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929B1 -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929B1
KR101373929B1 KR1020120156842A KR20120156842A KR101373929B1 KR 101373929 B1 KR101373929 B1 KR 101373929B1 KR 1020120156842 A KR1020120156842 A KR 1020120156842A KR 20120156842 A KR20120156842 A KR 20120156842A KR 101373929 B1 KR101373929 B1 KR 10137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rminal
charging
cas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석
오우연
Original Assignee
오우연
장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우연, 장용석 filed Critical 오우연
Priority to KR102012015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외부를 감싸며 마련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결합되는 휴대폰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이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납시 상기 외부단자와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이 충전되게 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과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 잦은 외부단자의 착탈에 따른 외부단자와 접속케이블의 유격(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단자 유격에 따른 휴대폰의 충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선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MULTI-FUNCTIONAL MOBILE PHON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이 수납될 때 휴대폰의 외부단자와 케이스의 제1접속단자가 접속된 채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충전을 위하여 별도로 휴대폰 케이스를 제거할 필요도 없으며, 반복적인 외부단자 착탈에 따른 유격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휴대폰이 단순 통화기능을 넘어, 메일이나 문서작성 등 업무기능이나, 동영상 감상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등 용도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양한 기능에 필요한 고가의 부품들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구매 비용 또한 종래 일반적인 휴대폰에 비하여 매우 비싼 실정이다.
이러한 고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 외부의 스크래치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 케이스를 많이 사용한다.
일반적인 휴대폰 케이스는 단순히 스마트폰의 외관을 감싸는 보호기능만을 구비한 것부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748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를 겸용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단순히 보호기능만을 수행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경우(또는, 휴대폰 케이스 없이 휴대폰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전은 물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잦은 케이블의 착탈에 따라 단자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결국 접속 불량으로 이루어져 정상적인 충전이 불가능해지며, 이로 인해 휴대폰의 하우징 자체 또는 단자부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충전단자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단자부 유격은 발생할 여지가 없기는 하나, 후자의 케이스는 휴대폰을 감싸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휴대폰 하우징의 일부분에 불과하여 휴대폰 케이스가 갖는 기본적 기능인 휴대폰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잦은 외부단자의 착탈에 따른 외부단자와 접속케이블의 유격(느슨해짐)을 방지함으로써, 휴대폰의 충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선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데이터 송수신 및 영상신호 출력을 위한 제2접속단자를 마련함으로써, 추가적인 연결기구 없이 휴대폰 케이스 자체로 다양한 외부기기와 접속이 가능한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 내부에 보조전원부를 마련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의 외부를 감싸며 마련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결합되는 휴대폰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이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납시 상기 외부단자와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이 충전되게 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과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2접속단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는, USB 단자 또는 영상출력단자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양측부, 상측부 또는 배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단자를 통한 전원인가시 충전되며 상기 충전단자의 해제시 상기 제1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전원부의 충전상태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부 또는 휴대폰의 충전 순위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부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잦은 외부단자의 착탈에 따른 외부단자와 접속케이블의 유격(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단자 유격에 따른 휴대폰의 충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선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에 데이터 송수신 및 영상신호 출력을 위한 제2접속단자를 마련함으로써, 추가적인 연결기구 없이 휴대폰 케이스 자체로 다양한 외부기기와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 내부에 보조전원부를 마련함으로써, 휴대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1)는, 케이스본체(10)와, 제1접속단자(11)와, 충전단자(13)와, 제2접속단자(12)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는, 종래 사용되었던 이동통신 단말기(이른바, 피쳐폰)는 물론, 현재 일반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케이스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전면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측부 및 배면을 감싸며 마련된다. 케이스본체(10)는 수납되는 상기 휴대폰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휴대폰의 측부 또는 배면에 형성된 스위치나 카메라 등에 대응하여 홈이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속단자(11)는 케이스본체(10) 내에 결합되는 휴대폰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이 상기 케이스본체(10)에 수납시 상기 휴대폰의 외부단자와 접속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아이폰 또는 갤럭시와 같은 스마트폰은 물론 종래 피쳐폰의 경우, PC와 같은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충전을 위한 외부단자를 구비한다.
제1접속단자(11)는 각 휴대폰 기기 별로 구비된 상기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외부단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이에, 휴대폰이 케이스본체(1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제1접속단자(11)는 항상 외부단자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잦은 외부단자의 착탈에 따른 외부단자와 접속케이블의 유격(느슨해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단자 유격에 따른 휴대폰의 충전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수선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충전단자(13)는, 케이스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기와 접속되어 제1접속단자(11)를 통해 상기 휴대폰이 충전되도록 한다.
충전단자(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의 충전단자로 마련되어, 휴대폰과 함께 제공되어진 충전기기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1)에 맞추어 공급되는 전용 충전기기에 맞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충전단자(13)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며, 제품의 디자인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접속단자(12)는, 케이스본체(10)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접속단자(11)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과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접속단자(12)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속단자(12)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SB 단자 또는 영상출력단자(HDMI) 등으로 제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휴대폰 케이스(1) 자체가 하나의 허브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충전과 동시에 휴대폰을 컴퓨터에 연결시킬 수도 있고, TV등 멀티미디어 기기와도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다.
제2접속단자(12)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0)의 양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측부나 배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12)는 전술한 어느 한 위치에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2 이상의 위치 즉, 양측 및 배면, 상측 및 하측 등에 함께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전원부(15)는 케이스본체(10)에 마련되며, 충전단자(13) 및 제1접속단자(11)에 연결되어 충전단자(13)를 통한 전원인가시 충전되며, 충전단자(13)의 해제시 제1접속단자(11)를 통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케이스본체(10)에 마련되어 보조전원부(15)의 충전상태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LED(1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조전원부(15)에 충전이 완료된 상태인지(예를 들어, 파란색), 아니면 방전이 된 상태(빨간색) 인지를 알 수 있다.
또는, 보조전원부(15) 또는 휴대폰의 충전 순위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전원부(15)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충전단자(13)로부터 충전이 수행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휴대폰이 먼저 충전이 된 후에 보조전원부(15)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휴대폰과 보조전원부(15)가 동시에 충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선택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스위치(18)를 통하여 충전 순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19)는 케이스본체(10)의 측부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제1접속단자(11)에 연결되어 휴대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스피커(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음성출력장치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자체로서 음성출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 :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10 : 케이스본체 11 : 제1접속단자
12 : 제2접속단자 13 : 충전단자
15 : 보조전원부 17 : LED
18 : 선택스위치 19 : 스피커

Claims (8)

  1. 휴대폰의 외부를 감싸며 마련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결합되는 휴대폰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폰이 상기 케이스본체에 수납시 상기 외부단자와 접속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이 충전되게 하는 충전단자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과 외부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는, USB 단자 또는 영상출력단자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양측부, 상측부 또는 배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충전단자 및 상기 제1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단자를 통한 전원인가시 충전되며 상기 충전단자의 해제시 상기 제1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전원부의 충전상태를 서로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부 또는 휴대폰의 충전 순위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측부 또는 배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제1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20120156842A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37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842A KR101373929B1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842A KR101373929B1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929B1 true KR101373929B1 (ko) 2014-03-12

Family

ID=5064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842A KR101373929B1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9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304B1 (ko) 2014-10-06 2015-12-17 신한수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1586823B1 (ko) * 2014-09-01 2016-0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폰 케이스
KR20160104405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84281Y1 (ko) * 2016-11-28 2017-08-22 손상묵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KR102087356B1 (ko) * 2018-12-10 2020-03-10 주식회사 비스카 장치 케이스
WO2020122525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비스카 장치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6B1 (ko) 2006-09-20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배터리를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10100078A (ko) * 2010-03-03 2011-09-09 그린파워전자(주)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배터리 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6B1 (ko) 2006-09-20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배터리를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110100078A (ko) * 2010-03-03 2011-09-09 그린파워전자(주)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배터리 팩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23B1 (ko) * 2014-09-01 2016-0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대폰 케이스
KR101578304B1 (ko) 2014-10-06 2015-12-17 신한수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160104405A (ko) * 2015-02-26 2016-09-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KR102310768B1 (ko) 2015-02-26 2021-10-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84281Y1 (ko) * 2016-11-28 2017-08-22 손상묵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WO2018097539A1 (ko) * 2016-11-28 2018-05-31 손상묵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CN109982601A (zh) * 2016-11-28 2019-07-05 孙相默 用于移动通信终端的充电包
KR102087356B1 (ko) * 2018-12-10 2020-03-10 주식회사 비스카 장치 케이스
WO2020122525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비스카 장치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929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US9723390B2 (en)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KR100791583B1 (ko) 유에스비 커넥터 겸용 이어폰 젠더
AU2008200545B2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101688139B1 (ko) 이동 단말기
US20060258412A1 (en) Mobile phone wireless earpiece
US20120154991A1 (en) Connector adaptor of electronic device
KR101322205B1 (ko) 엔에프씨 유도전기를 이용한 발광수단을 갖는 휴대폰 가죽 보호케이스
KR20100005030U (ko)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 단말장치 케이스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CN106973130A (zh) 一种功能配件分离式智能手机
WO2015126611A1 (en)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CN102722068A (zh) 手机充电型投影仪
CN202841239U (zh) 手机后盖
KR101185190B1 (ko) 휴대폰 케이스
JP5842187B2 (ja) 充電用接続部品および充電器
CN203131740U (zh) 便携移动设备的补光灯
US20200068057A1 (en) Mobile terminal external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protection sleeve
CN210629595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壳
KR20140008487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5489Y1 (ko) 스마트폰 충전기 겸용 저장장치
KR20130000034A (ko) 핸드폰용 도킹 스테이션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KR20140006613A (ko)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CN103284716A (zh) 心电测试模块以及多媒体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