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969B1 -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 Google Patents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969B1
KR101373969B1 KR1020070091069A KR20070091069A KR101373969B1 KR 101373969 B1 KR101373969 B1 KR 101373969B1 KR 1020070091069 A KR1020070091069 A KR 1020070091069A KR 20070091069 A KR20070091069 A KR 20070091069A KR 101373969 B1 KR101373969 B1 KR 101373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ubstrate
sealant
dummy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5895A (en
Inventor
박홍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969B1/en
Publication of KR2009002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 패널은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하는 더미의 형성, 상기 더미와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확보, 상기 더미의 가이드화를 통하여 접착시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봉제의 경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ummy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sealant, to secur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dummy and the adhesive surfac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sealant during bonding through the guide of the dummy At the same time, the curing reliability of the sealant can be improved.

번짐, 밀봉제, 접착, 캡, 기판, 더미, 절연막, 전계발광, EL, OLED, 실런트, 프릿 Smear, sealant, adhesion, cap, substrate, dummy, insulation film, electroluminescent, EL, OLED, sealant, frit

Description

전계발광 표시 패널{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전계발광 표시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봉제를 사용하여 캡과 기판의 접착시 상기 밀봉제가 원하지 않는 구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that prevents the sealing agent from spreading to an undesired area when the cap and the substrate are bonded by using a sealing agent.

근래,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 및 박막화에 맞물려서 새로운 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In recent years, research on new light emitting devic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display devices.

그 중에서 유기 EL(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display), 하이브리드 EL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실 제품에 적용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Among them, organic EL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Display) and hybrid EL have been studied, and have been applied to real products.

유기 EL은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말한다.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만들 수 있다.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어 일반 LCD와 달리 바로 옆에서 보아도 화질이 변하지 않으며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는다. 또한, 소형 화면에서는 LCD 이상의 화질과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유리한 가격 경쟁력을 갖는다.Organic EL refers to a 'self-emitting organic material' that emits light by using an electroluminescence phenomenon that emits light when current flows through an organic compound. It can be driven at low voltage and can be made thin and thin. It has a wide viewing angle and fast response speed, so unlike ordinary LCD, the image quality does not change even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no afterimages are left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small screen has an advantageous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the image quality of the LCD and the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하이브리드 EL은 유기 EL보다 저전력 구동 및 장수명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 무기(inorganic) 및 유기(Organic) 전계발광(EL; Elctro Luminescent)을 복합화한 것을 의미하며, 넓게는 유기 EL의 개념을 포함하기도 한다.Hybrid EL is a technology proposed to realize lower power driving and longer life than organic EL, and it is a combina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 and broadly the concept of organic EL. It may also be included.

이와 같은 유기 또는 하이브리드 EL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과 캡(20)을 접착시 액상의 실런트나 유리재료인 프릿(frit)과 같은 밀봉제(30)를 사용하고 있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ch an organic or hybrid EL, as shown in FIG. 1, when the substrate 10 and the cap 20 are bonded to each other, a sealant 30 such as a liquid sealant or a frit that is a glass material is formed. I use it.

상기 밀봉제(30)는 캡과 기판의 밀봉 및 접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요소로서, 상기 기판(10)과 캡(20)과의 사이에 밀봉제를 이용하여 접착을 수행하게 된다.The sealant 30 is an element used for sealing and adhering the cap and the substrate. The sealant 30 is used to bond the cap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cap 20.

상기 밀봉제(30)는 도 2와 같이 기판과 캡의 접착시 압력에 의하여 상기 기판과 캡과의 사이에서 번지게 되는데, 이러한 번짐으로 인하여 상기 밀봉제가 기판의 원하지 않는 구역으로 번졌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sealant 30 is sprea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ap by the pressure at the time of bonding the substrate and the cap,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sealant is spread to the undesired area of the substrate due to the smear The same problem arises.

상기 기판과 캡을 밀착시킨 후 상기 밀봉제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투명성(광투과성)을 갖고 있는 기판을 통하여 경화 자외선(curing UV, curing UltraViolet)이나 레이저를 입사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밀봉제(30)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소자 구조체가 배치된 구역까지 번진 경우, 또는 상기 소자 구조체를 덮는 다른 물질(경화 자외선 투사율이나 레이저의 투과율이 떨어지는 물질)로 번진 경우 상기 소자 구조체 또는 비투사(불투명, 비광투과성) 물질로 인하여 상기 경화 자외선 또는 레이저를 밀봉제가 받지 못하여 경화되지 않는 영역 a가 발생하게 된다.After the substrate and the cap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curing UV or curing UltraViolet or a laser is incident through the substrate having transparency (light transmission) to cure the sealant. In this case, the sealant 30 The device structure or non-transmissive (opaque, non-transmissive) when is smeared to the area where the device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is disposed or with another material covering the device structure (a material having a hard ultraviolet radiation rate or a low transmittance of laser) The material does not receive the cured ultraviolet light or laser and the sealant a generates a region that does not cure.

상기 경화되지 않은 영역 a의 밀봉제는 전계발광 소자 내부에 방치되며 이는 전계발광 소자 동작시 오동작, 파손과 같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The sealant of the uncured region a is left inside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which adversely affects malfunctions and breakages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이러한 현상은 특히, 기판과 캡의 접착이 원하지 않게 캡의 위치가 변경되는 시프트(shift)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두드러지게 된다.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when the adhesion of the substrate to the cap is made in a shift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cap is undesirably changed.

위의 예에서는 유기 및 하이브리드 전계발광 장치의 경우를 들었으나, 밀봉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캡과 기판을 접착하는 장치에서는 모두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above example, the organic and hybrid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n the apparatus for adhering a predetermined cap and a substrate using a sealant, all of these problems have been encounte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시 캡과 기판의 접착에 사용되는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하고, 또한, 캡과 기판의 접착시 원하지 않는 캡의 시프트로 인한 접착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the bleeding of the sealant used to bond the cap and the substrate in the manufacture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evented, and also the adhesion error due to the shift of the cap that is not desired when the cap and the substrate are bonde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an be provided.

결과적으로, 밀봉제를 이용한 캡과 기판의 접착을 신뢰성 있게 수행함과 동시에 밀봉제의 번짐으로 인하여 발생이 예상되는 전계발광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한다.As a result, the cap and the substrate are reliably adhered using the sealant, and at the same time, the malfunc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which is expected to occur due to the smearing of the sealant, is to be preven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밀봉제(密封劑)를 사용하여 접착이 이루어져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를 밀봉하게 되는 캡과; 상기 캡의 접착시 상 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 상기 기판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은 밀봉제가 번지지 않는 번짐 방지 구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더미(쌓아올린 것, hea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 cap that adheres to the substrate using a sealant to seal a portion of the substrate; At the time of adhering the cap,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to be attached includes a dummy formed between the anti-smearing area where the sealant does not spread. It is done.

이때,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기판의 구역 중 소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구역 C1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더미는 상기 캡이 접착되는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 A1을 두고 형성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anti-smear zone includes at least a zone C1 including an element structure among the zones of the substrate sealed by the cap, and the dummy is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bonded by A1. To be formed.

여기서, 상기 A1은 다음의 수학식1Here, A1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1Equation 1

50㎛≤A1≤500㎛50 μm ≦ A1 ≦ 500 μm

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satisfy.

한편,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 C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C2에 형성된 상기 더미는 상기 캡이 접착되는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 A2를 두고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A2는 다음의 수학식2On the other hand, the anti-smear zone may further comprise a zone C2 which is not sealed by the cap, wherein the dummy formed in the C2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A2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bonded A2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2Equation 2

50㎛≤A2≤500㎛ 또는 오픈(Open, 더미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Dummy not formed)

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satisfy.

이 경우, 상기 C2는 다음의 수학식3In this case, C2 is represented by Equation 3 below.

수학식3Equation 3

0(Open)≤C2≤1㎜0 (Open) ≤C2≤1mm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s satisfied.

또한, 상기 더미는 상기 기판에 접착되는 상기 캡을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ummy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o guide the cap adhered to the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밀봉제(密封劑)를 사용하여 접착이 이루어져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를 밀봉하게 되는 캡과; 상기 캡의 접착시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에 대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절연막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 cap that adheres to the substrate using a sealant to seal a portion of the substrate;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attached when the cap is attached.

밀봉제(密封劑)를 이용하여 캡과 기판의 접착시 상기 캡이 접착되는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cap and the substrate when the cap is bonded by using a sealant.

여기서,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구역의 일정간격 A1과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의 일정간격 A2로 나눌 경우,Here, when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divided into a constant interval A1 of the region sealed by the cap and a constant interval A2 of the region not sealed by the cap,

상기 A1 및 A2는 다음의 수학식5A1 and A2 are represented by Equation 5 below.

수학식5Equation 5

50㎛≤A1≤500㎛50 μm ≦ A1 ≦ 500 μm

50㎛≤A2≤500㎛ 또는 오픈(Open,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Open, no insulation film formed)

을 만족하도록 하며, 상기 절연막은 끝단이 더미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satisfy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in a dummy shape.

정리하면, 본 발명은 캡과 기판을 접착하는 경우 소정의 더미를 상기 기판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은 밀봉제가 번지지 않는 구역(번짐 방지 구역)과 상기 캡과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의 사이에 형성시킴으로써,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한다. 또한, 캡이 접착되는 기판의 접착면과 상기 더미 사이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캡의 시프트에 의해 상기 캡이 상기 더미를 침범하여 상기 기판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다. 아울러 상기 더미를 가이드로 형성함으로써 캡의 시프트 자체를 방지하도록 한다.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edetermined pile in the case of adhering the cap and the substrate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ubstrate between an area where the sealant does not spread (smear prevention area) and an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bonded to the cap. This prevents the spread of the sealant. In addition, by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bonded and the dummy prevents the cap from invading the dummy by the shift of the cap to adhere to the substrate. In addition, by forming the dummy as a guide to prevent the shift of the cap itself.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 있고 안정감 있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liable and stable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것으로, 기판(110)과, 상기 기판에 접착되는 소정 형상의 캡(120) 및 상기 기판(110)과 캡(120)를 접착 및 밀봉시키는 밀봉제(密封劑)(130)가 개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ubstrate 110, a cap 12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dhered to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110 and the cap 120 are formed. A sealant 130 for adhering and sealing is disclosed.

상기 기판(110)에는 상기 캡(120)과의 접착시 압력에 의하여 상기 기판(110) 과 캡(120) 사이의 밀봉제(130)가 적어도 한 부분은 상기 밀봉제가 번지지 않는 구역인 번짐 방지 구역으로 번지지 않도록 상기 캡과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더미(140)가 형성되어 있다.At least one portion of the sealant 130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cap 120 due to pressure when the cap 120 is adhered to the substrate 110 is an area where the sealant does not spread. The dummy 140 is formed between the cap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bonded so as not to spread.

상기 더미(140)를 기판에 형성시킴으로써, 밀봉제가 기판과 캡의 접착면에서 벗어나 번질 경우, 상기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하는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번짐 방지 구역으로 밀봉제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By forming the dummy 140 on the substrate, when the sealant is smeared off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cap, it serves as a breakwater to prevent the sealant from spreading, thereby preventing the sealant from spreading to the smear prevention zone. do.

상기 더미의 위치는 상기 번짐 방지 구역과 접착면의 사이라고 표현하였으나, 상기 더미가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의 외곽에 겹쳐도 무방하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을 상기 더미(140)의 내측 끝단부터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외측 끝단, 또는 끝단 사이의 일정 지점부터 설정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position of the dummy is expressed as between the bleeding prevention zone and the adhesive surface, the dummy may overlap the circumference of the bleeding prevention zone.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bleeding prevention zone may be set from the inner end of the dummy 140, or may be set from the outer end or a predetermined point between the ends.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은 상기 캡(120)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기판(110)의 구역 중 소자 구조체(유기 전계발광 소자인 경우 전계발광(EL) 적층체)가 구비된 구역 C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nti-smear zone comprises a zone C1 in which the device structure (electroluminescent (EL) stack in the case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ovided in the area of the substrate 110 which is sealed by the cap 120. .

상기 소자 구조체는 기판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유기 전계발광 장치에서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및 그에 따른 배선과 같이 상기 기판과 캡에 의하여 구성하고자 하는 장치의 핵심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device structure is an element disposed on a substrate, and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t is generally responsible for an essential part of the device to be constituted by the substrate and the cap, such a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the wiring thereof.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상기 소자 구조체 중 외부와의 연결선 등이 상기 캡을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가 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번짐 방지 구역의 처리가 문제시 되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논외로 한다.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nection line with the outside of the device structure may b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cap, and the treatment of the bleeding prevention zone for this portion is a problem, but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한편, 상기 더미의 성분은 상기 캡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 공간의 내에서 시 스템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어느 성분이라도 상관없으나, 가능한 광(光)이 투과되는 성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번진 밀봉제가 상기 더미를 일부 덮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상기 더미를 통과하여 경화 자외선이 투사되어 상기 번진 밀봉제를 경화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더미의 형상, 또는 이하에서 살펴볼 더미와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통하여 광이 투과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하여도 상관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 of the dummy may be any component as long as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ystem operation in the sealing space formed by the cap,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component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is is for the case where the smeared sealant covers the dummy partly, and the curing ultraviolet rays are projected through the dummy to cure the smeared sealant. Of course, the shape of the dummy, or by form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dummy and the adhesive surface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formed of a component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도 3b를 살펴보면, 상기 더미(140)가 상기 캡(120)이 접착되는 상기 기판(110)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Figure 3b, it can be seen that the dummy 14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o which the cap 120 is bonded.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밀봉 구역측의 일정간격 A1과 밀봉되지 않는 구역측의 일정간격 A2로 나뉘어지며, 경우에 따라 밀봉되지 않는 구역측에는 더미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A2는 고려를 안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The constant interval is divided into a constant interval A1 on the side of the sealed area sealed by the cap and a constant distance A2 on the side of the unsealed area, and in some cases, a dummy may not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unsealed area, so A2 is considered It can also happen if you do not.

이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더미를 형성한 것은 기판과 캡의 접착시 압력에 의하여 번진 밀봉제가 상기 더미(140)를 넘어 번짐 방지 구역을 침범하는 것에 일정 여유분을 두고자 함과, 접착시 상기 캡(120)의 좌우 이동 즉, 시프트(shift)된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dummy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order to give a certain amount of excess to the sealant spreading by the pressure at the time of adhering the substrate and the cap to invade the smear prevention area beyond the dummy 140, and the cap at the time of bonding (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adhesion is performed in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120, that is, the shifted state.

기판에 캡을 접착시 상기 캡이 미세하긴 하지만 원하지 않게 좌우로 위치 이동, 즉 시프트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일정간격 없이 더미를 상기 캡과 접착되는 기판의 접착면에 꼭 맞게 상기 기판에 형성한 경우 시프트된 상기 캡은 도 4와 같이 상기 더미에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밀봉제가 번짐 방지 구역으로 번지는 경우도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더미로 인하여 상기 캡과 기판의 접착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cap is adhered to the substrate, the cap is fine but undesirably shifted from side to side, i.e., shifted, and the dummy is formed on the substrate to fi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bonded to the cap without a certain interval. In one case, the shifted cap is in contact with the dummy as shown in FIG. 4. In such a case, the sealant easily spreads to the bleed prevention zone, and the pile prevents the adhesion between the cap and the substrate.

따라서, 캡의 시프트 정도를 예상하여, 일정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constant interval in anticipation of the degree of shift of the cap.

참고로, 앞에서 언급한 상기 캡이 접착될 기판의 접착면은 상기 캡이 원하지 않는 시프트 없이 정상적으로 접착될 경우의 위치를 지칭한다는 것을 환기한다.For reference, the above mentioned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to be attached refers to the position where the cap is normally attached without an unwanted shift.

상기 일정간격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구역측으로 일정간격 A1을 형성하고, 밀봉되지 않은 구역측으로 일정간격 A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일정간격 A1은 소자 구조체의 크기 및 위치, 상기 접착면의 크기, 시프트의 정도를 감안하여 정해지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수학식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ant interval forms a constant interval A1 toward the region sealed by the cap and forms a constant interval A2 on the unsealed region, wherein the constant interval A1 i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device structure, Although i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degree of shifting, it is generally prefe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50㎛≤A1≤500㎛50 μm ≦ A1 ≦ 500 μm

50㎛≤A2≤500㎛ 또는 오픈(Open, 더미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Dummy not formed)

0(Open)≤C2≤1㎜0 (Open) ≤C2≤1mm

상기 A1 및 A2가 50㎛보다 작게되면 밀봉제가 번지는 구역에 대한 여유분이 적어 상기 밀봉제가 상기 더미를 넘어 침범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A1 및 A2는 5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1 및 A2가 500㎛보다 크게 되면 패널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A1은 5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A1 and A2 are smaller than 50 μm, the margin for the area where the sealant spreads is small, so that the sealant may invade beyond the pile, so that A1 and A2 are 50 μm or more, and A1 and A2 are 500 μm. If larger, the size of the panel becomes larger, and therefore, A1 is preferably 500 µm or less.

상기 C2는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의 번짐 방지 구역으로서, 1㎜를 넘는 경우 캡의 외부로 벗어난 기판의 크기로 인하여 표시 패널 전체의 크기가 증가하여 소형화의 추세에 역행하게 되므로, 상기 C2는 1㎜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2가 0, 즉 오픈된 경우 상기 밀봉제는 접착면 외측(캡의 의해 덮여지지 않는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2 is a bleeding prevention area of the area not sealed by the cap. When the thickness exceeds 1 mm, the overall size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due to the size of the substrate devi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cap, thereby counteracting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Is preferably within 1 mm. In addition, when C2 is 0, that is, the sealan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adhesive surface (the part not covered by the cap).

상기 밀봉제는 액상의 실런트(sealant)나 유리재료인 프릿(frit)으로 할 수 있는데, 액상의 실런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실런트가 상기 더미를 덮는 경우 상기 더미의 재질에 따라 경화 적외선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경화되지 않은 실런트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더미가 실런트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일정간격의 여유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릿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고체상태이고 접착시에만 레이저의 조사로 액체상태로 만들고, 조사를 종료하면 스스로 고체상태로 돌아가므로 위에서 살펴본 실런트와 같은 문제는 없으나, 캡이 원하지 않게 시프트되어 기판에 접착된 경우 상기 더미의 위치에 접착이 이루어져 캡과 기판의 접착이 아닌 캡과 더미의 접착이 이루어져 접착력에 문제가 있으므로, 역시 일정간격의 여유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상기 실런트에도 그대로 적용 되는 부분이다.The sealant may be a liquid sealant or a frit that is a glass material. When a liquid sealant is used, when the sealant covers the pile, hardening infrared rays may not be receiv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pile. Since there may be a sealant that is generated and not cured, it is desirable to allow a certain amount of margin so that the dummy is not covered by the sealant. In the case of frit, it is basically solid state and it becomes liquid state by laser irradiation only when it is bonded, and it returns to solid state by itself after irradiation, so there is no problem like the sealant described above, but the cap is shifted undesirably and adhered to the substrate. In this case, since the adhesion is made at the position of the dummy, not the adhesion of the cap and the substrate, but the adhesion of the cap and the dummy is made, there is a problem in the adhesive force. Of course, this problem also applies to the sealant.

참고로, 상기 더미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가능하다. 예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절연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캡에 의해 밀봉되는 구역 내 소자 구조체의 배치상태에 따라 산화인듐막(ITO, Induium Tin Oxide)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투명도전막이 상기 소자 구조체의 외곽에 배치되는 경우 그 배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더미로서 사용이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dummy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an insulating film described below, or may be formed by using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such as indium oxide (ITO) film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device structure in the region sealed by the cap. In particular, wh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disposed outside the device structure,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y be used as the dumm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상기 캡의 시프트에 대한 다른 방안을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더미(145)가 상기 캡이 접착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another method for the shift of the cap through Figure 5, it can be seen that the dummy 145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cap is to be bonded.

즉, 상기 캡(120)과 기판(110)의 접착시 상기 캡(120)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더미(145)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더미(145)를 밀봉제 번짐 방지 및 가이드로서 사용하고 있다.That is, when the cap 120 is bonded to the substrate 110,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dummy 145 to guide the cap 120, and the dummy 145 is used as a sealant bleeding prevention and guide. hav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캡이 시프트 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더미의 가이드에 따라 상기 캡이 정확한 위치에 접착이 되도록 하여 캡이 상기 더미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캡과 기판의 정확한 접착을 유도하여 전계발광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cap is shifted, the cap is adhered to the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dummy, thereby preventing the cap from adhering to the dummy, and furthermore, the cap and the substrate are accurately bonded. Induc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물론, 일정간격과, 가이드를 위한 경사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simultaneously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inclined surface for the guide.

한편, 상기 더미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성의 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더미의 구조 및 배치 위치에 따라 불투명성의 물질로 하여도 무방하며, 예로서 투과성의 절연막 또는 광 투과성이 낮은 절연막으로 상기 더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ummy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an opaque material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placement position of the dummy, for example, a transparent insulating film or an insulating film having low light transmittance. It is possible to form a dummy, which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살펴보면 기판(110)에 형성되는 소자 구조체를 덮는 절연막(150)을 상기 기판(110)에 형성시, 상기 기판(110)에 상기 캡(120)과의 접착면 내측(캡에 의해 덮여지는 패널 내부나 소자 내부쪽) 및 외측(캡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패널 외부나 소자 외부쪽)으로 일정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일정간격에는 상기 절연막(150)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o cover the device structur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he substrate (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i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cap 120 with the cap 120 (inside the panel or inside the device covered by the cap) and outside (outside the panel or outside the device not covered by the cap). It can be seen that the insulating layer 150 is not formed at intervals.

이와 같이 절연막(150)을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게 되면, 상기 기판(110)과 캡(120)의 접착시 접착에 사용되는 밀봉제(130)가 접착면을 벗어나서 번질 경우 상기 일정간격으로 인하여 상기 절연막(150)이 덮이지 않게 되며, 상기 캡(120)이 시프트된 경우에도 상기 캡(120)이 상기 절연막(150)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일정간격에 해당하는 부위에 접착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uch, when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to be bonded, the sealant 130 used for the adhesion when the substrate 110 and the cap 120 are bonded to each other. ) Spreads beyond the adhesive surface, the insulating film 150 is not covered due to the predetermined interval, and even when the cap 120 is shifted, the cap 120 is a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film 150 is not formed. Adhesion is made to the site corresponding to a certain interval of.

이와 같이 절연막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은 특히, 상기 절연막이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시 사용되는 절연막과 같이 다음의 성질을 갖는 경우에 유용하다.Thus, forming the insulating fil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articularly useful when the insulating film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as the insulating film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즉, 밀봉제와 절연막의 접착력 α와 기판과 밀봉제의 접착력 β가 아래의 수 학식4와 같은 특성을 보이는 경우와, 다음으로 상기 절연막이 경화 자외선(Curing UV, Curing UltraViolet) 또는 레이저를 흡수하거나, 낮은 투과율의 특성을 갖는 경우에 일정간격을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adhesive force α of the sealant and the insulating film and the adhesive force β of the substrate and the sealan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the insulating film absorbs Curing UV, Curing UltraViolet, or laser. In the case of having a low transmittance,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 certain interval.

α<βα <β

만약, 일정간격 없이 절연막을 형성한 후, 캡과 기판을 접착시 밀봉제의 양이 규정보다 초과하여 접착면을 벗어나 번지게 되는 경우, 상기 번진 밀봉제는 상기 절연막을 덮게 될 것이다.If after forming the insulating film without a certain interval, when the amount of the sealing agent is smeared beyond the adhesive surface when the cap and the substrate is bonded more than specified, the smeared sealant will cover the insulating film.

이 경우, 상기 절연막의 특성상 기판을 관통하여 입사되는 경화 자외선(curing UV)이 상기 절연막에 막히거나 흡수되어 상기 절연막을 덮은 밀봉제에 닿지 못하게 된다. 이는 곧 경화되지 않은 밀봉제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경화되지 않은 밀봉제는 시스템의 동작시 오동작 또는 파손을 유발시키게 된다. 물론, 이 경우는 상기 밀봉제가 상온에서 액상인 실런트의 경우에 해당되는 문제이다.In this cas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lating film, cured UV light incident through the substrate may be blocked or absorbed by the insulating film, and thus may not reach the sealant covering the insulating film. This means that an uncured sealant is present, which will cause a malfunction or breakage in the operation of the system. Of course, this case is a problem in which the sealant is a liquid sealant at room temperature.

또 다른 문제로, 일정간격 없이 절연막을 형성한 경우, 캡이 시프트된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캡은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막에 접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물론 부분적으로 기판에 직접 접착이 되기도 하겠지만 상기 절연막의 두께만큼 이격될 것이므로 기판과 캡과의 접착 신뢰성은 저하될 것이다. 만약 절연막과 밀봉제간의 접착력이 우수하다면 문제의 소지가 줄어들겠으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절연막과 밀봉제의 접착력이 기판과 밀봉제의 접착력보다 낮은 것으로 설정한 경우이므로 결과적으로 캡과 기판의 신뢰성 있는 접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상기 밀봉제가 액상의 실런트나 유리재질인 프릿인 경우 모두에 해당된다.As another problem, in the case where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without a predetermined interval, if the adhesive is made in the shifted state of the cap, the cap will be adhered to the insulating film as a result. Of course, it may be directly adhered to the substrate partly, but since it will be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the adhesion reliability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cap will be degraded. I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sealant is excellent, the problem will be reduc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sealant is set lower than that of the substrate and the seala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vided, this is the case both the sealant is a liquid sealant or a glass frit.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캡과 접착될 기판의 접착면 내외측으로 소정 일정간격을 두고 있는 것이다.As a solution to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bonded to the cap.

상기 일정간격을 형성시킴으로써 밀봉제가 번지더라도 상기 일정간격 내에서만 번지도록 하며(밀봉제의 양에 따라 일정간격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져야 함), 캡의 원하지 않는 시프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일정간격, 즉 기판에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By forming the constant interval, even if the sealant is smeared to spread only with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adjustment for the constant interval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sealant), even if an unwanted shift of the cap occurs, the constant interval, that is, the substrate Make sure that the adhesion is done in.

물론, 상기 절연막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갖게 될 것이므로 앞 실시예에서 살펴본 더미로서의 역할을 상기 절연막이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막의 끝단을 도 7과 같이 더미 형상으로 형성하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Of course, since the insulating film will als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insulating film may serve as a dummy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In particular, when the end of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in a dummy shape as shown in Fig. 7,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한편, 상기 캡과 기판의 접착면 내측의 일정간격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구역의 일정간격 A1과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의 일정간격 A2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A1 및 A2는 다음의 수학식5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redetermined interval inside the adhesive surface of the cap and the substrate may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interval A1 of the region sealed by the cap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2 of the region not sealed by the cap, wherein A1 and A2 are as follows.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equation (5).

50㎛≤A1≤500㎛50 μm ≦ A1 ≦ 500 μm

50㎛≤A2≤500㎛ 또는 오픈(Open,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Open, no insulation film formed)

상기 오픈 상태는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은 외측 부분에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The open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film is not formed, which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insulating film may not be formed on the outer portion which is not sealed by the cap.

한편, 상기 일정간격 A1 및 A2의 하한점, 상한점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1 및 2의 경우에서와 같은 이유로 정해졌으며, 상기 절연막이 접착면 외측 부분에 없을 시 (캡에 의해 덮여지는 패널 내부에만 있을시, 즉 오픈시)에는 방파제가 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상기 밀봉제(실런트 또는 프릿)는 외부로 퍼져나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면 외측 부분은 결국 모듈간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스크라이빙의 영역을 포함하게 되며, 스크라이빙 영역은 상기 밀봉제가 퍼질 경우 다른 위치에 비하여 퍼진 정도가 낮을 것이므로 퍼진 밀봉제에 의해 높이가 높아진 다른 영역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s A1 and A2 are determined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case of Equations 1 and 2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insulating film is not on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only inside the panel covered by the cap) When there is no part to be a breakwater in the case of opening, that is, when the sealant (sealant or frit) is spread to the out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outer side of the adhesive surface may include a region of scribing in which the separation between modules eventually occurs, and the scribing region may have a lower spreading degree than other positions when the sealant is spread, so that the other region is heightened by the spreading sealant. Compared with the height is formed low.

이상에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절연막을 형성하고, 밀봉제의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미를 형성하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더미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이 가능하며, 위에서 예로 든 절연막외에도 투명도전막으로 사용되는 산화인듐막(ITO)의 배치를 조정하여 더미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인듐막도 캡과의 접착면에 대해 일정 간격의 여유분을 두는 형성함으로써 앞서 절연막에서 설명된 효과를 그대로 누릴 수 있다.In the above, the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film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ing a dummy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sealant has been described. As mentioned above, the dummy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film, the dummy may serve as a dummy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the indium oxide film (ITO) used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 addition, the indium oxide film is also formed to leave a certain amount of margin on the adhesive surface with the cap can enjoy the effect described in the previous insulating film as it is.

앞에서 살펴본 실시예는 밀봉제를 사용하여 기판에 소정의 캡을 접착하는 각종 반도체의 제조시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기 전계발광 제조분야와 같은 디스플레이 제조분야에의 적용이 예상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semiconductors for adhering a predetermined cap to a substrate using a sealant, and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a display manufacturing field such a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nufacturing field.

도 1은 밀봉제를 이용하여 캡과 기판을 접착시키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prior art of adhering a cap and a substrate using a sealant.

도 2는 도 1에서 접착이 이루어진 후의 밀봉제가 번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ant after the adhesion in Figure 1 is sprea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캡의 시프트로 인한 문제를 나타낸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due to the shift of the cap in FIG.

도 5는 도 4의 해결 수단을 나타낸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olution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0...기판 120...캡110 ... substrate 120 ... cap

130...밀봉제 140, 145...더미130.Seal 140, 145 ... pile

150...절연막150 ... insulation film

Claims (12)

기판과;A substrate; 상기 기판에 밀봉제(密封劑)를 사용하여 접착이 이루어져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를 밀봉하게 되는 캡과;A cap that adheres to the substrate using a sealant to seal a portion of the substrate; 상기 캡의 접착시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에 대해서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캡이 상기 기판에 접착되는 기판의 접착면 보다 넓은 면적의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an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to be bonded when the cap is attached, wherein the insulating film is wider tha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f an are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일정간격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구역의 일정간격 A1과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의 일정간격 A2로 나눌 경우,When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interval A1 of the area sealed by the cap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A2 of the area not sealed by the cap, 상기 A1 및 A2는 다음의 수학식5A1 and A2 are represented by Equation 5 below. 수학식5Equation 5 50㎛≤A1≤500㎛50 μm ≦ A1 ≦ 500 μm 50㎛≤A2≤500㎛ 또는 오픈(Open, 절연막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Open, no insulation film formed)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ab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연막은 끝단이 더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th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in a dummy shape. 기판과;A substrate; 상기 기판에 밀봉제(密封劑)를 사용하여 접착이 이루어져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를 밀봉하게 되는 캡과;A cap that adheres to the substrate using a sealant to seal a portion of the substrate; 상기 캡의 접착시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 상기 기판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은 상기 밀봉제가 번지지 않는 번짐 방지 구역과의 사이에 형성된 더미(쌓아올린 것, heap)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더미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t least one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to be bonded when the cap is attached includes a pile formed between the anti-smear area where the sealant does not spread. And the dummy is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는 상기 기판의 구역 중 소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구역 C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wherein the anti-smear zone is a zone C1 that includes an element structure of the area of the substrate that is sealed by the cap.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더미는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 A1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the dummy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1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attach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A1은 다음의 수학식1A1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1Equation 1 50㎛≤A1≤500㎛50 μm ≦ A1 ≦ 500 μm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above.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번짐 방지 구역은 상기 캡에 의해 밀봉되지 않는 구역 C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wherein the anti-smear zone further comprises a zone C2 which is not sealed by the cap.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C2에 형성된 상기 더미는 상기 캡이 접착될 상기 기판의 접착면과의 사이에 일정간격 A2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the dummy formed in the C2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2 betwee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cap is attached.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2는 다음의 수학식2A2 is represented by Equation 2 below. 수학식2Equation 2 50㎛≤A2≤500㎛ 또는 오픈(Open, 더미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50㎛≤A2≤500㎛ or Open (Dummy not formed)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abov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C2는 다음의 수학식3C2 is the following Equation 3 수학식3Equation 3 0(Open)≤C2≤1㎜0 (Open) ≤C2≤1mm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above.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11, 상기 더미는 상기 기판에 접착되는 상기 캡을 가이드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 표시 패널.And the dummy has an inclined surface to guide the cap adhered to the substrate.
KR1020070091069A 2007-09-07 2007-09-07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KR101373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069A KR101373969B1 (en) 2007-09-07 2007-09-07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069A KR101373969B1 (en) 2007-09-07 2007-09-07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895A KR20090025895A (en) 2009-03-11
KR101373969B1 true KR101373969B1 (en) 2014-03-12

Family

ID=4069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069A KR101373969B1 (en) 2007-09-07 2007-09-07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9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043B1 (en) 2010-09-01 2017-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 flat display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49A (en) * 2001-01-18 2002-08-02 Tohoku Pioneer Corp Sealing method and sealing structure of organic el display
KR20070057488A (en) * 2005-12-02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949A (en) * 2001-01-18 2002-08-02 Tohoku Pioneer Corp Sealing method and sealing structure of organic el display
KR20070057488A (en) * 2005-12-02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895A (en)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19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067163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67164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82453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CN107623080B (en) Display device
JP496076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78852B1 (en) Display Device
CN101728338B (en)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83072B1 (en) Display device
KR100666550B1 (en) Flat panel display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TW20123272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039780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200843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87225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075966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US20070212525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78362B1 (en) Display device
KR101373969B1 (e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panel
KR20160053242A (en) Display device
KR2015001896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744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12125A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14153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5347B1 (en) fabricat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558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