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100B1 - 응축기 - Google Patents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100B1
KR102189100B1 KR1020150013417A KR20150013417A KR102189100B1 KR 102189100 B1 KR102189100 B1 KR 102189100B1 KR 1020150013417 A KR1020150013417 A KR 1020150013417A KR 20150013417 A KR20150013417 A KR 20150013417A KR 102189100 B1 KR102189100 B1 KR 102189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
condenser
exchange tub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703A (ko
Inventor
임홍영
신현근
조위삼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1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fluid heated by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내부에 건조재(110)를 포함하여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100); 상기 제1몸체(100) 외부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300); 상기 제1몸체(100) 및 열교환관(300)을 내부에 포함하며 냉매가 유동되면서 상기 열교환관(30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형성하는 제2몸체(200);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와 연결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공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제2몸체(200) 내부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100)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300)이 내장되어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응축성능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응축기 {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제2몸체 내부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이 내장되어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냉방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냉매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종래의 응축기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2 헤더탱크(20)에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40) 및 출구파이프(5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와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60); 상기 튜브(6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70); 및 상기 제 1 헤더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액분리기(80)에서 액상 냉매만을 포집함으로써 과냉각(Sub cooling)을 유도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축기의 내부 흐름을 살펴보면, 압축기에 의해 고온ㆍ고압으로 압축된 기상 냉매는 제 1 헤더탱크의 입구파이프로 유입되며 내부에 구비된 배플에 의해 제 2 헤더탱크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응축기 내부에서는 이미 응축이 일어나게 되므로 기상과 액상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대체적으로 기상 냉매는 상부로 액상 냉매는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배플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각각 상부 및 하부 영역을 거쳐 기액분리기의 하측에 포집된 냉매는 대부분 액상인 냉매가 모이게 되며, 다시 상기 액상 냉매가 과냉 영역을 통과하면서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냉매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3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3의 (a)는 과냉 영역이 형성되지 않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내며, 상기 도 3의 (b)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응축기의 P-h선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3을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응축기는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냉매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전에 비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과냉 영역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내부 냉매의 온도를 공기측 온도 이하로 낮출 수 없으므로 엔탈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차량 내 부품의 경량화ㆍ컴팩트화ㆍ고성능화가 진행되는 현재 기술적 추세에 따라 상기 응축기 역시 소형화 및 고성능화를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13-0012986호(발명의 명칭 : 쿨링모듈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몸체 내부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이 내장되어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는 내부에 건조재를 포함하여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 외부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 상기 제1몸체 및 열교환관을 내부에 포함하며 냉매가 유동되면서 상기 열교환관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공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응축기는 제2몸체 내부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이 내장되어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응축성능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공냉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 내부를 구획하는 배플;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제1몸체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형태로서, 내부의 냉각수와 외부의 냉매가 충분히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몸체는 폴리머(Polymer) 재질로서,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냉매와, 제1몸체 내부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는 내부에 필터부가 더 구비되어 냉매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몸체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제1입구부; 상기 제2몸체와 상기 공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공냉부와 제1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제1몸체 내부로 냉매를 유입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공냉부를 연결하여 제1몸체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공냉부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는 제1출구부를 포함하여 냉매가 공급, 순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입구부를 통해 제2몸체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관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수냉영역;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냉부로 이동되어 일부 튜브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응축영역;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몸체 내부로 유입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분리되는 기액분리영역; 및 상기 제3연결부는 통해 상기 공냉부로 이동되어 나머지 튜브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에 의해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제1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의 응축기는 수냉영역 내부에 기액분리영역이 형성되어 소형화가 가능하며,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한 후, 공기와 냉각(응축영역 및 과냉각영역)됨으로써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열교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관으로 유입하는 제2입구부 및 상기 열교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출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는 제2몸체 내부에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이 내장되어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의 냉매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의 P-h 선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방사이클을 나타낸 도면.(냉매의 흐름을 실선으로, 냉각수 흐름을 점선으로 표시함)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응축기(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를 포함하는 냉매 및 냉각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0)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제1몸체(100), 열교환관(300), 제2몸체(200), 및 공냉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100)는 통형태로, 내부에 건조재(110)가 구비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부분이다. 이 때, 상기 제1몸체(100)는 냉매가 유입되되, 건조재(110)를 통과하면서 액상 냉매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는 내부에 필터부(120)가 더 구비되어 냉매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몸체(200)는 상기 제1몸체(100)를 내부에 포함하는 통형태로, 냉매가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열교환관(300)은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으로, 냉각수가 유동된다. 즉, 상기 제2몸체(200) 내부의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영역은 냉매가 유동되되, 상기 열교환관(300)이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관(300)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된다. 상기 열교환관(300)은 내부의 냉각수가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냉매와 충분히 열교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00)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Spiral)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관(300)은 양측이 상기 제2몸체(200)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상기 열교환관(300)으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2입구부(310) 및 타측에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출구부(320)가 연결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관(300)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저온 라디에이터(3000)를 통과한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온 라디에이터(3000)는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전장부품은 엔진 외에 모터, 인버터, 배터리 스택 등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구성품이며, 이 외에도 엔진보다 낮은 발열온도를 가지며 냉각해야하는 전자 구성품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냉매를 수냉식 및 공냉식으로 냉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응축기(1000)(공냉)와 개별적으로 수냉식 열교환기가 저온 라디에이터(3000)에 내장됨에 따라 저온 라디에이터(3000)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도 7 및 도 8에서 냉각수의 흐름을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영역과 제1몸체(100) 내부 영역 모두 냉매가 유동되는 영역이나,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몸체(100)는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의 영역은 냉매가 최초 유입되어 이동되면서 상기 열교환관(300) 내부의 냉각수와 수냉식으로 열교환되는 부분(수냉영역(A1))이며, 상기 제1몸체(100) 내부는 상기 공냉부(400)의 일정 영역(응축영역(A2))을 통과한 후 유입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부분(기액분리영역(A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두 냉매는 서로 온도차가 있다.(아래에서, 냉매의 순차적인 흐름은 다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두 냉매의 온도차에 의한 열교환이 유발되지 않도록 상기 제1몸체(100)가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냉부(400)는 상기 제1몸체(100) 및 제2몸체(200)와 연결되되,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부분이다. 이 때, 상기 공냉부(400)는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 배플(430), 튜브(440) 및 핀(4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몸체(200)(제1몸체(100)가 내장) 역시 상기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플(430)은 상기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 내부를 구획하는 부분으로서, 공냉부(400) 내부의 냉매 흐름을 조절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상기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가 도면 좌,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 하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200)가 상기 제1헤더탱크(410)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배플(430)이 상기 제1헤더탱크(410) 내부에 2개, 상기 제2헤더탱크(420) 내부에 1개 구비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더욱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튜브(440)는 상기 제1헤더탱크(410) 및 제2헤더탱크(42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핀(450)은 상기 튜브(440)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와의 열전달면적을 증대하여 튜브(440) 내부의 냉매와 외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높인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0)는 냉매의 유입, 이동 및 배출을 위하여 제1입구부(461), 제1연결부(462), 제2연결부(463), 제3연결부(464) 및 제1출구부(4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입구부(461)는 본 발명의 응축기(1000)로 냉매를 유입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몸체(200)에 형성된다. 상기 제1입구부(461)는 냉방사이클 상, 압축기(2100)를 통과한 냉매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 영역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몸체(200)에 형성되며,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 영역 이동되면서 상기 열교환관(30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된다.
상기 제1연결부(462)는 제2몸체(200)와 공냉부(40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사이 영역을 유동하면서 수냉식으로 열교환(열교환관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공냉부(400)로 이송하고, 이송된 냉매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연결부(463)는 상기 공냉부(400)와 제1몸체(100)를 연결하여 제1몸체(100)로 냉매를 유입한다. 상기 2연결부를 통해 제1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1차로 냉각수 및 2차로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로서, 제1몸체(100) 내부의 건조재(110)를 통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로 분리된다.
상기 제3연결부(464)는 상기 제1몸체(100)와 상기 공냉부(400)를 연결하여 제1몸체(100)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며, 상기 제3연결부(464)를 통해 배출된 액상 냉매는 상기 공냉부(400)를 통과하면서 과냉각된다.
상기 제1출구부(465)는 상기 공냉부(400)로부터 냉매를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압축기(2100), 팽창밸브(220), 및 증발기(2300)와 함께 냉방사이클을 형성하며, 압축기(2100)-응축기(1000)-팽창밸브(220)-증발기(2300) 순으로 냉매가 이송된다.
먼저, 상기 압축기(2100)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2300)에서 토출된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1000)로 토출한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상기 압축기(21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응축된다. 본 발명의 응축기(1000) 내부의 냉매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제1입구부(461)를 통해 제2몸체(20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수냉영역(A1), 응축영역(A2), 기액분리영역(A3), 및 과냉각영역(A4)을 거쳐 제1출구부(465)를 통해 배출된다.(도 7 및 도 8에서, 실선 화살표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입구부(461)를 통해 제2몸체(20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관(30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수냉영역(A1); 상기 제1연결부(462)를 통해 상기 공냉부(400)로 이동되어 일부 튜브(440)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응축영역(A2); 상기 제2연결부(463)를 통해 상기 제1몸체(100) 내부로 유입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분리되는 기액분리영역(A3); 및 상기 제3연결부(464)는 통해 상기 공냉부(400)로 이동되어 나머지 튜브(440)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에 의해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A4)을 통과하여 상기 제1출구부(465)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응축영역(A2) 및 과냉각영역(A4)은 상기 공냉부(400), 즉 공기와 열교환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응축기(1000)는 냉각수 및 공기를 통해 냉매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응축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기액분리영역(A3)이 수냉영역(A1) 내부에 형성되어(제1몸체(100)가 제2몸체(200) 내부에 내장되어) 별도의 기액분리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팽창밸브(220)(Expansion Valve)는 상기 제1응축기(10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서 상기 증발기(2300)로 토출한다.
상기 증발기(2300)(Evaporator)는 상기 팽창밸브(22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응축기
100 : 제1몸체
110 : 건조재
120 : 필터부
200 : 제2몸체
300 : 열교환관
310 : 제2입구부 320 : 제2출구부
400 : 공냉부
410 : 제1헤더탱크 420 : 제2헤더탱크
430 : 배플
440 : 튜브
450 : 핀
461 : 제1입구부 462 : 제1연결부
463 : 제2연결부 464 : 제3연결부
465 : 제1출구부
A1 : 수냉영역
A2 : 응축영역
A3 : 기액분리영역
A4 : 과냉각영역
2100 : 압축기
2200 : 팽창밸브 2300 : 증발기
3000 : 저온 라디에이터

Claims (8)

  1. 내부에 건조재를 포함하여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 외부에 구비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는 열교환관;
    상기 제1몸체 및 열교환관을 내부에 포함하며 냉매가 유동되면서 상기 열교환관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공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냉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제2헤더탱크 내부를 구획하는 배플;
    상기 한 쌍의 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몸체 내부로 냉매를 공급하는 제1입구부;
    상기 제2몸체와 상기 공냉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상기 공냉부와 제1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제1몸체 내부로 냉매를 유입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상기 공냉부를 연결하여 제1몸체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공냉부로부터 냉매를 배출하는 제1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제1몸체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폴리머(Polymer)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내부에 필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열교환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저온 라디에이터를 통과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관으로 유입하는 제2입구부 및 상기 열교환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배출하는 제2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구부를 통해 제2몸체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관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수냉영역;
    상기 제1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냉부로 이동되어 일부 튜브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는 응축영역;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몸체 내부로 유입되어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분리되는 기액분리영역; 및
    상기 제3연결부는 통해 상기 공냉부로 이동되어 나머지 튜브를 유동하면서 외부 공기에 의해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제1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KR1020150013417A 2015-01-28 2015-01-28 응축기 KR102189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17A KR102189100B1 (ko) 2015-01-28 2015-01-28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417A KR102189100B1 (ko) 2015-01-28 2015-01-28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03A KR20160092703A (ko) 2016-08-05
KR102189100B1 true KR102189100B1 (ko) 2020-12-09

Family

ID=5671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417A KR102189100B1 (ko) 2015-01-28 2015-01-28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57B1 (ko) * 2011-01-27 2014-03-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응축기
KR101369636B1 (ko) * 2008-01-21 2014-03-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43B1 (ko) 2011-07-27 2013-10-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쿨링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36B1 (ko) * 2008-01-21 2014-03-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1373657B1 (ko) * 2011-01-27 2014-03-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03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848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JP6022156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JP6041424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KR101316859B1 (ko) 차량용 컨덴서
US20180142936A1 (en) Heat exchanger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ing portions
KR102255799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KR101326841B1 (ko) 차량용 컨덴서
CN106103155A (zh) 车用空调系统
JP2012042205A (ja) ヒートポンプ式蒸気発生装置
CN111114243B (zh) 用于车辆的冷却模块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170459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JP2008138895A (ja) 蒸発器ユニット
KR101353394B1 (ko) 통합형 열교환기, 이를 이용한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열교환 시스템
JP6599176B2 (ja) ターボ冷凍装置
KR102205847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2189100B1 (ko) 응축기
KR10212385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090132938A (ko) 오일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EP2431685B1 (en) Air conditioner
KR102194634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JP7388007B2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20697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20120061676A (ko) 차량용 컨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