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39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39B1
KR101371239B1 KR1020130074223A KR20130074223A KR101371239B1 KR 101371239 B1 KR101371239 B1 KR 101371239B1 KR 1020130074223 A KR1020130074223 A KR 1020130074223A KR 20130074223 A KR20130074223 A KR 20130074223A KR 101371239 B1 KR101371239 B1 KR 10137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hair
seat plate
side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티미터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티미터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티미터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13007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하부지지부,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부의 일단부에 내측 및 외측으로 나뉘어져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에 결합되는 좌판부,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 및 상기 좌판부는 후방부의 가로폭이 전방부의 가로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좌판부 전방이 후방에 비해 들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다수의 의자를 정리할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 {a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기대거나 앉을때 사용하는 도구로, 다양한 장소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부과, 상기 좌판부와 연결된 등받이부를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의자는 심미성을 위해 변형된 구조를 가지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수납장, 우산걸이 등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발명이 다수 제안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3-0053719 호는 착석면을 제공하고 다른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 기능에 맞도록 전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학교강당, 운동장, 행사장소 등 많은 사람들이 참석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려면 다수의 의자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의자는 구조의 특성상 사용한 의자를 보관하기 위해 이를 수직으로 높이 쌓는 것이 일반적이다.
쌓아 올린 의자더미는 쌓는 방향이 수직이거나 사선 방향이기 때문에, 의자 더미 이상의 높이 위로 들어올렸다 내려놓아야 하는 행위가 필연적으로 동반됨에 따라 노동력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또한, 사선 방향으로 적층이 되면, 일정 수 이상의 의자를 적층시에 무게중심이 틀어져 일정 수량 이상의 의자를 적층하는 것이 불가하고, 적층시 의자더미보다 의자의 다리높이만큼 더 들어 올려야 하므로 다수를 보관하는데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다수의 의자를 보관하고 사용하기 용이한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자는, 한 쌍의 하부지지부,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부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에 결합되는 좌판부,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에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측면지지부는 내측 및 외측 측면지지부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부 및 상기 좌판부는 후방부의 가로폭이 전방부의 가로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좌판부 전방이 후방에 비해 들려있다.
또한, 한 쌍의 하부지지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부와 누름부재를 연결하는 두 연결부위는 측면를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되거나,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 최상단부의 중앙과 상기 누름부재의 중앙의 최측단이 측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 하단에 다른 의자의 좌판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의자를 보관하기 위해 작업자가 의자를 높이 들고 내리는 과정이 없는 수평으로 적층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자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에 관한 정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의자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 적층에 관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 적층에 관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자는 하기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구성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나누어 설명을 위해 하부지지부(110), 측면지지부(120), 좌판부(130)로 나누어 설명한다.
하부지지부(110)는 의자(100)를 지탱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지면지지역할을 하는 구상에 해당되며,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로 구성된다.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의 일단부가 형성하는 가로폭은 타단부가 형성하는 가로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여기서, 일단부는 의자(100)의 정면을 의미하며, 타단부는 의자(100)의 후방을 의미한다.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타의자(100)가 정면에서 의자(100)에 수월하게 겹쳐지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의자(100)는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의 타단부에 하부지지부(110)의 사이에 연결되는 누름부재(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재(112)는 하부지지부(110)에 가해지는 무게가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의자(100)가 보다 높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112)는 작업자가 발로 밟아서 세워진 의자(100)를 일으켜 세우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와 누름부재(112)를 연결하는 두 연결부위(111)는 측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되거나,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작업자가 누름부재(112)를 밟을 시, 보다 편하고 힘을 덜 들여 의자(100)를 세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연결부위(111)가 완만한 원호 모양을 형성한다.
측면지지부(120)는 한 쌍의 하부지지부(110) 일단부에 결합되어 타단부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측면지지부(120)는 내측 측면지지부(121)와 외부 측면지지부(122)로 나뉘며, 각 내측 및 외측 측면지지부(121, 122)는 하부지지부(1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나, 측면지지부(120)의 중단부에서 내측 측면지지부(121)는 측면지지부(120)의 중단부분에서 좌판부(130)와 결합하고, 외측 측면지지부(122)는 측면지지부(120)의 상단부에서 등받이부(123)와 결합한다.
좌판부(130)는 한 쌍의 내측 측면지지부(121)에 결합한다.
좌판부(130)는 수평면에 대해 3도 내지 10도로 좌판부(130)의 전방부가 들려있는 것이 특징이다.
좌판부(13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이유는, 전방의 타의자(100)를 후방의 의자(100)로 밀어 넣을 시 상기 전방의 타의자(100)의 좌판부(130)가 의자(100)의 좌판부(130) 하단으로 겹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판부(130)가 수평면에 대해 3도 내지 10도를 이루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3도 미만의 경우, 기울기가 낮기 때문에 의자(100)를 적층하기 위해선 좌판부(130)가 얇아져야 한다. 얇은 좌판부(130)는 지탱할 수 있는 중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0도 초과의 경우 사용자가 의자(100)를 사용할 시 의자가 뒤로 젖혀질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사용자의 안전에 해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의자(100)의 좌판부(130)는 수평면에 대해 약 3도 내지 10도 사이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적절한 기울기는 약 5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좌판부(130)와 등받이부(123) 사이에 사이공간(125)이 마련된다.
사이공간(125)의 역할은, 전방의 타의자(100)를 의자(100)로 밀어넣을 시, 등받이(123)에 의해 좌판부(130)가 가로막혀 밀어넣을 수 없는 것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등받이부(123)의 상단부의 중앙(124)과 누름부재(112)의 중앙(113)이 는 측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이유는, 수평적층된 의자(100)더미를 일으켜 세웠을 때, 상기 등받이부(123)와 누름부재(112)가 의자(100)를 지지하여 앞뒤로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지지부재(140)는 상기 좌판부(130) 하단에서 한 쌍의 내측 측면지지부(121) 사이를 연결하여 좌판부(130)에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든 지지부재(140)는 내측 측면지지부(121)가 둥근 봉 형태를 지니지만, 이를 확장하여 좌판부(130)와 같이 넓적한 판의 모양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140)는 수평적층된 다수의 의자(100)를 수직으로 세울 시, 적층된 의자(100)가 넘어가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판부(130)와 지지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타의자(100)의 좌판부(130)이 삽입되게 하여 적층된 의자(1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2. 본 발명의 의자 적층 방법
본 발명의 의자(100)는 좌판부(130)가 소정의 각도로 전방부가 기울어져 있고, 한 쌍의 하부지지대(110)가 형성하는 가로폭은 전방부가 후방부보다 넓다.
이는, 전방에 위치한 의자(100)가 후방에 위치한 의자(100)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전방의 의자(100)를 후방의 의자(100)로 밀어 넣을 때를 가정하면, 전방에 위치한 의자(100)의 좌판부(130)는 후방에 위치한 의자(100)의 좌판부(130)의 하부와, 위치한 후방에 위치한 의자(100)의 지지부재(140) 상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이 되어, 전후방의 두 의자(100)가 도 5과 같이 결합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대의 의자(100)를 수평적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적층된 의자(100)더미는 가장 후측에 위치한 의자(100)의 누름부재(112)를 발로 밟게 되면, 좌판부(130)와 지지부재(140)에 의해 고정된 수평적층된 의자(100)더미를 동시에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위(111)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의자(100)를 일으켜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
누름부재(112)에 의해 일으켜 세워진 수직적층된 의자(100)더미는 좌판부(130)의 최상단과 누름부재(112)의 일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100)는, 먼저 다수의 의자(100)를 좌판부(130)와 지지부재(140) 사이에 삽입하여 수평적층을 하고, 수평적층된 의자(100)더미를 누름부재(112)를 밟아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수직적층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의자(100)더미를 보관하면 작업자는 의자(100)더미를 적층하는데 최소한의 힘으로 빠르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의자(100)더미로부터 의자(100)를 꺼내려 할 때에도 의자(100)더미로부터 쉽게 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의자
110 : 하부지지부 111 : 연결부위 112 : 누름부재
113 : 누름부재의 중앙
120 : 측면지지부 121 : 내측 측면지지부 122 : 외측 측면지지부
123 : 등받이부 124 : 등받이부의 중앙 125 : 사이공간
130 : 좌판부
140 : 지지부재

Claims (5)

  1. 한 쌍의 하부지지부;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부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
    착좌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의 중단부분에 결합되는 좌판부;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등받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 및 상기 좌판부는 후방부의 가로폭이 전방부의 가로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좌판부 전방이 후방에 비해 들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하부지지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부와 누름부재를 연결하는 두 연결부위는 측면를 기준으로 둔각으로 형성되거나,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최상단부의 중앙과 상기 누름부재의 중앙의 최측단이 측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측면지지부는 내측 및 외측 측면지지부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기 좌판부 하단에서 한 쌍의 내측 측면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30074223A 2013-06-27 2013-06-27 의자 KR10137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23A KR101371239B1 (ko) 2013-06-27 2013-06-27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223A KR101371239B1 (ko) 2013-06-27 2013-06-27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39B1 true KR101371239B1 (ko) 2014-03-06

Family

ID=5064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223A KR101371239B1 (ko) 2013-06-27 2013-06-27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8208B2 (ja) * 1993-03-09 1999-10-06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椅 子
JP2006314499A (ja) * 2005-05-12 2006-11-24 Okamura Corp 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8208B2 (ja) * 1993-03-09 1999-10-06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椅 子
JP2006314499A (ja) * 2005-05-12 2006-11-24 Okamura Corp 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191B1 (en) Chair with a frame with tubular elements
CA2518698A1 (en) Stackable chair-desk frame
KR101176603B1 (ko) 환자용 침대
CN201595474U (zh) 梯椅两用家具
US9565944B2 (en) Adjustable height furniture and method
KR101371239B1 (ko) 의자
KR101104787B1 (ko) 의자가 일체로 형성된 테이블
KR101365153B1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US6860556B2 (en) Chair frame for a stackable chair
US9961996B2 (en) Table with storage rack
USD877443S1 (en) Stairlift chair
JP5656600B2 (ja) 椅子
JP5677799B2 (ja) 椅子
CN205548165U (zh) 用于床垫储存及展示的装置
CN104856489A (zh) 一种室外凳子
CN204410195U (zh) 可叠放的吧台椅
WO2018084171A1 (ja) 天板付什器
JP2019216835A (ja) 天板付き什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什器システム
CN107692612B (zh) 椅子
JP7424613B2 (ja) 椅子
KR102510299B1 (ko) 장애인용 리프트업 캠핑 테이블 및 의자 세트
JP4476354B2 (ja) 椅子
KR20100134197A (ko) 의자 수납식 테이블
FR3036600A1 (fr) Siege permettant de regler la hauteur, d'un ou plusieurs dossiers amovibles sur lequel (s) peuvent etre ajustes des coussins partiellement ou en totalite
JP6710146B2 (ja) 天板付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