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520B1 -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520B1
KR101369520B1 KR1020087021467A KR20087021467A KR101369520B1 KR 101369520 B1 KR101369520 B1 KR 101369520B1 KR 1020087021467 A KR1020087021467 A KR 1020087021467A KR 20087021467 A KR20087021467 A KR 20087021467A KR 101369520 B1 KR101369520 B1 KR 10136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alls
rims
grooves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052A (ko
Inventor
청 쿠오 추오
Original Assignee
청 쿠오 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 쿠오 추오 filed Critical 청 쿠오 추오
Publication of KR2009007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04Folded cards
    • G09F1/06Folded cards to be erected in three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04Folded cards
    • G09F1/06Folded cards to be erected in three dimensions
    • G09F1/065Totem-like displays; Portable collapsible columnar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 Rack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용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며, 자유 변부(16)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벽(15)들에 대한 그 외의 다른 링클(14)들과 함께 링클(13)을 가진 2개의 벽(12)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자동 어셈블리 파트(11)는 트위저 시스템 내에서 힌지 연결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벽(12)의 홈(17, 18)들에 의해, 상기 부분(11)은 디스플레이(1)의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의 나란하게 배열된 림(4, 5 및 6, 7)의 후크 형태 홈(8, 10) 내에 삽입된 탄성 밴드(19)를 수용한다. 벽(12)과 또 다른 벽(15)에 의해 상기 어셈블리 파트(11)는 각각 디스플레이(1)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2, 3)의 림(4, 5 및 6, 7)의 폴드(fold)와 내부면 사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탄성 작용에 조합된(combined) 트위저 형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어셈블리 파트(11)는 연장되어 디스플레이(1)가 닫히고 접힐 때 평평한 상태가 되며, 반면에 부분(2, 3)들이 단지 약간 개방되고 수직으로 배열된 뒤에, 상기 부분(2, 3)들은 어셈블리 파트(11)의 벽(12, 15)들을 힌지 연결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자동적으로 조립된다.

Description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자유 변부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2개의 인접한 벽들을 포함하는 링클(wrinkle)들과 함께 하나의 링클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접이식 벽들로 구성되는 일련의 어셈블리 유닛 또는 어셈블리 파트들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는 트위저 시스템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어셈블리 파트는 탄성 밴드를 수용하며 상기 탄성 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바디를 형성하는 부분들로부터,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특별히 만들어진 홈들에 고정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 파트는 디스플레이 바디를 형성하는 부분들의 내부면들 위로 접이식 벽들을 고정시키며(rest), 탄성 밴드의 작용에 의해 및 이와 함께 개별 벽들에 제공된 트위저 효과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는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필요시에 닫을 수 있다.
자체-지지되는 디스플레이(self-supporting display)를 형성하도록 작동되는 다양한 장치들은 이미 시장에 공지되어 있으며, 2003년 8월 14일에 출원된 BR 0,303,694-4호, 2003년 8월 14일에 출원된 BR 0,303,693-6호, 2006년 6월 21일에 출원된 BR 0,502,306-8호, 2005년 12월 27일에 출원된 BR 0,505,915-1호, 2001년 5월 18일에 출원된 FR A1 0106569호 및 2000년 7월 11일에 출원된 BR 0,007,143-9A호와 같은 문헌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후자는 FR-A-2680030호, FR-A-2650907호 및 FR-A-2210317호와 같은 프랑스 문헌들을 언급하고 있으며 또한 2002년 5월 10일에 출원된 BR 0,201,711-3호는 FR 2,760,880호와 FR 2,795,217호와 같은 그 외의 다른 프랑스 문헌들도 언급하고 있다.
상기 문헌 FR A1 0106569호의 경우에서 다양한 피팅 요소(fitting element)들과 탄성 요소(elastic element)들을 포함하는 카톤 파트(carton part)들에 의해 형성된 장치가 기술되며, 상기 장치들은 홈(groove), 폴드, 링클 및 그 외의 다른 형태의 것들의 형태로서 하나의 세트의 세부항목(detail)들을 포함하고 이들이 실질적으로 자동적으로 조립되어 이에 따라 일반적인 광고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다채로운 수직 구조물(structure)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문헌들은, 일반적으로, 자체-지지되는 특성 즉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통상 대각선 방향으로 상보적인 내부 구조물에 의해 작동되고 이들 중 몇몇은 탄성적으로 또는 접이식으로 파트 세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장치들을 기술한다.
그 외의 다른 문헌들에서, 상기 장치들 중 몇몇 장치들은 상보적인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은 모두 카톤의 반경질 부분(semi-rigid part)들에 의해 얻어지고 홈, 피팅, 링클, 폴드 및 세트로 조립할 수 있는 그 외의 다른 세부 항목들로 돌출된 장치를 보여준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장치들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또 다른 단점들을 해결하는 구성 및 기능들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공지된 장치들은 상이한 목적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즉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신장되고 완전히 해체되거나 또는 접혀서 (예를 들어 팩토리(factory)에) 팔릴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하고 저장하기 쉬운 자체-지지되는 광고용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제공한다.
위에서 제안된 목적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의 장치들은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매우 높고 상기 장치들의 다수는 자체-지지되는 조건 즉 자동 어셈블리 조건을 얻기 위해 내부에 배치된 상보적인 구조물 부분이 필요하다.
본 특허 출원에서는, 하나의 링클 및 나란하게 배열된 자유 변부들에 의해 2개의 개별 벽들에 일치하는 그 외의 다른 링클들에 의해 접힐 수 있는 2개의 벽들로 형성되며 정사각형 관형 바디로 제조된 어셈블리 파트로, 종래 기술의 장치들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실질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가진 장치에 대한 실시예가 제안된다. 상기 접이식 벽들은 각각 배열된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홈과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홈 한 쌍을 수용하며, 탄성 링 밴드가 이들 내로 끼워 맞춤된다.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접힐 수 있고 나란하게 배열된 바디를 구성하는 2개의 부분들을 위한 이음 림(junction rim)을 가지며, 이들 부분들은 둘 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후크와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후크를 형성하는 동일한 홈들을 수용하고, 상기 홈을 통해 어셈블리 파트의 접이식 벽들의 홈들에 이미 고정된 바와 같이 탄성 링 밴드의 끝 부분들이 끼워 맞춤될 것이다.
따라서 이미 고정된 어셈블리 파트는 접이식 벽들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내부면들에 고정되며 탄성 밴드의 작용에 의해 신장된다. 반면, 어셈블리 파트의 개별 벽들은 상기 탄성 밴드의 작용과 함께 트위저로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각각의 측면(side)을 둘러싼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둘 다 서로에 대해 가압될 때(pressed) 즉 섹션들이 접혀져서 디스플레이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어셈블리 파트는 트위저의 작용에 의해 탄성 밴드의 작용에 의해 연장되지만 신장되는 벽(접이식 벽과 개별 벽 둘 다)을 가지게 된다.
디스플레이를 펼치고(unfolding) 수직으로 배열한 후에, 디스플레이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은 탄성 밴드를 위해 약간 이격되며, 어셈블리 파트의 접이식 벽들을 개방시키기 위해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홈들사이에서 신장된다. 트위저로서 작용하는 별도의 벽들과 함께 접이식 벽들이 개방될 때 상기 접이식 벽들은 자연스럽게 디스플레이의 바디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가압하여 이격시키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조립된다.
어셈블리 파트들은, 디스플레이의 바디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과 후방부분의 나란히 배열된 림들과 마주보고 쌍을 이루며 형성되며 필요한 갯수의 유닛(unit)으로서 제공된다.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어셈블리 파트는, 하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원형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사각형(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트위저 시스템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링클은 타원형 및 사각형과 같이 그 외의 다른 디스플레이용 자동 어셈블리 선택사항(option)들이 가능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어셈블리 파트를 가진 디스플레이와 이와 관련된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하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8은 타원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의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은 링클로부터 형성되고, 이 경우에서는, 사각형 형상을 가진 어셈블리 파트를 수용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로부터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과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변부로부터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투시도.
도 2는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 중 한 부분이 절단되어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후크 형태의 홈과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 후크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탄성 링 밴드는 고정되고 어셈블리 파트는 신장된다.
도 3은 홈이 탄성 링 밴드를 수용하여 어셈블리 파트를 고정하고 신장시키는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한 부분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어셈블리 파트의 측면의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서, 접이식 벽들이 개방된 상기 어셈블리 파트의 DET. A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4는 닫힌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어셈블리 파트의 벽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과 함께 연장된다.
도 5는 개별 벽들의 트위저 효과와 탄성 밴드의 작용으로 인해 어셈블리 파트의 접이식 벽들이 서로 이격될 때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미 조립된 상태로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그 밑에 DET.B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7은 닫힌 디스플레이를 예시하여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8은 이미 닫힌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4는 사각형(직사각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각각의 2개의 부분들은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로부터 짧게 만들어진 2개의 링클을 수용한다. 이 경우, 림들은 조립된 뒤 디스플레이 내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돌출되며 삼각형 형상을 가진 어셈블리 파트를 수용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로부터 나란하게 배열되며 중간 지점으로부터 형성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진 어셈블리 파트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후크 형태의 홈과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후크 형태의 홈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탄성 링 밴드를 수용하여 삼각형 형상을 가진 어셈블리 파트를 고정하고 신장시킨다.
도 11은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후크 형태 홈들을 개별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2개의 부분들을 도시한 투시도이고, 상기 홈들을 통해 탄성 링 밴드는 삼각형 어셈블리 파트를 고정하고 신장시키도록 끼워 맞춤될 것이다. 어셈블리 파트의 측면의 디스플레이가 조립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서, 접이식 벽들이 개방된 상기 어셈블리 파트의 DET. C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12는 닫힌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과 함께 어셈블리 파트의 벽들은 연장된다.
도 13은 개별 벽들의 트위저 효과와 탄성 밴드의 작용으로 인해 어셈블리 파트의 접이식 벽들이 개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이격되어 유지되는 도면을 도시하며, 그 밑에는 DET. D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14는 이미 조립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21은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폴드(fold)들 중 한 폴드 근처에 위치한 지점에서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2개의 부분들이 오직 한 링클만을 수용하는 사각형(직사각형)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이렇게 구성된 부분들은 링클이 상반되게 유지되고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이 마주보게 돌출되도록 접착되어야 하 며 각각의 마주보는 교점(vertex)에서 사각형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진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2개의 부분들을 도시한 투시도이며, 이들 중 하나는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 중 오직 한 림으로부터 단일의 링클이 제공된다. 상기 부분들이 조립될 때, 링클들은 그 자체로서 위치되며 그 뒤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고 마주보는 교점들에서 또 다른 종류의 어셈블리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로부터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쌍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투시도이며, 이들 각각은 그에 상응하는 어셈블리 파트를 수용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개별 벽들에 의해 제공된 트위저 효과와 조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 림의 홈들 사이에서 신장된 탄성 밴드의 작용에 의해 어셈블리 파트로부터 접이식 벽들이 개방하는 순서(sequence)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상기와 같이 개방되어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은 서로 이격되어 자동적으로 개방되게 된다.
도 20은 닫힌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과 함께 어셈블리 파트의 벽들은 연장된다.
도 21은 개별 벽들의 트위저 효과와 탄성 밴드의 작용으로 인해 어셈블리 파트의 접이식 벽들이 개방될 때 디스플레이 바디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그 밑에 DET. E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22는 이미 조립된 상태로서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절단 및 링클링 가공 단계(cutting and wrinkling step)에서 구현되는 바와 같 이 링클이 형성(formation)됨으로써 상반되는 림들을 볼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용 디스플레이(IMPROVEMENT IN DISPLAY FOR AUTOMATIC ASSEMBLY SYSTEM)"는 카톤(Carton) 또는 그 외의 또 다른 적합한 재료의 디스플레이(display, 1)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에 의해 형성된 타원형의 절단면(crosswise section)을 가지며, 이 두 부분들은 접을 수 있는 섹션들을 형성하는 가로방향 링클(crosswise wrinkle)들을 가지고, 상기 전방 부분과 후방부분은 광고용 인쇄물(advertising printing)을 수용하며, 또한 전방 부분(2) 상에서 림(rim, 4, 5)을 형성하고 후방 부분(3)상에서 림(6, 7)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방 부분과 후방부분의 단부에서 세로방향으로(lengthwise) 접혀질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위해 림(4, 5 및 6, 7)은, 절단 및 링클의 형성 단계(cutting and wrinkling step)동안 사전 결정된 위치들 또는 선호적으로 각각의 섹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후크 형태의 홈(groove, 8)을 수용하며, 짧은 자유 경로(free path)(9) 다음에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상반되게 형성된(invertedly repeated) 홈(10)을 가진다.
홈(8,10)들을 포함한 림(6,7)과 림(4,5)을 함께 나란히 배열하여(juxtaposition)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이 조립된 후에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은 섹션에서 사각형 단면의 관형 바디(tubular body)를 가진 하나 이상의 어셈블리 파트(assembly part)(11)를 수용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어셈블리 파트는, 2개의 접이식 벽(foldable wall, 12)들 및 중앙의 제 1 링클(1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접이식 벽들은 제 2 링클(14) 뒤에서, 자유 변부(16)에서 서로 이격된(apart) 2개의 인접한 벽(15)들을 돌출시킨다.
벽(12)들은 각각 한 쌍의 홈을 수용하고, 상기 한 쌍의 홈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부들과 상대적으로 낮은 변부들로부터 돌출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수직 홈(17)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수직 홈(18)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둘 다 나란하게 배열되어 삽입된 링형상의 탄성 밴드(ring band)(19)를 수용한다. 도 3의 DET. A에 특별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밴드(19)는 상기 수직 홈(17,18)들을 통과하는 접이식 벽(12)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쌍들로 설치된(installed in pairs) 어셈블리 파트(11)는 나란하게 배열된 림(4, 5 및 6, 7)의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된 수직 홈(17)과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된 수직 홈(18) 사이에서 상기 어셈블리 파트의 변부들로부터 삽입된 탄성 밴드(19)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접이식 벽(12)들은 디스플레이(1) 바디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2) 및 후방 부분(3)들의 내부면(internal face)들을 향해 배열된다(rest). 반면에 자유 변부(16)들에 의해 개별 벽(separate wall, 15)들은 트위저(tweezer)로서 상기 림(4, 5 및 6, 7)들의 폴드(folding)를 붙잡는다(embrace).
상기 전방 부분(2) 및 후방 부분(3)은, 둘 다 디스플레이(1)를 닫도록 근접하게 될 때(get closer to close) 트위저로서 작용(effect of tweezer)하기 때문에 개별 벽(15)들로 인해 전체 어셈블리 파트(11)는 연장되어 평평한 상태(plain condition)가 되지만 탄성 밴드(19)의 작용에 의해 강하게 신장된 상태로 유지된다(remaining strongly tensioned).
디스플레이(1)가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전방 부분(2) 및 후방 부분(3)을 약간 이격시킨 뒤, 접이식 벽(12)들은 신장되고 이와 함께 트위저로서 작용하여 개별 벽(15)들로부터 개방되어 상기 전방 부분(2) 및 후방 부분(3)은 자연스럽게 이격되며,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가 자동적으로 조립된다(assembled).
위의 설명은 나란하게 배열된 림(4,5,6,7)들을 접음으로써 링클(wrinkle)들이 형성될 때의 타원형 디스플레이(ellipsoidal display, 1)에 관한 것이다.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디스플레이(1a)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2개의 전방 부분(2a) 및 후방부분(3a)은 각각의 림(4a, 5a 및 6a, 7a)들을 따라 인접링클(20)을 수용하여, 동일한 시스템을 고정 및 인장 어셈블리 파트(fix and tension assembly part, 11a)들에 유지한다. 이 경우에, 결합(joined)되고 난 뒤, 상기 전방 부분(2a) 및 후방부분(3a)은 디스플레이(1a)의 측면(side, 21) 바디 내의 중간 지점(intermediate point)으로부터 돌출된 나란하게 배열된 림(4a, 5a 및 6a, 7a)들을 형성한다. 반면 링클(14a)들을 따라 어셈블리 파트(11a)들은 자유 변부(16a)들에 의해 균등하게 분리되고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 벽(coplanar wall, 22)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어셈블리 파트(11a)는 삼각형 형태를 가지며 동일평면에 위치한 벽(22)들을 디스플레이(1a) 바디의 측면(21)들에 고정시키고(rest), 동일한 트위저 작용에 의해 자유 단부(16a)들은 림(4a, 5a 및 6a, 7a)을 균등하게 포함한다.
또 다른 경우에서는, 동일한 자체-조립 시스템(self-assembling system)을 이용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림들의 폴드(fold)들 중 하나의 바로 근처의 지점에서 디스플레이(1b) 바디를 구성하는 전방 부분(2b) 및 후방 부분(2b)들은 단지 한 링클(13b)을 수용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전방 부분(2b) 및 후방 부분(2b)의 링클(13b)만이 상반되게 유지되도록(remain inverted) 접착되어야 하며(glued) 이에 따라 나란하게 배열된 림(4b, 5b 및 6b, 7b)들은 결합되고, 상반되게 돌출되며(projected in opposition) 각각의 마주보는 디스플레이(1b)의 교점(vertex)에서 사각형 형태를 가진다.
나란하게 배열된 림(4b, 5b 및 6b, 7b) 상부에(over) 링클(13b)로부터 상대적으로 긴 거리(distance)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b)는 직사각형 형태로부터 정사각형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progress).

Claims (8)

  1. 접이식 섹션(foldable section, G)들을 형성하는 가로방향 링클(crosswise wrinkle)들을 가진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을 포함하고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로서, 광고용 인쇄물을 수용하고 단부에서 세로방향으로(lengthwise) 접을 수 있는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은 전방 부분(2)에서 림(4,5)들을 형성하고 후방 부분(3)에서 나란히 배열된 림(6,7)들을 형성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림(4,5,6,7)들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후크 형태의 홈(8)을 수용하고 짧은 자유 경로(9) 다음에 상반되게 형성되며 낮은 위치에 있는 홈(10)을 가지며, 각각의 홈(8,10)을 포함한 림(6,7)과 림(4,5)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조립된 후에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은 상기 홈(8,10)들사이에서 관형 바디를 가진 어셈블리 파트(11)를 수용하고, 상기 관형 바디는 중앙의 제 1 링클(13)에 의해 접힐 수 있는 두 개의 접이식 벽(12)들 및, 제 2 링클(14)을 가지고 접이식 벽과 인접한 두 개의 벽(15)들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접이식 벽(12)들은 높은 위치의 변부들 및 낮은 위치의 변부들로부터 돌출하고 높은 위치에 있는 수직의 홈(17)과 낮은 위치에 있는 수직의 홈(18)들을 가지고, 상기 홈(17,18)들은 상기 림(4,5,6,7)들의 홈(8,10)들과 연결되어 상기 어셈블리 파트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 밴드(19)를 수용하도록 정렬되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19)가 상기 접이식 벽(12)의 홈(17,18)들사이에 조립되고 나란히 배열된 상기 림(4,5,6,7)들사이에 조립될 때, 상기 어셈블리 파트(11)의 접이식 벽(12)들은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의 내부면을 향하며 상기 접이식 벽과 인접한 벽(15)들은 벽(15)들의 자유변부(16)들에 의해 상기 림(4,5,6,7)들의 폴드(fold)에 고정되어 상기 림(4,5,6,7)들을 붙잡는(embrace) 트위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은 상기 디스플레이(1)를 밀폐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위치하고, 각각의 벽(15)들이 트위저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어셈블리 파트(11)는 평평한 상태가 되며, 상기 어셈블리 파트는 상기 탄성 밴드(19)에 의해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4. 접이식 섹션(foldable section, G)들을 형성하는 가로방향 링클(crosswise wrinkle)들을 가진 전방 부분(2a)과 후방 부분(3a)을 포함한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로서, 광고용 인쇄물을 수용하고 단부에서 세로방향으로(lengthwise) 접을 수 있는 상기 전방 부분(2a)과 후방 부분(3a)은 전방 부분(2a)에서 림(4a,5a)들을 형성하고 후방 부분(3a)에서 나란히 배열된 림(6a,7a)들을 형성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림(4a,5a,6a,7a)들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후크 형태의 제 1 홈을 수용하고 짧은 자유 경로 다음에 상반되게 형성되며 낮은 위치에 있는 제 2 홈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홈을 포함한 림(6a,7a)과 림(4a,5a)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조립된 후에 상기 전방 부분(2a)과 후방 부분(3a)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들사이에서 관형 바디를 가진 어셈블리 파트(11a)를 수용하고, 상기 관형 바디는 중앙의 링클(13a)에 의해 접힐 수 있는 두 개의 접이식 벽(12a)들 및, 링클(14a)들과 인접하고 동일평면에 위치한 벽(22)들을 포함한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벽(22)들은 벽(22)들의 자유단부(16a)에 의해 분리되고,
    각각의 접이식 벽(12a)들은 높은 위치의 변부들 및 낮은 위치의 변부들로부터 돌출하고 높은 위치에 있는 수직 홈과 낮은 위치에 있는 수직 홈들을 가지고, 상기 수직 홈들은 상기 림(4a,5a,6a,7a)들의 홈들과 연결되어 상기 어셈블리 파트를 신장된 상태로 유지하는 탄성 밴드(19a)를 수용하도록 정렬되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방 부분(2a)과 후방 부분(3a)은 상기 각각의 림(4a,5a,6a,7a)들과 인접한 인접링클(20)을 포함하고, 상기 림(4a,5a,6a,7a)들은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a)의 측부의 중간 지점에서 돌출하며 삼각형의 어셈블리 파트(11a)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삼각형의 어셈블리 파트(11a)에 형성된 벽(22)들은 상기 디스플레이(1a)의 측면(21)을 향해 배열되고, 상기 벽(22)의 자유변부(16a)들은 상기 림(4a,5a,6a,7a)들을 붙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이 떨어져 위치한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1)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벽(15)들과 함께 상기 접이식 벽(12)들이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 부분(2)과 후방 부분(3)이 분리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8. 삭제
KR1020087021467A 2006-10-26 2006-10-26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KR101369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BR2006/000228 WO2008049176A1 (en) 2006-10-26 2006-10-26 Foldable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52A KR20090073052A (ko) 2009-07-02
KR101369520B1 true KR101369520B1 (ko) 2014-03-04

Family

ID=3809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467A KR101369520B1 (ko) 2006-10-26 2006-10-26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112925B2 (ko)
EP (1) EP2078299B1 (ko)
JP (1) JP2010507817A (ko)
KR (1) KR101369520B1 (ko)
CN (1) CN101473360B (ko)
AT (1) ATE500585T1 (ko)
AU (1) AU2006349571B2 (ko)
CA (1) CA2653997C (ko)
DE (1) DE602006020507D1 (ko)
DK (1) DK2078299T3 (ko)
EA (1) EA016684B1 (ko)
ES (1) ES2362010T3 (ko)
HK (1) HK1134164A1 (ko)
IL (1) IL198385A0 (ko)
PL (1) PL2078299T3 (ko)
PT (1) PT2078299E (ko)
TR (1) TR200905001T1 (ko)
WO (1) WO2008049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3761A2 (pt) * 2008-06-04 2010-03-02 Chung Kwo Tzuo dobradiÇa com elemento elÁstico e aba adaptada em displays de papelço, para sistemas de montagem, planificaÇço e armaÇço automÁtica
ES2337329B1 (es) * 2008-08-11 2011-01-18 Ferran Mestres Armengol Expansor aplicable a estructura plegable autoexpansible prismatica, estructura plegable autoexpansible prismatica, y expositor plegable autoexpansible.
EP2368239A1 (en) * 2008-12-24 2011-09-28 Chung Kwo Tzuo Support with spacer for plain double face display, with arrangement in sliding system for automatic bending and opening
TR200909782A2 (tr) * 2009-12-25 2010-11-22 Kabak�I Mustafa Katlanabilir ürün teşhir standı
EP2400477A1 (de) 2010-06-28 2011-12-28 STI-Gustav Stabernack GmbH Werbesäule
US8959812B2 (en) 2010-11-23 2015-02-24 Circle Graphics, Inc. Image display
US9861215B2 (en) 2010-11-23 2018-01-09 Circle Graphics, Inc. Image display with leather image substrate
JP5807404B2 (ja) * 2011-06-27 2015-1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DK2626849T3 (da) * 2012-02-11 2014-11-10 Drukarnia Ellert Sp Z O O Foldbar reklamestander
US9738108B2 (en) 2013-03-14 2017-08-22 Circle Graphics, Inc. Image display and kit
US9173485B2 (en) 2013-03-15 2015-11-03 KFR Enterprises LLC Self-expanding, load-bearing mechanism for display units
ES2529392B1 (es) 2013-06-14 2015-09-08 Jorge BELLIDO JOSÉ Sistema conector de elementos constructivos
WO2015142382A1 (en) * 2014-03-17 2015-09-24 KFR Enterprises LLC Self-expanding mechanisms and display units using same
WO2016057067A1 (en) * 2014-10-07 2016-04-14 Faster Displays Llc An advertising display
WO2016112444A1 (pt) * 2015-01-13 2016-07-21 Chung Kwo Tzuo Dobradiça com abas de encosto flexíveis incorporadas, para sis tema de planificação e expansão automática e suspensão de estruturas diversas
US9812038B2 (en) 2015-05-11 2017-11-07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US9779640B2 (en) 2015-05-11 2017-10-03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US9734734B2 (en) 2015-05-13 2017-08-15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US10008138B2 (en) 2015-12-31 2018-06-26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US9978292B2 (en) 2016-01-25 2018-05-22 R. 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s and methods of making such self-erectable displays
DE102016110531A1 (de) * 2016-06-08 2017-12-14 Udo Weiss Papp-, Karton- und/oder Papiermöbel
US9715840B1 (en) * 2016-08-05 2017-07-25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 and automatic locking mechanism for a self-erectable display
WO2018027118A1 (en) 2016-08-05 2018-02-08 R. R. Donnelley & Sons Company Pop-up display and pop-up display locking mechanism therefore
US10170020B2 (en) 2016-09-09 2019-01-01 R.R. Donnelley & Sons Company Pop-up display with translating stop member
US10573202B2 (en) 2016-09-09 2020-02-25 R.R. Donnelley & Sons Company Self-erectable display with free floating stop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0755605B2 (en) 2017-01-25 2020-08-25 R.R. Donnelley & Sons Company Polygonal displa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10210779B2 (en) * 2017-03-16 2019-02-19 R.R. Donnelley & Sons Company Polyhedral automatic pop-up display
US10741109B2 (en) 2017-08-29 2020-08-11 R.R. Donnelley & Sons Company Quadrilateral displa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109380923B (zh) * 2018-10-22 2020-04-07 江苏元奕朗甚装饰工程有限公司 自动转向装置
US10706747B2 (en) 2018-11-27 2020-07-07 R.R. Donnelley & Sons Company Pyramidical display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772B1 (en) * 1997-03-13 2002-02-19 L'hotel Francois Folding display unit
JP2003530602A (ja) 2000-07-11 2003-10-14 ロテル、フランソワ 自己支持型の折り畳み情報提示構造体
JP2005010498A (ja) 2003-06-19 2005-01-13 Rinkusu:Kk 展示用表示体
US20060038393A1 (en) 2004-08-19 2006-02-23 Popsicle Displays Pty Ltd Folding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5217B1 (fr) * 1999-06-18 2001-07-27 Hotel Francois L Structure autoportante et pliable de presentation d'informations
DE29918754U1 (de) * 1999-10-25 2001-03-08 Stabernack Gmbh Gustav Plakatwand
FR2824946B1 (fr) * 2001-05-18 2003-10-03 Hotel Francois L Support de presentoir d'informations a au moins une face de presentation
US7367539B2 (en) * 2004-06-17 2008-05-06 Poptech Limited Foldable and self-erecting display stand and easel
FR2876828B1 (fr) * 2004-10-06 2007-06-29 Hotel Francois L Support de presentoir d'informations
WO2006067252A1 (es) * 2004-12-21 2006-06-29 Promotec Publicidad, Sl Expositor colapsable autoexpandible y elemento de empuje para la expansión del mism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7772B1 (en) * 1997-03-13 2002-02-19 L'hotel Francois Folding display unit
JP2003530602A (ja) 2000-07-11 2003-10-14 ロテル、フランソワ 自己支持型の折り畳み情報提示構造体
JP2005010498A (ja) 2003-06-19 2005-01-13 Rinkusu:Kk 展示用表示体
US20060038393A1 (en) 2004-08-19 2006-02-23 Popsicle Displays Pty Ltd Fold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349571B2 (en) 2011-09-29
US8112925B2 (en) 2012-02-14
EA016684B1 (ru) 2012-06-29
CA2653997C (en) 2016-01-19
AU2006349571A1 (en) 2008-05-02
JP2010507817A (ja) 2010-03-11
HK1134164A1 (en) 2010-04-16
ES2362010T3 (es) 2011-06-27
EP2078299A1 (en) 2009-07-15
CN101473360A (zh) 2009-07-01
PL2078299T3 (pl) 2011-09-30
DK2078299T3 (da) 2011-06-20
US20100000131A1 (en) 2010-01-07
CA2653997A1 (en) 2008-05-02
DE602006020507D1 (de) 2011-04-14
KR20090073052A (ko) 2009-07-02
TR200905001T1 (tr) 2009-11-23
WO2008049176A1 (en) 2008-05-02
PT2078299E (pt) 2011-06-01
EA200970411A1 (ru) 2009-10-30
CN101473360B (zh) 2011-07-06
EP2078299B1 (en) 2011-03-02
IL198385A0 (en) 2010-02-17
ATE500585T1 (de)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520B1 (ko) 자동 어셈블리 시스템을 가진 디스플레이
US7159350B2 (en) Information display unit support having at least one presentation face
FI122267B (fi) Tietojen näyttöalusta
US8863418B2 (en) Folding display unit with central member
MX2008005059A (es) Exhibidor con solapas de aseguramiento invisibles.
US10262559B2 (en) Foldable multi-panel display
US8181375B2 (en) Frontal panel display with assembly and disassembly automatic system
WO2008148916A1 (es) Dispositivo expansor para expositor plegable autoexpandible y expositor plegable autoexpandible
US7159351B2 (en) Display kiosk
ES2295372T3 (es) Producto plegable con lineas de pliegue que estan parcialmente provists de plisados y parcialmente de lineas de perforaciones.
US20030234281A1 (en) Expandable file folder
US6062466A (en) Folding box for products such as pastries and cakes
ES2132823T3 (es) Bolsa con asas.
TWI382128B (zh) 自動組裝系統展示架改良結構
KR101124669B1 (ko) 손잡이를 갖는 포장용 상자
GB2457933A (en) Folding display board
JP5618782B2 (ja) 紙製容器
KR200349132Y1 (ko) 바닥재 샘플 바인더
US1664585A (en) Folding display card
JPH083291Y2 (ja) 紙製扇子
CN107813649A (zh) 一种油画箱
US1698664A (en) Folding display card
KR20100010492U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덮개
WO2002101452A3 (de) Projektionssystem
ES1050405U (es) Caja contenedor armable y reforz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