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03B1 -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03B1
KR101369403B1 KR1020130077434A KR20130077434A KR101369403B1 KR 101369403 B1 KR101369403 B1 KR 101369403B1 KR 1020130077434 A KR1020130077434 A KR 1020130077434A KR 20130077434 A KR20130077434 A KR 20130077434A KR 101369403 B1 KR101369403 B1 KR 10136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adapter
seating groove
assembly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102013007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18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comprising hydraul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툴 조립체가 항상 정확한 위치에 구속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측 끝단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다단의 단턱 구조를 이루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스핀들;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스핀들과는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내주면은 툴 조립체의 생크 아버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은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과 대응되는 다단의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압입 고정되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 내주면 간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spindle assembly in a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툴 조립체가 정확한 위치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를 이루는 스핀들 어셈블리(20)는 툴 조립체(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툴 조립체(10)의 툴(tool)(11)을 구동시켜 상기 툴(11)로써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각 가공 부위를 기계 가공하는 기기이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핀들 어셈블리(20)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스핀들 어셈블리(20)는 구동모터(23)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핀들(22)과, 이 스핀들(22)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21)과, 툴 조립체(10)를 이루는 생크 아버(12)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콜렛(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22)의 하단에는 상기 툴 조립체(10)의 생크 아버(12)가 수용됨과 더불어 내부의 벽면은 상기 생크 아버(12)가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면이 형성된 장착홈(22a)이 요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생크 아버(12)의 정확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스핀들 어셈블리(20)는 상기 툴 조립체(10)를 이용한 기계가공 도중 상기 툴 조립체(10)의 툴(11)에 제공되는 충격이나 과절삭 등의 부하로 인해 상기 스핀들(22)의 장착홈(22a)에 대한 테이퍼면의 마모나 손상 및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툴 조립체(10)를 이루는 생크 아버(12)와의 정밀한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른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의 경우 스핀들(22)을 교체하여야만 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94673호에서는 스핀들 어셈블리(20)를 이루는 스핀들(22)의 장착홈(22a) 내에 교체 가능한 콜렛 어댑터를 개재하여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툴 조립체(10)의 생크 아버(12)와 스핀들(22) 간의 결합이 상기 콜렛 어댑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물의 가공 도중 발생되는 스핀들(22)의 테이퍼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콜렛 어댑터의 손상시에는 상기 콜렛 어댑터 만을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콜렛 어댑터는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반해, 툴 조립체(10)의 정밀한 결합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콜렛 어댑터의 외주면은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스핀들(22)의 장착홈(22a) 내벽을 이루는 테이퍼면과의 일치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고, 이에 부가하여 상기 콜렛 어댑터의 내주면을 이루는 테이퍼면 및 툴 조립체(10)의 생크 아버(12)가 이루는 테이퍼면 간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함께 수행하여야만 함에 따라 스핀들(22)과 툴 조립체(10) 간의 정밀한 결합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콜렛 어댑터는 볼트를 이용하여 스핀들(22)에 결합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기계 가공 도중 발생되는 충격이나 과부하로 인해 상기 볼트의 풀림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는 문제점 역시 있을 뿐 아니라 콜렛 어댑터의 잦은 교체시 볼트 체결공의 손상이 발생되어 콜렛 어댑터의 볼트 체결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우려 역시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툴 조립체가 항상 정확한 위치에 구속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측 끝단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다단의 단턱 구조를 이루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스핀들; 상기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스핀들과는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내주면은 툴 조립체의 생크 아버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은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과 대응되는 다단의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압입 고정되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 내주면 간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의 외경은 상기 안착홈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냉간압입을 통해 상기 안착홈 내에 압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홈과, 상기 스핀들 내외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홈과 연통되는 공급홀과, 상기 공급홀의 유체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캡과, 상기 공급홀 내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유압홈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단턱진 모서리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홈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축 방향측 대향면 및 원주 방향측 대향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는 어댑터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스핀들의 유지 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핀들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를 이루는 어댑터는 다단 단턱 구조로써 스핀들에 결합됨에 따라 툴 조립체로부터 충격력을 전달받는다 하더라도 상기 어댑터가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 내부를 향해 추가적으로 압입되거나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툴 조립체는 항상 정위치에서 정밀한 기계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의 어댑터는 냉간압입으로써 스핀들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볼트 체결이 필요치 않으며, 상기 볼트 체결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볼트 풀림 등의 문제점은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는 고압유체를 이용하여 어댑터와 스핀들 간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어댑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툴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툴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도 4의 “B”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를 이루는 어댑터를 스핀들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는 크게 하우징(210)과, 스핀들(220)과, 구동모터(230)와, 어댑터(250) 그리고,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210)은 스핀들 어셈블리(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상기 하우징(210)은 축 방향으로 긴 구조임과 더불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파이프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핀들(220)은 툴 조립체(10)를 이루는 생크 아버(12)로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상기 툴 조립체(10)의 장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는 주축(主軸)이다.
상기 스핀들(220)은 상기 하우징(210) 내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복수의 베어링(211)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지지를 받아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220)의 내부 중앙으로는 툴 조립체(10)를 이루는 생크 아버(12)의 돌출된 끝단을 파지하는 콜렛(240)이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핀들(220)의 전방측 끝단면에는 축 방향으로 요입된 안착홈(221)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안착홈(221)은 상기 스핀들(220)의 축 방향을 따라 다단의 단턱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230)는 상기 스핀들(2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동모터(230)는 하우징(210) 외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벨트(233)를 통해 상기 스핀들(22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며, 이때 상기 벨트(233)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후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상기 스핀들(220)의 후방측 끝단에 설치된 풀리(222) 및 상기 구동모터(230)의 모터축(232)에 구비된 풀리(233)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에 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핀들(220)을 대신하여 툴 조립체(10)의 생크 아버(12)를 구속하는 구성이다.
상기 어댑터(250)는 내부가 개방된 관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어댑터(250)의 내주면은 툴 조립체(10)의 생크 아버(1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은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과 대응되는 다단의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221) 내에 압입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에 대한 다단의 단턱 구조는 어댑터(250)를 스핀들(220)의 안착홈(221)에 삽입하는 도중 상기 어댑터(250)의 기울어짐에 따른 결합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러한 결합 불량에 의해 생크 아버(12) 역시 정위치를 이루지 못하는 조립 불량이 야기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에 대한 다단의 단턱 구조는 상기 어댑터(250)가 상기 안착홈(221) 내의 축 방향으로 특정 위치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삽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기계 가공시 툴 조립체(10)로의 충격 제공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안착홈(221) 및 어댑터(250)의 다단 단턱 구조에 의해 상기 어댑터(250)가 상기 스핀들(220)의 축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하여 상기 툴 조립체(10)의 툴(11) 위치가 항상 정확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 정밀도가 항상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어댑터(250)의 외경은 상기 안착홈(221)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냉간압입을 통해 상기 안착홈(221) 내에 압입 고정된다. 즉, 상기 어댑터(250)를 급속 냉각하여 수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착홈(221) 내에 삽입하여 상기 어댑터(250)가 상온으로의 온도 상승에 따른 팽창됨으로써 상기 안착홈(221) 내에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볼트를 이용하지 않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트의 풀림과 같은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격부(260)는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주면 간을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로부터 상기 어댑터(250)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260)는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220)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홈(261)과, 상기 스핀들(220) 내외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홈(261)과 연통되는 공급홀(262)과, 상기 공급홀(262)의 유체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캡(263)과, 상기 공급홀(262) 내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유체 공급부(26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220)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에 고압의 압력유체를 제공하여 상기 압력유체의 힘에 의해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어댑터(250)가 상기 안착홈(221)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부(260)를 이루는 유압홈(261)은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220)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단턱진 모서리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서리 부위로의 압력유체 제공으로써 상기 어댑터(250)가 축 방향의 이동력 및 원주 방향의 수축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압홈(261)은 상기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220)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축 방향측 대향면 및 원주 방향측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댑터(250)의 외주면 일부에 상기 공급홀(262)을 상기 유압홈(261)과 연통시키는 연통홈(251)이 형성됨을 그 예로써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연통홈(251)은 상기 이격부(260)의 내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이격부(260)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압의 압력유체가 고압의 압축공기임을 그 예로 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이격부(260)를 이루는 고압유체 공급부(264)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콤프레서임을 그 예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의 스핀들(220)과 어댑터(250) 간의 조립 및 분리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의 어댑터(250)는 스핀들(220)과는 별개로 제공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250)를 영하의 온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서브 제로(sub zero) 처리를 한 후 스핀들(220)에 형성된 안착홈(221) 내에 압입한다.
이때, 상기 스핀들(220)은 상온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에 압입된 어댑터(250)는 점진적인 온도 상승으로 인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안착홈(221) 내에 완전히 압입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로써 스핀들(220)에 대한 준비가 완료된다.
특히, 상기한 어댑터(250)를 스핀들(220)에 냉각압입을 통해 압입 고정한 상태에서는 별도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스핀들(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이 완료된 후 툴 조립체(10)를 이루는 생크 아버(12)를 상기 어댑터(250) 내로 삽입한다.
이의 경우, 상기 생크 아버(12)의 끝단은 상기 스핀들(220) 내에 구비된 콜렛(240)에 물리며, 이의 상태에서 상기 콜렛(240)의 후퇴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생크 아버(12)가 상기 어댑터(250) 내로 점진적인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생크 아버(12)의 외주면이 이루는 테이퍼면과 상기 어댑터(250)의 내주면이 이루는 테이퍼면 간이 서로 일치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에 의해 스핀들(220)과 툴 조립체(1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후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은 상기 스핀들(220)을 통해 툴 조립체(10)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상기 툴 조립체(10)에 의한 가공 대상물의 기계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50)는 다단 단턱 구조로써 스핀들(220)에 결합됨을 고려할 때 기계 가공 중 상기 툴 조립체(10)에 제공되는 충격력을 전달받는다 하더라도 상기 어댑터(250)가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부를 향해 추가적으로 압입되거나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툴 조립체(10)는 항상 정위치에서 정밀한 기계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250)에 대한 손상 발생시 혹은,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스핀들(220)로부터 상기 어댑터(25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어댑터(250)로부터 툴 조립체(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스핀들(220)의 공급홀(262)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캡(263)을 열어 상기 공급홀(262)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홀(262)에 고압유체 공급부(264)를 연결한 후 상기 고압유체 공급부(264)를 동작시켜 상기 공급홀(262)로 고압유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압유체는 상기 공급홀(262)을 따라 유동되면서 유압홈(261) 내로 제공되고, 이렇게 유압홈(261) 내로 제공된 고압유체의 힘에 의해 어댑터(250)의 외주면과 스핀들(220)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는 미세한 이격이 이루어지며, 이는 첨부된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250)는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이후 작업자는 새로운 어댑터(250)를 준비하여 서브 제로 처리를 한 다음 스핀들(220)에 형성된 안착홈(221) 내에 압입함으로써 어댑터(250)에 대한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는 어댑터(250)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스핀들(220)의 유지 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핀들(220)의 교체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어댑터(250)는 다단 단턱 구조로써 스핀들(220)에 결합됨에 따라 툴 조립체(10)로부터 충격력을 전달받는다 하더라도 상기 어댑터(250)가 상기 스핀들(220)의 안착홈(221) 내부를 향해 추가적으로 압입되거나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툴 조립체(10)는 항상 정위치에서 정밀한 기계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의 어댑터(250)는 냉간압입으로써 스핀들(2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볼트 체결이 필요치 않으며, 상기 볼트 체결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볼트 풀림 등의 문제점은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200)는 고압유체를 이용하여 어댑터(250)와 스핀들(220) 간을 이격시키는 이격부(26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상기 어댑터(25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 툴 조립체 11. 툴
12. 생크 아버 200. 스핀들 어셈블리
210. 하우징 211. 베어링
220. 스핀들 221. 안착홈
222,232. 풀리 230. 구동모터
231. 모터축 240. 콜렛
250. 어댑터 251. 연통홈
260. 이격부 261. 유압홈
262. 공급홀 263. 개폐캡
264. 유체 공급부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전방측 끝단면에는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된 단턱 구조를 이루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스핀들;
    내주면은 툴 조립체의 생크 아버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면이 형성됨과 더불어 외주면은 상기 스핀들의 안착홈과 대응되는 다단의 단턱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압입 고정되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에 형성된 안착홈의 내주면 간을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에 형성된 안착홈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에 형성되는 유압홈과,
    상기 스핀들 내외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홈과 연통되는 공급홀과,
    상기 공급홀의 유체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캡과,
    상기 공급홀 내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유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급홀을 통해 유압홈 내로 고압유체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 사이가 강제적으로 이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외경은 상기 안착홈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더불어 냉간압입을 통해 상기 안착홈 내에 압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홈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단턱진 모서리 부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홈은 상기 어댑터의 외주면과 상기 스핀들의 내주면 간의 압입 부위 사이 중 축 방향측 대향면 및 원주 방향측 대향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KR1020130077434A 2013-07-02 2013-07-02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KR10136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34A KR101369403B1 (ko) 2013-07-02 2013-07-02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34A KR101369403B1 (ko) 2013-07-02 2013-07-02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403B1 true KR101369403B1 (ko) 2014-03-05

Family

ID=506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434A KR101369403B1 (ko) 2013-07-02 2013-07-02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73B1 (ko) 2001-05-22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스핀들 구조
JP2003300101A (ja) 2002-04-03 2003-10-21 Toshiba Mach Co Ltd 主軸アダプタおよび工作機械
JP2011240416A (ja) 2010-05-14 2011-12-01 Jtekt Corp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2012056057A (ja) 2010-09-11 2012-03-22 Sakamoto Giken:Kk 回転切削刃具ホル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73B1 (ko) 2001-05-22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스핀들 구조
JP2003300101A (ja) 2002-04-03 2003-10-21 Toshiba Mach Co Ltd 主軸アダプタおよび工作機械
JP2011240416A (ja) 2010-05-14 2011-12-01 Jtekt Corp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2012056057A (ja) 2010-09-11 2012-03-22 Sakamoto Giken:Kk 回転切削刃具ホル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4007B2 (en) Turbine driven power unit for a cutting tool
US20070110533A1 (en) Motor spindle
JP5876520B2 (ja) 液冷式の二部構成型ツールスピンドル
CN102649284B (zh) 多型面铣削设备
WO2006126284A1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US2009012024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ill head
US7934892B2 (en) Collet clamping nosepiece for power feed drilling equipment
KR20150005592A (ko) 수치제어기계를 위한 전기 스핀들
WO2015037697A1 (ja) 切削工具
CN103786053B (zh) 一种手自一体直角头
KR101451698B1 (ko) 다용도 심공가공용 스핀들장치
WO2011051306A1 (en) Coolant adapter
CN107866591B (zh) 用于电动工具的心轴组件及具有其的电动工具
KR20150021415A (ko) 전장 패널의 홀 가공을 위한 유압 펀칭장치
JP2008023608A (ja) 主軸装置
KR101369403B1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어셈블리
KR20190045351A (ko) 스크류 압축기의 하우징 제조 방법
CN109014932B (zh) 高效多功能大余量的深孔复合加工装置
JP5317492B2 (ja) 部品の共通化を図った工具用スピンドル及びチャック用スピンドル
CN207464773U (zh) 一种连杆精镗孔夹具
CN105773858A (zh) 具有中空出水和自动换刀功能的超声波电主轴
KR101305422B1 (ko) Cnc 선반용 스핀들 유니트 및 스핀들 유니트를 이용한 밸브용 금속패킹 가공방법
CN210744930U (zh) 电机转子轴用内花键套装置及拆卸工装
CN210731620U (zh) 一种全自动钻铣复合机床
EP3135853B1 (en) Combined-type driving sleeve of drilling rig with reliably fixed draw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