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657B1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657B1
KR101373657B1 KR1020110008020A KR20110008020A KR101373657B1 KR 101373657 B1 KR101373657 B1 KR 101373657B1 KR 1020110008020 A KR1020110008020 A KR 1020110008020A KR 20110008020 A KR20110008020 A KR 20110008020A KR 101373657 B1 KR101373657 B1 KR 10137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refrigerant
receiver dryer
condenser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763A (ko
Inventor
이덕호
지용준
오광헌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6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포집된 액상 냉매를 상부 과냉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삽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 내부에 건조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냉매의 이송 단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상기 건조제가 냉매 이송경로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기{Condenser}
본 발명은 상부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포집된 액상 냉매를 상부 과냉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삽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 내부에 건조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냉매의 이송 단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상기 건조제가 냉매 이송경로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는데, 이렇게 냉매가 기상에서 액상으로 바뀌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응축기 내부에는 기상의 냉매와 액상의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가 혼합되어 있게 되면 온도ㆍ압력에 있어 평형적인 조건밖에는 얻을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보다 응축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응축된 액상 냉매와 아직 응축되지 못한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재응축을 함으로써 과냉각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과냉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응축기에는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된 응축기와, 이때의 냉매 흐름, 응축 영역 및 과냉각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응축 영역은 A2, 과냉각 영역은 A1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한편,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 모듈, 헤드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2는 이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쿨링 모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들이 포함되는데, 특히 응축기가 이러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결합되는 쿨링 모듈의 구성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에 결합되는 쿨링 모듈의 경우 대부분 하부 쪽이 범퍼 빔 등과 같은 주변물에 의하여 가려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과냉각 영역을 가지는 응축기의 경우 과냉각 영역이 코어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과냉각 영역에서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과냉각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냉각 영역이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응축기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종래에 개시되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7-7022372호(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 내에 내부관이 연결되도록 하여 하부의 냉매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건조제는 관과 연결되어 삽입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1에 의한 구조를 실제로 구현하고자 할 경우, 건조제와 내부관의 연결 및 배치 형태가 안정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3-0086067호(선행기술2)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을 연결하여 하부의 냉매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사용되던, 필터 및 건조제가 구비된 하부 캡 등의 구조를 그대로 도입할 수 있어, 건조제의 제작이나 삽입 배치 등에서의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지는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일반적인 리시버 드라이어에 외부관이 더 구비되는 형태가 되어 부피가 증가되기 때문에,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현재 모든 자동차 부품들이 소형화 및 컴팩트화되어 가고 있는 경향에 반하는 설계로서, 실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액상 냉매를 위로 끌어올려 응축기의 상부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시되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주목적(응축기 상부에 과냉각 영역 형성)은 잘 달성시키되 외부관에 의해 부피가 증가되어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성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거나, 엔진 룸 내 공간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없는 반면 상기 주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내부 구조 자체의 제작이 난해하거나 레이아웃 상 제약이 따르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포집된 액상 냉매를 상부 과냉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삽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 내부에 건조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냉매의 이송 단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상기 건조제가 냉매 이송경로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삽입된 삽입관으로 유입된 액상냉매가 과냉각 영역에 이송되기 위한 상승 유로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하단부에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냉매측 압력강하를 감소시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210)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2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400); 및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부(130)에 의해 연통되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500); 를 포함하고 상부 일정영역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는 응축기(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원통형으로 상단 또는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몸체(510); 상기 개구부(511)를 밀폐하며,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530)가 형성되는 밀봉캡(520); 상기 몸체(510) 내에 수용 배치되는 건조제(5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단 또는 하단의 외주면에 일정영역 중공되는 연통홀(6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제(54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관(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삽입관(600)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관(600)의 직경이 상기 몸체(510)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에는 상기 연결부(130)중 하단 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부(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되는 연결부삽입홈(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530)에는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필터부(530)를 지나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칸막이돌기(531)가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 중 상기 연통홀(61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는 영역에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서 상기 단턱(512)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관(600)에는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측 일정영역이 함입되는 함입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단턱(512)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 일정 높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의 상단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단부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 단부가 상기 단턱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 일정영역의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밀봉캡(520)의 중심부에 돌출되는 기둥부(521)가 상기 필터부(530)의 하단부보다 길게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밀봉캡(520) 기둥부(521)의 하단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판형태의 칸막이돌기(53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연통홀(610)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칸막이돌기(531)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기 위한 액상 냉매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51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 사이 공간에 메쉬 구조의 여과제(56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는 리시버 드라이어에서 포집된 액상 냉매를 상부 과냉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삽입관을 삽입하여 상기 삽입관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 내부에 건조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제조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냉매의 이송 단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상기 건조제가 냉매 이송경로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기는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삽입된 삽입관으로 유입된 액상냉매가 과냉각 영역에 이송되기 위한 상승 유로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의 하단부에 복수개의 연통홀이 형성됨으로써, 냉매측 압력강하를 감소시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냉각 영역이 형성된 응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과냉각 영역이 상부에 형성되는 응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에 설치되는 또 다른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축기(1)는 크게 제1헤더탱크(110), 제2헤더탱크(120), 입구파이프(210), 출구파이프(220), 튜브(300), 핀(400) 및 리시버 드라이어(500)를 포함하며, 특히 과냉각 영역이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는 일반적으로 헤더와 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입구파이프(210) 및 출구파이프(22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내부에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7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튜브(3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병렬 배치된다. 상기 핀(400)은 상기 튜브(300) 사이에 상하로 절곡되어 개재되어 상기 튜브(300) 사이를 흐르는 공기와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킨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부(130)에 의해 연통되고,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한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원통형으로 상단 또는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몸체(510)와, 상기 개구부(511)를 밀폐하며,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530)가 형성되는 밀봉캡(520)과, 상기 몸체(510) 내에 수용 배치되는 건조제(5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단 또는 하단의 외주면에 일정영역 중공되는 복수개의 연통홀(6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제(54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삽입관(60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삽입관(600)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관(600)의 직경이 상기 몸체(510)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연결부(130) 중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130)를 통해 액상 냉매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 내 삽입관(600)에 유입되는데, 상기 삽입관(600) 내에 배치되는 건조제(540)를 지나 냉매 중의 수분이 제거된 액상 냉매가 상기 삽입관(600)의 하단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상기 삽입관(600)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몸체(510) 사이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삽입관(600)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몸체(510) 사이 공간에 배출된 액상 냉매는 유로를 따라 상승되어 상기 삽입관(600)의 상단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상기 필터부(530)를 거치게 되며, 상기 필터부(5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상기 필터부(530)에 인접하여 형성된 연결부(130)를 따라 상기 과냉각 영역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를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필터부(530)를 지나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칸막이돌기(531)가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 중 상기 연통홀(61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는 영역에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측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관(600)에는 상기 연결부(130) 중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되는 연결부삽입홈(6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측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하측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상측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삽입관(600)의 하단부는 상기 연결부(130) 중 하측에 위치한 연결부(130)가 상기 몸체(510)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연결부(130) 중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13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삽입관(600)의 하단부를 통해 유입되어 건조제(540)를 통과하게 되며, 다시, 상기 삽입관(600)의 연통홀(610) 중 하단에 위치한 연통홀(610)을 통해 삽입관(600) 밖으로 배출되어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다. 그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와 마찬가지로, 상단에 위치한 연통홀(610)을 통해 상기 필터부(530)를 거치게 되며, 상기 필터부(5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상기 필터부(530)에 인접하여 형성된 연결부(130)를 따라 상기 과냉각 영역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삽입관(600)에 형성되는 연결부(130)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작이 더 간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a)에서 도시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서 상기 단턱(512)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상기 삽입관(600)의 하단은 상기 단턱(5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삽입관(600)의 하단부에만 연통홀(61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130) 중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13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필터부(530)를 거쳐 연통홀(610)을 지나 다시 삽입관(600) 밖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 액상 냉매는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 다음, 상측에 형성된 연결부(130)를 통해 과냉각 영역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단턱(512)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 일정 높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의 상단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측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삽입관(600)에는 상기 연결부(130)중 하단 및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부(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되는 연결부삽입홈(6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연결부(130)중 하단 및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부(13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삽입관(600)으로 유입되어 건조제(540)를 통과하게 되며, 다시, 상기 삽입관(600)의 연통홀(610) 중 하단에 위치한 연통홀(610)을 통해 삽입관(600) 밖으로 배출되어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다. 그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와 마찬가지로, 상단에 위치한 연통홀(610)을 통해 상기 필터부(530)를 거치게 되며, 상기 필터부(5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 상기 필터부(530)에 인접하여 형성된 연결부(130)를 따라 상기 과냉각 영역으로 유입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단부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연결부(130) 중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 단부가 상기 단턱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관(600) 상측 일정영역의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밀봉캡(520)의 중심부에 돌출되는 기둥부(521)가 상기 필터부의 하단부보다 길게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밀봉캡(520)은 기둥부(521)의 하단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판형태의 칸막이돌기(53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600)은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연통홀(610)의 하측에서 상기 칸막이돌기(53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의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냉매가 상단에 위치한 연통홀(610)을 통해 상기 삽입관(600)으로 유입된 다음, 상측으로 유동되어 단턱(512) 상측에 형성된 필터부(530)를 통과하여 연결부(130)를 따라 과냉각 영역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필터부(530)를 한 번만 통과하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에 비해 압력 손실을 더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2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도 8(a)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500)와 다른 부분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에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측 일정영역이 함입되는 함입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연결부(130) 중 하단에 위치한 연결부(13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필터부(530)를 거쳐 연통홀(610)을 지나 다시 삽입관(600) 밖으로 배출된 다음, 액상 냉매는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내주면 및 상기 삽입관(600) 외주면 사이 공간에 메쉬 구조의 여과제(560)가 삽입되어 모세관 효과를 통해 액상 냉매의 상승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리시버 드라이어(500)가 구비되는 응축기(1)는 도 13(a)~1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ㅇ출구파이프(220) 및 연결부(13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냉매 흐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응축기
1 : 응축기
2 : 라디에이터
110 : 제1헤더탱크 120 : 제2헤더탱크
130 : 연결부
210 : 입구파이프 220 : 출구파이프
300 : 튜브
400 : 핀
500 : 리시버 드라이어
510 : 몸체 511 : 개구부
512 : 단턱
520 : 밀봉캡 521 : 기둥부
530 : 필터부 531 : 칸막이돌기
540 : 건조제 550 : 마개
560 : 여과제
600 : 삽입관 610 : 연통홀
620 : 연결부삽입홈 630 : 함입부
700 : 배플
A1 : 과냉각영역
A2 : 응축영역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210)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2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400); 및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부(130)에 의해 연통되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500); 를 포함하고 상부 일정영역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는 응축기(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몸체(510); 상기 개구부(511)를 밀폐하며,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530)가 형성되는 밀봉캡(520); 상기 몸체(510) 내에 수용 배치되는 건조제(540);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봉캡(520) 필터부(530)의 하부 일정영역이 삽입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단 또는 하단의 외주면에 일정영역 중공되는 연통홀(6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제(540)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130) 중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30)중 하단 또는 중간 부분에 위치한 연결부(1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되는 연결부삽입홈(620)이 형성되는 삽입관(600);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530)에는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필터부(530)를 지나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유로를 조절하는 칸막이돌기(531)가,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 중 상기 연통홀(61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되는 영역에 상기 필터부(5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510)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상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몸체(510)의 상단에서 상기 단턱(512)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600)에는
    상기 연결부와 인접한 측 일정영역이 함입되는 함입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몸체(510)의 하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단턱(512)에 상기 필터부(530)의 상단이 걸리며,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단턱(512)에서 상기 몸체의 상측 일정 높이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의 상단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에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210) 및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220); 상기 제1헤더탱크(110) 및 제2헤더탱크(1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400); 및 상기 제1헤더탱크(110) 또는 제2헤더탱크(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결부(130)에 의해 연통되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500); 를 포함하고 상부 일정영역에 과냉각 영역이 형성되는 응축기(1)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원통형으로 상단에 개구부(511)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1)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수용하는 몸체(510); 상기 개구부(511)를 밀폐하며,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530)가 형성되는 밀봉캡(520); 상기 필터부(530)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단턱(512); 상기 밀봉캡(520) 기둥부(521)의 하단부에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판형태의 칸막이돌기(531); 상기 몸체(510) 내에 수용 배치되는 건조제(540); 상기 몸체(510) 내부에 삽입되어 이중관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단 또는 하단의 외주면에 일정영역 중공되는 연통홀(610)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제(540)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130) 중 상단에 위치한 연결부(130)의 하측에서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관(600);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 단부가 상기 단턱에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 일정영역의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밀봉캡(520)의 중심부에 돌출되는 기둥부(521)가 상기 필터부(530)의 하단부보다 길게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봉캡(520)의 하부 일정영역이 상기 삽입관(600)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관(600)의 상측에 형성된 연통홀(610)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연통홀(610)의 하측에서 상기 삽입관(600)이 상기 칸막이돌기(531)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몸체(510)의 내주면 사이 공간으로 액상 냉매가 상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9. 삭제
  10. 삭제
  11. 제 3항, 5항, 6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1)는
    상기 삽입관(600) 외주면과 상기 몸체(510) 내주면 사이에 액상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입관(600)의 직경이 상기 몸체(510)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500)는
    상기 과냉각 영역으로 유동되기 위한 액상 냉매의 상승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510)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관(600)의 외주면 사이 공간에 메쉬 구조의 여과제(56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110008020A 2011-01-27 2011-01-27 응축기 KR10137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20A KR101373657B1 (ko) 2011-01-27 2011-01-27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20A KR101373657B1 (ko) 2011-01-27 2011-01-27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63A KR20120086763A (ko) 2012-08-06
KR101373657B1 true KR101373657B1 (ko) 2014-03-13

Family

ID=4687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020A KR101373657B1 (ko) 2011-01-27 2011-01-27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03A (ko) * 2015-01-28 2016-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03B1 (ko) * 2012-10-05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KR101416369B1 (ko) 2012-11-08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US10766340B2 (en) 2014-07-29 2020-09-08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206973B1 (ko) * 2014-07-31 2021-0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US10247455B2 (en) * 2016-07-13 2019-04-02 Hanon Systems Condenser receiver drier refrigerant fi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725A (ja) 2000-04-27 2001-10-31 Showa Denko Kk 冷凍システム用レシーバタンク
KR20030030501A (ko) * 2001-10-11 2003-04-1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JP2003139438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冷媒凝縮器
KR20080031662A (ko) * 2005-06-02 2008-04-10 덴소 아우토모티베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공조 시스템용 응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725A (ja) 2000-04-27 2001-10-31 Showa Denko Kk 冷凍システム用レシーバタンク
KR20030030501A (ko) * 2001-10-11 2003-04-1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JP2003139438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冷媒凝縮器
KR20080031662A (ko) * 2005-06-02 2008-04-10 덴소 아우토모티베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공조 시스템용 응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703A (ko) * 2015-01-28 2016-08-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KR102189100B1 (ko) * 2015-01-28 2020-12-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63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57B1 (ko) 응축기
KR101409196B1 (ko) 증발기
KR101457585B1 (ko) 증발기
US10337808B2 (en) Condenser
KR101304864B1 (ko) 쿨링모듈
JP6170422B2 (ja) 充填効率を向上するための冷媒経路変更器を備えたレシーバタンクを有するサブクール式コンデンサ
KR20130143343A (ko) 응축기
KR101673496B1 (ko) 과냉각 응축기
JP2009014274A (ja) 熱交換器
KR101409176B1 (ko)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 조립체
KR101248786B1 (ko) 응축기
KR101932140B1 (ko) 증발기
KR101144262B1 (ko) 응축기
KR100976130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5622411B2 (ja) コンデンサ
KR101389310B1 (ko) 응축기
KR101870776B1 (ko) 응축기
KR101771152B1 (ko) 응축기
KR100825711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1771145B1 (ko) 응축기
KR101344517B1 (ko) 응축기
KR101989445B1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응축기 조립체
KR101773014B1 (ko) 응축기
KR100842209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가진 열교환기
KR101353513B1 (ko)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