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332B1 -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32B1
KR101372332B1 KR1020130113743A KR20130113743A KR101372332B1 KR 101372332 B1 KR101372332 B1 KR 101372332B1 KR 1020130113743 A KR1020130113743 A KR 1020130113743A KR 20130113743 A KR20130113743 A KR 20130113743A KR 101372332 B1 KR101372332 B1 KR 1013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insect
drying
main body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수
송현식
Original Assignee
(유) 금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섹트바이오
(유)금화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금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섹트바이오, (유)금화이엔에스 filed Critical (유) 금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1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L3/01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using microwaves or dielectric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마이크로파로 건조시키는 곤충 건조부와, 건조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 중,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및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건조된 유충들과 유충들의 허물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곤충 선별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곤충 선별부와 곤충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screening insects}
본 발명은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의 성상(예를 들어, 알과 유충과 번데기와 성충) 중 필요한 유충을 건조하고, 유충과 나머지 성분을 선별할 수 있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국, 중국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곤충, 예를 들어 갈색거저리, 메뚜기, 물바퀴, 구더기, 명충, 귀뚜라미를 가공하여 식량으로 사용한다. 곤충에 대한 수요량이 확대됨에 따라 곤충사육은 이미 신흥업종으로 형성되었다. 많은 곤충 중에 갈색거저리의 성충은 주로 곡류 속에 알을 낳는데, 알은 점액질로 되어있고 장경 1.93mm, 단경 1.00mm로 매우 작으며 1~2주일 후 부화한다. 유충기간은 약 10주이나 인공 사육할 때에는 약 2주 정도이다.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까지 먹이와 온도에 따라 9 내지 20번 탈피한다. 번데기가 되고 2 내지 3주가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처음으로 우화할 때에는 연한 갈색이나 점차 검게 변한다.
갈색거저리 유충은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고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아주 높고, 유충의 허물은 갑각소 생산에 필요한 우수한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새우나 게 껍질보다 낮아서 가공하기가 쉽고, 갑각소는 기능식품, 의약용품, 보건용품, 환경재료, 방직, 강제막 생산등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갈색거저리 유충을 비롯한 많은 곤충을 건조하는 과정에는 비전문설비, 예를 들어 가정용 전자레인지, 전기오븐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전문설비는 곤충산업의 발전을 제한하며 대량생산을 할 수 없고 더군다나 상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는 대략 1㎓(파장 30㎝)~300㎓(파장 1㎜)의 전자파이며, 도파관 또는 공동(空洞)공진기가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이다.
종래의 농산물 건조기는 대체적으로 농산물에 열풍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5-7468호 '농산물 건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송풍기(21)와 콘트롤부(1)가 있고, 그 우측으로 하부의 버너(22)와 내부의 주름절곡관(23)이 마련된 열풍공급기(2)와, 그 열풍공급기의 우측으로 회전 가능한 건조통(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농산물의 열풍 건조방식은 기존의 농산물 건조장치에 비해 소형화되고 농산물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 방식은 열풍이 공급되는 농산물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열이 전달되므로, 열풍에 의해서 농산물이 건조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농산물의 건조작업시 열풍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농산물의 색택, 성분, 맛, 향등의 품질이 저하되는 우려가 있다.
1. 한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 95-7468호(1995.09.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의 성상(예를 들어, 알과 유충과 번데기와 성충) 중 필요한 유충을 건조하고, 유충과 나머지 성분을 선별할 수 있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 함유량이 쉽게 조절되고 건조상태가 균일하며 변색되지 않고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아 유충 본래에 함유된 단백질 등의 물질이 산화되거나 변질되지 않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는,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마이크로파로 건조시키는 곤충 건조부와, 건조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 중,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및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건조된 유충들과 유충들의 허물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곤충 선별부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곤충 선별부와 곤충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곤충 건조부는,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 또는 소형 박스식 건조기로 구현되며,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는 매 시간당 약 15kg 또는 35kg정도를 건조할 수 있는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이며, 소형 박스식 건조기는 매 시간당 5.5kg 정도를 건조할 수 있는 소형 박스식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곤충 건조부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상부의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내부가 곤충의 건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작된 설비 본체(10);
상기 설비 본체(10)의 내부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재료 박스(49) 상의 유충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건조실(20);
상기 설비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고, 표면에 경고판(14)과 경보기(15)가 설치된 외부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온층(21);
상기 외부 하우징(13)의 내측에,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파 발생부(30);
설비 본체(10)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트레이 구동부(40);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단에 용접 부착된 제어부(11);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후단에는 설치된 수분체크 센서;
상기 설비 본체(10)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12); 및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천정부에 장착된 배출구(61); 배출구에 연결되어 기체, 가스 또는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PVC 습기배출관(62); 및 습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풍기(63)을 포함하는 제습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곤충 선별부의 스크린은, 상하 개구되어 세로방향으로 웨이브지며 후면측으로 가면서 면적이 넓어지게 된 선별공이 형성되고, 선별공이 가로방향으로 상호간에 인접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선별공의 단부연결궤적은 가로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이루도록 8 내지 14 개의 선별공으로 이루어진 선별공군과, 상하 개구되고 선별공군의 후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웨이브지게 형성된 연결공이 형성되며, 선별공군과 연결공이 스크린의 가로/세로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는 곤충의 성상(예를 들어, 알과 유충과 번데기와 성충) 중 필요한 유충을 건조하고, 유충과 나머지 성분을 쉽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는 높은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된 유충은 수분 함유량이 쉽게 조절되고 건조상태가 균일하며 변색되지 않고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아 유충 본래에 함유된 단백질 등의 물질이 산화되거나 변질되지 않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곤충 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계구조도.
도 3은 도 2의 곤충 건조부의 절단면도.
도 4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의 개략도.
도 5는 곤충 건조부의 트레이 구동부의 개략도.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트레이 구동부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의 컨트롤박스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계구조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스크린의 일부절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곤충 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계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곤충 건조부의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의 개략도이며, 도 5는 곤충 건조부의 트레이 구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트레이 구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의 컨트롤박스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계구조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스크린의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곤충 건조부와 곤충 선별부와 컨트롤박스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곤충 건조부와 곤충 선별부와 컨트롤박스는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곤충 건조부와 곤충 선별부와 컨트롤박스는 개별적으로 조립 제작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곤충 건조부는 이송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마이크로파로 내외부를 동시에 건조시킨다. 곤충 건조부는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이송시키는 트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 또는 소형 박스식 건조기로 구현된다.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는 일례로, 중간 규모의 곤충양식장이나 농가에 적합하며, 매 시간당 15kg 정도를 건조할 수 있고, 전기상태가 정상이면 생충 대 건조충의 생산비율이 2.6:1이고,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36개로 구현된 컨베이식 건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주요 접착부분은 스텐레스 용접, 내부 외부의 보호판은 304 스텐레스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는 대형 규모의 곤충양식장이나 농가에 적합하며, 매 시간당 35kg 정도를 건조할 수 있고, 전기 상태가 정상이면 생충 대 건조충의 생산비율이 2.6:1이고,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84개로 구현된 컨베이식 건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주요 접착부분은 스텐레스 용접, 내부 외부의 보호판은 304 스텐레스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소형 박스식 건조기는 소형규모의 곤충양식장이나 농가에 적합하며, 매 시간당 5.5kg 정도를 건조할 수 있고, 전기상태가 정상이면 생충 대 건조충의 생산비율이 2.6:1이고,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12개로 구현된 컨베이식 건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소형 박스식 건조기는 주요 접착부분을 스텐레스 용접, 주설비와 내부 외부의 보호판을 304 스텐레스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형 박스식 건조기는 주설비와 외부보호판을 일반강철로 제작되고, 표면은 정전기 분사처리, 내부는 304 스텐레스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관 및 유체의 흐름 및 동력의 전달 수단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곤충 선별부는 곤충 건조부에서 건조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 중,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및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통해 건조된 유충들과 유충들의 허물을 선별하여 수거한다. 컨트롤박스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곤충 선별부와 곤충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컨베이어식 곤충 건조부와 곤충 선별부와 컨트롤박스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곤충 건조부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설비 본체(10), 마이크로파 건조실(20), 마이크로파 발생부(30), 트레이 구동부(40) 및 제습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곤충 건조부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상부의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내부가 곤충의 건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작된 설비 본체(10);
상기 설비 본체(10)의 내부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재료 박스(49) 상의 유충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건조실(20);
상기 설비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고, 표면에 경고판(14)과 경보기(15)가 설치된 외부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온층(21);
상기 외부 하우징(13)의 내측에,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파 발생부(30);
설비 본체(10)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트레이 구동부(40);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단에 용접 부착된 제어부(11);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후단에는 설치된 수분체크 센서;
상기 설비 본체(10)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12); 및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천정부에 장착된 배출구(61); 배출구에 연결되어 기체, 가스 또는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PVC 습기배출관(62); 및 습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풍기(63)을 포함하는 제습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곤충 건조부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설비 본체(10)를 기준으로 하여 도 2 내지 6에 배치된 바와 같이 각 구성 요소들을 용접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비 본체(10) 상단 및 중간 부분은 끌쇠 방식으로 1mm 두께 이상의 스텐레스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은 설비 본체(10)의 내부의 격벽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설비 본체(10)는 상부의 모서리는 경사진 형태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은 원형, 마름모형 또는 사각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에서는 재료 박스(46) 상의 유충의 건조가 마이크로파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하부는 컨베이어 벨트(46)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단에는 제어부(11)가 용접되어 부착된다.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후단에는 수분체크 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설비 본체(10)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12)를 복수 개 설치하여 지면에 대하여 지지되게 한다. 상기 다리(12)는 나사산식 바퀴를 달아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비 본체(10)의 외측에는 외부 하우징(13)이 설치되어 설비 본체를 외부에서 밀폐한다. 그 표면에 경고판(14)과 경보기(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3)은 1mm 이상 두께의 냉연강판을 절곡프레스한 것으로 그 표면에 정전기 방출 도장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3)의 내측에는 40mm 두께의 보온층(21)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우징(13)의 일측에는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을 마련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 발생부(30)는 상기 외부 하우징(13)의 내측에,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며, 마이크로파 건조부(20)의 외측에 배치하게 되고, 마이크로파 발생기(31), 냉각수 입수관(32), 냉각수 회수관(33), 마이크로파 전원(34), 냉각수로(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파 발생기(31)에 전원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가 발생되고 유충을 건조할 때 고열이 발생되므로 냉각수가 냉각수 입수관(32)으로 입수되어 냉각수 회수관(33)을 통하여 순환한다.
도 4는 마이크로파 발생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는 통상의 구조로서 냉각수로(35)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은 마이크로파 발열체를 세밀하게 감싸고 접촉면에서 우수한 재질의 열전도 도료로 도장하여 냉각효과를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파 발생부(30)는 일정 전압이상이 인가되면 대략 2420~2480 ㎒의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마이크로파 발생부(30)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구동 방식 등 통상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한편, 설비 본체(10)의 하부에는 트레이 구동부(40)가 설치되는데, 모터(41) 의해 발생된 동력이 벨트(42)와 감속기 및 벨트(43)를 거쳐 롤러체인(44)을 통하여 주전동축 및 벨트(45)로 전달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구조로서 설비 본체(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46)가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특별한 제한없이 공지의 것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46) 상에는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재료 박스(49)가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46) 상에서 이동된다. 부호 47은 텐션강이고, 48은 텐션조절축으로서 롤러체인(44) 및 컨베이어 벨트(46)의 장력을 조정한다(도 5 참조). 상기 텐션조절축(48) 양끝의 축받침대는 나사를 이용 다리(12)에 고정하여 위치를 정한다. 삼각벨트(50, 51)는 복수의 전동축과 텐션조절축을 각각 연결하여 컨베이어 벨트가 구동되는 것을 지지한다.
위와 같은 트레이 구동부(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단순화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46)의 일단에는 컨베이어벨트(4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81)가 모터(41)와 벨트(42)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모터(41)의 동작은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된다. 컨베이어벨트(46)의 중도에는 컨베이어벨트(46)의 이송동작을 안내하도록 다수의 아이들롤러(82)가 설치된다.
상기 재료 박스(49, "트레이"라고도 함)는 피 건조 곤충이 수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습부(60)는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천정부에 장착된 배출구(61); 배출구에 연결되어 기체, 가스 또는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PVC 습기배출관(62); 습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풍기(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박스식 건조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발생부기의 수를 축소하여 전체 구조를 소형화하여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곤충 건조 및 선별장치의 컨트롤박스(7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과 관찰이 용이하도록 지시등(71), 조작버튼(72), 터치패드(73), 계기판(74), 냉각팬(75), 운송벨트조절기(76), 잠금장치(77)를 포함한다.
컨트롤박스는 1mm이상 두께의 냉연강판을 절곡프레스하여 만들고 표면에 정전기 배출 도장을 한다. 컨트롤박스 양 끝 측면 위에 박스 안의 전기냉각팬 (75)을 설치하고, 컨트롤박스 아래 및 후면에는 도어를 장착하며, 일상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였고 안전을 위해 앞뒷문 위에 잠금장치(77)를 설치한다.
상기 컨트롤박스는 적당한 사이클이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여러 조건들(조사시간, 온도, 건조시간, 등)을 운전초기에 설정하는 등 통상의 PLC(;Program Logic Control)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파 건조기의 작동에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먼저 컨트롤 박스(70)를 이상시 경보기(14)와 경고판(15)이 작동되게 조작한 후, 건조하고자 하는 유충을 적재한 재료 박스(49)가 마이크로파 건조실(20)로 컨베이어 벨트(46)를 통해 운송되면 마이크로파 전원(34)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발생기(31)에 의해 발생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유충 재료가 건조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천정부에 장착된 배출구(61)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하여, 환풍기(4)에 의해 마이크로실(20) 내부의 습기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마이크로파 전원이 인가되어 마이크로파가 발생되어 유충을 건조할 때 냉각수는 냉각수입수관(32)으로 입수되어 냉각수 회수관(33)을 통하여 순환한다. 이와 같이 건조가 진행되면 상기 수분체크 센서에 의해 곤충의 건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피건조물의 함수율은 35~40%, 특히 바람직하게는 38%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곤충 선별부는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0)과, 스크린(110)과, 공급부(120)와, 진동모터(130)와, 배출부(140) 그리고, 완충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먼저 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100)은 장치의 골격이 되는 부분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다리가 형성된다. 공급부(120)는 선별부의 전면측에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급부(120)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이 수용된다. 그리고 공급부(120)에 수용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은 스크린(110) 중 최상측에 형성된 스크린(110)으로 공급된다.
스크린(110)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100)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소정 이격되어 다수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스크린(110) 중 최상측에 있는 스크린(110)에 공급부(120)로부터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이 공급된다.
그리고, 스크린(110)에는 상하 관통된 다수개의 통과공(16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스크린(110)에 후술하는 공급부(120)에서 공급된 곤충가 놓여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진동모터(13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110)에 놓여진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이 후면측으로 이동되면서 통과공(160) 보다 작은 것은 하측에 형성된 스크린(110)으로 자유낙하하게 구성된다.
스크린(110)에 형성된 선별공(160)은 크게 선별공군(161)과 연결공(162)으로 구성된다. 선별공군(161)은 8~14개의 선별공(161a)으로 형성되는 바, 선별공(161a)은 스크린(110)에 상하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별공(161a)은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세로방향으로 연결형성되며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가면서 면적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선별공(161a)은 세로방향으로 소정 웨이브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진동모터(130)의 진동에 의해 스크린(110)의 상면에서 지그재그로 유동하는 유동궤적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하여 선별공(161a)을 통하여 잘 빠지게 구성된다.
선별공(161a)은 가로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호간에 인접 형성되어 선별공군(161)을 형성시키는 바, 상기 각각의 선별공(161a)의 단부를 연결한 궤적은 가로방향의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순서대로 하측으로 빠지게 된다. 연결공(162)은 스크린(110)에 상하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별공군(161)의 후단부에 각각의 선별공(161a)과 연통되어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공(162)은 각각의 선별공(161a)의 단부를 연결한 궤적과 동일한 형상으로 궤적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가로방향의 웨이브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110)에 놓여진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은 진동모터(130)의 진동에 의해 스크린(110) 상면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지그재그 유동을 하면서 이동되는 바, 선별공군(161)을 통과하면서 선별공(161a)보다 작은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은 하측으로 빠지게 된다. 그런데 선별공(161a)보다 크기는 작으면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은 선별공군(161)에서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며, 연결공(162)측으로 이동되면서 결국은 연결공(162)에서 하측으로 빠지게 되어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의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진다.
진동모터(130)는 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진동되며, 스크린(110)에 세로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성되어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이 스크린(110)의 전면측에서 후면측으로 유동되게 한다.
배출부(140)는 상하로 적층된 스크린(110) 각각의 후면단부에 형성되어 스크린(110)에서 선별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완충스프링(150)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00)의 측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모터(13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력에 의해 선별장치 전체가 진동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설비 본체 11: 제어부
12: 다리 13: 외부 하우징
14: 경보기 15: 경고판
20: 마이크로파 건조실 21: 보온층
30: 마이크로파 발생부 31: 마이크로파 발생기
32: 냉각수 입수관 33: 냉각수 출수관
34: 마이크로파 전원 35: 냉각수로
40; 트레이 구동부 41: 모터
42: 벨트 43: 감속기 및 벨트
44: 롤러체인 45: 주전동축 및 벨트
46: 컨베이어 벨트 47: 텐션강
48: 텐션조절축 49: 재료 박스
60: 제습부 61: 배출구
62: 배출관 63: 환풍기
70: 컨트롤박스 71: 지시등
72: 조작버튼 73: 터치패드
74: 계기판 75: 냉각팬
76: 운송벨트조절기 77: 잠금장치

Claims (4)

  1.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을 마이크로파로 건조시키는 곤충 건조부;
    상기 건조된 성충과 알과 유충과 유충의 허물과 번데기 및 곡물 분말 중,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및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건조된 유충들과 유충들의 허물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곤충 선별부;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곤충 선별부와 곤충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곤충 건조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상부의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내부가 곤충의 건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작된 설비 본체(10);
    상기 설비 본체(10)의 내부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고 재료 박스(49) 상의 유충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파 건조실(20);
    상기 설비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고, 표면에 경고판(14)과 경보기(15)가 설치된 외부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온층(21);
    상기 외부 하우징(13)의 내측에,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마이크로파 발생부(30);
    설비 본체(10)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트레이 구동부(40);
    상기 설비 본체(10)의 양단에 용접 부착된 제어부(11);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후단에는 설치된 수분체크 센서;
    상기 설비 본체(10)의 하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12); 및
    상기 마이크로파 건조실(20)의 천정부에 장착된 배출구(61); 배출구에 연결되어 기체, 가스 또는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PVC 습기배출관(62); 및 습기 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습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풍기(63)을 포함하는 제습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하 개구되어 세로방향으로 웨이브지며 후면측으로 가면서 면적이 넓어지게 된 선별공이 형성되고, 상기 선별공이 가로방향으로 상호간에 인접되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선별공의 단부연결궤적은 가로방향의 웨이브 형상을 이루도록 8 내지 14개의 선별공으로 이루어진 선별공군; 및
    상하 개구되고, 상기 선별공군의 후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방향으로 웨이브지게 형성된 연결공;
    을 포함하며,
    상기 선별공군과 연결공이 상기 스크린의 가로/세로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곤충 건조부는,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 또는 소형 박스식 건조기로 구현되며,
    상기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는, 매 시간당 15kg ~ 35 kg의 곤충을 건조하는 용량의 대형 컨베이식 건조기이며,
    상기 소형 박스식 건조기는, 매 시간당 5.5 kg의 곤충을 건조하는 용량의 소형 박스식 건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KR1020130113743A 2013-09-25 2013-09-25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KR10137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43A KR101372332B1 (ko) 2013-09-25 2013-09-25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743A KR101372332B1 (ko) 2013-09-25 2013-09-25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332B1 true KR101372332B1 (ko) 2014-03-17

Family

ID=5064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743A KR101372332B1 (ko) 2013-09-25 2013-09-25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33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782B1 (ko) * 2016-12-20 2017-06-13 주식회사 마이크로테크 애벌레건조장치
KR101804507B1 (ko) 2016-08-30 2017-12-04 한국인 선별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CN108620306A (zh) * 2017-03-23 2018-10-09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用于分离蛹的筛分装置
KR101952300B1 (ko) * 2018-06-26 2019-02-27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사료첨가물 제조시스템
KR20190081050A (ko) * 2017-12-29 2019-07-09 인버터기술(주)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방법을 이용한 식용곤충 선별 건조 자동화시스템
KR20190084170A (ko) 2017-12-22 2019-07-16 남영우 곤충 선별기
KR20190138062A (ko) 2018-06-04 2019-12-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번데기 선별 장치
US10835925B2 (en) 2017-03-23 2020-11-17 Verily Life Sciences Llc Sieving devices for pupae separation
KR102189599B1 (ko) 2020-04-21 2020-12-11 주식회사 케이엠디 곤충 전용 건조 및 살균 장치
KR20210152338A (ko)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US11744235B2 (en) 2017-03-23 2023-09-05 Verily Life Sciences Llc Sieving apparatuses for pupae sepa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23B1 (ko) * 1992-04-14 1994-11-17 대림식품 주식회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다공성 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3443A (ko) * 2007-03-12 2008-09-18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건조장치
KR20100037985A (ko) * 2008-10-02 2010-04-12 김경화 친환경 건축용 자재 그리고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30014206A (ko) * 2011-07-29 2013-02-07 안두혁 골재용 진동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823B1 (ko) * 1992-04-14 1994-11-17 대림식품 주식회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다공성 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3443A (ko) * 2007-03-12 2008-09-18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안경렌즈의 건조장치
KR20100037985A (ko) * 2008-10-02 2010-04-12 김경화 친환경 건축용 자재 그리고 그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20130014206A (ko) * 2011-07-29 2013-02-07 안두혁 골재용 진동 선별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507B1 (ko) 2016-08-30 2017-12-04 한국인 선별장치
KR101744782B1 (ko) * 2016-12-20 2017-06-13 주식회사 마이크로테크 애벌레건조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US10835925B2 (en) 2017-03-23 2020-11-17 Verily Life Sciences Llc Sieving devices for pupae separation
CN108620306A (zh) * 2017-03-23 2018-10-09 威里利生命科学有限责任公司 用于分离蛹的筛分装置
US10842137B2 (en) 2017-03-23 2020-11-24 Verily Life Sciences Llc Sieving devices for pupae separation
US11744235B2 (en) 2017-03-23 2023-09-05 Verily Life Sciences Llc Sieving apparatuses for pupae separation
KR20190084170A (ko) 2017-12-22 2019-07-16 남영우 곤충 선별기
KR20190081050A (ko) * 2017-12-29 2019-07-09 인버터기술(주)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방법을 이용한 식용곤충 선별 건조 자동화시스템
KR102058085B1 (ko) * 2017-12-29 2020-02-07 인버터기술(주)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방법을 이용한 식용곤충 선별 건조 자동화시스템
KR20190138062A (ko) 2018-06-04 2019-12-1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번데기 선별 장치
KR101952300B1 (ko) * 2018-06-26 2019-02-27 주식회사 씨아이이에프 사료첨가물 제조시스템
KR102189599B1 (ko) 2020-04-21 2020-12-11 주식회사 케이엠디 곤충 전용 건조 및 살균 장치
KR20210152338A (ko)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KR102475925B1 (ko) 2020-06-08 2022-12-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엔토모 유충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32B1 (ko) 곤충 건조 및 선별 장치
KR20170080988A (ko) 곤충 건조 장치
US3908029A (en) Method for drying pasta products with microwave heating
KR101251971B1 (ko) 원적외선 세라믹히터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CN201839778U (zh) 微波谷物烘干机
CN205425728U (zh) 一种微波平板烘干机
EP3186018A1 (en) Organic waste digester system
CN103416383B (zh) 一种杀虫设备以及采用该设备杀虫的方法
KR101314576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강제순환식 농산물 건조장치
SE527166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vfuktning
CN205409580U (zh) 一种生产辣椒干用烘干系统
KR101768494B1 (ko) 식품 살균장치
KR20180107377A (ko) 농수산물의 복사 건조 장치
RU8452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зер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RU245916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и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и кормов
CN109631558A (zh) 一种农业实验用谷物干燥机
RU2489068C1 (ru) Свч-индук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для микронизации зерна
CN107182964A (zh) 一种可增强诱食性的环保鱼饵生产系统
RU247995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вч-обработк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или материалов
US4549072A (en) Proofing or heating cabinet
CN207011596U (zh) 一种高效全自动半干面生产线
JP2011223934A (ja) 穀物の害虫駆除方法
US1231594A (en) Drier, cooker, and baker for foods.
US20200288545A1 (en) Process and system for microwave cooking food products with humidified air control
RU275639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сушки перг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