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73B1 -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73B1
KR101369873B1 KR1020130039134A KR20130039134A KR101369873B1 KR 101369873 B1 KR101369873 B1 KR 101369873B1 KR 1020130039134 A KR1020130039134 A KR 1020130039134A KR 20130039134 A KR20130039134 A KR 20130039134A KR 101369873 B1 KR101369873 B1 KR 10136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pipe
outer support
main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춘기
임채균
Original Assignee
임채균
반도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균, 반도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채균
Priority to KR102013003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닝재(11)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 본관(10)에 구멍(10a)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10a)에 분기관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주면이 상하수도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관통구멍(10a)에 삽입되어 융착고정되고 상단에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된 외측 지지관(20); 상하수도 본 관(1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아래쪽 선단에는 상기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본관(10)의 내벽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진 베이스판(32)이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 본체부(30); 및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고정너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기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분기관 본체부(30)를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구멍(10a)에 끼우고 상단 나사부(31)에 본 관(10)의 외측에서 고정너트(40)를 결합하여 조여주기만 하면 분기관 본체부(30)의 베이스판(32)이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면서 누설없이 본 관에 고정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하는 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Branch pipe connecting device to a pipeline repaired with a lining tube}
본 발명은 내벽을 라이닝재로 보수한 상하수도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굴착식 라이닝공법으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이 노후된 경우, 그 상하수도관을 굴착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노후된 상하수도관의 내벽을 라이닝공법으로 보수하는 소위 비굴착식 관로 보수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라이닝공법에 의해 내벽에 라이닝재가 접합된 상하수도 관로에 분기관을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라이닝재로 보수된 본 상하수도 관로를 천공하고 그 천공된 자리에 분기관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분기관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하여 일예로 아래 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KR 10-1148108 B1 상기 특허문헌 1의 분기관 연결구조는 본관의 내벽을 따라 경화 부착된 라이닝재에서 분기관의 개구를 막고 있는 부분을 천공한 가장자리를 받치는 폐단면의 중공받침부(130)와; 상기 폐단면의 중공받침부(130)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관의 내벽에 삽입되는 개단면의 중공삽입부와; 상기 개단면의 중공삽입부를 확장시키는 확장부로 이루어져 있고, 이 확장부는 쐐기지지면 사이에 쐐기를 끼워 중공삽입부를 확장시킴으로써 분기관의 내벽에 밀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분기관 연결구조는 쐐기를 쐐기지지면 사이로 끼워넣는 작업이 까다로워 쐐기의 삽입량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중공삽입부의 확장량이 일정치 않아 분기관 내벽에 고정되는 힘이 불일정하므로, 지면에서 전달되는 진동이나 기타 환경(지면의 반복적인 동결 또는 해빙에 따른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외력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기관 내벽에서 중공삽입부가 조금씩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분기관 연결장치가 가진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분기관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상하수도관 본관과의 연결부에서 누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면서 항상 일정한 결합력으로 분기관을 본 상하수도관에 연결할 수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분기관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이닝재(11)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 본관(10)에 구멍(10a)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10a)에 분기관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분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이 상하수도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관통구멍(10a)에 삽입되어 융착고정되고 상단에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된 외측 지지관(20)과;
상하수도 본 관(1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아래쪽 선단에는 상기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본관(10)의 내벽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진 베이스판(32)이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 본체부(30)와;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고정너트(40)를 포함하는 구성에 특징이 있다.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가 상기 고정너트(4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상단은 고정너트(40)의 상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고정너트(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상단에는 동축으로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에 고정보울트(60)로써 플랜지결합되는 연결 플랜지부(51)를 일체로 구비한 상부 연장관(50)을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면과 고정너트(40)의 저면 사이와, 상기 연결 플랜지부(51)의 저면과 상기 고정너트(40)의 상면 사이에는 각각 누설방지용 패킹(61,62)이 개재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분기관 연결장치는 분기관 본체부를 본 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본 관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분기관 본체부의 상단에 본 관 외측에서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조이는 작업만으로 분기관 본체부를 본 관에 고정연결할 수 있으므로, 분기관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뿐만아니라 구성부품의 갯수를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고정너트를 본 관 외측의 분기관 본체부에 조이기만 하면, 분기관 본체부의 하부의 베이스판이 본 관의 내벽 저면에 밀착하면서 고정되므로, 고정너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분기관 본체부를 본 관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분기관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상하수도 본관에 분기관 본체부가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의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는 라이닝재(11)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 본관(10)에 구멍(10a)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10a)에 분기관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기관 연결장치는, 외주면이 상하수도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관통구멍(10a)에 삽입되어 하단이 관통구멍(10a)의 가장자리에 융착고정되는 외측 지지관(20)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지지관(20)은 본 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단에는 플랜지부(21)가 구비되고, 중심축방향으로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본 관(10)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연통시킨다.
본 발명의 분기관 연결장치는, 상하수도 본 관(1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삽입되는 분기관 본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관 본체부(30)는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아래쪽 선단에는 상기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본관(10)의 내벽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진 베이스판(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에는 고정너트(40)가 결합된다. 고정너트(40)의 저면과 이와 대향하는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패킹(61)이 개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에 결합된 상기 고정너트(40)위쪽으로 더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상단에는 상부 연장관(50)이 끼워지고, 이 상부 연장관(50)의 하단에는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와 고정보울트(60)로써 플랜지결합되는 연결 플랜지부(51)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플랜지부(51)의 저면과 상기 고정너트(40)의 상면 사이에는 패킹(62)이 개재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부(51)의 저면과 상기 고정너트(40)의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누설을 차단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분기관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분기관 본체부를 본 관에 연결설치한다.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관에 분기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상하수도관 부근의 토사를 굴착하여 노출되는 상하수도 본 관(10)의 측벽에 분기관 연결을 위한 구멍(10a)을 천공한다.
굴착된 부분을 통하여 외측 지지관(20)을 본 관(10)의 천공된 구멍(10a)안에 삽입한 다음 외주면과 구멍 가장자리를 융착에 의해 고정한다.
맨홀이나 기타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본 관(20) 내부로 분기관 본체부(30)를 넣어 상기 외측 지지관(20)이 결합된 구멍(10a)의 위치까지 이동한 다음, 분기관 본체부(30)를 상기 외측 지지관(20)안으로 삽입하여 나사부(31)가 형성된 상단을 외측 지지관(2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외측 지지관(20)의 외부로 돌출된 분기관 본체부(30)의 외주에 패킹(61)을 끼워 넣고 고정너트(40)를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에 결합하여 조여준다. 이 고정너트(40)를 계속 돌려서 조여주면 분기관 본체부(30)는 하단의 베이스판(32)의 가장자리가 본 관(10)의 내벽에 부딪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고정너트(40)만 회전하여 분기관 본체부(30)를 본 관(10)의 내벽 쪽으로 끌어당기고, 그에 따라 베이스판(32)이 본 관(10)에 내벽에 도 2의 화살표방향으로 견고하게 밀착하게 된다.
이 베이스판(32)은 본 관(10)의 내벽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져 있어 본 관(10)의 내벽에 면접촉상태로 긴밀하게 밀착하므로 본 관(10) 내부를 흐르는 상하수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고정너트(40)로 분기관 본체부(30)를 본 관(10)에 결합하고난 다음, 고정너트(40)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분기관 본체부(30)의 외주에 패킹(62)를 개재하여 상부 연장관(50)을 끼우고, 상부 연장관(50)의 연결 플랜지부(51)를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에 고정보울트(60)로 고정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연결장치는 분기관 본체부(30)를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구멍(10a)에 끼우고 상단 나사부(31)에 본 관(10)의 외측에서 고정너트(40)를 결합하여 조여주기만 하면 분기관 본체부(30)의 베이스판(32)이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면서 누설없이 본 관에 고정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하는 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10: 상하수도관 본 관 10a: 구멍
11: 라이닝재 20: 외측 지지관
21: 플랜지부 30: 분기관 본체
31: 나사부 32: 베이스판
40: 고정너트 50: 상부 연장관
51: 연결 플랜지부 61,62: 패킹

Claims (3)

  1. 라이닝재(11)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 본관(10)에 구멍(10a)을 천공하고, 천공된 구멍(10a)에 분기관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외주면이 상하수도 본 관(10)의 측벽에 천공된 관통구멍(10a)에 삽입되어 융착고정되고 상단에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된 외측 지지관(20);
    상하수도 본 관(1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아래쪽 선단에는 상기 본 관(10)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본관(10)의 내벽의 곡률과 일치하는 곡률을 가진 베이스판(32)이 일체로 형성된 분기관 본체부(30); 및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고정너트(40)를 포함한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나사부(31)가 상기 고정너트(4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상단은 고정너트(40)의 상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고정너트(4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분기관 본체부(30)의 상단에는 동축으로 삽입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에 고정보울트(60)로써 플랜지결합되는 연결 플랜지부(51)를 일체로 구비한 상부 연장관(50);과
    상기 외측 지지관(20)의 플랜지부(21)의 상면과 고정너트(40)의 저면 사이와, 상기 연결 플랜지부(51)의 저면과 상기 고정너트(40)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누설방지용 패킹(61,6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39134A 2013-04-10 2013-04-10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KR10136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34A KR101369873B1 (ko) 2013-04-10 2013-04-10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34A KR101369873B1 (ko) 2013-04-10 2013-04-10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73B1 true KR101369873B1 (ko) 2014-03-06

Family

ID=5064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134A KR101369873B1 (ko) 2013-04-10 2013-04-10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587A (ko) * 2005-11-18 2005-12-02 태광농자재주식회사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JP2009243566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のライニング管と分岐管との接続方法
KR20100096956A (ko) * 2009-02-25 2010-09-02 유성석 분기관 연결장치
KR20120005730A (ko) * 2010-07-09 2012-01-17 이종태 분기관 접속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587A (ko) * 2005-11-18 2005-12-02 태광농자재주식회사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JP2009243566A (ja) 2008-03-31 2009-10-22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のライニング管と分岐管との接続方法
KR20100096956A (ko) * 2009-02-25 2010-09-02 유성석 분기관 연결장치
KR20120005730A (ko) * 2010-07-09 2012-01-17 이종태 분기관 접속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154B2 (ja) グラウトホールの水密試験構造、および水密試験方法
JP2007191886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管との連結構造
KR101369873B1 (ko) 라이닝재로 보수된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KR100241472B1 (ko) 매설관 내부보수용 작업통로구의 폐쇄장치
KR101407685B1 (ko) 분기관 연결용 조인트
JP2007002970A (ja) さや管推進工法
MX2021011862A (es) Sistemas y metodos para rehabilitar, reparar y reemplazar registros y lineas de alcantarillado conectadas.
KR20230010921A (ko) 비굴착식 라이닝공법으로 내벽을 보수한 상하수도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장치
CN101968138B (zh) Pccp管道现场开孔施工方法
KR200337222Y1 (ko) 주배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CN220540489U (zh) 一种地下室管道穿墙防水构造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637586B1 (ko) 상,하수도관로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CN220749291U (zh) 一种管道防水装置
KR20180128126A (ko) 덕타일 주철관 소켓 고정 장치
KR102156388B1 (ko)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NO972019L (no) Endeavslutning for r°r
KR100900936B1 (ko) 송,배전용 관로구 방수장치
KR101960698B1 (ko) 지하 공동구 이음 구조
KR200315348Y1 (ko) 배관용러버플랜지구조
KR100689054B1 (ko) 맨홀과 관의 결합구조
KR100576992B1 (ko) 상수도 보수관과 가지밸브간의 연결 및 밀폐장치
JP4799184B2 (ja) 遮断継手
KR100617958B1 (ko) 지하 구조물의 수밀재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JPH05272684A (ja) 分岐管接続用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