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993B1 -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993B1
KR101372993B1 KR1020120155269A KR20120155269A KR101372993B1 KR 101372993 B1 KR101372993 B1 KR 101372993B1 KR 1020120155269 A KR1020120155269 A KR 1020120155269A KR 20120155269 A KR20120155269 A KR 20120155269A KR 101372993 B1 KR101372993 B1 KR 10137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pe
frame
parallel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훈
임선
김동엽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50Maintenance or repair
    • F03D80/55Clea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80Repairing, retrofitting or upgrad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0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일측의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기체 주입에 따라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몸체부와 결합하여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몸체부와 결합하여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검사 장치와 블레이드 간의 직접 접촉에 따른 블레이드의 추가 손상을 방지하면서, 블레이드의 상태에 대한 검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Inspection apparatus of aerogenerator blade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치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이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적절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증속기 또는 감속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블레이드는 풍력에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손상될 수 있고 이물질이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풍력 발전기의 공기 역학적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에,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의 손상을 감지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청된다.
미국공개특허 제2010-0011862호 "Method for inspecting at least one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and inspection system for at least one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2010.01.21.) 미국등록특허 제8281442호 "Wind turbine blade inspection and cleaning system" (2012.10.0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기 블레이드를 수직 이동하며, 블레이드의 추가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블레이드의 손상 유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일측의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기체 주입에 따라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과 대향한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 또는 곡선의 변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종단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초음파 비파괴 검사(UT: Ultrasonic Testing), 방사선 비파괴 검사(RT: Radiographic Testing) 또는 육안 비파괴 검사(VT: Visual Testing)를 수행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평행프레임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블레이드 외부면에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청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방법은, 기체를 주입하여,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여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한,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 일측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종단프레임을 이용해,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 또는 곡선의 변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 영역을 닫는 단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을 이용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행프레임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 감지모듈을 이용해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이 확인하기 어려운 블레이드의 상태를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성 및 편의성이 제공된다.
둘째,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기체 주입에 따라 검사를 위한 모습으로 변환되는 튜브 형태를 채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적게 나가고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다.
셋째, 블레이드 검사 장치가 블레이드를 따라 이동하거나 블레이드의 손상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검사 장치와 블레이드 간의 직접 접촉에 따른 블레이드의 추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블레이드의 손상 여부 등을 검사할 때, 블레이드에 부착된 이물질 등의 청소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검사 장치가 블레이드의 검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의 몸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를 내부로 인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검사 장치가 블레이드를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튜브 형태의 몸체를 가지는 블레이드 검사 장치에 기체를 주입하여 검사를 위한 형상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해 블레이드의 추가적인 손상없이 유지 보수 등의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가 블레이드(200)의 검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블레이드(200)를 내부로 인입시켜 블레이드(2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와이어(1)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며, 블레이드(200)를 내부로 인입시키고, 블레이드(200) 전반의 손상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에 위치한 고리와, 풍력 발전기의 허브나 나셀의 외부벽 등에 위치한 고리를 이용해 와이어(1)를 연결하고,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의 하중을 지탱하거나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엔드리스(endless) 와이어 방식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블레이드(200)를 검사할 수 있다.
통상 풍력 발전기는 더 많은 발전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바람이 강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블레이드(200)는 바람의 운동에너지 또는 공기 중의 부유물질 등에 따라 금이 가는 등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먼지 등 여러 이물질이 붙을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200)의 손상이나 블레이드(200)에 붙은 이물질은 풍력 발전기의 공기 역학적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곤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200)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고 보수 작업을 수행하거나, 블레이드(20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풍력 발전기는 초대형 구조물이어서, 사람이 직접 블레이드(200)에 다가가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고 안전 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사람을 대신하여 블레이드(200)의 상태를 감지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거나, 감지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별도의 관리센터 등에 전송하여, 관리자가 블레이드(200)의 손상여부나 이물질 유무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블레이드(20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비, 청소 도구, 원격지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의 몸체부(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200)를 내부로 인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가 블레이드(200)를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본 실시예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는 몸체부(10), 감지모듈(20), 청소모듈(30) 및 구동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는 기체 주입에 따라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튜브 형태의 바디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공기 압축기(compressor)나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체를 주입할 있으며, 몸체부(10)가 블레이드(20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 블레이드(200)에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몸체부(10)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11)과, 복수의 평행프레임(11)의 일단을 연결하여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12)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몸체부(10)의 'ㄷ' 형상 또는 'U' 형상은 일측에 개구 영역(16)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개구 영역(16)은 블레이드(200)를 몸체부(10) 내부로 인입시키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평행프레임(11) 및 연결프레임(12)에는,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를 블레이드(200)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데 이용되는 와이어를 위한 고리(41)가 위치한다.
도 4에서 몸체부(10)의 내부로 블레이드(200)가 인입되면, 몸체부(10)는 기체 주입에 따라 평행프레임(11)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종단프레임(13)을 이용해, 사각형 형상을 이루어 블레이드(200)를 내부에 가둔다. 이때, 종단프레임(13)은 몸체부(10)의 'ㄷ' 형상 또는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 또는 곡선의 변을 포함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도 5에서 종단프레임(13)이 접하는 부분은 요철과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블레이드(200)가 몸체부(10) 밖으로 나가버리지 않도록 종단프레임(13)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종단프레임(13)은 복수의 평행프레임(11) 끝단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일 평행프레임(11)의 끝단에서 종단프레임(13)이 형성되어 다른 평행프레임(11)의 끝단에 맞닿을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몸체부(10)는, 기체 주입에 따라 평행프레임(11)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14)을 이용해 내부의 블레이드(2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즉, 고정프레임(14)은 바람 등에 의해 몸체부(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블레이드(200)에 대한 검사 작업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이 정확히 수행되도록 지원한다.
감지모듈(20)은 몸체부(10) 내부로 인입된 블레이드(2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지모듈(20)은 블레이드(20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비파괴 검사를 통해 블레이드(200)의 상태를 감지하며, 예를 들어, 초음파 비파괴 검사(UT: Ultrasonic Testing), 방사선 비파괴 검사(RT: Radiographic Testing) 또는 육안 비파괴 검사(VT: Visual Testing) 등을 수행하여 블레이드(200)의 손상 여부나 이물질 부착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초음파 비파괴 검사(UT)는 시험체의 내부 결함 검출에 주로 이용되며, 시험체에 초음파를 전달하고, 시험체 내부에 존재하는 불연속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의 에너지량, 초음파의 진행시간 등을 스크린에 표시한 후, 분석하여 불연속의 위치 및 크기를 알아내는 검사방법이다. 초음파 비파괴 검사(UT)는 면상에 존재하는 결함의 검출 능력이 우수하다.
방사선 비파괴 검사(RT)는 시험체에 엑스레이(X-ray) 등의 방사선을 투과하여 필름에 그 상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결함 유무를 판단한다. 방사선 비파괴 검사를 이용하면 시험체의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고, 그 결함의 형상 또한 알 수 있다.
육안 비파괴 검사(VT)는 재료, 제품 또는 구조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찰하여 시험체에 결함이 있는지 알아내는 비파괴검사 방법이다.
도 6에서 감지모듈(20)은 평행프레임(11)이나 연결프레임(12) 상에 위치한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며, 블레이드(200)에 이물질이 부착되었는지 또는 손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등을 감지한다.
청소모듈(30)은 블레이드(200)의 외부면에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청소모듈(30)은 감지모듈(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표면에 이물질 등이 부착된 경우, 블레이드(200)로부터 해당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에서 청소모듈(30)은, 감지모듈(20)과 마찬가지로, 평행프레임(11)이나 연결프레임(12) 상에 위치한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며, 블레이드(200)의 외부면에 대한 청소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도 7에서는 청소모듈(30)이 몸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여 레일(15)을 따라 이동하고, 감지모듈(20)은 반대쪽은 몸체부(10)의 하단에 위치하여 레일(15)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감지모듈(20)과 청소모듈(30)이 서로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감지 동작 또는 청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감지모듈(20)과 청소모듈(3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구동모듈(40)은 몸체부(10)와 결합하여, 블레이드(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한다.
이때, 구동모듈(40)은 평행프레임(11)이나 연결프레임(12)에 위치한 고리(41)에 와이어를 걸고, 해당 와이어를 이용해 블레이드 검사 장치(1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블레이드(200)를 검사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튜브 형태의 몸체에 기체를 주입하여 몸체부를 형성한다(S1).
단계(S1)에서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공기 압축기(compressor)나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등을 이용하여 몸체 내부에 기체를 주입할 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몸체부는 블레이드(200)와의 접촉에 따라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S1)에서 기체를 주입하면,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과 해당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여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이루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된다.
그리고,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단계(S1)에서 형성된 몸체부의 'ㄷ' 형상 또는 'U' 형상 일측에 마련된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로 인입시킨다(S2).
단계(S2)에서 블레이드가 검사 장치의 내부로 인입되면,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기체 주입에 따라 평행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종단프레임을 이용해, 몸체부의 개구 영역을 닫고, 블레이드를 내부에 가둔다(S3).
단계(S3)에서 종단프레임은, 몸체부의 'ㄷ' 형상 또는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이나, 곡선의 변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가 해당 사각형 형상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또한 단계(S2)에서 블레이드가 검사 장치의 내부로 인입되면,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기체 주입에 따라 평행프레임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을 이용해 블레이드를 고정한다(S4).
이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해 블레이드 검사 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평행프레임 또는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 감지모듈을 이용해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한다(S5).
단계(S5)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는 예를 들어, 초음파 비파괴 검사(UT: Ultrasonic Testing), 방사선 비파괴 검사(RT: Radiographic Testing) 또는 육안 비파괴 검사(VT: Visual Testing)를 수행하여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검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와이어 10: 몸체부
11: 평행프레임 12: 연결프레임
13: 종단프레임 14: 고정프레임
15: 레일 16: 개구 영역
20: 감지모듈 30: 청소모듈
40: 구동모듈 41: 고리
100: 검사 장치 200: 블레이드

Claims (8)

  1. 일측의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기체 주입에 따라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과 대향한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 또는 곡선의 변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는 종단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초음파 비파괴 검사(UT: Ultrasonic Testing), 방사선 비파괴 검사(RT: Radiographic Testing) 또는 육안 비파괴 검사(VT: Visual Testing)를 수행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평행프레임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며, 상기 블레이드 외부면에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청소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8. 기체를 주입하여,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복수의 평행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평행프레임의 일단을 연결하여 'ㄷ' 형상 또는 'U' 형상을 형성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한, 몸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몸체부의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 일측 개구 영역을 통해 블레이드를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종단프레임을 이용해, 상기 'ㄷ' 형상 또는 상기 'U' 형상과 함께 사각형 형상 또는 곡선의 변을 구비한 사각형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 영역을 닫는 단계;
    기체 주입에 따라 상기 평행프레임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프레임을 이용해 상기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행프레임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한 감지모듈을 이용해 상기 블레이드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방법.
KR1020120155269A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37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69A KR101372993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69A KR101372993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993B1 true KR101372993B1 (ko) 2014-03-13

Family

ID=5064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69A KR101372993B1 (ko) 2012-12-27 2012-12-27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415B1 (ko) * 2017-03-23 2018-04-10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표면파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EP3757387A1 (de) * 2019-06-26 2020-12-30 WTS - Wind-Tuning-Systems GmbH Erfassungsvorrichtung sowie erfassungssystem zur erfassung der formgebung und/oder ausrichtung von rotorblättern von windkraftanlagen sowie verfahren zur erfassung der formgebung und/oder ausrichtung von rotorblättern
KR102629079B1 (ko) * 2023-10-25 2024-01-26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방사선투과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9680A1 (de) * 2008-04-11 2009-1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Ermöglichen des Zugangs zu einer sich hoch über den Boden erstreckenden Anordnung und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1061740B1 (ko) * 2011-05-09 2011-09-02 주식회사 이젠 공중풍력발전장치
EP2466120A2 (en) 2010-12-16 2012-06-2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xternal inspection on a wind turbine rotor blade
WO2012097475A1 (en) 2011-01-21 2012-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internal inspection on a wind turbine rotor bla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19680A1 (de) * 2008-04-11 2009-11-1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Ermöglichen des Zugangs zu einer sich hoch über den Boden erstreckenden Anordnung und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r solchen Vorrichtung
EP2466120A2 (en) 2010-12-16 2012-06-2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xternal inspection on a wind turbine rotor blade
WO2012097475A1 (en) 2011-01-21 2012-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internal inspection on a wind turbine rotor blade
KR101061740B1 (ko) * 2011-05-09 2011-09-02 주식회사 이젠 공중풍력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415B1 (ko) * 2017-03-23 2018-04-10 한국에너지종합기술(주) 표면파센서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상태측정장치
EP3757387A1 (de) * 2019-06-26 2020-12-30 WTS - Wind-Tuning-Systems GmbH Erfassungsvorrichtung sowie erfassungssystem zur erfassung der formgebung und/oder ausrichtung von rotorblättern von windkraftanlagen sowie verfahren zur erfassung der formgebung und/oder ausrichtung von rotorblättern
KR102629079B1 (ko) * 2023-10-25 2024-01-26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방사선투과검사 시스템
KR102645263B1 (ko) * 2023-10-25 2024-03-11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방사선투과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07116B (zh) 一种混凝土桥墩裂纹探伤机器人及其探伤方法
US11205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motely inspect piping and piping attachment welds
US87431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xternal inspection on a wind turbine rotor blade
KR101372993B1 (ko)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203670092U (zh) 用于对风力涡轮机转子叶片执行内部检查的系统
BRPI0709701A2 (pt) mÉtodo e sistema para scanear de tubulaÇço
Ye et al. Development of an ultrasonic NDT system for automated in-situ inspection of wind turbine blades
CN1584562A (zh) 基于微波技术的输气管道泄漏检测定位方法与系统
CN110243838A (zh) 一种超高压容器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0680482B1 (ko)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헤드 노즐 검사장치
KR20170007790A (ko) 이송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15523426A (zh) 一种长输水有压管道的危险源监测预警设备
BR102014002163B1 (pt) Método para testar um objeto de teste e aparelho
CN106645427A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超声波传感器组件及其使用的测试杆
CN211505281U (zh) 一种压力容器快速无损检测设备
CN109752462A (zh) 压力容器缺陷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20957388U (en) Nuclear power station pipeline nondestructive testing equipment
CN207366511U (zh) 一种路轨轮式探头
CN206248614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超声波传感器组件及其使用的测试杆
CN210514129U (zh) 管道测试装置
CN107014902A (zh) 一种风电叶片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17416144U (zh) 一种管状加强筋内多余物检查、排除工装
CN205466229U (zh) 一种矿井协助救援机器人
CN210564661U (zh) 一种电力隧道巡检机器人
CN105866248A (zh) 一种超声波轴承裂纹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