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86B1 -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86B1
KR101369886B1 KR1020130110664A KR20130110664A KR101369886B1 KR 101369886 B1 KR101369886 B1 KR 101369886B1 KR 1020130110664 A KR1020130110664 A KR 1020130110664A KR 20130110664 A KR20130110664 A KR 20130110664A KR 101369886 B1 KR101369886 B1 KR 10136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activity
pattern
generating
dat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루메이트
Priority to US14/780,99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39740A1/en
Priority to PCT/KR2014/001625 priority patent/WO20141578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 표시방법은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제1축과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상기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상기 제2축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hedule}
본 발명은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액티비티(activity, 예컨대, 업무, 항공, 버스, 열차 등)를 나타내는 스케줄을 직관적이고 비교가 용이한 형태로 표현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행되는 위치가 변경되는 액티비티(예컨대, 교통편)의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도시 사이에는 수많은 항공 스케줄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출발하여 로마에 도착하는 구간의 경우 약 40개의 항공사가 항공권을 판매하고 있고, 각 항공사는 경유 횟수, 경유 가능 도시의 개수, 각 도시 간의 운항 횟수에 따라 많게는 500개 이상의 항공 스케줄이 가능하도록 운임 규정을 정하여 항공권을 판매하고 있다. 즉, 서울에서 로마로 가는 항공 스케줄이 일반의 예상보다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의 온라인 항공권 판매 사이트는 대략 20 ~ 50 가지의 대표적인 항공 스케줄 만을 리스트업 하고 있을 뿐인데,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텍스트 기반으로 작성되는 표 형태의 인터페이스로는 다수의 항공 스케줄을 비교하는 데 무리가 따르는데 기인한다.
도 1은 항공편 정보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웹 인터페이스는 여행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항공 스케줄 별로, 가장 저렴하게 예약 가능한 스케줄이 리스트의 상단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우측에는 항공권 가격을, 좌측에는 비행 스케줄과 그에 따른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표 형태의 인터페이스는 각 비행 스케줄에 대한 텍스트를 일일이 읽고 이해한 이후에 비교하여야 하므로, 타 항공 스케줄과의 비교 분석이 번거롭고,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또한 사용자가 스케줄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많은 항공 스케줄을 사용자가 조회하고 판단하는데 유용한 스케줄 표현방식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공개특허 US 6,307,572는 비행 스케줄을 바(bar) 그래프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안한 바 있다. 미국 공개특허 US 6,307,572를 통해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미국 공개특허 US 6,307,572에 예시된 도 24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도표 상에서 각 항공 스케줄별로 각 항공편의 비행시간과 각 항공편 사이의 공항 체류시간을 바(Bar) 형태의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의 도표에 여러 항공 스케줄의 바(Bar) 그래프를 각 항공 스케줄 별로 세로 방향으로 나열함으로써 사용자는 각 항공 스케줄의 각 항공편의 비행시간과 각 항공편 사이의 공항 체류시간을 일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도표의 상단 또는 하단에 출발지의 시간과 목적지의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항공 스케줄의 출발지 출발시간, 목적지 도착시간, 경유지의 도착시간, 출발시간을 출발지 시간과 목적지 시간으로 언제인가를 알 수 있도록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표시된 항공 스케줄의 바 그래프는 항공편의 소요시간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용이하나, 항공편의 위치에 따른 현지시간을 파악하는데에는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적지 및 출발지의 현지시간이 그래프의 상단 및 하단에 표시되긴 하지만, 두 개의 현지시간(즉, 목적지 현지시간 및 출발지 현지시간)만 표현이 가능하므로 항공편이 여러 경유지를 거치는 경우에는 경유지의 현지시간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해서,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는 비행 스케줄이 증가할 경우, 도표의 상단 또는 하단의 출발지 시간 또는 목적지 시간 정보와 시각적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출발시간이나 도착시간 정보의 확인이 힘들어지고 항공 스케줄간의 비교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항공 스케줄을 비교할 때 중요한 요소들인 야간 비행 여부 및 비행 중 일자의 변화 정보가, 시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여전히 텍스트 형태로 표시되는 도표의 상단 또는 하단의 출발지 시간 또는 목적지 시간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유추 해석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정보 전달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스케줄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항공 스케줄 등과 같이 시차가 존재하는 지역 간을 이동하는 액티비티를 표시하기 위한 스케줄에 적용하여 현지시간, 날짜 변경 등의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제1축과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상기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상기 제2축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 및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를 포함하는 기하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으로 특정 시간을 지나면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제2축 값 각각에 상응하는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제2축 값 각각에 상응하는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제3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 및 상기 제2좌표와 상기 제4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을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이 상기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제1축 값을 갖는 복수의 좌표들을 포함하는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 수학식 1 ]
Figure 112013084178837-pat00001
여기서, A는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의 제1축 값, B는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의 제1축 값과 상기 제1좌표의 제1축 값과의 거리, C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제2좌표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시차, 및 D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날짜변경 패턴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시차를 나타냄.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 시에 상기 날짜 변경선을 지나는 방향과 지구 자전방향이 상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이 서로 다르게 시각화된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시간에 상응하는 제1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으로 미리 결정된 특정시간을 표현하는 특정시간 패턴 또는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좌표패턴으로 표시하는 스케줄 표시 시스템은 제1축과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계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상기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상기 제2축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좌표패턴으로 표시하는 스케줄 표시 시스템은 시간에 상응하는 제1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계 생성모듈 및 상기 좌표계 상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날짜 변경선을 상기 날짜 변경선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갖는 복수의 좌표들로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액티비티의 스케줄을 소정의 좌표계에 표현하면서,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을 나타내는 축과 함께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나타내는 축을 포함하는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의 스케줄을 표현함으로써,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 따른 시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짜변경선을 지나가는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경우에 날짜의 계산이나,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 특정 시간(예컨대, 자정)을 지내게 되는지 여부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스케줄을 계획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항공편 정보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미국 공개특허 US 6,307,572를 통해 제안된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시시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에서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이 표현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표계에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지나게 되는 특정 시간을 표현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표계에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날짜변경선을 지나는 경우 날짜변경 패턴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날짜변경 패턴을 표현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표패턴을 항공 스케줄에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시시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시하기 위해 구비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좌표계 생성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정보수집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는 것처럼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복수의 물리적 장치(예컨대, 서버)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소정의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갖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클라이언트(예컨대, 사용자 단말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및 서버에 각각 일부의 구성들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컴퓨터, 모바일 폰, 태블릿 PC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능력을 가질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을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좌표계 생성모듈(120) 및/또는 정보수집 모듈(13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좌표계 생성모듈(12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시하기 위한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은 소정의 액티비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는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시간이 시각적으로 표현되기에 충분한 모든 액션 또는 활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액티비티의 수행주체는 사람뿐만 아니라 어떠한 주체(예컨대, 항공, 기차 등의 교통수단 등)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상기 액티비티는 교통수단의 이동 자체일 수도 있고,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예컨대, 여행, 학업 등의 특정 활동)일 수도 있고, 이들의 결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계는 적어도 두 개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을 표현하기 위한 좌표계는 적어도 두 개의 축을 포함하기만 하면 되며, 2차원(평면) 좌표계 뿐만 아니라, 삼차원 이상의 좌표계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표계는 제1축 및 제2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축은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는 축(axis)일 수 있다.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는 축이라 함은,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와 무관하게 제1축 값의 차이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소요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값(value)을 나타내는 좌표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축은 어떤 고정된 위치에서의 시간을 나타내는 좌표축일 수도 있고, 어떤 기준시점(예컨대, 좌표원점)에서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좌표축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스케줄 UI는 1차원 좌표계(바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는데, 어떤 한 바의 시작 좌표와 끝 좌표의 차이 값은 액티비티(항공편)의 총 소요시간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서의 제1축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도 2에서는 바 그래프의 상단 및 하단에 서로 다른 위치 각각에서의 시간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소요시간을 나타내는 좌표축 즉, 제1축이 두 개인 경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1축은 도 8 또는 도 9 등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좌표원점을 0으로 하며, 상기 원점에서의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축일 수도 있으며 제1축 값의 차이 값이 액티비티가 수행된 소요시간(경과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좌표축이기만 하면,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2축은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각각의 시점에서의 위치 즉,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나타내는 좌표축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은 특정 액티비티의 현지의 시간을 고려한 계획을 작성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액티비티가 서로 시차가 존재하는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비티인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상기 제2축의 좌표값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현지시간에 맞는 계획의 수립에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예컨대 항공편의 운행이 어느 한 액티비티이고, 상기 항공편은 제1위치에서 출발하여 제2위치를 경유하여, 도착지인 제3위치에 도착하는 항공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기술인 도 2에 의하면 비록 출발지인 제1위치에서의 현지시간과 제3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을지언정, 제2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알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제2위치와 제1위치(또는 제3위치)간의 시차를 조사하여 계산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제2축은 항상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나타내므로, 제2위치(예컨대, 경유지)의 현지시간도 직관적으로(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위치에서 일정 시간 이상 체류하는 경우라면, 제2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고려한 계획수립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위치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밤인 경우 밤에 맞는 계획을, 낮인 경우 낮에 맞는 계획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표시되는 스케줄을 통해 직관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2축의 좌표 값이 0시에서 24시 사이의 값을 갖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0시에서 48시, 또는 0시에서 12시 등과 같이 다양한 값을 도메인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좌표계 생성모듈(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1축 및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가 생성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스케줄을 소정의 좌표패턴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가 상기 좌표계에 표시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상기 액티비티를 표시하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또는 시점에 대응되는 좌표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시작 이벤트 또는 시작 시점)을 나타내는 좌표 및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종료 이벤트 또는 종료 시점)을 나타내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의 특정 이벤트 또는 특정 시점(예컨대, 액티비티의 중간시점 등)을 나타내는 좌표가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적어도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 및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를 포함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를 포함하는 좌표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들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에서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이 표현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컨대, 인천(Incheon, Korea) 출발 싱가폴(Singapole) 도착 항공편의 스케줄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패턴으로 표시하는 일 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은 현지시간(+9, 2013-03-19 09:00)이고, 종료시점은 현지시간(+8, 2013-03-19 14:25)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좌표원점(기준시점)을 출발위치의 현지시간 0시로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1좌표(P1)의 제1축 값은 기준시점(+9, 2013-03-19 00:00)으로부터 상기 시작시점(+9, 2013-03-19 09:00)까지의 소요시간으로 9:00이고, 제2축 좌표는 시작시점의 현재시간이므로 역시 9:00이다. 또한, 제2좌표(P2)의 제1축 좌표는 기준시점(+9, 2013-03-19 00:00)으로부터 종료시점(+8, 2013-03-19 14:25)까지의 소요시간이므로 15:25이고, 제2축 좌표는 종료시점의 싱가폴 현지시간인 14:25이다.
이러한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의 일 예를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생성되는 좌표패턴은 제1좌표(P1)와 제2좌표(P2)만을 포함하는 좌표패턴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좌표(P1)와 상기 제2좌표(P2)만으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패턴이 표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제1좌표(P1) 및 제2좌표(P2)의 모양은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좌표(P1)는 원으로 표시되고, 제2좌표(P2)는 사각형 등으로 표시되는 방식으로 소정의 액티비티의 시작 및 종료를 나타내는 좌표가 구분되게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좌표패턴을 생성(표시)하는 다른 일 예들은 도 4b 내지 도 4c를 통해 도시된다.
도 4b는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상기 제1좌표(P1) 및 제2좌표(P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연결하는 소정의 선분으로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c는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연결하는 선상에 일정 간격으로 점을 표시한 점선으로 표시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4d는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하도형으로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기하도형은 도 4d에서는 직사각형인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타원 등 다양한 기하도형이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1좌표(P1)와 상기 제2좌표(P2)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현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도 4e는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포함하면,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제1좌표(P1)와 상기 제2좌표(P2)를 화살표로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패턴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계에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예컨대,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를 포함하는 다양한 좌표패턴(예컨대, 직선, 선분, 곡선, 화살표, 기하도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좌표(예컨대, 상기 제1좌표(P1) 및 상기 제2좌표(P2))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표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예컨대, 시작위치, 시작시점, 종료위치, 또는 종료시점, 경유위치, 경유시점, 각각의 위치에서의 타임 존 등)를 사용자 또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정보수집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 모듈(130)은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기 좌표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 모듈(130)은 소정의 외부 시스템(예컨대, 항공사 시스템, 철도 시스템, 위치별 타임존(시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 등)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사용자(또는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등)로부터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 중 일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좌표가 무엇인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좌표를 제1좌표(P1) 및 제2좌표(P2)로 하는 경우, 상기 제1좌표(P1) 및 제2좌표(P2)를 상기 좌표계에서 표시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시작위치, 시작위치에서의 현지시간, 타임존, 종료위치, 종료위치에서의 현지시간, 타임존 등)가 상기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좌표패턴에 특정 시간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 또는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정보수집 모듈(130)은 상기 특정시간 패턴 또는 날짜변경 패턴을 상기 좌표계 상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컨대, 특정시간, 날짜변경선의 존재여부(액티비티의 이동경로), 날짜변경선의 대략적인 위치 등)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소정의 액티비티가 수행되면서,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이 특정시간을 지나가는 경우, 상기 특정시간을 상기 좌표패턴에 포함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이처럼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에서의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좌표패턴에 포함시킴으로써(즉, 사용자가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스케줄 즉, 좌표패턴을 보면서 상기 특정 시간을 기준으로 원하는 계획을 수립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특정시간이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현지시간으로 자정인 경우를 나타내지만, 설정에 따라 다른 시간이 상기 특정시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특정시간 패턴(예컨대, 자정을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액티비티의 전체 스케줄에서 상기 특정시간이 몇 번이나 지나가는지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액티비티가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수행되는 경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날짜 계산이 용이할 수 있다. 물론, 날짜 계산에는 후술할 바와 같은 날짜변경 패턴을 더 참고하여 직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시간 패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표계에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지나게 되는 특정 시간을 표현하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상기 특정 시간이 자정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 즉,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P3) 및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P4)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좌표(P3) 및 상기 제2좌표(P4)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으로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상기 좌표계상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나타내는 패턴(즉, 특정시간 패턴)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특정시간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은 상기 제1축의 값이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좌표(예컨대, 제5좌표(P7), 또는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시간 패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하나의 좌표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좌표(P3), 상기 제2좌표(P4) 및 상기 제5좌표(P7)을 포함하는 좌표패턴이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좌표(P3) 및 상기 제2좌표(P4)를 연결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이 상기 좌표패턴에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5좌표(P7)는 상기 제1좌표(P3) 및 상기 제2좌표(P4)를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5좌표(P7)의 제1축 값은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에 대응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5좌표(P7)의 제2축 값은 의미가 없으며, 상기 제5좌표(P7)가 좌표패턴(예컨대, 상기 제1좌표(P3) 및 상기 제2좌표(P4)를 연결하는 선분)상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특정 시간(예컨대, 자정)이 지나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특정시간 패턴을 나타내는 제5좌표(P7)는 상기 제1좌표(P3) 및 상기 제2좌표(P4)와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특정시간이 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특정시간 패턴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좌표(예컨대,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특정시간 패턴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좌표(예컨대,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은 제1좌표(P3) 및 제2좌표(P4), 그리고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는 제1좌표(P3) 및/또는 제2좌표(P4)와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3좌표(P5) 및 상기 제4좌표(P6)는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나타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제2축 값(24시 또는 0시) 각각에 상응하는 두 개의 좌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액티비티를 표시하는 좌표패턴은 4개의 좌표(제1좌표(P3), 제2좌표(P4), 제3좌표(P5), 제4좌표(P6))들만 포함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4개의 좌표를 포함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시각적으로 특정시간 패턴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좌표패턴으로 상기 액티비티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b 또는 도 5c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좌표(P3)를 시작으로 하는 액티비티에 대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우상향으로 선분을 생성해나갈 수 있다. 그러다가 상기 제2축이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24시)에 해당하는 좌표(제3좌표(P5))를 만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특정시간에 상응하는 다른 좌표(제4좌표(P6))로부터 다시 우상향으로 선분을 생성해나가면서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에 해당하는 제2좌표(P4)와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성되는 좌표패턴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물론, 선분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선(곡선, 화살표 등) 또는 기하도형으로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미리 상기 제1좌표(P3), 상기 제2좌표(P4), 상기 제3좌표(P5), 및 상기 제4좌표(P6)를 미리 특정한 뒤, 상기 제1좌표(P3)와 상기 제3좌표(P5)를 포함하는 좌표패턴 및 상기 제2좌표(P4)와 상기 제4좌표(P6)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임의의 시점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1축 및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에 해당하는 좌표를 표시할 경우, 실제로는 제2축 값이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갖는 좌표는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이 (+8, 2013-3-19 23:30)이고, 종료시점이 (+9, 2013-3-20 00:50)이라고 가정하면, 액티비티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사이에 분명히 자정을 지난다고 볼 수 있지만, 실재로는 소요시간이 0:20밖에 안되기 때문에 액티비티의 현지시간은 23:30~23:50 과 00:30 ~ 00:50 의 범위밖에는 가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액티비티의 시작에 해당하는 위치 및 종료에 해당하는 위치 중 어떠한 위치에서도 실제로 현지시간으로 상기 특정시간을 지나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임의의 시점마다 상기 좌표계에 좌표를 표시하더라도, 실제로는 제2축 값이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 즉, 0시 또는 24시)에 해당하는 좌표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시차라는 것이 연속적으로(Continuous)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불연속적으로(Discontinuous) 표현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경우 두 위치 모두의 현지시간 상으로는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을 지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실제로는 자정을 지났다고 표시하는 것이 더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어떠한 한 위치에 있었다면 분명히 상기 특정 시간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시차의 불연속성으로 인해 상기 특정시간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을 좌표패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면 오히려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또는 오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특정시간 패턴을 소정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자정) 패턴에 포함될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는 동일한 제1축 값을 가지며, 제1좌표(P3)와 제3좌표(P5)를 연결하는 제1선 및 제2좌표(P4)와 제4좌표(P6)를 연결하는 제2선이 서로 평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 각각의 제2축 값은 서로 다른 값을 갖지만 모두 상기 특정시간(예컨대, 0시, 24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간에 시차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연히 제1선 및 제2선이 평행하도록 설정되므로, 시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액티비티의 이동 속도가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간에 등속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가정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만듦으로써 합리적으로 상기 특정시간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시간 패턴을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특정시간 패턴에 상응하는 좌표들(제3좌표(P5) 및 제4좌표(P6))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을 상기 좌표패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시간 패턴이 상기 제3좌표(P5) 및 상기 제4좌표(P6)를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좌표(예컨대, 제1좌표(P3) 및 제2좌표(P4))뿐만 아니라, 특정시간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예컨대, 제5좌표(P7), 또는 제3좌표(P5) 및 제4좌표(P6))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액티비티가 수행되면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 의미있는 특정시간이 경과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액티비티가 시차가 없는 특정 지역 내에서만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특정시간 패턴이 몇 개인지만을 파악함으로써 전체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날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액티비티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x개(x는 자연수)의 특정시간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액티비티는 시작일로부터 x일 후에 종료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액티비티가 종료되는 위치에서의 액티비티의 종료일의 계산 역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액티비티가 위치를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경우(예컨대, 교통편의 스케줄 등), 상기 액티비티는 날짜변경선을 지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날짜변경선을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포함시키는 것이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의 소정의 시점 또는 종료시점에서의 현지날짜를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좌표계에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경유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뉴욕에서 현지시간(타임존 -4, 03/19 12:15)에 출발하여 도쿄에 현지시간(타임존 +9, 03/20 15:25)에 도착하는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을 나타내며, 이때의 소요시간은 14시간 10분일 수 있다.
또한, 도 6b는 도쿄에서 현지시간(03/19 11:00)에 출발하여 뉴욕에 현지시간(03/19 10:30)에 도착하는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을 도시하며, 이때의 소요시간은 12시간 30분일 수 있다.
이러한 좌표패턴을 나타내는 도 6a 또는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은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짜변경 패턴을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날짜변경 패턴(S1)은 상기 액티비티가 위치를 이동하면서 수행되는 액티비티(예컨대, 교통편의 운행)인 경우, 상기 액티비티의 이동경로가 날짜변경선을 지나가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6a 또는 도 6b에서는 날짜변경 패턴을 제1축에 수직인 선분(S1)으로 표시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날짜변경 패턴 역시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다양한 패턴(예컨대, 어느 하나의 좌표, 곡선, 또는 기하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음은 도 5에서 설명한 특정시간 패턴의 일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파란선은 양 끝점이 전술한 바와 같은 액티비티의 제1좌표 및 제2좌표이고, 상기 제1좌표 및 제2좌표를 도 4 또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선분으로 연결한 좌표패턴의 일예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날짜변경 패턴은 날짜변경선을 기준으로 액티비티의 이동경로(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날짜변경 패턴은 예컨대, 액티비티의 이동경로가 지구자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날짜변경선을 지나갈때에 표시되는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제2날짜변경 패턴은 액티비티의 이동경로가 지구자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날짜변경 선을 지나갈때에 표시되는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날짜변경 패턴(예컨대, 도 6a의 검은색으로 표시된 선분(S1))과 제2날짜변경 패턴(예컨대, 도 6a의 붉은색으로 표시된 선분(S1))이 가시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좌표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턴의 종류(예컨대, 선분, 곡선, 기하도형)를 달리 표시하거나, 패턴이 동일한 패턴(예컨대, 선분)인 경우, 상기 패턴의 속성(예컨대, 선분의 굵기, 색상 등)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날짜변경 패턴이 좌표계에 표시된 경우 상기 제1날짜변경 패턴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축 방향으로 제1방향(예컨대, 좌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예컨대, 우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에 비해 1일 전의 날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6a에서 제1축을 기준으로 제1날짜변경 패턴(S1)의 우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재1날짜변경 패턴(S1)의 좌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에 1일을 더해주면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2날짜변경 패턴(예컨대, 도 6b의 S1)이 좌표계에 표시된 경우, 상기 제2날짜변경 패턴이 표시된 위치를 기준으로, 제1축 방향으로 제1방향(예컨대, 좌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예컨대, 우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에 비해 1일 후의 날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6b에서 제1축을 기준으로 제2날짜변경 패턴(S1)의 우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재2날짜변경 패턴(S1)의 좌측에 위치한 좌표의 날짜에 1일을 빼주면 된다.
이처럼 날짜변경 패턴이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시차가 존재하거나 액티비티가 날짜 변경선을 지나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임의의 시점(좌표)에서의 현지날짜를 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특정시간 패턴(예컨대, 자정을 나타내는 패턴)이 상기 좌표패턴에 포함되어 표시되는 경우에는, 더욱 용이하게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날짜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의 경우 제1날짜변경 패턴(+1일)이 존재하므로 액티비티의 종료시점은 시작시점보다 하루 뒤의 일자인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의 경우 제2날짜변경 패턴(-1일)이 존재하고 자정선(+1일)이 존재하므로 액티비티의 종료시점은 시작시점과 같은 현지시간으로 동일한 일자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날짜변경 패턴을 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임의의 시점에서의 현지 날짜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날짜변경 패턴은 이론적으로 정확하게 날짜변경선을 경유하는 시점에 해당하는 제1축 값(즉,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으로부터 날짜변경선을 경유하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에 해당하는 제1축 값)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날짜변경선을 경유하는 정확한 시점을 알고, 이를 본 발명의 좌표계 상의 정확한 위치(즉, 제1축 값)에 표시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도상의 날짜변경선이 직선으로 표시되지 않고 굴곡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액티비티의 종류(예컨대, 항공편 또는 열차편의 이동)나 기타 다양한 외부 파라미터(예컨대, 액티비티의 이동속도, 기상상황, 기류 등)에 따라 상기 액티비티가 날짜변경선을 언제 지날지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어려움이 존재함에도 합리적으로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할 위치(제1축 값)를 결정하는 기술적 사상을 추가로 제공한다. 이러한 일 예는 도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날짜변경 패턴을 표현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타임존이 +9인 서울을 출발하여 타임존이 -8인 LA를 도착하는 항공편의 액티비티에서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할 위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날짜변경선(10)은 타임존이 ± 12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SEL 및 LAX는 항공편에서 서울 및 LA를 각각 나타내는 기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일 예에서,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에 상응하는 위치(예컨대, 서울)와 날짜변경선 간의 시차는 3시간일 수 있고,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에 상응하는 위치(예컨대, LA)와 날짜변경선 간의 시차는 4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액티비티의 총 소요시간이 예컨대, 14시간이라고 하면, 상기 날짜변경 패턴은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제1좌표의 제1축 값과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시점을 나타내는 제2좌표의 제1축 값을 연결하는 제1축 상의 선분을 3:4로 내분하는 위치가 상기 날짜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이 표시될 위치(즉, 제1축 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날짜변경 패턴이 표시될 위치(제1축 값)는 액티비티의 시작과 종료에 상응하는 제1축 값들을 연결하는 선분을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의 위치(예컨대, 서울)와 날짜변경선간의 시차(예컨대, 3시간) 및 날짜변경선과 종료시점의 위치(예컨대, LA)에서의 시차(예컨대, 4시간)에 비례하여 내분하는 위치(제1축 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의 제1축 값이 0시이고, 소요시간이 14시간이라면,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시점의 제1축 값은 14시가 된다. 이러한 경우, 0과 14를 3:4의 비율로 내분하는 위치는 14×3/7 인 6이 되므로, 상기 액티비티의 날짜변경 패턴은 제1축 값이 6인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날짜변경선의 경유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액티비티의 시작위치와 액티비티의 종료위치를 등속도로 이동하는 경우를 산정하고, 이러한 경우에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 각각과 날짜변경선 간의 시차의 비율에 기초하여 날짜변경선을 경유하는 시점(즉, 시작위치로부터 날짜변경선을 경우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가상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할 위치를 산정하는 방식을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4178837-pat00002
여기서, A, B, C, D는 각각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의 제1축 값, 액티비티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간의 소요시간, 액티비티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간의 시차, 액티비티의 시작시점과 날짜변경선간의 시차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수식을 상술한 바와 같은 일 예에 적용하면, A는 0이 되고, B는 14, C는 17, D는 3이 되므로, 수학식 1에 적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14×3/7 이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제1축 값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하지 않더라도, 단지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에 날짜변경 패턴을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가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표계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8은 항공편을 나타내는 액티비티들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의 제1축 값을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좌표패턴들 중 도 8a 및 도 8d, 도 8b 및 도 8e, 도 8c 및 도 8f는 각각 동일한 액티비티를 서로 다른 제1좌표를 이용하여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액티비티의 시작시점을 나타내는 제1좌표의 제1축 값이, 액티비티의 시작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예컨대, 도 8a의 제1축 값은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위치의 현지시간인 15시를 나타내는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a에 도시된 액티비티는 제1축 값이 액티비티의 절대적인 소요시간을 나타내는 도 8d와 같은 좌표패턴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b는 제1축의 값이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도 8e와 같은 좌표패턴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8c에 도시된 좌표패턴은 도 8f에 도시된 좌표패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액티비티는 각각 세부 액티비티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세부 액티비티 각각에 상응하는 좌표패턴은 각각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좌표패턴 중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된 선분(즉, 좌표패턴)은 서로 다른 액티비티(예컨대, 항공편의 경유지에서의 체류)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일 수 있고, 서로 다른 항공편을 나타내는 좌표패턴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어느 하나의 액티비티에 포함되는 세부 액티비티들(예컨대, 항공편의 이동, 체류, 환승 항공편의 이동) 각각을 전술한 바와 같은 좌표패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과 상기 액티비티에 연속하여 수행되는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이 연속적으로 상기 좌표계에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각의 액티비티별 좌표패턴은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패턴(예컨대, 선, 곡선, 화살표, 기하도형 등)으로 표시되거나, 동일한 패턴(예컨대, 선분)으로 표시되더라도 서로 다른 색상, 굵기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표패턴을 항공 스케줄에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타임존 +9 인 인천에서 현지시간 (2013년 1월 25일 16:20)에 출발하여, 타임존이 +8인 상하이에 현지시간(2013년 1월 25일 17:20)에 도착하고, 상하이에서 18시간 30분 동안 대기한 후, 상하이 현지시간(2013년 1월 26일 11:50)에 타임존 -5인 뉴욕으로 현지시간(2013년 1월 26일 13:15)에 도착하는 액티비티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좌표패턴으로 표시한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좌표패턴(PT 1)은 인천에서 상하이로 이동하는 액티비티를 나타내고, 좌표패턴(PT 2)은 상하이에서 대기하는 액티비티를 나타내며, 좌표패턴(PT 3)은 상하이에서 뉴욕으로 이동하는 액티비티를 각각 나타낸다.
이처럼 일련의 액티비티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도시될 수 있으며, 도 9를 스케줄 표시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는 인천 출발에 해당하는 좌표의 제1축 값과 뉴욕도착에 해당하는 좌표의 제1축 값 즉, 도 9에 도시된 전체 좌표패턴의 최좌측 좌표와 최우측 좌표의 제1축 값을 비교하여 전체 소요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좌표패턴(PT2)에 특정시간(자정)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상하이에서 특정시간(자정)을 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좌표패턴(PT 3)에는 특정시간 패턴(자정패턴) 및 제2날짜변경 패턴이 존재하므로, 좌표패턴(PT 3)에 상응하는 액티비티 즉, 상하이에서 뉴욕으로 이동하는 액티비티의 출발시의 현지시간과 도착시의 현지시간은 동일함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좌표패턴에서는 특정시간 패턴(자정 패턴)이 두 번 표시되고, 제2날짜변경 패턴이 한 번 표시되므로, 전체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최초 액티비티의 시작(인천에서 출발)에 해당하는 현지시간의 날짜(2013년 1월 25일)에서 마지막 액티비티의 종료(뉴욕에 도착)에 해당하는 현지시간의 날짜(2013년 1월 26일)은 하루가 경과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액티비티가 수행되면서 임의의 시점에서의 현지시간은 상기 임의의 시점에 해당하는 좌표의 제2축 값을 통해 즉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스케줄을 상술한 바와 같은 좌표패턴으로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인 스케줄 파악이 가능하며, 특히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가 이동되어 시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액티비티들이 연속으로 수행되며, 연속으로 수행되는 액티비티들의 수행위치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을 즉각적으로 판단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각각의 위치에서의 날짜를 계산하는 것 역시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중 특정시간 패턴 또는 날짜변경 패턴을 특정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좌표패턴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좌표계(즉, 제1축은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제2축은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좌표계)에만 국한되어 적용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차원 좌표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좌표계에서,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동안 현지시간으로 특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특정시간이 경과했음을 나타내는 특정시간 패턴을 소정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티비티가 수행되면서 액티비티의 이동경로가 날짜변경선을 경우함을 나타내는 날짜변경 패턴을 소정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날짜계산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줄 표시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제1축과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상기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상기 제2축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는,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 및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상기 제1좌표 및 상기 제2좌표를 포함하는 기하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에서의 현지시간으로 특정 시간을 지나면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제2축 값 각각에 상응하는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두 개의 제2축 값 각각에 상응하는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좌표 및 제4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을 포함하는 상기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간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특정시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제3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 및
    상기 제2좌표와 상기 제4좌표를 포함하는 선 또는 기하도형;
    을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제3좌표를 포함하는 제1선 및 상기 제2좌표와 상기 제4좌표를 포함하는 제2선을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선 및 상기 제2선은 평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이 상기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제1축 값을 갖는 복수의 좌표들을 포함하는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변경 패턴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 수학식 1 ]
    Figure 112013118571539-pat00003

    여기서, A는 상기 액티비티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1좌표의 제1축 값, B는 상기 액티비티의 종료를 나타내는 제2좌표의 제1축 값과 상기 제1좌표의 제1축 값과의 거리, C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제2좌표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시차, 및 D는 상기 제1좌표와 상기 날짜변경 패턴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의 시차를 나타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상기 날짜 변경선을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 시에 상기 날짜 변경선을 지나는 방향과 지구 자전방향이 상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케줄 표시시스템이 서로 다르게 시각화된 상기 날짜변경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13.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시간에 상응하는 제1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 표시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좌표패턴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날짜 변경선을 상기 날짜 변경선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갖는 복수의 좌표들로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5.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좌표패턴으로 표시하는 스케줄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제1축과 제2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계 생성모듈; 및
    생성된 상기 좌표계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포함하는 좌표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은 상기 액티비티의 소요시간에 상응하며,
    상기 제2축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고 있는 위치의 현지시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시스템.
  16. 소정의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스케줄을 좌표패턴으로 표시하는 스케줄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시간에 상응하는 제1축을 포함하는 좌표계를 생성하기 위한 좌표계 생성모듈; 및
    상기 좌표계 상에 상기 액티비티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중 상기 액티비티가 수행되는 위치의 이동이 있고 상기 위치의 이동 경로에 날짜 변경선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날짜 변경선을 상기 날짜 변경선에 상응하는 제1축 값을 갖는 복수의 좌표들로 표현하는 날짜변경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 표시시스템.

KR1020130110664A 2013-03-28 2013-09-13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80,992 US20160139740A1 (en) 2013-03-28 2014-02-27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hedule
PCT/KR2014/001625 WO2014157843A1 (ko) 2013-03-28 2014-02-27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3166 2013-03-28
KR1020130033166 2013-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86B1 true KR101369886B1 (ko) 2014-03-04

Family

ID=5064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664A KR101369886B1 (ko) 2013-03-28 2013-09-13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139740A1 (ko)
KR (1) KR101369886B1 (ko)
WO (1) WO20141578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80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43914A1 (en) * 2018-02-08 2019-08-08 Adam Lugowski Parallel query processing in a distributed analytics archite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572B1 (en) * 1998-07-02 2001-10-23 Ita Soft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vel planning system
JP2005327217A (ja) * 2004-05-17 2005-11-24 Kanto Auto Works Ltd 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686B2 (ja) * 1998-03-23 2003-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旅行時間推定方法及び装置
US6801226B1 (en) * 1999-11-01 2004-10-05 Ita Soft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vel planning system
US8400467B1 (en) * 2008-05-01 2013-03-19 Pma Technologies, Llc Graphical planning and scheduling system
JP2010003034A (ja) * 2008-06-19 2010-01-07 Boatstaff:Kk オリジナル旅行プラン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572B1 (en) * 1998-07-02 2001-10-23 Ita Soft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vel planning system
JP2005327217A (ja) * 2004-05-17 2005-11-24 Kanto Auto Works Ltd 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自動スケジューリング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80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13490B1 (ko) * 2016-08-30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843A1 (ko) 2014-10-02
US20160139740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1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hipped objects
US10971021B2 (en) Comprehensive flight planning tool for a mobile device
US88495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er/passenger wayfinding using boarding pass barcode scanning capabilities on low-cost display devices
JP5986641B2 (ja) 交通分析システム
CN106339786B (zh) 交通工具操作的回顾性分析
US8713045B2 (en) Location-type tagging using collected traveler data
Poco et al. Exploring Traffic Dynamics in Urban Environments Using Vector‐Valued Functions
KR101886966B1 (ko)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10453095B2 (en)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Kassim et al.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Using Unity 3D Image Marker Detection for Smart Bus Transportation.
KR101369886B1 (ko) 스케줄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Showail Solving Hajj and Umrah Challeng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Survey
JP202403640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9774716A (zh) 车辆控制方法和装置
KR20140108608A (ko) 여행 계획 설계 장치 및 그 방법
JP6896359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11145014B2 (en) Multi-destination travel planning methods
Mundada et al. Smart Bus Real-Time Tracking System Using GSM and GPS Module
JP2015014679A (ja) 地図作成システムおよび地図作成方法
Rodionova Aircraft trajectory optimization in North Atlantic oceanic airspace
KR20230099492A (ko) 할 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Yamaguchi et al. A web application for passengers to watch coming buses in rural areas
US20190378057A1 (en) Social network-based travel systems and methods
KR101654929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여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epin et al. Street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