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32395A1 -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32395A1
WO2019132395A1 PCT/KR2018/016223 KR2018016223W WO2019132395A1 WO 2019132395 A1 WO2019132395 A1 WO 2019132395A1 KR 2018016223 W KR2018016223 W KR 2018016223W WO 2019132395 A1 WO2019132395 A1 WO 20191323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terminal
value
char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2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957,56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335994A1/en
Priority to JP2020536603A priority patent/JP2021509568A/ja
Priority to CN201880083150.XA priority patent/CN111527663A/zh
Publication of WO20191323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323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circuit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and a charging circui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the user has to carry a dedicated cable so that the user can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from time to time.
  • a method for managing a charging circuit comprising: connecting an adjacent charging device to a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charge value and a charge stop value through a contro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ransferring the charge signal to the charging device.
  • a circuit management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a charge stop signal to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state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stop value.
  • the charging device is formed to turn on a charging circuit switch inside the device when receiving the charging signal.
  • the charging device is configured to turn off the charging circuit switch inside the device when receiving the charge stop sign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wire or wireless with the mobile terminal;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supply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configured to drive the control unit.
  • a circuit of a charg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can be turned on or off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charg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re simply managed.
  • the charg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can be set using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only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 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a charging de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of a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odule or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fferent from itself.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ging apparatu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90,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controller, and the like. 1 are not essential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charging device 100 described herein can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have. Also, the charging device 100 may be formed to form an appearance of a protective case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mong the above components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ging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charging apparatu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or between the charging apparatus 100 and the external serve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charging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channel with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 the charging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160.
  •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5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the power supply unit 190 When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it supplies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190 charges the power supply unit 190 with power.
  •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charging circuit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mobile terminal.
  • the power supply controller 150 receives an application signal and turns on / off the charging circuit.
  • control unit 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charging apparatus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 FIG. 2 is a flowchart of a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pplication searches for the adjacent charge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 an approved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ly.
  • the application When the charg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displays a control screen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 screen includes a menu for setting the charging value (charging reference sett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buffering reference setting value).
  • the charg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may be set by the user or set automatically (S11).
  • the application can determine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and automatically set the charging section. For example, after the application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rging device 100, the application can automatically set the charg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for the mobile terminal after checking the battery capacity of the charging device 100. At this time, when the battery capacity of the charging apparatus 100 is sm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ge value and the charge stop value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witch is turned on / off can be reduced.
  • the application can store the charge value and charge stop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device and then automatically set the same charge value and charge stop value when the same device is connected.
  • the application determines the battery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S12).
  • the application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the charging device 100.
  • the charging device 100 receiving the charging signal turns on the charging circuit and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a power supply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 the power supply signal can be transmit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at is, the power suppl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tart of the power supply, and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power supply signal again grasps the battery state (S13).
  • the application transmits a charging stop signal to the charging device 100.
  • the charging device 100 which receives the charging stop signal, turns off the charging circuit to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harging device 100 transmits a power supply interrupt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 the power interrup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at regular time intervals. That is,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and the mobile terminal that receives the power supply interruption signal re-grasps the battery state again (S14).
  • a method of managing a charging circuit using an application executed through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connecting an adjacent charg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screen for controlling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nputting an optional charge stop value less than the charge value and the battery full charge value through a contro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ransmitting a charging signal or a charging stop signal to the charging device, wherein a charging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full charg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The battery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becomes higher And disconnects the connection of the charging circuit switch inside the charging devic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harging stop valu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harging stop value.
  • a method of controlling a charg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an amount of battery capacity of the charging device and automatically adjusting a charging interval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charging section is reduced when the battery capacity is smaller than the battery capacity at the time of setting the previous charging section.
  •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wire or wireless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controller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 application configured to driv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based on a stop value, wherein the application inquires a state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when the battery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is compared with the full charge value If the value is between the break values,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in the protective case physically disconnects the connection of the switch, thereby disclosing a charging circui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pplication.
  • a full charge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is completed and no more charging is interrupted, but the minimum current is continuously consumed. That is, judging '100% charge' means that when the value approaches the maximum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in accordance with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charger, it is judged as 'full charge' And the charger remains on continuously.
  • the 'green LED' lights up. If the charger is inserted into the cradle 1 or 2 minutes after the charger is removed, the 'red LED' LED 'is turned on.
  • the charge stop value less than the full charge value is set, and when the battery charge amount falls between the full charge value and the charge stop value (charge buffer space) So that power consumption of the minimum current does not occur.
  • the application inquires the status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time until the charging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 battery amount exceeds the charge stop value You can.
  • a filling buffer space is formed so as to minimize the power dissipation occurring in such a term (a state of being charged in an extra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charging buffer space so a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of an application driven in a mobile terminal (generation of a term until a charging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and to prevent power waste that may occur.
  • the charging section is reduced to control the charging device more finely.
  • the battery capacity of the charging device is small, Reduce consumption.
  • the application turns on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battery amount of the mobile terminal is less than the charging value and turns off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battery amount of the mobile termi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harging stop value. That is, if the charge interval is widened, the number of switch operations is reduced, and if the charge interval is narrowed, the number of switch operations is increased.
  • the application inquires the mobile terminal status value at a time interval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xed term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charging interval (range of charge value and charging stop value) Minimize power consumption.
  • the circuit of the charging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can be turned on or off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 the charg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re simply managed.
  • the charging value and the charging stop value can be set using the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battery only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충전장치와 이동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여 상기 상태값이 제어 화면을 통해 입력된 충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로 충전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충전시키는 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회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이동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단말기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며, 특히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단말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데에 한계가 있게 되었다. 그래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을 충전을 수시로 할 수 있도록 전용 케이블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전용 케이블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전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를 찾아야 한다는 어려움 때문에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닌다.
하지만, 보조배터리를 이동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충전이 완료된 후에도 계속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충전 전력이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고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이동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배터리 충전 조건을 조정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이동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 관리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은 인접한 충전장치와 이동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여 상기 상태값이 제어 화면을 통해 입력된 충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로 충전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관리 방법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이 중단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로 충전중단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장치 내부의 충전 회로 스위치를 온(on)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중단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장치 내부의 충전 회로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부를 연결시키고 이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값 및 충전 중단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충전 회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와 연결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간단하게 이동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잔량이 일정한 범위에 있을 때만 충전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전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관리 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충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와, 전원공급부(190)와, 전원공급 제어부(150)와, 인터페이스부(160)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충전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충전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0)는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보호케이스의 외관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충전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충전장치(100)와 이동단말기 사이, 또는 충전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충전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이동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전원공급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서 유/무선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가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경우에는 이동단말기로 전력을 공급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된 경우에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부(190)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전원공급 제어부(150)는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공급부(190)가 이동단말기와 연결되거나 단절되게 한다. 전원공급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신호를 받아 충전 회로를 온/오프 시킨다.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연관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충전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관리 시스템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에서 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S10)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인접한 충전장치(100)를 검색한다. 인접한 충전장치(100) 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승인을 받은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동단말기와 연결된다.
충전장치(100)가 이동단말기에 연결되면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제어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 화면에는 충전값(충전 기준 설정값)과 충전 중단값(완충 기준 설정값) 설정 메뉴가 포함된다.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자동으로 설정(S11)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100)의 충전용량을 파악하여 충전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단말기와 충전장치(100)를 연결한 후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100)의 배터리 용량을 확인한 후 이동단말기에 대한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충전장치(100)의 배터리 용량이 작은 경우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의 차이를 크게 하여 스위치가 온/오프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연결되는 장치에 대응하는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기억하고 이 후 같은 장치가 연결되면 동일한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설정한 후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상태를 파악한다(S12).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값 이하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100)에 충전신호를 전달한다. 충전신호를 받은 충전장치(100)는 충전 회로의 스위치를 온(on) 시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회로의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충전장치(100)는 전력공급신호를 이동단말기에 전송한다. 전력공급신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동단말기로 전력공급신호가 전송되고 전력공급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기는 다시 배터리 상태를 다시 파악한다(S13).
이동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 중단값 이상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100)에 충전 중단신호를 전달한다. 충전 중단신호를 받은 충전장치(100)는 충전 회로의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충전 회로의 스위치가 오프(off)인 경우 충전장치(100)는 전력공급 중단신호를 이동단말기에 전송한다. 전력공급 중단신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이 중단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동단말기로 전력공급 중단신호가 전송되고 전력공급 중단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기는 다시 배터리 상태를 다시 파악한다(S14).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회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인접한 충전장치와 이동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충전값과 배터리 만충전값 미만의 임의의 충전 중단값을 입력하는 단계와,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여 충전신호 또는 충전중단신호를 상기 충전장치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만충전값과 충전 중단값 사이에 충전 완충 공간이 형성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는 시점에 이동단말기의 배터리값이 상기 충전 중단값 이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충전장치 내부의 충전 회로 스위치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단절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회로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충전장치의 배터리 용량을 파악하여 자동으로 충전구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를 연결할 때 충전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이전 충전구간 설정시의 배터리 용량 보다 작은 경우 충전구간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회로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와,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부를 연결시키고 이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값 및 충전 중단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고, 상태값 조회 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값이 만충전값과 충전 중단값 사이의 값인 경우 보호케이스에 충전중단신호를 전송하여 보호케이스 내부의 전원공급 제어부가 스위치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단절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회로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만충전이란 충전이 완료되어 더이상의 충전이 중단한 상태가 아니라 최소 전류가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상태에 해당한다. 즉, '100% 충전'을 판정하는 것은 배터리와 충전기 사이의 저항값을 따져서 해당 값이 배터리 최대 충전량에 근접하면 '만충'으로 판단하는데 충전이 차단됨과 동시에 배터리는 자기소모가 시작되어 바로 100% 이하로 떨어지며 충전기는 계속 켜진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 충전기에 배터리를 끼워서 충전 시 만충 상태가 되면 '녹색 LED'가 켜지지만, 충전기 분리 후 1~2분 뒤 충전기를 크래들에 끼우면 '빨간색 LED'가 켜진 후 잠시 시간이 지나서 '녹색 LED'가 켜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실제로 충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전기기기들이 만충 상태라고 하는 구간(녹색 LED ON)에 전원을 차단하는게 아니라 최소전류량을 계속 공급하면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만충전값 미만의 충전 중단값을 설정하고, 배터리 충전량이 만충전값과 충전 중단값 사이(충전 완충 공간)에 해당하는 경우 충전장치의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단절시켜 최소전류 만큼의 전력 소모도 발생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충전 상한값을 초과하여 충전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며 이러한 텀이 있기 때문에 배터리량이 충전 중단값을 초과할 수 있습니다. 본원발명에서는 충전 완충 공간을 형성하여 이러한 텀에 발생하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여분의 공간에 충전이 되고 있는 상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충전 상한값을 넘을 때까지의 텀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충전 완충 공간을 설정한다.
또한, 충전장치를 이동단말기에 연결하였을 때 충전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큰 경우 충전 구간을 줄여서 보다 세밀하게 충전장치를 제어하게 하며, 충전장치의 배터리 용량이 작은 경우 충전 구간을 늘려서 스위치 제어에 드는 전력소모를 줄인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량이 충전값 이하일 때 충전장치의 스위치를 온 시키고 이동단말기의 배터리량이 충전 중단값 이상일 때 충전장치의 스위치를 오프 시킨다. 즉, 충전 구간이 넓어지면 스위치 작동 횟수가 줄어들고 충전 구간이 좁아지면 스위치 작동 횟수가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일정 텀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이동단말기 상태값을 조회하여 전력소모를 줄임과 동시에 충전 구간(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의 범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스위치 작동에 따른 전력 소모도 최소화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와 연결되는 충전장치의 회로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간단하게 이동단말기의 충전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잔량이 일정한 범위에 있을 때만 충전을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충전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이동단말기를 통해 실행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인접한 충전장치와 이동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충전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충전값과 충전 중단값을 입력하는 단계; 및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을 조회하여 상기 상태값이 제어 화면을 통해 입력된 충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로 충전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값이 중단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충전장치로 충전중단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장치 내부의 충전 회로 스위치를 온(on)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중단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장치 내부의 충전 회로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회로 관리 방법.
  5. 이동단말기;
    상기 이동단말기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도록 형성되는 통신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통신부를 연결시키고 이동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충전값 및 충전 중단값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충전 회로 관리 시스템.
PCT/KR2018/016223 2017-12-29 2018-12-19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91323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57,565 US20200335994A1 (en) 2017-12-29 2018-12-19 Method of managing charging circuit and system for managing the same
JP2020536603A JP2021509568A (ja) 2017-12-29 2018-12-19 充電回路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CN201880083150.XA CN111527663A (zh) 2017-12-29 2018-12-19 充电回路管理方法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91 2017-12-29
KR1020170184191A KR101884753B1 (ko) 2017-12-29 2017-12-29 충전 회로 관리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395A1 true WO2019132395A1 (ko) 2019-07-04

Family

ID=6325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6223 WO2019132395A1 (ko) 2017-12-29 2018-12-19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35994A1 (ko)
JP (1) JP2021509568A (ko)
KR (1) KR101884753B1 (ko)
CN (1) CN111527663A (ko)
WO (1) WO2019132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1008A1 (en) * 2020-09-18 2022-03-23 Volvo Truck Corporation A control unit and a method for handling charging in an at least partly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738A (ja) * 2001-06-21 2003-01-10 Nec Access Technica Ltd 移動体端末
KR20120028472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30108903A (ko) * 2012-03-26 2013-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에 설치 된 전력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력 공유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88663A (ko) * 2013-01-03 2014-07-11 (특수법인)한국전파진흥협회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서비스 제공방법
JP2015177563A (ja) * 2014-03-13 2015-10-0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台、これらによる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25668U (en) * 2007-05-25 2008-01-11 Great Performance Ind Co Ltd Portable power protection and power supply device
JP5157345B2 (ja) * 2007-09-27 2013-03-06 船井電機株式会社 再生端末接続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
KR101432590B1 (ko) * 2007-12-12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메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충전방법
WO2010055576A1 (ja) * 2008-11-14 2010-05-20 富士通株式会社 充電回路、電子装置、プログラム、充電方法、および電源装置
CN101917032A (zh) * 2010-07-23 2010-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电池充电的方法
CN104142710A (zh) * 2013-05-10 2014-11-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平板电脑保护套及应用该保护套的平板电脑保护系统
KR101354696B1 (ko) 2013-07-31 2014-01-27 김미원 스마트폰 케이스
JP2016116425A (ja) * 2014-12-18 2016-06-23 株式会社サンゴ 携帯機器充電器
KR101790503B1 (ko) 2015-09-21 2017-10-26 정종기 스마트 기기용 커버, 그 제어 방법 및 스마트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738A (ja) * 2001-06-21 2003-01-10 Nec Access Technica Ltd 移動体端末
KR20120028472A (ko) * 2010-09-15 201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30108903A (ko) * 2012-03-26 2013-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에 설치 된 전력 공유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력 공유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88663A (ko) * 2013-01-03 2014-07-11 (특수법인)한국전파진흥협회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서비스 제공방법
JP2015177563A (ja) * 2014-03-13 2015-10-0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携帯端末、充電台、これらによる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9568A (ja) 2021-03-25
US20200335994A1 (en) 2020-10-22
KR101884753B1 (ko) 2018-08-02
CN111527663A (zh)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9333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thereof
WO2014119866A1 (ko)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04813A1 (ko) 공진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20150293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rection of power delivery
WO2012020902A1 (ko) 2차 전지 관리 장치
CN103685953A (zh) 拍摄装置、移动终端和手表
CN101677143B (zh) 移动终端充电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1742140B1 (en) Cradle for connecting to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213027B1 (ko) 이동 전자전기기기의 유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6410990A (zh) 无线充电设备的控制装置及方法
EP4274049A1 (en) Charging conversion device, and charging control method
WO2019088430A1 (ko) 체결 인식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WO2014157844A2 (ko)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105762898A (zh) 一种智能手机充电器
WO2019132395A1 (ko) 충전 회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8672A (ko) Usb 동글 및 그 usb 동글에서 전력 제어 방법
WO2012148045A1 (ko) 콘센트 제어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CN104917227A (zh) 一种控制充电的方法、充电设备及终端设备
WO2015080517A1 (ko) 저발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EP1086521B1 (en) Two-wire multi-rate battery charger
CN102640393B (zh) 用于双向电感信号传送的功率桥电路
CN102723751A (zh) 多功能充电接口、电源装置和充电方法
KR102331840B1 (ko) 통신 단 절연 기능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5088147A1 (ko) 충전 테이블
WO2021141282A1 (ko) 무선 전력 공유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366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7/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64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