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791B1 - 전동브러시장치 - Google Patents

전동브러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91B1
KR101371791B1 KR1020120042396A KR20120042396A KR101371791B1 KR 101371791 B1 KR101371791 B1 KR 101371791B1 KR 1020120042396 A KR1020120042396 A KR 1020120042396A KR 20120042396 A KR20120042396 A KR 20120042396A KR 101371791 B1 KR101371791 B1 KR 10137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gear
rotating
rotat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533A (ko
Inventor
스티븐 복진 차
Original Assignee
스티븐 복진 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복진 차 filed Critical 스티븐 복진 차
Priority to KR102012004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91B1/ko
Priority to PCT/KR2013/003370 priority patent/WO2013162226A1/ko
Publication of KR2013011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원 및 모터가 구비된 전동브러시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기어가 내장된 손잡이본체; 및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형성된 기어체, 손잡이본체의 일단부에 체결되면서 상면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고정기어가 동일 종심을 갖도록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기어체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체,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브러시기어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회전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브러시기어체 및, 브러시기어체의 상부에 장착된 브러시를 구비한 브러시본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브러시는 기어체로 인해 자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브러시기어체와 함께 공전함은 물론, 고정기어와 브러시기어에 의해 공전의 반대방향으로 자전함으로써, 상,하 요동에 의해 대상물의 굴곡진 표면까지도 각각의 브러시가 개별 접촉하게 되어 대상물에 대한 세척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브러시장치{Electric brush device}
본 발명은 전동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장착된 다수의 브러시가 공전 및 자전을 하면서 대상물의 표면을 세척하도록 된 전동브러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및,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시가 구비된 전동브러시장치는 그 사용예에 따라 치아 세척, 자동차 세척 및 때밀이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브러시장치(10)들 중 때밀이로 이용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 손잡이(11) 일단부에 장착된 수직본체(12) 및, 수직본체(12)의 일단부에 장착된 회전원통체(13)가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따라서, 수직본체(12)에 내장된 모터(14)에 의해 모터샤프트(15)가 회전하면, 외면에 때타올(16)이 부착된 회전원통체(13)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졌다.
하지만, 회전원통체(13)에 의해 1장의 때타올(16)이 회전하므로 인체의 굴곡진 부분에 대해 세밀하게 접촉되지 않아 피부를 세척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1998-065325 20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탄성을 갖는 다수의 브러시가 공전 및 자전하면서 대상물을 향해 요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브러시가 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촉하면서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전동브러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 공전(空轉)은 일정 거리에 떨어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자전(自轉)은 대상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브러시장치는 동력원 및 모터가 구비된 전동브러시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기어가 내장된 손잡이본체; 및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형성된 기어체, 손잡이본체의 일단부에 체결되면서 상면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고정기어가 동일 종심을 갖도록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기어체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체,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브러시기어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회전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브러시기어체 및, 브러시기어체의 상부에 장착된 브러시를 구비한 브러시본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브러시는 기어체로 인해 자전하는 회전체에 의해 브러시기어체와 함께 공전함은 물론, 고정기어와 브러시기어에 의해 공전의 반대방향으로 자전한다.
여기서, 브러시본체는 회전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브러시의 하부가 고정된 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브러시는 케이스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고정턱, 브러시기어체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 삽입홀 내부에 형성되어 브러시기어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본체는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에 슬라이딩 삽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슬라이딩부에는 동력원, 모터, 구동기어, 전원버튼 및 발광버튼가 설치되고, 일단부에 하우징이 체결된다.
또한, 구동기어과 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이다.
한편, 회전체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회전체의 하향 연장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가 끼워지는 수직부를 갖는 슬라이딩홈이 기어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 및 케이스의 상,하 요동을 유도하기 위해 기어체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하향 연장부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고, 하우징의 상면에 회전휠이 장착되며, 이 회전휠과 간헐적으로 접촉되도록 회전체의 하면에 경사돌기턱이 형성된다.
또한, 하향 연장부의 중공 내부에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고, 그리고 발광다이오드는 하우징에 내장된 회로기판 및 동력원과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회전체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브러시가 장착된 케이스에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투광하기 위한 투광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브러시는 샤워타올 재질 또는 때타올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외층, 스펀지 재질의 중간층 및, 실리콘 재질의 내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러시의 외면은 나선형이면서 경사면을 갖는 경사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장축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등고선형상의 주름이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세정모가 형성된다.
또한, 브러시는 외면 형태에 따른 종류별로 구분되고, 각 종류별로 케이스가 마련되며, 그리고 케이스를 회전체로부터 탈,부착하여 교체하면서 브러시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하는 회전체 및 케이스를 따라 공전하는 각각의 브러시가 다시 기어체에 의해 공전의 역방향으로 자전함으로써, 대상물의 표면에 각각의 브러시가 개별 접촉하게 되어 대상물에 대한 세척효율이 극대화되고, 세척시 브러시의 편마모 및 편향된 입상을 방지하며, 피부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회전을 할지라도 브러시의 공정 및 자전으로 인해 세척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및 하우징이 대상물을 향해 상,하 요동함으로써, 대상물에 대해 브러시의 가압력을 달리하면서 대상물의 굴곡진 부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접촉하여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러시는 탄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곡면 또는 오목한 부위에도 밀착될 수 있어 세척력이 향상되고, 브러시의 외형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용이하게 탈리시키면서 외향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면이 주름형태인 브러시의 경우, 마사지 기능을 가지고, 피부보습제 및 윤활제 등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도포하면서 피하에 침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면이 세정모형태인 브러시의 경우, 피부 세척은 물론 필요시 욕조 및 주변 사물을 세척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때밀이용 전동브러시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브러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본체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및 케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서 브러시와 브러시기어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및 도 8에 도시된 브러시의 변형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브러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본체의 분리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및 케이스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에서 브러시와 브러시기어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및 도 8에 도시된 브러시의 변형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브러시장치(100)는, 손잡이본체(200) 및 브러시본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손잡이본체(200)는 손잡이부(210) 및 슬라이딩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손잡이부(210)는 외면에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엠보싱 처리되고, 내부에 슬라이딩부(220)가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물론, 손잡이부(210)에 삽입된 슬라이딩부(220)가 고정되거나 또는 손잡이부(210)에서 인출되는 슬라이딩부(220)의 최대 인출을 제한하기 위해 손잡이부(210) 및 슬라이딩부(220)의 단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부(210) 및 슬라이딩부(220)의 상호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부(220)는 손잡이부(2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손잡이부(210)의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슬라이딩부(220)는 동력원(221), 모터(222) 및 구동기어(223)가 내장되고, 동력원(221)과 연결된 작동버튼(224) 및 발광버튼(224a)이 외부에 표출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배터리를 포함한 동력원(221)에 의해 모터(222)가 구동되면 구동기어(223)가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브러시본체(300)는 하우징(310), 기어체(320), 회전체(330), 케이스(340), 브러시기어체(350) 및 브러시(3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된 하우징(310)에 대해 기어체(320), 회전체(330), 케이스(340), 브러시기어체(350) 및 브러시(360)가 상,하 요동운동을 하도록 설치된다.
먼저, 하우징(310)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가 슬라이딩부(220)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기어체(320)가 내장되면서 기어체(320)의 하부가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부(220)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10)에는 상측에 배치된 회전체(330) 중 하향 연장부(331)가 하우징(310)의 상면을 관통하여 기어체(320)의 상부와 체결된다. 이때,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 및 기어체(320)와 하우징(310)과의 접촉되는 부위에는 각각 제1베어링(317) 또는 제2베어링(318)이 설치된다. 하우징(310)의 상면은 곡면을 이루고, 평면상 테두리부에 보호벽(314)이 형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평면상에서 보면 각각 내경이 다른 다수의 고정기어(311)가 동일 중심을 갖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기어(311)는 후술된 브러시기어체(350)의 브러시기어(351)와 맞물린다. 이 하우징(310)의 상면은 볼록한 곡면을 이루어 고정기어(311)의 높이가 상호 다르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310)의 하단부와 슬라이딩부(220)의 상단부는 일부위 "A"에서 후크결합된 후, 타부위 "B"에서 나사(310a) 체결 또는 볼팅 체결되고, 이외에 나사체결방식으로도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0)에는 회로기판(313)이 내장되고, 이 회로기판(313)은 전선(314)을 통해 동력원(221) 및 발광다이오드(312)와 연결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312)는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회로기판(313)은 별도의 받침부재(313a)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310)에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310)에는 고정기어(311)의 인근에 다수의 고정부재(315)가 설치되고, 고정부재(315) 및 고정기어(311)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휠(316)이 설치된다. 이 회전휠(316)은 회전체(330)의 일면에 형성된 경사돌기턱(332)과 간헐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체(330)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회전휠(316)은 경사돌기턱(332)과 접촉되는 부위는 고무링과 같은 쿠션재질이 장착된다.
또한, 기어체(320)는 하단부가 구동기어(223)와 맞물리도록 종동기어(321)가 형성되고, 상단부가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와 체결된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다. 따라서, 기어체(320)는 하부가 슬라이딩부(220)에 위치하고, 상부가 하우징(31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종동기어(321)과 구동기어(223)는 베벨기어이다. 이 기어체(320)의 상단부가 회전체(330)의 하단부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회전체(330)의 상,하 요동을 보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일예로 도 3에서와 같이 기어체(320) 상단부의 외면에는 외경이 축소되도록 턱이 형성되고, 회전체(330) 하단부의 내면에는 내경이 확대되도록 턱이 형성된다. 또한, 기어체(320)와 회전체(330)에 각각 제1걸림돌기(323) 및 제2걸림돌기(333)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2걸림돌기(323,333) 사이에 탄성체(324)가 개재된다. 또한, 탄성체(324)는 외압에 의해 가압되거나 또는 경사돌기턱(332) 및 회전휠(316)에 의한 요동운동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체(3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탄성체(324)에 의한 회전체(330)의 과도한 상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2걸림돌기(333)이 하우징(310)의 내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어체(320)의 회전을 회전체(330)에 전달하기 위해 기어체(320)의 외면에 회전돌기(331a)가 형성되고, 회전체(330)의 내면에 회전돌기(331a)가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슬롯(320a)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330)에는 하우징(3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우징(3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하우징(310)의 내부에 위치한 기어체(320)의 상부와 체결되도록 회전체(330)의 중앙부위에서 하향 돌출된 연장부(3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부(331)는 중공의 형태로,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기어체(320)의 상단부와 슬라이딩 체결되며, 내부에 발광다이오드(312)가 설치된다. 또한, 회전체(330)에는 브러시기어체(350)가 관통하여 배치되고, 이때 브러시기어체(350)의 브러시기어(351)가 하우징(310)의 고정기어(311)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 회전체(330)의 하면에는 하우징(310)에 장착된 회전휠(316)과 접촉되도록 경사돌기턱(3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회전휠(316)과 경사돌기턱(332)이 간헐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체(330)의 상,하 요동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경사돌기턱(332) 및 회전휠(316)은 각각 회전체(330) 및 하우징(310)에 120°각도로 대략 3개가 설치되거나 2개 이하 또는 4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40)는 회전체(330)의 상측에 체결되는 부재로, 브러시(360)의 하단부가 관통하여 고정된다. 케이스(340)와 브러시(360)의 고정은 후술된다. 이 케이스(340)에는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312)의 빛이 통과되도록 투광홀(341)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케이스(340)와 회전체(330)의 체결은 케이스(340)의 주변에 대략 3개 정도 형성된 체결홈(342)에 회전체(330)의 체결돌기(334)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340)의 테두리부의 원주 전체에 대해 회전체(330)의 테두리부의 원주 전체가 끼워져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브러시기어체(35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3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하우징(310)의 고정기어(311)와 맞물리도록 하단부에 브러시기어(351)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케이스(340)에 고정된 브러시(36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브러시기어체(350)에는 브러시(360)의 삽입홀(361)에 삽입된 상부에 외향 돌출된 제3걸림돌기(352)가 형성되고, 회전체(330)의 상면 및 하면과 접촉되어 임의적 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제4걸림돌기(353)가 형성된다. 여기서, 브러시기어체(350)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의 외형으로 제작되고, 이는 브러시기어체(350)의 회전이 브러시(360)에 온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브러시기어체(350)는 원기둥도 가능하지만 다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시(3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타원형이면서 하부에 브러시기어체(35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361)이 형성되고, 삽입홀(361)의 내면에 브러시기어체(350)의 제3걸림돌기(352)와 체결되도록 걸림홈(362)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홀(361)의 형상은 브러시기어체(3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브러시기어체(350)와 동일한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브러시(360)의 하부 외면에는 케이스(340)에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고정턱(363)이 형성된다. 브러시(360)는 외층(364), 중간층(365) 및 내층(366)으로 이루어지고, 외층(364)은 샤워타올, 중간층(365)은 스펀지 및 내층(366)은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브러시(360)의 변형예로 도 9에서의 브러시(360)는 외면이 나선형으로 경사면을 갖는 턱(360a)이 형성되면서 외층(364)은 때타올, 중간층(365)은 스펀지 및 내층(366)은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또한, 도 10에서의 브러시(360)는 외면이 타원형상이면서 높이방향으로 장축이 배치되는 주름(360b)이 다수 형성되면서 외층(364)은 실리콘, 중간층(365)은 스펀지 및 내층(366)은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또한, 도 11에서의 브러시(360)는 외면에 실리콘 재질의 세정모(360c)가 형성되면서 외층(364)은 실리콘, 중간층(365)은 스펀지 및 내층(366)은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브러시(360)는 외면 형태에 따라 때타올, 샤워타올, 주름(306b) 및 세정모(360c)의 종류로 구분되고, 브러시(360)의 종류별로 케이스(340)가 마련되며, 하나의 케이스(340)에 1종의 브러시(360)가 장착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케이스(340)를 회전체(330)로부터 교체하면서 브러시(360)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케이스(340)에 2종 이상의 브러시(36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작동>
먼저, 손잡이부(210)에서 슬라이딩부(220)를 적당 길이로 인출한 후 전원버튼(224)을 눌러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222)에 의해 구동기어(223)가 회전되고, 이 구동기어(223)와 맞물린 종동기어(321)와 더불어 기어체(320)가 회전된다.
다음으로, 기어체(320)와 체결된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 회전체(330), 케이스(340)가 자전하게 되고, 케이스(340)에 고정된 기어체(350) 및 브러시(360)가 공전하게 된다. 이때, 브러시(360)는 기어체(350)의 브러시기어(351)과 고정기어(311)의 맞물림에 의해 자전하게 되고, 브러시(360)의 자전은 브러시(360)의 공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브러시(360)가 외압에 의해 대상물의 표면에 휘어지도록 밀착되면 케이스(340) 및 회전체(330)는 하우징(310)측으로 밀려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과 기어체(320) 사이에 장착된 탄성체(324)는 찹축된다.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케이스(340)가 회전하게 되면 하우징(310)의 회전휠(316)과 회전체(330)의 경사돌기턱(332)이 간헐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체(330)를 상향으로 천천히 억지 이동시킨 후 갑자기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체(330), 케이스(340) 및 브러시(360)가 상,하 요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손잡이부(210)의 발광버튼(224a)을 눌러 발광다이오드(312)가 점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동브러시장치(100)를 작동시켜 대상물의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다음으로, 발광버튼 및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발광다이오드(312)가 꺼지고,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222), 구동기어(223), 기어체(320), 회전체(330), 케이스(340) 및 브러시(36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다음으로,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브러시(360)가 떨어지게 되면 탄성체(324)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33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케이스(340)도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상물의 표면을 깨끗이 세척한 후 전동브러시장치(10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브러시(360)의 종류를 변경할 경우, 일예로 때타올 브러시(360)가 고정된 케이스(340)를 회전체(330)에서 분리한 다음, 샤워타올 브러시(360)가 고정된 케이스(340)를 교체한다. 따라서, 케이스(340)를 회전체(330)로부터 탈부착시킴으로써, 브러시(360)와 케이스(340)의 교체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후의 전동브러시장치(100)의 작동 및 정지는 상술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명확히 개시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전동브러시장치, 200...손잡이본체,
210...손잡이부, 220...슬라이딩부,
223...구동기어, 300...브러시본체,
310...하우징, 311...고정기어,
312...발광다이오드, 313...회로기판,
316...휘전휠, 320...기어체,
321...종동기어, 324...탄성체,
330...회전체, 331...하향 연장부,
332...경사돌기턱, 340...케이스,
350...브러시기어체, 351...브러시기어,
360...브러시, 361...삽입홀,
363...고정턱.

Claims (11)

  1. 동력원(221) 및 모터(222)가 구비된 전동브러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22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기어(223)가 내장된 손잡이본체(200); 및
    상기 구동기어(22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321)가 형성된 기어체(320),
    상기 손잡이본체(200)의 일단부에 체결되면서 상면에 직경이 다른 다수의 고정기어(311)가 동일 종심을 갖도록 형성된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기어체(32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체(330),
    상기 고정기어(311)와 맞물리는 브러시기어(351)가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체(330)를 관통하여 설치된 브러시기어체(350) 및,
    상기 브러시기어체(350)의 상부에 장착된 브러시(360)를 구비한 브러시본체(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브러시(360)는 상기 기어체(320)로 인해 자전하는 상기 회전체(330)에 의해 상기 브러시기어체(350)와 함께 공전함은 물론, 상기 고정기어(311)와 상기 브러시기어(351)에 의해 공전의 반대방향으로 자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본체(300)는 상기 회전체(330)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브러시(360)의 하부가 고정된 케이스(3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60)는 상기 케이스(340)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고정턱(363), 상기 브러시기어체(35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361), 상기 삽입홀(36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기어체(350)의 상부에 형성된 제3걸림돌기(352)가 끼워지는 걸림홈(3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200)는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210) 및, 상기 손잡이부(210)에 슬라이딩 삽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딩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220)에는 상기 동력원(221), 상기 모터(222), 상기 구동기어(223), 전원버튼(224) 및 발광버튼(224a)이 설치되고, 일단부에 상기 하우징(310)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223)과 상기 종동기어(321)는 베벨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30)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330)의 하향 연장부(331)에 회전돌기(331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331a)이 끼워져 상,하 슬라이딩하면서 회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슬롯(320a)이 상기 기어체(3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30) 및 상기 케이스(340)의 상,하 요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기어체(3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323)와 상기 하향 연장부(331)의 하부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333) 사이에 탄성체(324)가 개재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에 회전휠(316)이 장착되며, 이 회전휠(316)과 간헐적으로 접촉되도록 회전체(330)의 하면에 경사돌기턱(3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연장부(331)의 중공 내부에 발광다이오드(312)가 장착되고,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312)는 상기 하우징(310)에 내장된 회로기판(313), 및 상기 동력원(221)과 전선(314)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330)의 상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브러시(360)가 장착된 케이스(340)에 상기 발광다이오드(312)의 빛을 투광하기 위한 투광홀(3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60)는 샤워타올 재질 또는 때타올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외층(364), 스펀지 재질의 중간층(365) 및, 실리콘 재질의 내층(36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60)는 외면 형태에 따른 종류별로 구분되고, 각 종류별로 상기 케이스(340)가 마련되며 그리고
    상기 케이스(340)를 상기 회전체(330)로부터 탈,부착하여 교체하면서 상기 브러시(360)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60)의 외면 형태는 나선형이면서 경사면을 갖는 경사턱(360a)이 형성되거나 또는, 장축이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타원의 등고선형상의 주름(360b)이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세정모(360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브러시장치.
KR1020120042396A 2012-04-24 2012-04-24 전동브러시장치 KR10137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96A KR101371791B1 (ko) 2012-04-24 2012-04-24 전동브러시장치
PCT/KR2013/003370 WO2013162226A1 (ko) 2012-04-24 2013-04-22 전동브러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96A KR101371791B1 (ko) 2012-04-24 2012-04-24 전동브러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533A KR20130119533A (ko) 2013-11-01
KR101371791B1 true KR101371791B1 (ko) 2014-03-07

Family

ID=4948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396A KR101371791B1 (ko) 2012-04-24 2012-04-24 전동브러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1791B1 (ko)
WO (1) WO20131622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52B1 (ko) * 2014-08-04 2015-01-05 서경임 전동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9377B (zh) * 2017-10-13 2018-12-07 浙江斯迈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保健用手持式按摩仪
KR102107550B1 (ko) * 2019-11-21 2020-05-07 주식회사 퓨어텍코리아 애완 동물용 샤워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용 샤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457U (ko)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전동칫솔
EP0990402A2 (en) * 1998-09-30 2000-04-05 Teh-Liang Lo Portable electric cleaning device
JP2007289460A (ja) 2006-04-26 2007-11-08 Kenji Jitsuhara ブラシ回転駆動装置
JP2009112886A (ja) 2007-11-01 2009-05-28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自公転ディスクブラ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0125B2 (ja) * 2009-07-06 2013-10-30 ヤーマン株式会社 頭皮ケ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457U (ko) * 1997-04-29 1998-11-25 배순훈 전동칫솔
EP0990402A2 (en) * 1998-09-30 2000-04-05 Teh-Liang Lo Portable electric cleaning device
JP2007289460A (ja) 2006-04-26 2007-11-08 Kenji Jitsuhara ブラシ回転駆動装置
JP2009112886A (ja) 2007-11-01 2009-05-28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自公転ディスクブラ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952B1 (ko) * 2014-08-04 2015-01-05 서경임 전동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533A (ko) 2013-11-01
WO2013162226A1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5753B2 (ja) 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のブラシ用具
CN201127709Y (zh) 按摩装置
CA2570659C (en) Oscillating brushhead attachment system for a personal care appliance
KR101371791B1 (ko) 전동브러시장치
WO2010007358A2 (en) Brush mechanism
EP2485676B1 (en) Domestic appliance
CN102727119A (zh) 个人护理用具的刷头组件连接系统
CN103882655A (zh) 一种用于清洗衣领、袖口的清洗装置
KR200489176Y1 (ko) 클렌징 장치
CN113229743B (zh) 用于吸尘器的地刷总成和吸尘器
KR200444944Y1 (ko) 젖병 세척구
CN108030427B (zh) 一种绕动式机芯组件及使用其的个人清洁护理装置
CN214613130U (zh) 一种内外全面清洗鞋子的洗鞋机
KR101354487B1 (ko) 회전식 때밀이 장치
TW201534247A (zh) 具有內側刷毛位於外側刷毛上之刷毛結構的臉部清洗裝置
CN106074145A (zh) 足用浮动按摩组件和足浴器
KR101478952B1 (ko) 전동솔
CN109174749A (zh) 一种简易手摇式抹布清洗装置
KR100387132B1 (ko) 원적외선 피부 미용 시스템
JP2019520918A (ja) ブラシ
KR200392518Y1 (ko) 안마겸용 때밀이 장치
KR200418093Y1 (ko) 휴대용 자동 때밀이장치
CN211749399U (zh) 清洁工具
CN212730045U (zh) 电动牙刷
KR200448950Y1 (ko) 일반칫솔이 장착 가능한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