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13B1 -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13B1
KR101369413B1 KR1020130050739A KR20130050739A KR101369413B1 KR 101369413 B1 KR101369413 B1 KR 101369413B1 KR 1020130050739 A KR1020130050739 A KR 1020130050739A KR 20130050739 A KR20130050739 A KR 20130050739A KR 101369413 B1 KR101369413 B1 KR 10136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mesh
killing device
controller
aquarium
exemplary embo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박성욱
김성훈
장규섭
황태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주식회사 씨에스엔
주식회사 인바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주식회사 씨에스엔, 주식회사 인바이온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to KR102013005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13B1/ko
Priority to PCT/KR2014/003976 priority patent/WO20141820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2Cata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02F2305/023Reactive oxygen species, singlet oxygen, OH radic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사멸 장치는, 제1 전도성 메쉬, 제2 전도성 메쉬, 및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를 절연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Apparatus for controlling algae bloom and killing pathogens in fish tank and controller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을 위한 사멸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수족관은 단순히 어류를 키우는 것만이 아니고, 자연생태계를 있는 그대로 수족관내에 구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족관 내에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수초를 암석과 함께 배치하여 실제 자연생태계와 유사하게 꾸며놓고, 수초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 빛, 이산화탄소, 질소, 및/또는 인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수족관에서는 영양분 과잉으로 인한 녹조류의 발생이 빈번하며, 이러한 녹조류의 제거는 수족관 애호가들에게 상당한 불편한 점을 초래하고 있다.
종래기술의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4720호에는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족관용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 공개공보 특개2008-237168 호에는 관상어용 수층의 수질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족관에서의 녹조류 발생 방지 및 감소와, 어병 방지, 및 수초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사멸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사멸 장치는, 제1 전도성 메쉬, 제2 전도성 메쉬, 및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를 절연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는, 각각, 티나튬으로 구성되며, 표면에 백금족 원소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족관에 저장된 수조의 전도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전도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인가하는 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도성 메쉬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경우, 상기 제1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족관에서의 녹조류 발생 방지 및 감소와, 어병 방지, 및 수초 성장의 촉진이라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사용한 수족관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4는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동작할때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을 위한 사멸 장치와 컨트롤러를 사용한 수족관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사용한 수족관(113)은, 물(115)을 수용하며, 사멸 장치(111)와 조명 장치(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사멸 장치(111)는, 컨트롤러(120)의 제어하여, 수족관 내에 녹조류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고, 어병의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사멸 장치(111)는 컨트롤러(120)의 제어하에 전원(1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사멸 장치(111)를 온 또는 오프시키며, 전원(130)으로부터 사멸 장치(111)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20)는 제1 시간동안에는 사멸 장치(111)를 온시키고, 제1 시간이 끝나면 제2 시간동안 사멸 장치(111)를 오프시키며, 제2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제3 시간동안 사멸 장치(111)를 온시키고, 제3 시간이 끝나면 다시 제4 시간동안 사멸 장치(113)를 오프시킨다. 컨트롤러(120)는 이러한 방식으로 사멸 장치(111)를 주기적으로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사멸 장치(111)에게 전압을 인가할 때 (+)와 (-)를 교번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사멸 장치(111)에 포함된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양자간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시간 동안에는 제1 전도성 메쉬에 (+)극성을 인가하고 제2 전도성 메쉬에 (-)극성을 인가하며, 제3 시간동안에는 제1 전도성 메쉬에 (-)극성을 인가하고 제2 전도성 메쉬에 (+) 전극을 인가한다. 이런 방식으로 컨트롤러(120)는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양자간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전압의 극성을 전환시키는 주기가, 사멸 장치(111)의 온 오프 주기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사멸 장치(111)는, 다음 2가지 작용에 의해 살균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첫 번째는, 직접적 작용으로, 균 등의 미생물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세포막 내외의 전위차로 인하여 세포막을 파괴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간접적 작용으로, 사멸 장치가 라디칼 기를 생성하여, 이들 라디칼 기에 의해서 살균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사멸 장치는, 추가적으로 수족관에 자라는 수초의 발육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사멸 장치에 의해 물 속에 Ca+2, K+, Mg+2, Fe+2, Zn+2, 및/또는 Na+ 등과 같은 양이온이 활성화되며, 이들 이온들이 수초 발육에 기여하게 된다.
컨트롤러(120)는, 또한, 조명 장치(117)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20)는 사용자로부터 사멸장치(111)의 동작을 지시하는 ON 명령을 수신하면, 사멸장치(111)를 주기적으로 동작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멸 장치(111)는 컨트롤러(120)의 제어하에 주기적으로 동작한다. 도 18은 사멸 장치(111)가 동작할 때의 모습을 찍은 사진이다.
컨트롤러(120)는, 또한, 사멸 장치(11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바꾸면서 인가할 수 있다.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주기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주기와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주기와 사멸 장치(111)의 동작 주기는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멸장치(111)가 동작할 때의 상태(예를 들면, 도 18과 같이 동작할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멸장치(111)가 동작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사멸장치(111)가 가진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S101), 사멸장치(111)가 가진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한다(S103).
컨트롤러(120)는, S101에서 인가한 전압 S103에서 측정한 전류값을 이용하여 수족관에 저장된 물의 전도도를 산출한다(S105).
컨트롤러(120)는, S105에서 산출한 전도도에 대응된 전압값으로, 사멸장치(111)가 가진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조정한다(S107).
컨트롤러(120)는 S107 단계에서 조정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S101),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예를 들면, 전도도별로 대응되는 전압값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함에 있어서, 수초어항, 대형어 수족관, 새우어항, 열대어 어항 등처럼 어종의 종류에 따라서 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센서부(121), 마이크로 컴퓨터(MCU)(122), 단락 방지부(123), 잭(124, 126), 드라이버(125)를 포함할 수 있다.
잭(126)은 DC 전원과 컨트롤러(12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지원하는 커넥터이고, 잭(124)는 컨트롤러(120)와 살균장치(111)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지원하는 커넥터이다.
DC 전원으로부터 잭(126)을 통해서 제공되는 전력은 MCU(122)로 제공되고, 그리고 드라이버로도 제공될 수 있다. MCU(122)로 제공되는 전력은 MCU(122)에 맞도록 감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락방지부(123)는 컨트롤러(124) 내부의 전기적인 단락 및/또는 살균장치(111)의 단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21)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면 정전용량 터치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부저는 센서부(121)를 통해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마다, 외부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한다.
MCU(12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MCU(124)는, 살균 장치(111)를 소정의 주기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 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CU(124)는, 또한, 살균 장치(111)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전환시키면서 인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하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같이 참조하여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이하,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멸 장치(111)는 상부 케이스(10), 연결부(20), 제1 전도성 메쉬(30), 스페이서(40), 제2 전도성 메쉬(50), 및 하부 케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10), 연결부(20), 제1 전도성 메쉬(30), 스페이서, 제2 전도성 메쉬(50), 및 하부 케이스(6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10)는, 제1 본체(18) 및 제1 지지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8)는 링 형상을 가지며, 내연부(15)와 외연부(17)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11)는 제1 본체(18)의 내연부(15)에 위치하되, 내연부(15)의 일 위치에서 내연부(15)의 다른 위치에 걸쳐지도록 위치함으로써, 제1 전도성 메쉬(3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11)는 빗살 모양으로 내연부(15)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는, 홀(1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홀(13)은 사멸 장치(111)의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부 케이스(10)는, 오목부(19)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19)는 연결부(20)와 결합된다.
연결부(20)는, 내연부(25)와 외연부(27)를 가진 링 형상을 가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영역(R1)의 폭과 제2 영역(R2)의 폭은 상이하며, 제1 영역(R1)의 높이(h1)가 제2 영역(R2)의 높이(h2) 보다 더 작다.
한편, 제1 영역(R1)은 후술할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과 인접하여 위치된다.
연결부(20)의 외연부(27)에는 연결부(20)의 상부(27a)와 하부(27b)를 구분짓는 가이드라인(22)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0)의 상부(27a)는 상술한 상부 케이스(10)의 오목부(19)에 삽입 결합되고, 연결부(20)의 하부(27b)는 후술할 하부 케이스(60)의 오목부(69)에 삽입 결합된다.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는, 각각, 티나튬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표면에 백금족 원소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는 각각 돌출부(31, 41)를 구비하며, 각각의 돌출부(31, 41)는 후술할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에 위치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도성 메쉬(30)에서의 홀들의 크기가, 제2 전도성 메쉬(50)에서의 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멸 장치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제1 전도성 메쉬(30)의 홀들의 크기가 제2 전도성 메쉬(50)의 홀들의 크기와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면으로부터 먼쪽에 있는 전도성 메쉬의 홀들의 크기가 더 크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전도성 메쉬(30)가 제2 전도성 메쉬(50)보다 지면에서 더 멀리 떨어지도록 사멸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전도성 메쉬(30)의 홀들의 크기가 제2 전도성 메쉬(50)의 홀들의 크기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사멸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기포가 메쉬(30)를 쉽게 빠져 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트롤러는,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의 전압의 극성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바뀌도록,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에 전압을 인가한다.
스페이서(40)는,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를 절연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40)는, 어느 정도를 두께를 가짐으로써,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한다. 또한, 스페이서(40)는,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를 지지하기 위해서, 링(41)과 스틱(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틱(43)은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링(41)의 폐곡선 상의 일부와 상기 링(41)의 폐곡선 상의 다른 일부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서(40)는,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를 지지할 뿐 아니라,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이로써, 제1 전도성 메쉬(30)와 제2 전도성 메쉬(50)의 중앙 부분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부 케이스(60)는, 제2 본체(68) 및 제2 지지대(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68)는 링 형상을 가지며, 내연부(65)와 외연부(67)를 포함한다. 제2 지지대(61)는 제2 본체의 내연부(65)에 위치하되, 내연부(65)의 일 위치에서 내연부(65)의 다른 위치에 걸쳐지도록 위치함으로써, 제2 전도성 메쉬(5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지지대(61)는 빗살 모양으로 내연부(65)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60)는,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은 격벽(64)에 의해서 구분되며,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에는 각각 홀들이 위치된다.
제1 주입영역(63)에는 후술할 제2 전도성 메쉬(50)의 돌출부(41)가 위치되고, 제2 주입영역(65)에는 후술할 제1 전도성 메쉬(30)의 돌출부(31)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전도성 메쉬(30)의 돌출부(31)는 (+) 전선 또는 (-) 전선과 연결되고, 제2 전도성 메쉬(50)의 돌출부(41)는 나머지 전선과 연결된다.
이후, 제1 주입영역(63)과 제2 주입영역(65) 각각에 방수액이 주입되며, 전선의 이온화 및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방수액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계열 일 수 있으나, 실리콘 계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본체'는 상술한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하고, 또한 용어 '주입부'는 상술한 제1 주입영역, 제2 주입영역, 및 격벽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사멸 장치를 설명하면, 한쌍의 흡착부(171) 및 흡착부(171)를 지지하는 지지부(173)을 포함하고 있다. 도 5 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10의 실시예는 한쌍의 흡착부(117)와 지지부(173)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도 10의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도면 번호를 가진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의 실시예는 한쌍의 흡착부(171)를 구비함으로써, 수족관의 모서리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사각형상의 수족관의 모서리 부분에 흡착부(171)가 흡착됨으로써, 사별 장치가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지지부(173)는 흡착부(171)와 사멸 장치를 연결하며, 지지부(173)는 상부 케이스(110), 또는 하부 케이스 어느 곳에라도 위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2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전도성 메쉬(230)(다른 실시예들과 다르게 빗금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음)이 위치된 본체(280)와 주입부(218)가 소정의 각도(θ)을 이루고 있다. 도 12의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도면 번호를 가진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 '주입부'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입 영역과 격벽을 가진 부분을 통칭한 것으로서, 도 14의 실시예에서도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적 개념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전도성 메쉬(330)(다른 실시예들과 다르게 빗금으로는 표시하지 않았음)가 위치된 본체(380)와 주입부(318)가 소정의 각도(θ)을 이루고 있고, 한쌍의 흡착부(371)와 지지부(373)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도 14의 실시예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도면 번호를 가진 도 5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의 실시예는 한쌍의 흡착부(371)를 구비함으로써, 수족관의 모서리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사각형상의 수족관의 모서리 부분에 한쌍의 흡착부(371)가 흡착됨으로써, 사별 장치가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사각형상의 수족관에 도 14의 실시예가 사용될 때는, 한쌍의 흡착부(371)는 상호 수직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에서 수초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A)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수초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 수초를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 사진들은 모두 수족관 셋팅 후 약 31일 정도 경과 후에 나타난 결과를 찍은 것이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수초가 더 잘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의 녹조류 발생 방지 및 억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A)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수족관을 찍은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적용된 경우에 있어서 수족관을 찍은 사진이다. 여기 사진들은 모두 수족관 셋팅 후 약 21일 정도 경과 후에 나타난 결과를 찍은 것이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수족관에 설치된 경우에 녹조류 발생 방지 및 억제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에 의한 어병 발생 억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설치된 수족관과,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수족관 각각에 대하여, 솔방울 원인균(Aeromonas hydrophila)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를 각각 투입한 후 실험결과를 그래프(A)와 정량적으로 표시(B)하였다.
이들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멸 장치가 설치된 수족관에서는 30일 경과시 살균 효율이 100%이고, 대조구는 29% 내외로 큰 변화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적 개념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적 개념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적 개념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적 개념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1: 사멸 장치 113: 수족관
115: 물 117; 조명장치
10: 상부 케이스 20: 연결부
30: 제1 전도성 메쉬 40: 스페이서
50: 제2 전도성 메쉬 60: 하부 케이스

Claims (7)

  1.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사멸 장치는, 제1 전도성 메쉬, 제2 전도성 메쉬, 및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를 절연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전압의 극성을 교번적으로 인가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도성 메쉬와 제2 전도성 메쉬는, 각각, 티나튬으로 구성되며, 표면에 백금족 원소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족관에 저장된 수조의 전도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전도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도성 메쉬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류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메쉬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경우, 상기 제1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가 상기 제2 전도성 메쉬를 구성하는 홀들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에 사용되는 사멸 장치의 컨트롤러.
KR1020130050739A 2013-05-06 2013-05-06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KR10136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39A KR101369413B1 (ko) 2013-05-06 2013-05-06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PCT/KR2014/003976 WO2014182027A1 (ko) 2013-05-06 2014-05-02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39A KR101369413B1 (ko) 2013-05-06 2013-05-06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413B1 true KR101369413B1 (ko) 2014-03-06

Family

ID=5064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39A KR101369413B1 (ko) 2013-05-06 2013-05-06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9413B1 (ko)
WO (1) WO2014182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07180A1 (it) 2020-04-03 2021-10-03 Tecniplast Spa Dispositivo di screening microbiologico, in particolare per la raccolta e concentrazione di materiale organico e inorganico presente in un liquido, e apparecchiatura per l’allevamento di specie animali acquatiche da laboratorio equipaggiata con detto dispositiv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720A (ko) * 2009-09-03 2011-03-09 박정일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족관용 정화장치
KR101248567B1 (ko) * 2012-04-25 2013-04-12 주식회사 인바이온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419A (ja) * 1997-09-29 1999-06-15 Akio Sawashita 銅イオン溶出装置と殺菌及び殺菌洗浄装置
JP4929465B2 (ja) * 2007-03-28 2012-05-09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観賞魚用水槽の水質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720A (ko) * 2009-09-03 2011-03-09 박정일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수족관용 정화장치
KR101248567B1 (ko) * 2012-04-25 2013-04-12 주식회사 인바이온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2027A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567B1 (ko)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
IN2012DN05058A (ko)
JPWO2017213233A1 (ja) 水中生物を誘導する方法及び水中生物を誘導するシステム
KR101369413B1 (ko) 수족관내 녹조발생 억제 및 병원균 사멸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ES2784314T3 (es) Sistema de tratamiento para la limpieza de un componente contaminado con biopelícula, en particular una pieza de implante
KR100956620B1 (ko) 은나노 전기분해장치가 구비된 가습기
KR101149377B1 (ko) 양어장용 용수 전기 살충 살균 장치
JP6635494B2 (ja) 水生生物の飛び出し防止装置
KR101829010B1 (ko)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JP2015139441A (ja) 昆虫類駆除方法、昆虫類駆除システム及び植物栽培装置
CN203884468U (zh) 养鱼池水处理装置
JP2013141601A (ja) イオン誘導式歯肉溝洗浄システム
CN204630964U (zh) 离体脑片神经网络振荡记录系统
JP3978677B2 (ja) 水の殺菌装置
CN104713907A (zh) 离体脑片神经网络振荡记录系统及记录的方法
ATE390916T1 (de) Vorrichtung zur freisetzung von medikamenten
KR102204841B1 (ko) 해수 저항변화를 이용한 해수 수족관 이끼 제거장치
KR101914899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장치
JPH11155419A (ja) 銅イオン溶出装置と殺菌及び殺菌洗浄装置
CN103141430B (zh) 三极双循环海水净化增氧器
JPH03254888A (ja) 浴槽
KR20210058163A (ko) 해파리 양식 장치
JP3043165U (ja) 魚類養殖用銅イオン発生器
KR101691742B1 (ko) 다수개의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은이온화장치
KR20080093534A (ko) 정화수 공급유닛 및 이를 갖는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