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68B1 - 배수지의 환기구 - Google Patents

배수지의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68B1
KR101373868B1 KR1020130131413A KR20130131413A KR101373868B1 KR 101373868 B1 KR101373868 B1 KR 101373868B1 KR 1020130131413 A KR1020130131413 A KR 1020130131413A KR 20130131413 A KR20130131413 A KR 20130131413A KR 101373868 B1 KR101373868 B1 KR 10137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ir
wall
ventilation pip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Priority to KR102013013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지의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지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이 와류 또는 환기관 외벽 상승 기류에 의한 환기간섭이 방지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수지의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의 환기관 외벽에 환기간섭방지판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기관로의 환기관 외벽에 한기간섭방지판을 구비함으로써 환기관의 외벽을 따라 대류 상승되는 공기와 배수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출동되지 않게 하여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충돌에 의한 배기저항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지의 환기구{The vent reservoir}
본 발명은 배수지의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지의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의 환기관 외벽에 환기간섭방지판을 구비하여서, 배수지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이 와류 또는 환기관 외벽 상승 기류에 의한 환기간섭이 방지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지의 환기구는 정수장에서 정수된 물을 각 가정 및 공장 등으로 보내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배수지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지의 환기구는 통상 지층의 하부에 매립된 저장탱크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형상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벌레 등의 유입이 쉽고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이 유입되기 쉬운 구조이어서 실용신안등록 제457169호에 등록된 바와 같이 연결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환기관과 상기 환기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환기캡으로 구성하고, 상기 환기관과 환기캡 사이에 형성되는 환기관로에 방충망과 유해물질투입방지망을 구비한 것이 개발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수지 환기구는 두 개의 망체가 적층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저항을 유발하여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기관의 외벽을 타고 상승되는 외부공기와 환기관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염소가스와 같은 내부공기가 충돌하여 와류를 유발하여서 배수지의 내부공기가 원활하게 환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기관의 외벽을 타고 상승되는 외부공기와 환기관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내부공기의 충돌과정에 결로수가 발생하고 상기 결로수는 내부공기에 함유된 염소가스와 석여 강한 부식력을 생성하는 염산이 생성되어 배수지 환기구 구성품이 부식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457169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망체가 적층 구비된 종래의 배수지 환기구가 공기의 유동저항을 유발하여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환기관의 외벽을 타고 상승되는 외부공기와 환기관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충돌하여 와류를 유발하여서 배수지의 내부공기가 원활하게 환기되지 않는 문제점 및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수가 내부공기에 함유된 염소가스와 석여 강한 부식력을 생성하는 염산이 생성되어 배수지 환기구 구성품이 부식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배수지의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의 환기관 외벽에 환기간섭방지판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기관로의 환기관 외벽에 한기간섭방지판을 구비함으로써 환기관의 외벽을 따라 대류 상승되는 공기와 배수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출동되지 않게 하여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충돌에 의한 배기저항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상태 사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환기간섭방지판을 하부로 경사지게 실시한 것을 보인 상세 단면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환기캡의 내면 모서리에 와류방지곡면부를 형성한 것을 보인 상세 단면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환기캡에 내부공기의 회류유도돌기를 구비한 것을 보인 배면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환기관에 밀폐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보인 단면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환기간섭방지판에 냄세흡착제를 구비한 것을 보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배수지 환기구를 통한 내부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연결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환기관(110)과 상기 환기관(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환기캡(120)으로 구성하고, 상기 환기관(110)과 환기캡(120) 사이에 형성되는 환기관로(130)의 하단에 구비된 방충망(140)으로 구성되는 배수지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130)의 환기관(110) 외벽에서 돌출형성된 환기간섭방지판(10)이 구비되고, 환기관(110)의 외벽에서 도출되게 구비된 고정편(151)에 환기캡(120)과 방충망(140)이 고정볼트(152)에 결속되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은 결로수가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게 하고 상승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하부로 방향 전환되어 유동 되어서 내부공기를 유도배출할 수 있게 외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의 단부에는 내부공기의 유동과정에 있어 급격한 단절에 의한 와류가 방지되게 하고, 외부공기의 방향을 명확하게 전환 시킬 수 있게 곡면 형성된 유동단절방지곡면부(11)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환기관(110)의 내부에 상승 유동된 내부공기가 환기캡(120)의 내벽과 충돌 후 외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 환기캡(120)의 모서리에서의 와류간섭이 방지되지 않고 관성 유동될 수 있게 내부공기 배출 유도곡면부(20)를 부착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환기관(110)의 내부에서 상승 유동되어 충돌되는 내부공기를 외측으로 회류 유동시킬 수 있게 등 각을 이루게 구비된 회류유도브레이드(30)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이 외력에 의한 환기관(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연동하여 환기관(110)의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밀폐수단은 환기관(110)의 내벽에 구비되는 밀폐에어튜브(41)와, 상기 밀폐에어튜브(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탱크(42) 및 환기캡(120)과 내벽이 연결되어 공기탱크(42)를 개방시키는 밀폐동작줄(43)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환기간섭방지판(10)의 하부 측에 내부공기에 함유된 염소가스의 일부를 흡착하여서 과도한 염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숯과 같은 냄세흡착제(5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수지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130)의 환기관(110) 외벽에서 돌출형성된 환기간섭방지판(10)을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배수지에서 환기관(110)을 통하여 배출되어서 상기 환기관(110)과 환기캡(120) 사이의 환기관(110)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에 의하여 환기캡(120)의 내벽측으로 밀착되어 유도배출되게 되며, 환기관(110)의 외벽에서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편(151)에 환기캡(120)과 방충망(140)이 고정볼트(152)에 의해 용이하게 장 탈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내부공기가 환기캡(120)의 내벽 측으로 유도되어 배출됨으로써 환기관(110)의 외벽을 따라 환기관로(130) 측으로 유도 상승되는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충돌에 의한 와류 현상이 방지되어 내부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을 외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면, 외부공기와 내부공기의 습도 및 온도차로 인하여 환기간섭방지판(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수가 흘러내려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환기간섭방지판(10)에서의 결로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내부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가스와의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는 염산의 생성이 방지되어 배수지 환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에 의하여 환기관(110)의 외벽을 따라 상승 유동되는 외부공기의 관성 유동 방향이 하향 전환되어서 내부공기의 유도배출을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의 단부에 유동단절방지곡면부(11)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공기가 배출됨에 있어 배출 접촉면의 급격한 단절이 방지되어 내부공기의 배출과정에 와류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에 의하여 관성 유동 방향이 하부로 전환되어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유동단절방지곡면부(11)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관성 유동 방향이 하부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에 의한 내부공기의 유도배출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모서리에 배출 유도곡면부(20)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환기관(110)의 내부에 상승 유동된 공기가 환기캡(120)의 내벽과 충돌 후 외측으로 이동되는 내부공기가 상기 배출 유도곡면부(20)에서 하부로 부드럽게 유도되어 와류 간섭없이 원활한 관성 유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회류유도브레이드(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환기관(110)의 내부에서 상승 유동되어 환기캡(120)의 내벽과 충돌된 내부공기가 상기 회류유도브레이드(30)에 의하여 외측으로 회류유동되어서 환기관로(130)를 통하여 내부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고 명확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캡(120)이 외력에 의해 환기관(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연동하여 환기관(11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게 밀폐에어튜브(41)와 공기탱크(42) 및 밀폐동작줄(43)로 이루어진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환기캡(120)을 강제로 파손 분리할 경우 상기 밀폐동작줄(43)이 공기탱크(42)를 개방시켜서 밀폐에어튜브(41)가 팽창하여 환기관(110)의 내벽을 밀폐함으로써 악의적인 목적에 의한 배수지로의 이물질 투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환기간섭방지판(10)의 하부 측에 숯과 같은 냄세흡착제(5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내부공기에 과도한 염소가스가 함유되어 배출될 때 상기 냄세흡착제(50)가 염소가스의 일부를 흡착함으로써 과도한 악취발생이 방지되고 내부공기에 염소가스의 함량이 낮을 경우에는 냄세흡착제(50)에 함유된 염소가스가 부분 배출되는 순환과정을 통하여 내부공기의 배출과정에 악취발생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110 : 환기관 120 : 환기캡
130 : 환기관로 140 : 방충망
151 : 고정편 152 : 고정볼트
10 : 환기간섭방지판 11 : 유동단절방지곡면부
20 : 배출 유도곡면부
30 : 회류유도브레이드
41 : 밀폐에어튜브 42 : 공기탱크
43 : 밀폐동작줄
50 : 냄세흡착제

Claims (5)

  1. 배수지 환기구에 있어서;
    환기관로(130)의 환기관(110) 외벽에서 돌출형성된 환기간섭방지판(10)이 구비되고, 환기관(110)의 외벽에서 도출되게 구비된 고정편(151)에 환기캡(120)과 방충망(140)이 고정볼트(152)에 결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환기관(110)의 내부에 상승 유동된 내부공기가 환기캡(120)의 내벽과 충돌 후 외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 환기캡(120)의 모서리에서의 와류간섭이 방지되지 않고 관성 유동될 수 있게 내부공기 배출 유도곡면부(20)를 부착 구비하고,
    상기 환기캡(120)의 내벽에 환기관(110)의 내부에서 상승 유동되어 충돌되는 내부공기를 외측으로 회류 유동시킬 수 있게 등 각을 이루게 구비된 회류유도브레이드(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의 환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은 결로수가 고이지 않고 흘러내리게 하고 상승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하부로 방향 전환되어 유동 되어서 내부공기를 유도배출할 수 있게 외측으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의 환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의 단부에는 내부공기의 유동과정에 있어 급격한 단절에 의한 와류가 방지되게 하고, 외부공기의 방향을 명확하게 전환 시킬 수 있게 곡면 형성된 유동단절방지곡면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의 환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캡(120)이 외력에 의해 환기관(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연동하여 환기관(110)의 내부를 밀폐하는 밀폐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밀폐수단은 환기관(110)의 내벽에 구비되는 밀폐에어튜브(41)와, 상기 밀폐에어튜브(4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탱크(42) 및 환기캡(120)과 내벽과 연결되어 공기탱크(42)를 개방시키는 밀폐동작줄(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의 환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간섭방지판(10)의 하부 측에 내부공기에 함유된 염소가스의 일부를 흡착하여서 과도한 염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숯과 같은 냄세흡착제(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지의 환기구.


KR1020130131413A 2013-10-31 2013-10-31 배수지의 환기구 KR10137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13A KR101373868B1 (ko) 2013-10-31 2013-10-31 배수지의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413A KR101373868B1 (ko) 2013-10-31 2013-10-31 배수지의 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868B1 true KR101373868B1 (ko) 2014-03-12

Family

ID=5064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413A KR101373868B1 (ko) 2013-10-31 2013-10-31 배수지의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41B1 (ko) 2015-03-23 2016-01-27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배수지용 염소가스 환기구
CN112484198A (zh) * 2020-12-01 2021-03-12 哈尔滨蜜国郎物业有限公司 一种智能新风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69Y1 (ko) * 2010-12-01 2011-12-07 주식회사 금광실업 배수지용 환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69Y1 (ko) * 2010-12-01 2011-12-07 주식회사 금광실업 배수지용 환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41B1 (ko) 2015-03-23 2016-01-27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배수지용 염소가스 환기구
CN112484198A (zh) * 2020-12-01 2021-03-12 哈尔滨蜜国郎物业有限公司 一种智能新风系统
CN112484198B (zh) * 2020-12-01 2022-01-18 广州朗思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新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6005530D1 (de) Tankentlüftungsventil
JP5747152B2 (ja) 換気用ベントキャップ
KR101373868B1 (ko) 배수지의 환기구
KR20110009419U (ko) 건물 벽체용 후드 캡
CN208670386U (zh) 一种h型通气管
CN202419755U (zh) 一种抽油烟系统
CN204984471U (zh) 一种公路用隧道通风结构
CN207019216U (zh) 一种冷风扇
CN106193538B (zh) 一种防火导流式烟道及双功能排气系统
KR20200030288A (ko) 재확산을 방지하고 흡입량을 극대화시키는 와류형팬 그릴
CN205154458U (zh) 混合动力车的防水进气系统
JP2010031594A (ja) 通気装置
KR20130088302A (ko) 하수관용 p-트랩
KR100888988B1 (ko) 수직 덕트 연결용 분배 배기장치
CN104949171B (zh) 一种具有加长风机外罩的吸油烟机
KR102012320B1 (ko) 레인지후드 배기덕트의 역류 저감용 환기캡
TWM556261U (zh) 通風散熱罩結構
CN204252268U (zh) 能屏蔽污浊气体的环保型楼房
KR101589141B1 (ko) 배수지용 염소가스 환기구
CN218133948U (zh) 一种实验室通风用风机风管组合结构
CN204460584U (zh) 通风系统
JP6342197B2 (ja) 燃料蒸気処理器
CN103256407A (zh) 自动阀盖水封烟气止逆阀
CN211666172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排烟管道
KR101017025B1 (ko) 건축물의 환기용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