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899B1 -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899B1
KR101370899B1 KR1020070033432A KR20070033432A KR101370899B1 KR 101370899 B1 KR101370899 B1 KR 101370899B1 KR 1020070033432 A KR1020070033432 A KR 1020070033432A KR 20070033432 A KR20070033432 A KR 20070033432A KR 101370899 B1 KR101370899 B1 KR 10137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information
motion
extracting
pred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910A (ko
Inventor
전용준
전병문
구한서
박승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된 다시점(multi-view)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시점 픽처 내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시점(view)의 픽처의 움직임벡터(motion vector)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시간(temporal index)의 픽처의 변이벡터(disparity vector)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의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33432
비디오, 움직임 벡터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FOR DECODING A VIDEO SIGNA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도.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신택스의 예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 부호화란 디지털화한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하거나, 저장 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는 일련의 신호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압축 부호화의 대상에는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대상이 존재하며, 특히 영상을 대상으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는 기술을 비디오 영상 압축이라고 일컫는다. 비디오 영상의 일반적인 특징은 공간적 중복성, 시간적 중복성을 지니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른 시점(view)의 픽처의 움직임벡터(motion vector)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의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시간(temporal index)의 픽처의 변이벡터(disparity vector)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의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은,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시점 픽처 내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 또는 전역 변이 벡터가 가리키는 블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움직임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mode)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v_pred_mode)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macroblock layer)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정보(v_pred_refIdx)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덱스정보(v_pred_refIdx)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덱스정보(v_pred_refIdx)는, 상기 현재 픽처 및 상기 이웃시점 픽처간의 시점 식별자(view_id)의 차이값, 또는 화면 출력 순서(POC)의 차이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v_pred_mode)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v_pred_dir)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향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slice layer)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macroblock layer)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잇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시점 픽처 내 대 응 블록에 관한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변이 벡터는, 시점 방향의 픽처간 변이 보상을 위한 벡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이 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mode)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v_pred_mode)가 변이 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v_pred_mode)가 변이 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v_pred_dir)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에 관한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로부터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및 변이 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mode)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플래그정보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그정보에 따라 수행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정보(v_pred_mode)가 벡터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v_pred_di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로부터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및 변이 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하여, 이웃시 점 픽처 내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변이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 또는 변이벡터의 예측을 나타내는 경우, 예측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변이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 및, 상기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 또는 변이벡터의 예측을 나타내는 경우, 예측의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포맷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시점(v=vc)에 존재하는 현재 픽처 내 블록(A)의 움직임벡터(mvL0, mvL1)를 획득하기 위해, 현재 블록(A)의 변이벡터(또는 전역 변이벡터)를 이용하여 이웃시점(v=vn1, vn2)의 픽처 내의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c1, c2)을 찾고, 대응 블록(c1, c2)의 움직임벡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A)의 움직임벡터(mvL0, mvL1)를 획득한다. 이를 위한 디코딩 장치의 각 구성 및 디코딩 방법의 각 단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과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100)는 움직임정보 추출부(110) 및 움직임벡터 획득부(120)를 포함한다.
움직임정보 추출부(110)는 우선, 움직임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mode)를 비디오신호로부터 추출한다(S110 단계). 여기서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slice layer)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macroblock layer)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만약, 모드정보(v_pred_mode)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v_pred_mode가 0인 경우)(S120 단계의 '아니오'),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움직임벡터를 추출한다(S130 단계). 반대로, 모드정보가 움직임벡 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예를 들어, v_pred_mode가 1인 경우)(S120 단계의 '예'),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refIdx)가 존재하는 경우에는(S140 단계의 '예'), 그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를 추출한다(S150 단계). 여기서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는 여러 이웃시점의 픽처들 중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이 속하는 픽처의 식별정보로서, 현재 픽처와 이웃시점 픽처간의 시점 시별자(view_id) 차이값, 또는/및 화면 출력 순서(POC)의 차이값(v_pred_offset_minus1)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반대로,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refIdx)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S140 단계의 '아니오'), 시점 식별자(view_id), 또는 화면출력순서(POC) 등을 이용하여 임의로 이웃시점 픽처를 결정한다(S160 단계). 예를 들어, 현재 픽처와 인접한 시점(즉, 현재 픽처의 시점 식별자(view_id)가 Vc일 때 Vc-1 또는 Vc+1인 시점)의 픽처들 중 현재 픽처와 화면출력순서(POC)가 동일한 픽처를 이웃시점 픽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한다(S170 단계). 이 방향정보 또는 슬라이스 레이어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움직임정보 추출부(110)는 변이벡터(dv)(disparity vector) 및 전역 변이벡터(gdv)(global disparity vector)를 더 추출할 수 있는 데(미도시), 전역 변이벡터(gdv)란 현재 블록(A)뿐만 아니라 전역(예를 들어, 현재 슬라이스, 현재 픽처 전체, 현재 시퀀스 전체 등)에 해당하는 변이벡터로서, 블록마다 전송되는 정보가 아 니라, 슬라이스, 픽처, 앵커픽처, 화면군(GOP), 또는 시퀀스마다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움직임벡터 획득부(120)는 변이벡터(dv) 또는 전역 변이벡터(gdv) 등을 이용하여 이웃시점 픽처 내의 대응 블록(corresponding block)을 찾는다(S180 단계).그런 다음, 대응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벡터를 획득한다(S190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시간(t=tc)에 존재하는 현재 픽처의 블록(A)의 변이벡터(mvL0, mvL1)를 획득하기 위해, 시간방향으로의 이웃 픽처(t=tn1, tn2) 내에서 현재 블록(A)과 동일에 위치에 있는 (co-located)의 블록(c1, c2)을 찾고, 동일위치 블록(c1, c2)의 변이벡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변이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A)의 변이벡터(mvL0, mvL1)를 획득한다. 이를 위한 디코딩 장치의 각 구성 및 디코딩 방법의 각 단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200)는 움직임정보 추출부(210) 및 움직임벡터 획득부(220)를 포함한다.
움직임정보 추출부(210)는 변이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mode)를 비디오신호로부터 추출한다(S210 단계). 이 모드정보 또한 슬라이스 레이어(slice layer)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macroblock layer)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만약, 모드정보(v_pred_mode)가 변이벡터의 예측을 의미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v_pred_mode가 0인 경우)(S220 단계의 '아니오'), 현재 블록에 해당하는 변이벡터를 추출한다(S230 단계). 반대로, 모드정보가 변이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예를 들어, v_pred_mode가 1인 경우)(S220 단계의 '예'), 이웃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refIdx)가 존재하는 경우에는(S240 단계의 '예'), 그 이웃 픽처의 인덱스정보를 추출한다(S250 단계). 여기서 이웃 픽처의 인덱스정보는 이웃 픽처 중 동일위치(co-located)의 블록의 속하는 픽처의 식별정보로서, 현재 픽처와 이웃 픽처간의 시점 시별자(view_id) 차이값, 또는/및 화면 출력 순서(POC)의 차이값(v_pred_offset_minus1)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반대로, 이웃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refIdx)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S240 단계의 '아니오'), 참조 픽처 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임의로 이웃 픽처를 결정한다(S260 단계). 예를 들어, 참조 픽처 리스트(reference picture list)에 있는 픽처들 중에서 참조인덱스(refIdx)가 가장 작은 수의 픽처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한다(S270 단계). 이 방향정보 또는 슬라이스 레이어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움직임벡터 획득부(220)는 이웃 픽처 내의 동일위치의 블록(co-located block)을 찾는다(S280 단계).그런 다음,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벡터를 획득한다(S290 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움직임벡터 예측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변이벡터의 예측이 결합된 형태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300)는 움직임정보 추출부(310), 및 움직임벡터 획득부(320)를 포함한다.
움직임정보 추출부(310)는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변이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v_pred_refIdx)를 비디오신호로부터 추출한다(S310 단계). 모드정보가 예측없음을 나타내는 경우(S320 단계의 '아니오'), 현재 블록의 움직임벡터 또는 변이벡터를 추출한다(S330 단계). 반대로,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 또는 변이벡터의 예측을 나타내는 경우(S320 단계의 '예')는 S140 단계 내지 S170 단계(또는 S240 단계 내지 S270 단계)와 거의 유사한 단계를 거쳐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거나 결정하고, 방향정보(v_pred_dir)를 추출한다(S340 단계 내지 S370 단계).
그런 다음, S310 단계에서 추출된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S380 단계의 '예'), 움직임벡터 획득부(32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S180 단계 및 S190 단계를 거쳐,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한다(S390 단계 및 S395 단계). 만약, S310 단계에서 추출된 모드정보가 변이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S380 단계의 '아니오'), 움직임벡터 획득부(320)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S280 단계 및 S290 단계를 거쳐,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벡터를 획득한다(S400 단계 및 S405 단계).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 신택스의 예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슬라이스 레이어에는 모드정보(v_pred_mode)가 포함되어 있고, 매크로블록 레이어에는 플래그정보(v_pred_flag)가 포함되어 있고, 플래그정보가 1일 것을 조건으로 방향정보(v_pred_dir) 및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offset_minus1 or v_pred_refIdx)가 포함되어 있다.
모드정보(v_pred_mode), 플래그 정보(v_pred_flag), 방향정보(v_pred_dir),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offset_minus1 or v_pred_refIdx)는 각각 다음을 표현할 수 있다.
[v_pred_mode]
0: 예측없음, 1: 움직임벡터의 예측, 2: 변이벡터의 예측
[v_pred_flag]
0: 예측없음, 1: 예측있음
[v_pred_dir]
0: 순방향 (forward), 1: 역방향 (backward)
[v_pred_offset_minus)]
이웃시점 픽처 및 현재 픽처간의 시점 식별자(view_id)의 차이값, 또는 화면 출력 순서(POC)의 차이값
[v_pred_refIdx]
이웃시점 픽처의 참조 픽처 인덱스(reference picture index)
도 9b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신택스에 비해, 방향정보(v_pred_dir) 및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정보(v_pred_offset_minus1 or v_pred_refIdx)가 매크로블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슬라이스 레이어에 포함되어있다. 한편 도 9c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신택스에 비해, 방향정보(v_pred_dir)만이 슬라이스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v_pred_mode'가 슬라이스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고, 'v_pred_MB'가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는데, v_pred_mode 및 v_pred_MB는 다음과 같이 새로 정의될 수 있다.
[v_pred_mode]
0: 예측없음, 1: 순방향, 2: 역방향
[v_pred_MB]
0: 예측없음, 1: 움직임벡터의 예측, 2: 변이벡터의 예측
도 9e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신택스에 비해, 모드정보(v_pred_mode)까지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고, 도 9f를 참조하면, 도 9a에 도시된 신택스에 비해, 다음과 같이 'v_pred_mode'가 방향정보를 표현하고, 'v_pred_flag'는 모 드정보를 표현한다.
[v_pred_mode]
0: 예측없음, 1: 순방향, 2: 역방향
[v_pred_flag]
0: 움직임벡터의 예측, 1: 변이벡터의 예측
도 9g는 모드정보 및 방향정보가 하나의 엘리먼트(v_pred_MB)로서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v_pred_MB'는 다음과 같이 모드정보와 방향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0: 예측없음,
1: 움직임벡터의 순방향 예측, 2: 움직임벡터의 역방향 예측,
3: 변이벡터의 순방향 예측, 4: 변이벡터의 역방향 예측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간 방향의 움직임 보상을 위한 움직임벡터값이 시점(view)의 수만큼 반복적으로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축효율이 현저히 상승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점 방향의 변이 보상을 위한 변이벡터값이 픽처마다 반복적으로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트효율이 현저히 상승된다.

Claims (15)

  1.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시점 픽처 내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 또는 전역 변이 벡터가 가리키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움직임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이웃시점 픽처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인덱스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덱스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 또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상기 현재 픽처 및 상기 이웃시점 픽처간의 시점 식별자의 차이값, 또는 화면 출력 순서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정보가 움직임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7.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시점 픽처 내 대응 블록에 관한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블록은, 상기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 전역 변이 벡터가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8.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벡터는, 시점 방향의 픽처간 변이 보상을 위한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변이 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가 변이 벡터의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이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11.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에 관한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상기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12. 비디오 신호로부터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및 변이 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벡터의 예측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정보는 슬라이스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플래그정보는 매크로블록 레이어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그정보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정보가 벡터 예측을 의미하는 경우, 예측 방향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나타내는 방향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15. 비디오 신호로부터 예측 없음, 움직임벡터의 예측, 및 변이 벡터의 예측 중 하나를 나타내는 모드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정보를 추출하는 움직임정보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근거로 하여, 이웃시점 픽처 내 대응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이웃 픽처 내 동일위치의 블록의 변이 벡터 중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또는 변이 벡터를 획득하는 움직임벡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KR1020070033432A 2006-10-24 2007-04-04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370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377506P 2006-10-24 2006-10-24
US60/853,775 2006-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910A KR20080036910A (ko) 2008-04-29
KR101370899B1 true KR101370899B1 (ko) 2014-03-10

Family

ID=395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32A KR101370899B1 (ko) 2006-10-24 2007-04-04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48A2 (ko) * 2011-10-12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코딩 방법 및 디코딩 방법
WO2014065546A1 (ko) * 2012-10-22 2014-05-01 (주)휴맥스 3차원 비디오에서의 뷰간 움직임 예측 방법 및 뷰간 병합 후보 결정 방법
EP2983367A4 (en) 2013-04-05 2016-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DING AND DECODING VIDEO CONTENT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ALL-NUMBER PIXELS
US20160073115A1 (en) * 2013-04-05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inter-prediction candidate for interlayer decoding and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5005750A1 (ko) * 2013-07-12 2015-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변이 벡터 유도를 사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0146B1 (ko) 2014-03-31 2021-06-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시점 간 움직임 병합 후보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2149827B1 (ko) * 2015-01-21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및 인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113A (ja) * 2003-10-01 2005-04-21 Nec Corp 多視点画像伝送システムと方法、多視点画像圧縮装置と方法、多視点画像伸長装置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113A (ja) * 2003-10-01 2005-04-21 Nec Corp 多視点画像伝送システムと方法、多視点画像圧縮装置と方法、多視点画像伸長装置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910A (ko) 200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914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ов виде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предсказания
RU26881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зображения, адаптированные к извлечению информации о движении, долговременный считываемый компьютером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хранящий программу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зображения, адаптированную к извлечению информации о движении
RU26872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егося изображения
KR101835240B1 (ko) 3d 비디오 코딩을 위한 조합된 양방향-예측 병합 후보들
JP5475464B2 (ja) 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CN107105228B (zh) 图像编码装置、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装置及图像解码方法
KR101370899B1 (ko)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187723B1 (ko) 3 차원(3d)비디오 코딩을 위한 진보된 병합 모드
EP3155812B1 (en) Simplified shifting merge candidate and merge list derivation in 3d-hevc
KR102238567B1 (ko) 디스패리티 벡터 유도를 위한 화상들의 선택
KR101837315B1 (ko) 비디오 코딩에서 디스패리티 벡터를 이용한 블록 식별
WO2014205343A1 (en) More accurate advanced residual prediction (arp) for texture coding
WO2012147621A1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並びに、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KR20110020215A (ko) 적응적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34173A (ko) 비디오 코딩에서의 디스패리티 벡터 선택
JPWO2012128242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66133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с эффектом глубины при кодировании видео
JP2023017984A (ja) サブ予測ユニット単位の時間的な視点間動き情報の誘導方法及び装置
TW202041028A (zh) 影像處理裝置及影像處理方法
EP3117606B1 (en) Simplified advanced residual prediction for 3d-hevc
KR101370898B1 (ko)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KR20220024764A (ko) Ibc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075203A (ko) 서브-블록 병합 단순화를 포함하는 비디오 화상 코딩 방법 및 관련된 장치
RU27878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ов виде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предсказания
KR20080042652A (ko)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및,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