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653B1 -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 Google Patents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653B1
KR101369653B1 KR1020120073004A KR20120073004A KR101369653B1 KR 101369653 B1 KR101369653 B1 KR 101369653B1 KR 1020120073004 A KR1020120073004 A KR 1020120073004A KR 20120073004 A KR20120073004 A KR 20120073004A KR 101369653 B1 KR101369653 B1 KR 10136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weight
frame
measurement
pat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55A (ko
Inventor
설완석
Original Assignee
설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완석 filed Critical 설완석
Priority to KR102012007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653B1/ko
Priority to PCT/KR2013/005955 priority patent/WO2014007566A2/ko
Publication of KR2014000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6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7Weigh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44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in a horizontal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다리프레임,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갖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만,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 몸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몇 개의 측정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의료침대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Medical bed possible weight measurement}
본 발명은 의료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이 불편한 중환자들의 몸무게를 측정하되, 환자들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몸무게를 측정함에 따라 불편함을 최소화시키고, 비용도 절감시켜 병원 측은 물론, 환자들에게 청구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장기간의 진료를 필요로 하거나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환자들을 위한 것으로 병원의 일반실 또는 중환자실에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침대에는 거동이 힘든 환자의 몸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진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체중측정장치로는 침대의 상측에 장착된 해먹(Hammock)으로 환자를 이동시킨 후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나, 의료용 침대하단의 이동휠에 체중측정장치를 장착한 후 영점처리된 체중계를 통해 체중을 측정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먹을 이용한 체중측정장치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를 이동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체중 측정시 거동이 힘든 환자의 신체가 많이 움직이게 되어 환자가 불편을 느낌은 물론, 병원 측 사람들도 매우 힘이 드는 과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 제20-0366830호에서 의료용 침대가 개진되었다.
이 의료용 침대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측정부가 구비되고, 이 체중측정부에서 측정된 체중을 컴퓨터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여 환자에 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 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침대에 구비된 체중측정부는 침대 자체의 무게와 환자의 체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파손이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비용이 비싸 병원 측이나 환자 측에게 많은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의료용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다리프레임이 구비되고, 매트리스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갖는 측정수단 및 측정수단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의 몸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측정수단의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만,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분리하여 별도 보관함에 따라 고가의 측정부를 몇 개만 준비하여 다수의 침대에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의료용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다리프레임,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갖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만,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되, 침대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하부측정프레임, 상기 하부측정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어 매트리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측정프레임, 및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 후, 상기 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각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다리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하부측정프레임, 상기 하부측정프레임과 침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측정프레임, 및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 후, 상기 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상부측정프레임은,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환자 몸무게 측정 시, 측정공간부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은, 하단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되,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환자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 상기 바퀴를 고정시켜 임의적으로 이동됨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환자의 무게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는 제1측정수단, 및 상기 침대프레임과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2측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측정수단과 제2측정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환자 몸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되, 침대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제1하부측정프레임, 상기 제1하부측정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어 매트리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상부측정프레임, 및 상기 제1하부측정프레임의 제1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1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제1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 후, 상기 제1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2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각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다리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2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제2하부측정프레임, 상기 제2하부측정프레임과 침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제2상부측정프레임, 및 상기 제2하부측정프레임의 제2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제2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제2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며, 측정 후, 상기 제2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에 의하면, 환자 몸무게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몇 개의 측정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의료침대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이 설치된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이 구비된 의료침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이 설치된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의 다른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이 구비된 의료침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측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10)는 침대프레임(100)과 다리프레임(200), 측정수단(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침대프레임(100)은 의료용 매트리스(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의료침대(10)의 기본 골격을 이루며, 다리프레임(200)은 침대프레임(10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측정수단(300)은 매트리스(20)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부(330)가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측정수단(300)의 측정부(330)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환자의 무게를 연산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수단(300)의 측정부(330)는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만,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고, 측정이 완료되면, 분리되는 것으로, 미 사용 시, 별도로 보관하며, 다른 의료침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측정부(330)는 일정 개수만 준비하고, 다수의 의료침대(10)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환자 몸무게를 측정함은 물론,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측정수단(300)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정프레임(310)과 상부측정프레임(320) 및 측정부(330)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측정프레임(310)은 침대프레임(100)과 매트리스(20) 사이에 구비되되, 침대프레임(10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312)가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측정프레임(320)은 하부측정프레임(310)과 매트리스(20) 사이에 구비되어 매트리스(2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측정부(330)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측정공간부(31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매트리스(20)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공간부(3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후, 측정공간부(312)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여기서, 측정부(330)는 일 실시 예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사용하여 환자 몸무게를 측정하며, 다른 측정을 위한 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정부(330)의 로드셀은 외형을 이루는 몸체하우징에 하측이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로드셀의 상단부가 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부측정프레임(320)과 닿아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33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하우징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로드셀은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환자의 몸무게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로드셀의 형상 변형량을 제어부(400)가 수신하여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400)는 매트리스(20)와 상부측정프레임(320)의 무게를 기 설정하여 저장됨에 따라 알고 있으며, 측정부(33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함에 따라 총 무게를 확인하고, 이 총 무게에서 기 설정된 매트리스(20)와 상부측정프레임(320)의 무게를 감산하여 실제 환자의 몸무게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400)에는 표시부(500)가 더 구비되어 실제 환자의 몸무게를 표시함에 따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측정부(330)는 승강부(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부는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로드셀을 승강시키거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로드셀을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는 가이드부(미 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가이드부는 승강되는 로드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부측정프레임(320)의 하측을 해당 위치에서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정공간부(312)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다시 말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측정공간부(312)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이 측정공간부(312)에 각각의 측정부(330)가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공간부(312)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하부측정프레임(310)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4에는 일 실시 예로, 네 개의 측정공간부(312)가 형성되는 것으로, 두 개의 측정공간부(312)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상단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두 개의 측정공간부(312)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하단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측정공간부(312)에는 각각의 측정부(330)가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되, 측정부(330)를 선택된 측정공간부(312)에만 설치하여 몸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공간부(312)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다수 개 형성되되, 하부측정프레임(310)의 너비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312)는 그 반대 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312)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10)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좌측으로 세 개의 측정공간부(312)가 형성되고,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우측으로 두 개의 측정공간부(312)가 형성된다고 가정하에, 우측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측정공간부는 그 반대편인 좌측에 형성된 인접한 두 개의 측정공간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공간부(312)에 측정을 위한 측정부(330)가 각각 위치됨에 따라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부측정프레임(320)의 하측 전체를 균등하게 지지하여 무게를 측정함은 물론, 최소한의 개수를 설치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키고, 설치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측정수단(3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측정프레임(310')과 상부측정프레임(320') 및 측정부(330')로 구성된다.
하부측정프레임(310')은 침대프레임(100)과 각 다리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되되, 다리프레임(20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312')가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측정프레임(320')은 하부측정프레임(310')과 침대프레임(100) 사이에 구비되고, 측정부(330')는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측정공간부(31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매트리스(20)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부(330')를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공간부(312')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후, 측정공간부(312')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여기서, 측정부(330')는 일 실시 예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사용하여 환자 몸무게를 측정하며, 다른 측정을 위한 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정부(330')의 로드셀은 외형을 이루는 몸체하우징에 하측이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로드셀의 상단부가 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부측정프레임(320')과 닿아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330')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하우징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로드셀은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환자의 몸무게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로드셀의 형상 변형량을 제어부(400)가 수신하여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400)는 매트리스(20)와 침대프레임(100)의 무게를 기 설정하여 저장됨에 따라 알고 있으며, 측정부(33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함에 따라 총 무게를 확인하고, 이 총 무게에서 기 설정된 매트리스(20)와 침대프레임(100)의 무게를 감산하여 실제 환자의 몸무게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400)에는 표시부(500)가 더 구비되어 실제 환자의 몸무게를 표시함에 따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측정부(330)는 승강부(미 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승강부는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로드셀을 승강시키거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봉 및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어 로드셀을 승강 및 위치를 유지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는 가이드부(미 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 가이드부는 승강되는 로드셀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부측정프레임(320)의 하측을 해당 위치에서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하게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측정프레임(320')은 하부측정프레임(310')의 측정공간부(312')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322')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측정부(330')에 의해 환자 몸무게 측정 시, 측정공간부(3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프레임(200)은 하단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되, 측정수단(300, 300')에 의해 환자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 바퀴를 고정시켜 임의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이 당연하다.
또한 인접한 두 개의 다리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지지하는 지지프레임(60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600)은 다리프레임(200)을 상호 지지함에 따라 침대프레임(100)의 하측을 지지하여 측정수단(300, 300')에 의한 몸무게 측정 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 지지프레임(600)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다리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측정수단(300')의 하부측정프레임(31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물론, 이 지지프레임(600)은 인접한 다리프레임(200)을 직접 연결하여 상호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일단부는 다리프레임(200)에 구비되고, 타단부는 측정수단(300')의 하부측정프레임(3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10)의 다른 실시 예로, 측정수단(300")이 제1측정수단(310")과 제2측정수단(3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측정수단(310")은 침대프레임(100)과 매트리스(20) 사이에 구비되고, 제2측정수단(320")은 침대프레임(100)과 다리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측정수단(300")의 몸무게 측정은 제1측정수단(310")과 제2측정수단(3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환자 몸무게를 측정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먼저, 제1측정수단(310")은 제1하부측정프레임(312")과 제1상부측정프레임(314") 및 제1측정부(316")로 구성된다.
제1하부측정프레임(312")은 침대프레임(100)과 매트리스(20) 사이에 구비되되, 침대프레임(10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1측정공간부(313")가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상부측정프레임(314")은 제1하부측정프레임(312")과 매트리스(20) 사이에 구비되어 매트리스(2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제1측정부(316")는 제1하부측정프레임(312")의 제1측정공간부(313")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매트리스(20)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제1측정공간부(313")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후, 제1측정공간부(313")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여기서, 제1측정부(316")는 일 실시 예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사용하여 환자 몸무게를 측정하며, 다른 측정을 위한 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측정수단(320")은 제2하부측정프레임(322")과 제2상부측정프레임(324") 및 제2측정부(326")로 구성된다.
제2하부측정프레임(322")은 침대프레임(100)과 각 다리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되되, 다리프레임(20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제2측정공간부(323")가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상부측정프레임(324")은 제2하부측정프레임(322")과 침대프레임(100) 사이에 구비되고, 제2측정부(326")는 제2하부측정프레임(322")의 제2측정공간부(323")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매트리스(20)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제2측정부(326")를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제2측정공간부(323")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몸무게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 후, 제2측정공간부(323")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여기서, 제2측정부(326")는 일 실시 예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을 사용하여 환자 몸무게를 측정하며, 다른 측정을 위한 장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측정부(316")와 제2측정부(326")의 각 로드셀은 외형을 이루는 몸체하우징에 하측이 지지되도록 구비되되, 로드셀의 상단부가 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제1상부측정프레임(314")과 제2상부측정프레임(324")에 닿아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정부(316")와 제2측정부(326")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하우징은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설치공간부를 갖고, 로드셀은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환자의 몸무게에 의해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로드셀의 형상 변형량을 제어부(400)가 수신하여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의료침대 20 : 매트리스
100 : 침대프레임 200 : 다리프레임
300, 300', 300" : 측정수단 310, 310' : 하부측정프레임
312, 312' : 측정공간부 320, 320' : 상부측정프레임
330, 330' : 측정부 310" : 제1측정수단
320" : 제2측정수단 400 : 제어부
500 : 표시부 600 : 지지프레임

Claims (12)

  1. 의료용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다리프레임;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갖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되, 침대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하부측정프레임;
    상기 하부측정프레임과 매트리스 사이에 구비되어 매트리스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측정프레임;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 후, 상기 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료침대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공간부는,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너비방향으로 지나는 동일선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5. 의료용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다리프레임;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한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갖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부에서 측정된 무게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수단은,
    상기 침대프레임과 각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다리프레임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며, 상측과 측방향으로 개방된 측정공간부가 다수 개 형성된 하부측정프레임;
    상기 하부측정프레임과 침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측정프레임; 및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누운 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몸무게 측정을 위해 상기 측정공간부에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 후, 상기 측정공간부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함으로써, 다수개의 의료침대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정프레임은,
    상기 하부측정프레임의 측정공간부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블럭이 하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 환자 몸무게 측정 시, 측정공간부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다리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하단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되,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환자 몸무게를 측정할 경우, 상기 바퀴를 고정시켜 임의적으로 이동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연산된 환자의 무게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73004A 2012-07-04 2012-07-04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Expired - Fee Related KR10136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04A KR101369653B1 (ko) 2012-07-04 2012-07-04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PCT/KR2013/005955 WO2014007566A2 (ko) 2012-07-04 2013-07-04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04A KR101369653B1 (ko) 2012-07-04 2012-07-04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55A KR20140005055A (ko) 2014-01-14
KR101369653B1 true KR101369653B1 (ko) 2014-03-03

Family

ID=5014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69653B1 (ko) 2012-07-04 2012-07-04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81B1 (ko) 2015-04-09 2017-05-18 김찬은 도로용 가드레일
CN108743118A (zh) * 2018-06-11 2018-11-06 无锡市人民医院 一种卧床病人用的带有语音的可秤体重的床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733A (ja) * 1989-04-21 1990-11-16 Paramaunto Bed Kk 寝台
KR200366830Y1 (ko) 2004-08-02 2004-11-09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
JP2008206868A (ja) 2007-02-27 2008-09-11 Paramount Bed Co Ltd 寝台装置
WO2008139377A2 (en) * 2007-05-14 2008-1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eight and/or movement sensing in a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733A (ja) * 1989-04-21 1990-11-16 Paramaunto Bed Kk 寝台
KR200366830Y1 (ko) 2004-08-02 2004-11-09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
JP2008206868A (ja) 2007-02-27 2008-09-11 Paramount Bed Co Ltd 寝台装置
WO2008139377A2 (en) * 2007-05-14 2008-1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eight and/or movement sensing in a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55A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3685B2 (en) System for monitoring a number of different parameters of a patient in a bed
US10940065B2 (en) Angle calibration using load cells
US20090178199A1 (en) Sensor unit, bed for a patient and method of modifying a patient's bed
CN102858237A (zh) 体脂肪测定装置
CN102858238A (zh) 体脂肪测定装置
KR101369653B1 (ko)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CN104287737B (zh) 一种踝关节活动角度快速测量仪
CN103068303B (zh) 体脂肪测定装置
KR101640501B1 (ko) 무게 측정이 가능한 의료침대
JP2009270902A (ja) ストレッチャー型体重計
CN105280067A (zh) 多重力模拟生活照料床
CN209678901U (zh) 可称重的病床
CN215307606U (zh) 一种卧床病人体重测量仪
CN213658061U (zh) 一种卧床称重装置
CN206080530U (zh) 一种儿童体表面积测量装置
CN217660516U (zh) 床载式称重测围装置
JP7320557B2 (ja) ベッド装置
CN212326790U (zh) 一种长期卧床患者体重监测护理床
CN204072094U (zh) 一种踝关节活动角度快速测量仪
CN208710307U (zh) 内科用病人护理床
CN113551756A (zh) 一种医用体重秤
CN111529250A (zh) 一种长期卧床患者体重监测护理床
CN203828912U (zh) 中心静脉压测量尺
KR20220010257A (ko) 의료용 침대
CN203315559U (zh) 带有放射线过量报警式的头部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