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724B1 -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724B1
KR101373724B1 KR1020130014564A KR20130014564A KR101373724B1 KR 101373724 B1 KR101373724 B1 KR 101373724B1 KR 1020130014564 A KR1020130014564 A KR 1020130014564A KR 20130014564 A KR20130014564 A KR 20130014564A KR 101373724 B1 KR101373724 B1 KR 10137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frame
sloshing
angle guid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혁재
최병오
강보식
박종원
전태현
김종철
이승용
신동훈
신정훈
유영철
지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6Multidirectional test st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터프레임; 앵글가이드프레임; 제1힌지브라켓; 및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Apparatus for testing sloshing and vibration}
본 발명은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자동차, 항공기에 설치되는 연료탱크가 운행에 따른 흔들림과 동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슬로싱 현상을 시험하기 위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탱크라 함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나 오일 등과 같은 대량의 유체를 저장하는 것을 말하며, 액화천연가스를 운송하는 수송선에 설치되는 적재용 탱크, 자동차나 항공기 등에 탑재되는 연료용 탱크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유체 탱크에는 저장되는 유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적재된 유체가 외부 가진력에 의해 출렁이는 현상인 슬로싱(Sloshing)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유체의 자중과 더불어 슬로싱에 의한 하중이 발생하게 되어, 유체 탱크에 충격력이나 모멘트 성분이 작용하게 된다.
대양을 항해하는 액화천연가스 수송선박이나 급격한 기동 조건하의 자동차나 항공기 등에 있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슬로싱이며, 특히 액화천연가스나 오일 등을 운송하는 수송선이 대형화되면서 슬로싱 하중이 더욱 증가하여 슬로싱에 의한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유체 탱크의 구조적인 강도의 보강을 위해 슬로싱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이러한 슬로싱 현상에 의한 구조물의 반응 및 유체 충격 순간 구조물에 전달되는 유체압을 조사하기 위하여 Wet drop test 및 Dry drop test가 수행되고 있다.
Wet drop test는 수조에 고여진 유체에 구조물을 떨어뜨려 유체와의 충돌에 의한 구조물의 반응을 살펴보는 방법이고, Dry drop test는 유체가 아닌 단단한 물체를 구조물에 낙하시켜 충격에 의한 구조물의 반응을 살펴보는 방법이다.
또한, 이러한 슬로싱 현상을 시험하는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5411호는 시험체가 설치되는 테스트 베드와; 상기 테스트 베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시험체를 향하여 낙하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며, 액체를 흡수하는 오픈 셀(opencell) 구조를 갖는 폼 부재를 포함하는 슬로싱 테스트 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시험체에 유체의 충격만 가하여 실제 슬로싱이 일어나는 환경이 모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55411호 (2012.05.3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험체에 실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시험체(10)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10)이 형성되는 테스터프레임(100);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이 적재되며, 하면 둘레와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의 하면 둘레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동공간(210)이 형성되는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310);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는 칼럼(410), 상기 칼럼(4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420)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310)을 회동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은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에 의해 유동되어 시험체(10)에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320);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힌지브라켓(330); 및 일단이 상기 제2힌지브라켓(3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힌지브라켓(33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힌지브라켓(320)과 제3힌지브라켓(330)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저하수단은 다수개의 베어링(6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저하수단은 다수개의 트랙볼(6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힌지브라켓(340); 상기 제4힌지브라켓(34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트브라켓(350); 및 일단이 상기 액트브라켓(3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34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힌지브라켓(340)은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일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는 상부가 개구되어 시험체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되는 테스터프레임; 상기 테스터프레임이 적재되며, 하면 둘레와 테스터프레임의 하면 둘레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앵글가이드프레임;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칼럼, 상기 칼럼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며, 앵글가이드프레임은 제1힌지브라켓을 회동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테스터프레임은 앵글가이드프레임의 회동에 의해 유동되어 시험체에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시험체에 실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는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 앵글가이드프레임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힌지브라켓; 및 일단이 제2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3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앵글가이드프레임을 자동으로 회동시킬수 있고, 앵글가이드프레임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브라켓과 제3힌지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유압실린더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는 상기 테스터프레임과 앵글가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테스터프레임의 유동에 의한 마찰저항이 저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는 테스터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힌지브라켓; 상기 제4힌지브라켓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트브라켓; 및 일단이 액트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 테스터프레임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며, 테스터프레임은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되어 시험체에 진동으로 인한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시험체에 동체 엔진의 진동으로 인한 실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힌지브라켓은 테스터프레임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일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바이브레이터가 테스터프레임에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을 가하여, 시험체에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에서 시험편이 제외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하수단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하수단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표시에 있어서, 도면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 도면의 좌우방향을 좌우방향, 도면의 전후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테스터프레임(100),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제1힌지브라켓(310), 베이스프레임(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스터프레임(100)은 시험체(10)가 적재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시험체(10)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10)이 형성된다. 이 때, 시험체(10)는 연료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탱크일 수 있다.
또한, 테스터프레임(100)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테스터프레임(100)이 적재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테스터프레임(100)이 적재되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 내측 둘레와 테스터프레임(100)의 하면 외측 둘레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동공간(210)이 형성된다. 이 때,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유동공간(210)이 형성됨으로써, 테스터프레임(100)은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브라켓(310)은 상면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힌지브라켓(31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 중 좌우방향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베이스프레임(400)은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칼럼(410), 베이스(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칼럼(410)은 지주로서, 상면이 제1힌지브라켓(310)의 하면에 힌지결합된다.
베이스(420)는 칼럼(4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칼럼(4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베이스(420)가 H형 강판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4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좀 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제1힌지브라켓(310)을 통해 칼럼(410)과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1힌지브라켓(310)을 회동축으로 마치 시소처럼 회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 때,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에 적재된 테스터프레임(100)은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에 의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며, 테스터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재된 시험체(10)는 테스터프레임(100)의 유동으로 인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시험체(10)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10)이 형성되는 테스터프레임(100);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이 적재되며, 하면 둘레와 테스터프레임(100)의 하면 둘레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동공간(210)이 형성되는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310);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는 칼럼(410), 상기 칼럼(4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420)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제1힌지브라켓(310)을 회동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테스터프레임(100)은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에 의해 유동되어 시험체(10)에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시험체(10)에 실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자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2힌지브라켓(320), 제3힌지브라켓(330), 유압실린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힌지브라켓(320)은 하면이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힌지브라켓(320)은 칼럼(410)과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면이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3힌지브라켓(330)은 상면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힌지브라켓(330)은 제1힌지브라켓(310)과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면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유압실린더(500)는 일단이 제2힌지브라켓(3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3힌지브라켓(330)에 힌지 결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자동으로 회동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 유압실린더(500)는 유압실린더(500)의 플런저가 제3힌지브라켓(330)에 힌지 결합되면서 제3힌지브라켓(330)을 왕복 직선 운동시켜, 제3힌지브라켓(330)에 결합된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회동시킨다. 이 때, 유압실린더(500)의 플런저가 왕복 직선 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각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320);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힌지브라켓(330); 및 일단이 제2힌지브라켓(3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제3힌지브라켓(330)에 힌지 결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자동으로 회동시킬수 있고,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브라켓(320)과 제3힌지브라켓(330)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브라켓(320)과 제3힌지브라켓(330)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됨으로써, 유압실린더(500)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에서 시험편이 제외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하수단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하수단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테스터프레임(100)의 유동에 의해 테스터프리엠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간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저하되도록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저하수단의 제1실시예는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는 베어링(6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610)은 볼 베어링(61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 모퉁이 4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저하수단의 제2실시예는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다수개 설치되는 트랙볼(620)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볼(620)은 상부가 개구되며 하면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하우징(621), 상기 하우징(621)의 개구된 상부에 적재되며 상측이 테스터프레임(100)에 맞닿는 볼(622), 상기 볼(622)의 외면과 하우징(621)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펀지(6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볼(622)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테스터프레임(100)의 유동에 의한 마찰저항이 저하되도록 상기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테스터프레임(100)의 유동에 의한 마찰저항이 저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테스터프레임(100)의 내면에 수평방향(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밸런스 브라켓(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밸런스 브라켓(150)은 테스터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재되는 시험체(10)의 수평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면서 시험체(10)를 이동시켜 테스터프레임(100)의 수평방향 평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의 제1실시예는 제4힌지브라켓(340), 액트브라켓(350), 바이브레이터(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힌지브라켓(340)은 테스터프레임(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4힌지브라켓(340)은 테스터프레임(100)에 나사와 볼트의 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5액트브라켓(350)은 제4힌지브라켓(340)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제5액트브라켓(350)은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나사와 볼트의 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바이브레이터(700)는 일단이 액트브라켓(3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340)에 힌지 결합되어 테스터프레임(100)에 진동을 가한다. 이 때, 테스터프레임(100)은 바이브레이터(700)에 의해 진동되어 테스터프레임(100)의 내부에 적재된 시험체(10)에 진동으로 인한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테스터프레임(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힌지브라켓(340); 상기 제4힌지브라켓(34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트브라켓(350); 및 일단이 액트브라켓(3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340)에 힌지 결합되어 테스터프레임(100)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700);를 더 포함하며, 테스터프레임(100)은 바이브레이터(700)에 의해 진동되어 시험체(10)에 진동으로 인한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시험체(10)에 동체 엔진의 진동으로 인한 실제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는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힌지브라켓(340)은 테스터프레임(100)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바이브레이터(700) 역시 제4힌지브라켓(340)을 통해 테스터프레임(100)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힌지 연결되어 테스터프레임(100)에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힌지브라켓(340)은 테스터프레임(100)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일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바이브레이터(700)가 테스터프레임(100)에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을 가하여, 시험체(10)에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의 제2실시예는 제2힌지브라켓(320)이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유압실린더(500)의 일단이 제2힌지브라켓(320)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500)의 타단이 제3힌지브라켓(330)을 통해 액트브라켓(350)에 힌지 결합되고, 바이브레이터(700)의 일단이 액트브라켓(350)에 결합되고, 바이브레이터(700)의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340)을 통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유압실린더(500)의 작동에 의해 바이브레이터(700)가 제3힌지브라켓(330)을 회전축으로 회동되면서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이 제1힌지브라켓(310)을 회전축으로 회동되고, 바이브레이터(700)의 작동에 의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진동이 전달된다.
즉, 유압실린더(500)와 바이브레이터(7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이 첨가된 진동이 앵글가이드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시험체
1000 : 본 발명에 따른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100 : 테스터프레임
110 : 적재공간
200 ; 앵글가이드프레임
210 : 유동공간
310 : 제1힌지브라켓 320 : 제2힌지브라켓
330 : 제3힌지브라켓 340 : 제4힌지브라켓
350 : 액트브라켓
400 : 베이스프레임
410 : 칼럼 420 : 베이스
500 : 유압실린더
610 : 베어링 620 : 트랙볼
700 : 바이브레이터

Claims (8)

  1. 상부가 개구되어 시험체(10)가 적재되는 적재공간(110)이 형성되는 테스터프레임(100);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이 적재되며, 하면 둘레와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의 하면 둘레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유동공간(210)이 형성되는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힌지브라켓(310); 및
    상기 제1힌지브라켓(310)에 힌지 결합되는 칼럼(410), 상기 칼럼(4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베이스(420)를 포함하는 베이스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제1힌지브라켓(310)을 회동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은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회동에 의해 유동되어 시험체(10)에 슬로싱 현상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베이스(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힌지브라켓(320);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3힌지브라켓(330); 및
    일단이 상기 제2힌지브라켓(3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3힌지브라켓(33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을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브라켓(320)과 제3힌지브라켓(330)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테스터프레임(100)과 앵글가이드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저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하수단은
    다수개의 베어링(6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하수단은
    다수개의 트랙볼(6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1000)는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힌지브라켓(340);
    상기 제4힌지브라켓(34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앵글가이드프레임(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트브라켓(350); 및
    일단이 상기 액트브라켓(3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힌지브라켓(34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힌지브라켓(340)은
    상기 테스터프레임(100)의 상하방향 일면, 전후방향 일면, 좌우방향 일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KR1020130014564A 2013-02-08 2013-02-08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KR10137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64A KR101373724B1 (ko) 2013-02-08 2013-02-08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64A KR101373724B1 (ko) 2013-02-08 2013-02-08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724B1 true KR101373724B1 (ko) 2014-03-13

Family

ID=5064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64A KR101373724B1 (ko) 2013-02-08 2013-02-08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50A (ko) 2015-07-08 2017-01-18 한국기계연구원 듀얼링크와 공압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 장치
CN108100296A (zh) * 2017-11-03 2018-06-01 中航通飞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飞机油箱晃动试验装置
KR20200142238A (ko) 2019-06-12 2020-12-22 한국기계연구원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장치
CN114739621A (zh) * 2022-06-15 2022-07-12 中国飞机强度研究所 飞机力学测试用三维运动轨迹实时观测系统及其观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083A (ja) * 1994-08-22 1996-03-08 Toyota Motor Corp 慣性モーメント計測装置
JP2002013012A (ja) 2000-06-23 2002-01-18 Eiichi Boku ゴム手袋
KR20060056778A (ko) * 2004-11-22 2006-05-25 대우전자부품(주) 차량연료누출 시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083A (ja) * 1994-08-22 1996-03-08 Toyota Motor Corp 慣性モーメント計測装置
JP2002013012A (ja) 2000-06-23 2002-01-18 Eiichi Boku ゴム手袋
KR20060056778A (ko) * 2004-11-22 2006-05-25 대우전자부품(주) 차량연료누출 시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450A (ko) 2015-07-08 2017-01-18 한국기계연구원 듀얼링크와 공압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 장치
KR101721498B1 (ko) * 2015-07-08 2017-03-30 한국기계연구원 듀얼링크와 공압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 장치
CN108100296A (zh) * 2017-11-03 2018-06-01 中航通飞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飞机油箱晃动试验装置
KR20200142238A (ko) 2019-06-12 2020-12-22 한국기계연구원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장치
CN114739621A (zh) * 2022-06-15 2022-07-12 中国飞机强度研究所 飞机力学测试用三维运动轨迹实时观测系统及其观测方法
CN114739621B (zh) * 2022-06-15 2022-09-13 中国飞机强度研究所 飞机力学测试用三维运动轨迹实时观测系统及其观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724B1 (ko)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션 시험 장치
KR101108518B1 (ko) 연직 강제동요장치의 시험장비
JP6147178B2 (ja) 軸受試験機
US20140057245A1 (en) Machine That Simulates The Movement Produced During Transport
CN103743535B (zh) 力和力矩控制加载的大振幅平动转动耦合振动实验装置
CN104034501B (zh) 飞机后机身动态载荷随动加载试验装置
CN107202700B (zh) 一种列车构架疲劳试验台
CN102853981A (zh) 一种可模拟大幅值振动系统的实验装置
JP3190761U (ja) 振動・衝撃試験装置
KR101721498B1 (ko) 듀얼링크와 공압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슬로싱 및 바이브레이터 시험 장치
CN103512817A (zh) 负荷实验装置
CN104198165A (zh) 减震器耐久度试验装置
CN103921099B (zh) 大直径深海模拟器卡箍装卸装置
CN111301632A (zh) 一种船用设备摇摆倾斜试验装置
AlaviMehr et al. Response of a high-speed wave-piercing catamaran to an active ride control system
CN105203309A (zh) 油箱位姿模拟试验台
CN107571968A (zh) 基于高频和低频振动的海洋工作环境的船载设备减振装置
KR101259142B1 (ko) 슬로싱 테스트 장치
RU2460054C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стенд
CN104952346B (zh) 一种用于研究剪切应变历史对砂土液化特性影响的模型箱
JPH1029592A (ja) 浮体減揺装置
RU115113U1 (ru) Двухстепенная динамическая платформа
RU180035U1 (ru) Стенд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оментов инерции автомобилей
KR20130014083A (ko) 잠수함의 경사시험 장치와 그 방법
CN203870050U (zh) 一种振幅可调式模拟海上油船晃动的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