022-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방법 및 글라스 기판의 테스트 장치
RU2669731C1 (ru) * 2017-07-11 2018-10-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ашк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прочности коронарных стентов для возможности их установки в зоне "мышечного мост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185B1 (ko) 스텐트의 인장, 굽힘, 방사압축 테스트용 측정장치
JP4173515B2 (ja) 体の四肢の周方向の長さ変化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KR101440082B1 (ko) 견인장치 및 견인장치의 와이어 권취 기구
AU2020223772A1 (en) Measuring health of a connector member of a robotic surgical system
EP3575907B1 (en) Robotic arm assembly construction
ATE538724T1 (de) Antriebswelle für ein elektromechanisches chirurgisches gerät
EP3734250A1 (en) Diagnosis apparatus of assembly state
DE50303902D1 (de) Verstellbare Patientenlagerungsvorrichtung für ein Strahlentherapiesystem
US20190309887A1 (en) Fastening Device For Measuring Apparatuses On Pipes
CY1114234T1 (el) Φορητη συσκευη για τη μετρηση και τον ελεγχο των αναλυτων στα βιολογικα υγρα
CN102022973A (zh) 转向角度传感器
EP2059784A2 (en) A substantially flexible implant holder for a tubular implant structure
ES2394399T3 (es) Aparato de medición de la corriente crítica continua y procedimiento para medir la corriente crítica continua usando el mismo
WO2007100818A3 (en) Peripheral artery medical device durability tester and method
MX2012007444A (es) Aparato de medicion y metodo de colocacion de sensor.
KR20190010639A (ko) 인장력 측정기를 구비한 음경 신장 장치의 체결 장치
NO20050630L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overvaking av en sedert pasient
JP2012115608A (ja) 体組成測定装置
WO2009127171A8 (en) Device for mechanical testing of functional segments of human body
SG10201912468VA (en) End effector measuring module and end effector monito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917397B2 (ja) 身体固定補助装置
WO2008146662A1 (ja) 体脂肪測定装置
CN211067819U (zh) 一种牵伸驱动系统及牵伸固定系统
EP2105095A3 (en)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ic use
NO20050628L (no) Fremgangsmate og apparat for overvaking av en sedert pas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