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385B1 -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385B1
KR101370385B1 KR1020120069879A KR20120069879A KR101370385B1 KR 101370385 B1 KR101370385 B1 KR 101370385B1 KR 1020120069879 A KR1020120069879 A KR 1020120069879A KR 20120069879 A KR20120069879 A KR 20120069879A KR 101370385 B1 KR101370385 B1 KR 10137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frequency generator
electrode pad
remote control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649A (ko
Inventor
전영삼
Original Assignee
전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삼 filed Critical 전영삼
Priority to KR102012006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3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감, 외관 및 상품성이 향상되며, 신체조건, 통증부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극패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상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2 본체; 상기 제1 및 2 본체를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드가 구동되도록 하는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분산되어 배치되므로 부피와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서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것이므로 접착제 없이도 전극패드를 인체에 설치할 수 있어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패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신체조건, 통증부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되므로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LOW FERQUENCY GENERATION APPARATUS FOR RELIEVING MENSTRUAL PAINS}
본 발명은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감, 외관 및 상품성이 향상되며, 신체조건, 통증부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극패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상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통은 여성의 월경시 하복부 및 자궁 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 개인적인 차이는 있지만 일상생활에 상당한 장애를 주고 있다.
이러한 생리통의 발생시 대부분의 여성들은 그냥 고통을 참거나 진통제를 투약하여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진통제에 의한 통증 억제는 통증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고 상습적인 진통제 투여는 약리적 부작용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생리통의 완화방안으로 온열찜질팩은 사용하여 하복부에 온열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하기가 불가능하므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1532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한 휴대용 조합자극기는 치골부위의 통증을 가지는 생리통을 완화시키는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에 있어서, 경피자극전극을 구비하여 복부 또는 배부(背部)에 경피자극을 주는 경피자극전극패드부(220), 면상발열체를 구비하여 복부에 온열자극을 주는 면상발열체부를 구비하는 생리통 완화부(200); 전원부(110)를 구비하여 상기 생리통 완화부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경피자극전극패드부를 제어하는 경피자극전극 제어신호 및 상기 면상발열체부를 제어하는 면상발열체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130)를 구비하는 생리통 완화기 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리통 완화부(200)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면상발열체부에 상기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싱부; 상기 온도센싱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휴대용 조합자극기에 따르면 전기자극을 하복부에 인가함으로서 생리통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회로하우징 상부 커버부(230)와 회로하우징 하부 커버부(270)와 같이 부피가 크고 딱딱하게 제작된 케이스에 각종 부품이 내장되는 방식으로서 가요성이 전혀 없으므로 인체에 설치시 착용감이 떨어지고 이물감이 발생 될 뿐만 아니라 착용시 부피가 크고 의복의 외부로 돌출되는 등 외관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휴대용 조합자극기는 딱딱한 케이스상에 양쪽 경피자극전극패드부(220)가 설치됨에 따라 설치위치의 조정이 불가능한 고정식 구조이므로 개인적 신체조건이나 통증부위의 차이로 자극의 인가위치나 강도의 조정이 필요할 경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어서 사용이 불편하고 통증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관과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체조건, 통증부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극패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통증완화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2 본체; 상기 제1 및 2 본체를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와 전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외측에 설치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대향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이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 신축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드가 구동되도록 하는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의하면, 구성부품이 제1 본체와 제2 본체에 분산되어 배치되므로 부피와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서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것이므로 접착제 없이도 전극패드를 인체에 설치할 수 있어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고, 전극패드의 위치조정이 가능하여 신체조건, 통증부위,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되므로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서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제어부(3) 및 제1 전극패드(11)를 구비한 제1 본체(1), 제1 본체(1)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전원부(4)와 제2 전극패드(21)를 구비한 제2 본체(2), 제1 및 2 본체(1,2)를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 및 제1 및 제2 본체(1,2)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케이블(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제1 전극패드(11) 및 제2 전극패드(21)의 작동시간, 작동모드 등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 키버튼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31), 및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71)와,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에 인가하는 수신부(72)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른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3)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패드(11,21)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송신부(71)는 RF신호발생기와, 작동시간, 작동모드 등의 구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키(Control key)가 구비되어 이 제어키의 입력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수신부(71)에 송신하는 RF송신기로 구성되고, 수신부(72)는 송신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에 인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전극패드(11,12)가 제어부의 제어하에 구동되도록 하는 RF수신기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RF송신기 및 RF수신기는 통상적인 무선신호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본체(1)는 제어부(3)와 제1 전극패드(11)가 장착되는 부재로서 제1 케이스(12)와, 이 제1 케이스(12)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13)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12)는 제어부로서 구성되는 마이콤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3a)이 안착되도록 상부에 제어부 안착홈(1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전극패드(11)가 안착되는 제1 전극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 사각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케이스(12)는 제1 커버부(13)의 조립을 위한 복수의 체결홈(122)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케이블(6)의 인입을 위한 연결케이블 인입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부(13)는 인쇄회로기판(3a)을 밀폐시키도록 제1 케이스(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체결홈(122)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본체(12)는 전원부(4)와 제2 전극패드(21)가 장착되는 부재로서 제2 케이스(22)와, 이 제2 케이스(22)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23)로 이루어진다.
제2 케이스(22)는 상부에 전원부(4)의 내장을 위한 전원부 안착홈(2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2 전극패드(21)가 안착되는 제2 전극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 사각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케이스(22)는 제2 커버부(23)의 조립을 위한 체결홈(222)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케이블(6)의 인입을 위한 연결케이블 인입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커버부(23)는 전원부(4)를 밀폐시키도록 제2 케이스(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체결홈(222)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안착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및 제2 케이스(12,22)는 밀착성과 유연성을 갖도록 실리콘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수단(5)은 제1 및 제2 본체(1,2)를 장착 지점인 인체의 하복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1 및 제2 본체를 효과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부재라면 벨크로 화스너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탈착수단을 제한 없이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수단(5)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1,2)에 배치되는 자성체(51)와, 제1 및 제2 본체(1,2)의 외측에 설치부(의복)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자성체에 대향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5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성체(51)는 제1 및 제2 커버부(13,23) 자체를 철판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박판의 철판을 제1 및 제2 커버부(13,23)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한편, 제1 전극패드(11) 및 제2 전극패드(21)는 전원부(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피부에 전기자극을 직접 인가하는 부재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재(111,211) 및 접촉부재(112,212)로 구성된다.
전극부재(111,211)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연결케이블(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이고, 접촉부재(112,212)는 전극부재(111,2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전도성 고분자수지에 의해 사각판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제어부(3) 및 제1 전극패드(11)를 구비한 제1 본체(1), 전원부(4)와 제2 전극패드(21)를 구비한 제2 본체(2), 연결케이블(6), 제1 및 제2 본체(1,2)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 입력부(31), 표시부(32), 송신부(71), 및 수신부(72)를 구비하되, 제1 및 제2 본체(1,2) 사이에 연결되고 연결케이블(6)이 배치되며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신축밴드(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신축밴드(8)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성 섬유사를 이용하여 대략 띠 형태로 형성한 신축성 밴드를 이용하여 제작한 후 일측 단부를 제1 본체(1)에 고정하고 타측 단부를 제2 본체(2)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이때, 신축밴드(8)의 고정방식은 나사결합, 협지방식, 부착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본체(1)의 제1 케이스(12) 및 제1 커버부(13)와, 제2 본체(2)의 제2 케이스(22) 및 제2 커버부(23)의 마주 보는 내측 모서리 부분에는 신축밴드(8)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밴드 안착홈부(124,22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케이블(6)은 전원공급선과 신호전달선이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신축밴드(8)의 신장 및 수축시에 함께 신축될 수 있도록 파형 구조로 배치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원부(4)는 충전식 리듐이온전지나 단추형 1차전지가 적용될 수 있고, 입력부(31)는 리모콘 방식으로 원격제어하는 송신부(71) 외에 수조작으로 제1 및 제2 전극패드(11,21)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제어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2)는 통상의 소형 디스플레이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통의 발생시 의복(a)의 내측에 해당되는 인체의 하복부에 제1 본체(1)를 위치시키고 의복의 외측의 대응 지점에 영구자석(52)을 위치시키게 되면 자력에 의해 자성체(51)에 부착되면서 제1 본체(1)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제2 본체(2)를 희망하는 지점의 의복(a) 내측에 이격 배치한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영구자석(52)을 부착하게 되면 제2 본체(2)의 설치가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의 설치를 완료한 후 리모컨으로 구성된 송신부(71)의 키버튼 중 온오프스위치를 온 상태로 조작하고 전압조절버튼, 시간설정버튼 등을 조작하여 전압과 시간을 희망으로 조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제1 및 제2 전극패드(11,21)에 미세전류가 공급되므로 피부조직에 저주파 전기자극이 인가되고, 이러한 저주파 전기자극으로 혈행이 촉진되면서 생리통이 완화되는 작용이 수행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는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전원부(4), 제어부(3), 입력부(31), 표시부(32) 등의 구성요소들이 제1 본체(1)와 제2 본체(2)에 분산되어 배치되므로 외장 케이스 부분의 부피와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와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작아 외관불량(의복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옷맵시를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패드(11,21)가 원격제어를 통해 작동되므로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발생장치를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영구자석(52)을 이용하여 탈부착하는 것이므로 접착제 없이도 전극패드를 인체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변형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신축밴드(8)가 구비되면, 신체에 연결케이블(6)이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면상체가 하복부에 밀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연결케이블(6)이 피부에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신축밴드(8)에는 연결케이블(6)이 일체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시 연결케이블(6)의 꼬임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제1 본체 11:제1 전극패드
12:제1 케이스 13:제1 커버부
2:제2 본체 21:제2 전극패드
22:제2 케이스 23:제1 커버부
3:제어부 31:입력부
32:표시부 4:전원부
5:고정수단 51:자성체
52:영구자석 6:연결케이블
71:송신부 72:수신부
8:신축밴드

Claims (5)

  1.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 전극패드를 구비한 제2 본체;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케이블;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원부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분산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2 본체를 장착 위치의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케이블이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 신축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 배치되는 자성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본체의 외측에 설치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대향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케이블은 상기 신축밴드의 신장 및 수축시에 함께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밴드에 파형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드가 구동되도록 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KR1020120069879A 2012-06-28 2012-06-28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KR10137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879A KR101370385B1 (ko) 2012-06-28 2012-06-28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879A KR101370385B1 (ko) 2012-06-28 2012-06-28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49A KR20140001649A (ko) 2014-01-07
KR101370385B1 true KR101370385B1 (ko) 2014-03-06

Family

ID=501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879A KR101370385B1 (ko) 2012-06-28 2012-06-28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3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7A (ko) * 2000-06-16 2001-12-28 현재호 생리통 완화기
KR200351788Y1 (ko) 2004-03-09 2004-05-27 김치경 분리가능한 저주파 치료용 패치
JP2005237941A (ja) 2004-01-30 2005-09-08 Ya Man Ltd トリートメント用電極及び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20120001366U (ko) * 2010-08-19 2012-02-29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복합 물리치료용 허리 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97A (ko) * 2000-06-16 2001-12-28 현재호 생리통 완화기
JP2005237941A (ja) 2004-01-30 2005-09-08 Ya Man Ltd トリートメント用電極及びトリートメント装置
KR200351788Y1 (ko) 2004-03-09 2004-05-27 김치경 분리가능한 저주파 치료용 패치
KR20120001366U (ko) * 2010-08-19 2012-02-29 주식회사 씨알테크놀러지 복합 물리치료용 허리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649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320B1 (ko) 생리통완화를 위한 휴대용 조합자극기
KR101005692B1 (ko) 기능성 복대
KR20130000537U (ko) 안면 마사지기
CN110573065A (zh) 用于电刺激的系统
KR20130001342U (ko) 안면 마사지기
US10092751B2 (en) Portable body-contact therapeutic device
KR101152100B1 (ko) 복부강화벨트
US9649491B2 (en) Electric stimulator
KR200474627Y1 (ko)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
JP3218940U (ja) 治療及び加熱機能を兼ね備える腹痛緩和用貼付具
KR101370385B1 (ko) 생리통 완화용 저주파 발생장치
CN205459310U (zh) 脉冲和加热一体的理疗仪
KR100899818B1 (ko) 혈자리 자극에 의한 생리통 완화기
CN214807911U (zh) 一种眼部按摩装置
CN217339301U (zh) 磁热按摩护眼仪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CN209952058U (zh) 电刺激装置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JP2004305581A (ja) 治療用パッド及び電気治療器
KR102649216B1 (ko) 고탄성체 아암을 이용한 다기능 전기자극기
CN111317918A (zh) 一种无线发热电脉冲护腰带
CN220656207U (zh) 理疗模组和按摩腰带
CN220899093U (zh) 按摩模组和按摩腰带
CN210384167U (zh) 一种居家护理腰带
CN220656208U (zh) 理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