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97539A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97539A1
WO2018097539A1 PCT/KR2017/013001 KR2017013001W WO2018097539A1 WO 2018097539 A1 WO2018097539 A1 WO 2018097539A1 KR 2017013001 W KR2017013001 W KR 2017013001W WO 2018097539 A1 WO2018097539 A1 WO 20180975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pack
terminal
powe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0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상묵
오경선
Original Assignee
손상묵
오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묵, 오경선 filed Critical 손상묵
Priority to CN201780065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82601A/zh
Priority to KR1020197011432A priority patent/KR20190057097A/ko
Priority to US16/342,220 priority patent/US20190237981A1/en
Publication of WO20180975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975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package for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that can supply power wirelessly or wired to a battery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 general operating system (OS) and a web browser, and are sold at high prices because they can directly install and use various software (S / W) and programs or freely utilize Internet contents.
  • OS operating system
  • S / W software
  •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charged due to the limited capacity of the battery when used or pa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main battery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rged and then remounted or used as a separate battery Only by replacing it was it possible to continuously use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package for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having a battery charging function that can supply power wirelessly or wired without the need of battery replacement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harging package for a wireless charging terminal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housing, a battery pack embedded in the housing to store power, so that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is wirelessly transmitted
  • a first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d and the battery pack inside the housing and to the discharge pad and the battery pack, wherein the external power is wired to the battery pack, and the stored power of the battery pack
  • a control circuit configured to expose a second connection port to be output by wire and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a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a plurality of magnets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discharge pad in the housing and a terminal case including a metal material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a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ay be further included. do.
  • the terminal case includes a receiving pa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transmitting pad,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terminal and wired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ing pad is input to the terminal. do.
  •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which emit light with different colors of illumination light outside the housing, and which are color-converted so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gh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 the cable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nd one end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 the cabl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 the terminal case including the housing and the metal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the terminal cas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ceiving pad is provi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lied.
  •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the cable according to the structure that is provided with a cable hold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in a state accommodating a cabl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po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can be eliminated.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 3 to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3 to 4 illustrate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charging packag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 the charging packag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housing 10, a battery pack 20 embedded in the housing 10 to store power, and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20. It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20 and the discharge pad 30 in the discharge pad 30 and the housing 10 inside the housing 10 to be transmitted wirelessly, the external power is the battery pack.
  • the switch 43 that controls whether or not includes a control circuit 40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form to accommodate the battery pack 20, the discharge pad 30 and the control circuit 40 to operate therein.
  • the battery pack 2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 41 or to the terminal through the discharge pad 30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It serves to supply power.
  • discharge pad 30 is installed inside and serves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circuit 40.
  • the transmitting pad 30 enables wireless charging to the terminal. If it is detected that it is out of the set range, it will be deactivated to stop wireless charging.
  • the control circuit 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ad 30 so that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pack 20 by wire, or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20 is wired to the terminal. Serves to ensure supply.
  • control circuit 40 has a first connection port 41 to allow the external power is input to the battery pack 20 by wire, and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20 to be output by wire
  •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and the switch 4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ad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irst connection port 41 is the same as the charging port of the terminal
  •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is the same as the USB port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simplicity of the specification.
  • the inside of the charging package (1)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gnet 50 which is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discharge pad 30 and the terminal case 60 containing a metal material is I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magnet 50 is such that the terminal case 60 is detachably coupled by a magnetic force, the terminal case 60 serves to accommodate the terminal therein.
  • the terminal case 60 including the metal material may be fixed in an attached form, a terminal in which a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pad 30 may be provided. 60, it is very easy to recognize the terminal as be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ischarge pad 30, and the battery of the terminal can be wirelessly charged while moving.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not equipped with a device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ly transmitted power from the transmission pad 30 is mounted on the terminal case 60, the battery of the terminal cannot be charged wirelessly.
  • the terminal case 60 is charged to the terminal so that the receiving pad 61 receives the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pad 30 and the power provided to the receiving pad 61 is input to the terminal.
  • the connection line 62 may be connected to the port by wire.
  • connection line 62 when the connection line 62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having no built-in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pad 3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by the discharge pad 30 ( The power transmitted from 2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ing pad 61.
  • the charging package 1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electric power is input or output to the battery pack 20, light is emitted with illumination light of different colors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battery pack 20
  •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70 may be further included to enable color conversion to identify the state of charge of the power stored in FIG.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70 when external power is input to the battery pack 2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 41,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70 emits red light,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is turned on. When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pack 20 is outpu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lamps 70 is emitted in green.
  •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pack 20 is charged and whether the discharge pad 30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and can also check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pack 20. Although the charging of the pack 20 is comple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ft for a long time.
  • the charging package 1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by a interference fit method, one end of the in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41, the other end is connected A cable holder 80 may be further included to accommodate the cable 81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 the cable 81 is drawn out of the cable holder 80, when the external power is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pack 20, the cable 8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 41. One end of the conn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8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port, respectively.
  • the second connection port 42 is provided. )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81 to the charging port of the terminal.
  • the cable 8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as well a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cable can be eliminated, and even if the cable 81 is housed together, the compact size remains intact. Since it can be maintained,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porting the portability.
  • the housing 10 is fixed to the inside, and one sid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se 90 is provided with a cover 9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 the outer side of the protective case 90 and the cover 91 is a leather or a variety of textile paper and the like used to decorate beautifully, the inner paper is used as a soft paper to protect the terminal.
  • the cover 91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92, the fixing member 92 serves to fix the cover 91 to the protective case 10 side, and the protective case 90 On the side where the cover 91 abuts each other, various methods such as a magnetic material, a Velcro tape, and a snap button may be used, respec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이 무선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송출패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송출패드와 상기 배터리팩에 각각 연결되되,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에 유선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접속포트와, 상기 배터리팩의 저장된 전력이 유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접속포트와, 상기 송출패드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가 3세대(3G)에서 4세대(4G)로 발전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지도 찾기 또는 위치 추적 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시간 통화 서비스 등이 제공되어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범용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웹브라우저가 탑재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S/W) 및 프로그램을 직접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인터넷 콘텐츠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수한 휴대성과 다양한 기능으로 버스나 지하철 그리고 도보 및 운전 시에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분실이나 파손이 나날이 증가되는 추세여서 고가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이나 케이스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는 일정시간 사용하거나 지나게 되면 배터리의 제한적인 용량에 의해 방전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한 기본 배터리를 충전한 다음 재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보조 배터리로 교체해야만 지속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때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전기를 연결시켜야만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통화하거나 출장, 여행 등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반드시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녀야만 하였다.
그러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는 방법은 단순하게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부피가 작은 보조 배터리를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중 기본 배터리의 용량 한계에 의해서 기능이 정지될 때 가방이나 옷의 주머니에 보관된 보조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 교체작업의 필요없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이 무선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송출패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송출패드와 상기 배터리팩에 각각 연결되되,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에 유선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접속포트와, 상기 배터리팩의 저장된 전력이 유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접속포트와, 상기 송출패드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송출패드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 설치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금속 재질이 포함된 단말기 케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상기 송출패드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되는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패드와, 상기 수신패드에 제공된 전력이 단말기에 입력되도록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에 전력이 입력되거나 출력되면 상기 하우징 외부에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광으로 발광되고,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의 충전 상태를 점등 개수에 따라 식별 가능하도록 색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발광램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일단부가 상기 제1접속포트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접속포트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납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하우징과 금속을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말기 케이스에 수신패드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동 중에도 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접속포트와 제2접속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로 하우징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수납함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케이블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어디서나 단말기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배터리팩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작동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4에는 도 1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의 작동을 나타낸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팩(20)과,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이 무선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는 송출패드(3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팩(20)과 상기 송출패드(30)에 각각 연결되되,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20)에 유선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접속포트(41)와, 상기 배터리팩(20)의 저장된 전력이 유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접속포트(42)와, 상기 송출패드(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43)가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어회로(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상기 배터리팩(20), 송출패드(30) 및 제어회로(40)를 작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으로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팩(20)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접속포트(4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상기 송출패드(30) 또는 상기 제2접속포트(42)를 통해 단말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송출패드(30)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송출패드(30)는 상기 배터리팩(20)로부터 송출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된 단말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근접한 것으로 인식되면 단말기에 무선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기설정된 범위 밖으로 이탈한 것으로 인식되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무선 충전을 중단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회로(40)는 상기 송출패드(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면서 외부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팩(20)에 유선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을 유선으로 단말기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회로(40)에는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20)에 유선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접속포트(41)와,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이 유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접속포트(42) 및 상기 송출패드(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43)가 각각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1접속포트(41)는 단말기의 충전포트와 동일하고, 제2접속포트(42)는 USB 단자와 연결되는 USB 포트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1)의 내부에는 상기 송출패드(30)를 중심으로 주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자석(50)과, 금속재질이 포함된 단말기 케이스(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자석(50)은 상기 단말기 케이스(60)가 자력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60)는 내부에 단말기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이 포함된 단말기 케이스(60)가 부착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송출패드(3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된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케이스(60)에 장착될 경우, 단말기를 상기 송출패드(30)의 기설정된 범위 내에 근접한 것으로 인식시키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단말기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송출패드(3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지 않은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케이스(60)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배터리가 무선으로 충전될 수 없는 단점이 생긴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기 케이스(60)에는 상기 송출패드(3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되는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패드(61)와, 상기 수신패드(61)에 제공된 전력이 단말기에 입력되도록 단말기의 충전포트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62)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연결선(62)이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연결되면 상기 송출패드(3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장치가 내장되지 않은 단말기도 상기 송출패드(30)에 의해 상기 배터리팩(20)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상기 수신패드(61)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1)에는 상기 배터리팩(20)에 전력이 입력되거나 출력되면 상기 하우징(10) 외부에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광으로 발광되고,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의 충전 상태를 점등 개수에 따라 식별 가능하도록 색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발광램프(7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접속포트(41)를 통해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20)으로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램프(70)는 적색으로 발광되고, 상기 제2접속포트(42)를 통해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이 단말기로 출력되면 상기 복수의 발광램프(70)는 녹색으로 발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발광램프(70)가 모두 점등된다면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발광램프(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점등된다면 점등되지 않은 개수만큼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이 소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팩(20)의 충전 여부 및 상기 송출패드(30)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팩(20)의 충전 상태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팩(20)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으로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1)에는 일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일단부가 상기 제1접속포트(41)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접속포트(42)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81)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납함(8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수납함(80) 내에서 상기 케이블(81)을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20)에 외부의 전력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포트(41)에 상기 케이블(81)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외부의 접속포트에 상기 케이블(81)의 타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수납함(80) 내에서 상기 케이블(81)을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81)을 통해 상기 배터리팩(20)에 저장된 전력을 단말기에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접속포트(42)에 상기 케이블(81)의 타단부를 연결하고, 단말기의 충전포트에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81)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케이블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81)을 함께 수납해도 컴팩트한 사이즈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을 헤치지 않는 장점이 생긴다.
한편,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이 고정 위치되며, 일측에는 회동 여부에 따라 단말기의 액정을 개폐하는 덮개(91)가 마련되는 보호케이스(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90) 및 상기 덮개(91)의 외측은 미려하게 장식하는 역할의 피혁이나 다양한 직물지 등이 사용되고, 내피로는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의 직물지 등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덮개(91)에는 고정부재(92)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재(92)는 상기 덮개(91)를 보호케이스(10) 측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호케이스(90)와 덮개(91)가 상호 맞닿는 측에는 각각 자성체,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와 같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팩;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이 무선으로 송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송출패드;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송출패드와 상기 배터리팩에 각각 연결되되, 외부의 전력이 상기 배터리팩에 유선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접속포트와, 상기 배터리팩의 저장된 전력이 유선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2접속포트와, 상기 송출패드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제어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송출패드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상 설치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금속 재질이 포함된 단말기 케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상기 송출패드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되는 전력을 제공받는 수신패드와,
    상기 수신패드에 제공된 전력이 단말기에 입력되도록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에 전력이 입력되거나 출력되면 상기 하우징 외부에 각기 다른 색상의 조명광으로 발광되고, 상기 배터리팩에 저장된 전력의 충전 상태를 점등 개수에 따라 식별 가능하도록 색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발광램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일단부가 상기 제1접속포트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접속포트에 접속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납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PCT/KR2017/013001 2016-11-28 2017-11-16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WO20180975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65097.6A CN109982601A (zh) 2016-11-28 2017-11-16 用于移动通信终端的充电包
KR1020197011432A KR20190057097A (ko) 2016-11-28 2017-11-16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US16/342,220 US20190237981A1 (en) 2016-11-28 2017-11-16 Charging pack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6896 2016-11-28
KR20-2016-0006896 2016-11-28
KR20-2017-0000660 2017-02-08
KR2020170000660U KR200484281Y1 (ko) 2016-11-28 2017-02-08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539A1 true WO2018097539A1 (ko) 2018-05-31

Family

ID=6062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001 WO2018097539A1 (ko) 2016-11-28 2017-11-16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37981A1 (ko)
KR (2) KR200484281Y1 (ko)
CN (1) CN109982601A (ko)
WO (1) WO2018097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9682B2 (en) * 2018-10-09 2022-02-01 Can Cakmak Wireless charging pack
KR102178214B1 (ko) * 2018-12-11 2020-11-12 주식회사 한국연창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KR102244858B1 (ko) * 2020-08-12 2021-04-27 (주)글로벌디자인컴퍼니 반응형 led 스마트케이스
EP4248543A1 (en) * 2020-11-19 2023-09-27 Yank Technologies, Inc. Resonant inductive receiver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2173U (ja) * 2012-09-11 2013-03-14 深▲セン▼立訊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デジタル装置の接続ケーブル一体収納構造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KR101373929B1 (ko) * 2012-12-28 2014-03-12 오우연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518819B1 (ko) * 2014-01-21 2015-05-11 김필원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US20150380977A1 (en) * 2014-06-27 2015-12-31 Superior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recharging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19504U (zh) * 2012-12-03 2013-08-07 惠州市泰通电子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移动电源
CN203261071U (zh) * 2013-05-07 2013-10-30 深圳市德朗能电池有限公司 一种可无线充放电的手机移动电源
KR20150027468A (ko) * 2013-09-04 2015-03-12 천효민 전자파 차단 화면보호필름의 휴대폰 투명창 케이스
CN205214498U (zh) * 2015-12-23 2016-05-11 贝永科 多功能手机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413A (ko) * 2012-04-20 201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무선 충전 장치 및 회로
JP3182173U (ja) * 2012-09-11 2013-03-14 深▲セン▼立訊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デジタル装置の接続ケーブル一体収納構造
KR101373929B1 (ko) * 2012-12-28 2014-03-12 오우연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518819B1 (ko) * 2014-01-21 2015-05-11 김필원 휴대폰 케이스 결합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US20150380977A1 (en) * 2014-06-27 2015-12-31 Superior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ly recharging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7981A1 (en) 2019-08-01
CN109982601A (zh) 2019-07-05
KR20190057097A (ko) 2019-05-27
KR200484281Y1 (ko)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7539A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US10897144B1 (en) Recharging platform for electronic devices
WO2013151296A1 (ko) 근거리 무선 통신과 무선 충전을 위한 공용 안테나를 이용한 휴대 장치
WO2019059568A1 (ko) 복수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유닛들에게 식별 정보를 할당하기 위한 장치
WO2017222121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8097432A1 (ko) 다기능 스마트 백팩
WO2023033267A1 (ko) 바이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5167238A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WO2016085106A1 (ko) 시계탈부착용 스마트기기
WO2014010882A1 (ko) 휴대형 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WO2019083146A1 (ko) 이미지 가변이 가능한 신발
KR20160083407A (ko)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US10996276B2 (en) Host illumination of indicators of an AC adapter
WO2020122508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CN105930898A (zh) 一种智能u盘及其系统
CN110708096A (zh) 智能外设以及nfc供电方法
WO2015080517A1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2019019055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configurable wearable architecture
WO2015078369A1 (zh) 一种多功能移动电源
WO2017043846A1 (ko) 정보 표시 장치
KR101665088B1 (ko) 메모리가 결합된 보조 배터리 시스템
WO2014171655A1 (ko) 충전 장치
WO2019132395A1 (ko)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89906A (ko) 무선 전력 공유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48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7011432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5.09.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48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